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신화의 정치성 : 1982년 역사교과서 사건 이후 신화 관련 주제어를 중심으로

        안미경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신화의 정치성 -1982년 역사교과서 사건 이후 신화 관련 주제어를 중심으로- 이 논문의 목적은 일본 신화의 정치성을 역사교과서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객관적으로 증명하여 일본 신화가 국내 정치 상황과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정치적인 재편기에 어떻게 수용되는지를 밝히는 데에 있다. 최근 10년간 『일본학보』에 게재된 논문을 조사한 연구에 의하면 2000년 이후 역사 관련 연구는 조금씩 증가하고 있으나, 종교사상 및 신화 관련 연구는 감소 추세이며 거의 연구가 없다고 한다. 신화는 현대에 이르러 이야기로서 남아있지만 신화가 지닌 사상적, 종교적 통합의 성격은 역사, 정치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현대에서도 그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일본 신화는 천황제라는 독특한 정치체제 속에서 ‘살아있는 신화’로서 움직이고 있으며, 사회 체계 유지 및 사회 구성원 통제를 위해 정치적 권력에 변용되었다. 따라서 이들 사서에 실린 신화적 자료와 역사적 기술들은 황실이나 당시에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집단의 정치적인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하여 체계화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신화의 정치성에 근거하여 일본 신화가 국내 정치 상황과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정치적인 재편기에 어떻게 수용되어 표출되고 있으며 일반 사회에 어떠한 의의를 지니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물론 기존의 연구에서도 신화의 정치성은 언급되었지만 역사교과서 문제에 있어서도 그들이 그러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 기본적인 사상은 배제되고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밝히는 데 그치고 있으므로 신화와 정치 사회와의 연관성을 역사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밝혀내고자 한다. 역사교과서는 위기감 타개를 위한 명분 설정 및 국민 통합의 수단으로 신화를 재구성하여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신화연구의 신화학 혹은 역사학 중심 일변도에서 벗어나 신화의 정치성에 중심을 두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역사교과서 문제에 신화가 언급될 수밖에 없는 사상적 이유와 천황제라는 정치체제와의 관련성도 신화의 정치성에 기인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더 나아가 일본 신화는 국내의 정치 재편 과정에 따라 신화의 수용 형태가 달라짐을 역사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증명해내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 일본 신화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사회적, 정치적으로 연동되어 움직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역사교과서 속의 신화의 부활은 일본 정치체제에 있어 새로운 체제 구성기이며, 정치재편 과정의 일환으로 표면화되어 온 것임을 얻을 수 있었다. 日本中學校歷史敎科書にあらわれた神話の政治性 -1982年歷史敎科書事件以後の神話の関連するキーワードを中心に-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日本學科 安美慶 この論文の目的は、日本神話の政治性を歴史教科書を分析することで、客観的に証明し、日本の神話が単純な話ではなく、国内の政治状況と有機的に連動して、政治的な再編期に収容されていること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ある。 最近の10年間、『日本学報』に掲載された論文を調査した研究によると、2000年以降の歴史に関連する研究は少しずつ増加しているが、宗教思想や神話関連の研究は減少傾向にあり、ほとんど研究がないという。しかし、神話は、現代に至って話として残っている神話が持つ思想的、宗教的統合の性格は、歴史、政治と密接な関連性を持って、現代でもその機能を果たしている。特に、日本の神話は、天皇制と呼ばれる独特の政治体制の中で『生きている神話』として動いており、社会システムの維持と社会の構成員の制御のための政治的権力に変容されたことを司書に掲載された神話的な資料や歴史的な技術をとおして知ることができる。 これに本研究は、歴史教科書の問題に神話が述べられるしかない、思想的な理由と、天皇制という政治体制との関連性の神話の政治性に起因しており、歴史教科書は、危機感打開のための名分の設定、および国民統合の手段としての神話を再構築して利用されていることを明らかにしている。さらに、日本の神話は、国内の政治的再編の過程に応じて、神話の受容形態がダルラジムウル歴史教科書の分析を通じて、具体的に証明して出すことに意義がある。分析の結果、日本の神話は、一定のパターンを持って、社会的、政治的に連動して動いており、歴史教科書の中の神話の復活は、日本の政治体制にあり、新しいシステムの構成機であり、政治的再編の一環として、表面化したことを得ることができる。

      • 스마트폰 중독 수준별 학교유형별 중독병리,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대한 연구 : 특목고와 일반계고를 중심으로

        안미경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스마트폰 중독 수준별 학교유형별 중독병리,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대한 연구: 특목고와 일반계고를 중심으로 2016년 2월 인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安美敬 지도교수 朴榮信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고등학생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 스마트폰 중독 수준별 학교유형별 중독병리,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은 총 586명으로서, 학교유형별(특목고 304, 일반계고 264), 성별(남 252, 여 315)로 분류하였다. 측정도구는 박영신(2015)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Cronbach α=.77∼.93 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은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할 때 좋지 않은 점으로 눈이 나빠짐, 시간 낭비, 학업 방해를 지적하였다. 스마트폰으로 가장 많이 하는 일은 SNS가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그 다음이 정보검색이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 주변과 소통이 대표적이었으며, 이외에도 정보검색과 재미있음이 포함되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수준별로 스마트폰 사용 빈도에서 p<.01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즉 중독위험집단이 일반집단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빈도가 더 높았다. 학교유형별 스마트폰 중독 수준의 차이를 X2 분석한 결과, p<.001 수준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특목고가 일반계고보다 중독위험에 속한 경우가 더 많았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 수준별로 중독병리에서 p<.001 수준의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중독위험집단이 일반집단에 비해 더 불안하고 우울하며, 충동성과 공격성도 높았다. 넷째, 스마트폰 중독 수준별로 자기효능감에서 p<.001 수준의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독위험집단이 일반집단보다 자기조절효능감과 어려움극복효능감이 더 낮았다. 