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교육 방안 - 전통놀이를 활용한 교육연극을 중심으로 -

        안미영 ( Ahn Mi-yeong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 Vol.0 No.47

        The world has been a society in which various cultures coexist for a long time, and Korean society today is also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and a multiracial community.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understood as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is no exception for this multicultural phenomenon. In addition, as international marriages by Korean men sharply increase,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ain a lot of concerns, emerging as a new group in our society. Especially, the nationalities of thos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Korean, but as they grow in the double culture in which values and attitudes toward life of father and mother are different after their birth, they experience many conflicts and confusions,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in general families. When they reach a school age, the social strife they experience and its consequences and maladjusted conditions are aggravated. The emotional chaos and the negative formation of self that take place under the cognition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others are the social problem we must work on together; we should look for some ways to help them establish self identity and form positive egos in educational aspects. Therefore, in the sense of urgency of helping the children form positive self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raditional fairy tales in aspects of contents, and integrate Korean traditional games into educational theaters in methodology, providing the foothold to motivate the children to learn and deepen interests, so that the positive identity formation takes place. The `dramatic play` suggested as a way of Korean teaching learning in this paper is: The materi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urrent study is to deal with is traditional fairy tales; the suggested specific material is `A Tale of Gang Gam chan,` an imulgyogu tale (a tale of sexual copulation between man and heterogeneous thing). Of course there are some negative views on `A Tale of Gang Gam chan,` because it`s the imulgyogu tale and its narration may strongly give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idea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others. However, I believe that the text of the tale keeps a good understanding with that of the children, and I take notice of this point; the children has the potential power to start with the fact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others, not denying it, change many hardships they suffer in positive ways and finally overcome them. Also, as the teaching method, the study presents the technique called a `dramatic pla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games as preliminary stages of each procedure of the instructional process, based upon the existing methods and contents of educational theaters; this is the technique that arranges our traditional games in the step before a class and shows friendliness to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that they can express themselves to their hearts` content.

      • KCI등재

        다문화교실에서의 한국문화교육 방안

        안미영(Ahn, Mi-yeong)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3 No.-

        다문화사회로서의 변화가 진전될수록 학교와 사회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화적 편견과 갈등, 차별로 인한 문제는 증대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소수집단을 위한 지원이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특히나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이들 중 다수의 구성원으로서 자리하고 있는데, 이들 다문화가정의 자녀에게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문화를 이해하는 교육적 방안이 마련되는 일은 시급한 사안이다. 이렇듯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증가로 구성원들의 다양성이 심화됨에 따라, 이들의 학교교육 현장에서도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다문화가정 자녀의 미숙한 한국어능력과 정체성 혼란은 학교생활에서의 부적응을 초래하여 결국 이들의 공교육에로의 진입이 실패하게 되는 등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학교교육 현장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가 불충분한 실정이며, 특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한국어능력이 각기 다른 소수의 학생들에 대해 충분한 교육적 배려를 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을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데에 연구의 출발을 두고 학교교육 내 다문화교실에서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한국어교육의 일환으로서 한국문화와 한국어교육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언어 발달의 지연, 한국문화에 대한 몰이해 등으로 학교 부적응 현상,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이들에게는 무엇보다도 한국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한국인의 의사소통 맥락과 한국인의 가치관, 사고방식 등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한국문화교육도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다문화교실에서의 수업은 다문화가정 자녀들뿐만 아니라 일반가정의 자녀들과 함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다른 교과를 위한 도구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국어과 교육 안에서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고에서 다문화교실 수업의 교육내용으로서 다루고 있는 고전수필 양식 <슬견설>은 내용과 의견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논리적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바로 이러한 점은 다문화교실에서의 학습자들이 이 텍스트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기르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활용 가지가 있을 거라고 기대한다. 또한 다문화가정 자녀가 겪는 제 문제는 일반가정 자녀가 겪는 제 문제들과 함께 한국사회라는 공간 안에서 똑같은 비중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그들이 가지고 있는 가치 역시도 동일하게 인정되어야 함을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함을이 텍스트의 주제를 통해 강조할 수 있다. 한편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일반가정 자녀들 간 사고방식의 차이로 인한 갈등을 토의와 토론, 역할극이라는 교육연극을 통해 그들 스스로가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연극이 한국문화 교수 학습하는 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다문화교실에서의 수업은 이문화간 상호 신뢰감을 형성하여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믿음을 바탕으로 하여야 하며, 한국문화교육은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일방적인 한국문화 동화교육이 아닌 일반가정의 자녀들과 함께 한국문화 이해의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