학교유형별로도 자기효능감에서 p<.001 수준의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목고가 일반계고보다 자기조절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 사회성효능감, 관계효능감이 더 높았다. 다섯째, 학교유형별로 학업성취에서 p<.001 수준의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목고가 일반계고보다 객관적 학업성적과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모두 높았다. 그러나 스마트폰 중독 수준별로는 학업성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제어: 스마트폰 중독, 학교유형, 중독병리, 불안, 우울, 충동성, 공격성, 자기효능감, 학업성취, 특목고 <Abstract> Research on pathological intoxicati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cros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and type of school: Comparison between students attending elite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February 2016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unseling Psychology Major, An Mee Kyung Supervisor, Young-Shin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martphone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in pathological addicti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cros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and type of school. A total of 586 high school students (elite high school=304, general high school=264 and male=252, female=315)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ranged from Cronbach α of .77 to .93. First, as for the negative aspect of using the smartphone too much, students listed developing bad eyesight, followed by waste of time and interferes with school work. Students reported that they used the smartphone for SNS, followed by information search. As for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using the smartphone, a majority of students reported communication, followed by information search and fu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smartphone use acros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Those students at risk of addiction are more likely to use smartphone more frequently than students who are not at risk. As for the X2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school type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ose students attending an elite high school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group at risk of addiction than students attending a general high school.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ological intoxication acros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was found. Those students at risk of addiction are more likely to be anxious, depressed, impulsive and aggressive than students who are not at risk.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acros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Students at risk of addiction had lower self-regulatory efficacy and resiliency of efficacy than students who are not at risk.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across type of school. Those students attending an elite high school had higher self-regulatory efficacy, resiliency of efficacy, social efficacy and relational efficacy than students attending a general high school. Fif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ross type of school was found. Those students attending an elite high school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grade than students attending a general high school.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ros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was not found. Key words: smartphone addiction, type of school, pathological intoxication, anxiety, depression, impulsivity, aggression,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elite high school

      • 운동유형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안미경 경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운동유형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운동처방학과 안 미 경 지도교수 김 우 원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요가운동과 순환운동에 참여한 요가운동군 8명과 순환운동군 10명으로 분류하여, 운동유형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체조성과 관련하여 운동 유형에 따른 운동의 효과는 체지방량, 근육량, 복부둘레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혈압은 측정시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2. 혈증지질과 관련하여 운동 유형에 따른 운동의 효과는 측정시기에서 TC(p<.01), TG(p<.05), HDL-C(p<.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LDL-C, Glucose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건강관련 체력과 관련하여 운동 유형에 따른 운동의 효과는 측정시기에서 평형성(p<.001)과 유연성(p<.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의 요가운동 및 순환운동이 신체구성, 혈중지질, 건강 체력에 긍정적인 개선의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보이며, 비만의 예방과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의 연구에서는 요가와 순환운동을 병행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와 장기간의 추적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변화를 관찰하는 종단적 연구(longitu -dinal study)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시각적 지원이 고기능 자폐성장애 아동의 화용론적 이해능력에 미치는 효과

        안미경 대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각적 지원이 두 명의 고기능 자폐성장애 아동의 화용론적 이해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화용론적 이해능력을 위한 중재는 관용어, 간접화행, 마음상태 동사의 세 가지 화용론적 언어를 중심으로 그림과 문자를 통한 시각적 지원을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지능지수 70이상인 자폐성장애는 남아 1명과 여아 1명이었다. 연구 설계로는 과제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각 아동에 대하여 관용어, 간접화행, 마음상태 동사 순으로 기초선, 중재, 유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지원은 두 명의 고기능 자폐성 장애 아동의 화용론적 이해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림과 문자를 통한 시각적 지원은 관용어, 간접화행, 마음상태 동사에 대한 이해능력을 짧은 기간 내에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켰다. 둘째, 시각적 지원 중재를 통하여 향상된 고기능 자폐성장애 아동의 화용론적 이해능력은 유지되었다. 두 명의 고기능 자폐성장애 아동은 시각적 지원이 없이도 관용어, 간접화행, 마음상태 동사에 대한 향상된 이해능력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용어, 간접화행, 마음상태 동사와 같은 화용론적 언어를 이해하는 데 문제가 있는 고기능 자폐성장애 아동들에게 시각적 지원은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시켜줌으로써 맥락이나 상황에 따른 해석을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적인 중재 전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고기능 자폐성장애 아동들에게서 나타난 화용론적 이해능력의 유지효과는 시각적 지원이 일상생활 중심의 화용론적 언어를 지도하는 데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and maintenance of visual supports on comprehension of idioms, indirect speech acts and mental state verbs for high-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Ten idioms, five indirect speech acts and ten mental state verbs frequently used in our daily life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were selected. One male child and one female child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ttending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intervention program. During intervention two types of visual support were presented: pictures and cards with letters. Data about the idioms, indirect speech acts and mental state verbs were obtained using a multiple-probe design across three task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wo of the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mprehension of the idioms, indirect speech acts and mental state verbs. Second, They maintained the advanced comprehension abilities without any visual supports. This study shows that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re able to understand pragmatic expressions when provided visual supports, although they did not acquire them spontaneously.

      • 빈곤노인의 소득보장 방안에 관한 연구

        안미경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대두되고 있는 노인문제를 국가적인 책임과 의무로 받아들여 새로운 인식과 의지의 결단으로 21세기를 대비한 노인복지 정책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그 동안 소극적이던 노인정책에서 탈피하여 이제는 모든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건전한 생활을 보장하고 사회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실정에 알맞은 노인복지정책을 개발 발전시켜야 하는 것은 미룰 수 없는 당면과제이다. 본 연구는 빈곤노인의 생계유지 및 안락한 노후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기본적인 대책으로 제도적 측면인 공공부조 제도와 경로연금제도, 경로우대제도를 파악하여 빈곤노인들의 미래사회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소득보장정책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로 연구를 행하였다. 빈곤노인을 위한 소득보장제도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는 고령 계층을 위한 특별한 제도라 하기보다 연령, 근로능력 인구특성에 관계없이 국가가 정한 최저생활 수준을 유지하는 최종안전망이다. 둘째, 경로연금의 역할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연금수급권을 확보하지 못한 노인들이 공적 소득보장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셋째, 경로우대적인 측면에서는 긴급보호제도의 도입과 노인복지재정의 확충이 필요하다, 경로우대제도는 지역간의 편차를 해소하는 등 전국적인 기준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정부, 지역사회, 가족, 개인 등 다양한 차원에서 적정한 역할분담을 모색하는 등 공동체적인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며, 선진국의 경험과 우리의 역사적 전통, 의식, 경제상황 등을 감안한 한국적 노인복지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모든 문제를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는 어려운 것이므로 민간이 보완적인 역할을 분담할 수 있도록 제도개발 및 유인책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건강한 가족제도, 지역사회의 상부상조정신 등 우리 사회의 장점을 유지 발전시킬 수 있도록 사회경제적 유인제도를 강화해야 할 것이며, 가족제도의 장점은 살리되 국가경제 능력에 알맞고 그러면서도 오늘만의 노인이 아닌 내일의 노인을 위한 장기적인 안목으로 물질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을 균형 있게 발전시킬 미래지향적이고 효과적인 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It is time to put every efforts to welfare policy of old people to cope with the 21st century with a new recognition and commitment by accepting problem of old people that has been emerged today as national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welfare policy suitable for current situation so as to guarantee healthy life and active engagement in social activities by breaking away from old people policy.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olicy to guarantee income for actively coping with future society problem of poor old people by recognizing institutional measures such as public help system, pension system for senior citizen and preferential treatment on old people, as basic measures for guaranteeing stable life at old age and making a living for poor old people. This study adopted literature review as a study method. As an improvement method of system to guarantee income for poor old people, first, national basic life guarantee system is not a special system for old people, but final safe network of keeping the minimum living level determined by country, irregardless of age, labor ability and demographic feature. Second, it is expected to cause blind spot of public income guarantee to old people who failed to obtain pension acquisition right and is required to expand the role of pension for old people. In terms of respect for old people, it is required to introduce emergency protection system and to expand finances for welfare of old people. Third, nation-wide plan should be prepared to solve deviation between regions for preferential treatment on old people. At the same time, it is required to obtain community-level efforts including assignment of roles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government, community, home and individual, and to develop Korean type of welfare model for old people in consideration of experience of advanced countries and our tradition, awareness and economic situa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solve all problems only with government efforts, it is also required to continuously develop system for sharing of supplementary role by civilian and to find out incentive plan. For this purpose, it is required to reinforce social/economic incentive system to keep and develop strength of our society in regional society and sound family system, while establishing future-oriented and effective welfare policy for old people that can develop both physical and mental aspects with long-term judgment for ole people of tomorrow, not only for old people of today.

      •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J시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안미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동주택 작은도서관은 1994년 문화부(현 문화체육관광부)가 국민 독서 진흥을 위해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와 함께 주택법 등을 통해 건설회사가 500가구 이상 공동 주택을 지을 때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였고, 2006년에는 도서관 설립 의무를 300가구 이상으로 강화했다. 그러나 건설사가 법적 의무에 따라 도서관을 마련한 후에도 운영 주체인 아파트 주민들은 입주자대표회의가 구성되지 않았거나 자원 봉사자,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도서관 운영을 소홀히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J시의 설치의무대상인 공동주택단지내 작은도서관의 설치 및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공동주택 작은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택법을 통해 의무사항으로 공동주택단지내 작은도서관의 설립유무만을 규정하고 있는데, 작은도서관 운영 및 관리에 대한 법적조항이나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한다. 2) 도서관 시설 면적 중 열람실은 99.9 m²(30평)이상의 공간을 확보하고 별도의 프로그램실을 운영해야한다. 3) 아파트관리사무소의 정규직원으로 전문사서를 채용해야하며, 작은도서관 간의 네트워크 형성으로 운영 전반에 관한 정보를 공유해야한다. 4)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공동주택 작은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도서운영위원회를 조직하고 사서가 운영의 중심이 되어야한다. 5) 운영자 및 사서의 전문교육이나 자원봉사자의 계속교육을 실시하고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 '시민사서 자원활동가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해야한다. 6) 작은도서관과 시립도서관 나아가서 국립중앙도서관을 연계하는 온라인서비스 통합도서관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 7) 공동주택단지의 입주민들의 특성이나 요구에 맞는 장서 및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한다. 8) 전문인력이 정규직으로 상주하여 주 40시간 이상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를 해야한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의 시초로서 의미가 있으며, 이후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커뮤니티, 전문성, 이용자요구분석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중년 남성의 직업적 위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안미경 숙명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middle-aged men who have experienced occupational crisis. It sought to explore the specific difficulties that middle-aged men face in the course of experiencing and overcoming occupational crises.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ir personal lives and lay the basis for counseling support and social intervention for middle-aged men suffering from occupational crisis. For this, the study sought to promote a specific and individual understanding of the occupational crises experienced by middle-aged men by exploring what life experiences individuals are shaped and reconstructed. In this study, two middle-aged men who experienced occupational crisis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ere applied in this study as qualitative studies to better understand participants' experiences. By describing and interpreting the phenomenon and the overcoming process in which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occupational crises, it aims to pursue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The occupational crisis stories of study participants explo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participant Um Eui-chul (a pseudonym) experiences a disconnect from everything with the professional crisis of dismissal. After being driven to life on the street, he begins a life-threatening fight for reinstatement, but his father's death has caused him to lose his hope of contributing to his father's life, and he ends up in a position of being an unemployed head of the family. Um Eui-chul was reinstated after three years, but he suffered more than his dismissal. He had to spend troubled days with skepticism about human relations, and he had to bear the low cost of personnel management, a half salary and organized bullying from the company. In the end, everyone remained on their own and volunteered for a one-man union, enduring the company's checks and exclusion. When he was dismissed again after 18 years, his anger was over the top; Eom Eui-chul struggles with the company and returns to work again. While Eom's dismissal and reinstatement were repeated and focusing on his occupational calling, his relationship with his wife continued to grow apart, facing a life-or-death crossroads of responsibility as a head of his family, his dream as a literary writer and his mission as a journalist. Research participant Kim Jun (a pseudonym) is in shock that he was swindled when an unpaid amount of money was generated just two years after the start of the business. He suffered from extreme anxiety, depression, regret and remorse, as well as economic pressure. In the course of repaying his debts one by one, he became more comfortable with his family, found and accepted new meaning in his profession, and gained comfort and insight through faith. The implications of the process for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to overcome occupational crises are as follows: Eom Eui-chul leads him to the existential choice of reinstatement as the occupational crisis is perceived as a desperation that can no longer be backed down. He also begins a journey of finding his own life by discovering various identities within himself-awareness through the occupational crisis. In the face of the occupational crisis, Kim-Jun overcomes anxiety by returning to God and begins an ethical encounter with his family through distancing. Through the stories of middle-aged men who experienced occupational crises, this study contributed to efficient counseling at the counseling site by providing an individual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m. It is also meaningful to provide more specific and practical information needed to create social alternatives to them. 본 연구는 직업적 위기를 경험한 중년 남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년 남성이 직업적 위기를 경험하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개인적 삶의 변화를 탐색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여 직업적 위기로 고통 받는 중년 남성들을 위한 상담학적 지원과 사회적 대안 마련에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년 남성이 경험하는 직업적 위기가 개인에게 어떠한 삶의 경험으로 체화되어 재구성되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적 위기를 경험한 중년 남성 2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경험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질적 연구로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직업적 위기를 경험하게 되는 현상과 극복 과정을 기술하고, 그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연구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지향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 탐구된 연구 참여자의 직업적 위기 경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 엄의철(가명)은 파면이라는 직업적 위기와 함께 모든 것으로부터의 단절을 경험한다. 길바닥 인생으로 내쫓긴 그는 복직을 향해 목숨 건 싸움을 시작한다. 하지만 부친의 사망은 그로 하여금 부친의 삶에 기여하고픈 기대를 상실하게 했으며, 결국 백수가 되어버린 가장의 자리에 서게 된다. 엄의철은 3년 만에 다시 복직이 되었지만 파면보다 더 큰 고통을 겪게 된다. 그는 인간관계에 대한 회의감으로 괴로운 날들을 보내야 했고, 회사로부터 번번이 낮은 인사고과와 반쪽짜리 봉급, 그리고 왕따 같은 조직적 괴롭힘을 감수해야 했다. 결국 모두가 떠난 자리에 혼자 남아 스스로 1인 노조를 자청하며 회사의 견제와 외면을 버텨나갔다. 이후 18년 만에 다시 파면을 당하게 되자 엄의철은 하늘을 찌를 듯한 분노를 경험하며 회사 측과 사투를 벌여 다시 복직한다. 엄의철은 파면과 복직이 반복되며 자신의 직업적 소명에 집중하는 동안 아내와의 관계는 조금씩 멀어졌으며 가장으로서의 책임과 문학도로서의 꿈, 그리고 언론인의 사명이라는 삶의 갈림길을 마주하게 됐다. 연구 참여자 김준(가명)은 사업 시작 2년 만에 영업 미수금이 발생하자 사기 당했다는 충격에 휩싸인다. 극심한 불안과 우울, 후회와 자책은 물론 경제적 중압감에 시달렸다. 채무를 조금씩 갚아나가는 변제 과정에서 그는 가정이 더 편안해지고 직업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 수용하게 되었으며, 신앙을 통해 위로와 통찰을 얻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직업적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엄의철은 직업적 위기를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절박함으로 인식하면서 복직이라는 실존적 선택을 하게 된다. 또 직업적 위기를 통해 자각된 자기 안의 여러 정체성을 발견하며 자신의 삶을 찾아가는 여정을 시작한다. 김준은 직업적 위기를 맞아 신에게의 귀의를 통해 불안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며, 거리 두기를 통해 가족과의 윤리적 만남을 시작한다. 본 연구는 직업적 위기를 경험한 중년 남성들의 이야기를 통해 이들에 대한 개별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를 함으로써 상담 현장에서 효율적인 상담이 이루어지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에 대한 사회적 대안 마련을 위해 필요한 밑거름이 되는 자료로서의 역할에 기여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초등과학에서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안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식이 기반되는 개방적 학습사회에서는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선별하여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은 초등학교에서도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가 다양한 방법을 체계적으로 학습에 이용하고 학습목표의 성취를 위해 동기를 유지하며 자발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는 전략적인 학습이다. 특히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은 학습자의 적극적이며 자율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실천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능력 및 과학과 학업성취,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C초등학교에서 5학년 2개 학급 61명이었다. 선정된 2개 학급 중 한 학급은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한 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은 기존의 방식으로 학습한 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하였다. 실험처치는 21주에 걸쳐 과학과 수업 51차시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학업적 자기조절능력 검사도구,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기말고사 점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질적연구를 병행하여 면담과 자기조절학습지, 일기 등의 삼각검증을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은 Zimmerman과 Martinez-Pons(1986)가 제시한 인지적, 행동적 측면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과, 김용수(1998)의 동기적 요소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즉,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이라는 3가지 범주에서 자기조절학습을 보았다. 인지조절은 기록하여 점검하기, 학습내용의 조직화와 바꾸기, 기억하기, 복습하기로 구성하였다. 동기조절은 학습목표 및 계획세우기, 자기 스스로 칭찬하기와 반성하기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행동조절은 좋은 학습환경 만들기, 정보구하기, 도움구하기, 평가하기로 구성하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켰다(p< .01). 특히 학업적 자기조절능력의 6개 하위요소를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음이 나타났다(p< .01). 그러나 성별에 따른 학업적 자기조절능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 .05), 학습성취 수준에 따른 학업적 자기조절능력은 상위-중위, 상위-하위수준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1). 셋째,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향상시켰다(p< .01). 넷째,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켰다(p< .01). 특히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3개 하위영역을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p< .01). 그러나 자기조절학습을 적용했을 때 성별이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다섯째, 학업적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소인 방법, 동기, 행동, 시간,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은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 중 인식보다 흥미와 상관관계가 높은 영역이 많았다(p< .05). 아울러 흥미보다 태도영역과는 훨씬 상관관계가 높은 항목이 많아 학업적 자기조절능력의 6개 하위요소가 태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1). 여섯째, 질적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이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의 세 가지 범주에서 어떻게 자신의 학습과정에 참여하는지 알아보고,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은 각각의 범주에서 의해 독립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고 있다. 학생 A는 '동기조절'의 형태로, 학생 B는 '인지조절'과 '동기조절'의 혼합으로, 학생 C는 주로 '인지조절'의 형태로 나타났다. 학생 D는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의 혼합형태로, 학생 E는 '인지조절', '동기조절'뿐 아니라 '행동조절'까지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 F는 '행동조절'의 형태로 자기조절학습이 발전하고 있었다. 이처럼 각 학생의 학습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학습의 형태는 다양했으나, 이들은 모두 자기조절학습을 완성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은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업성취 및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은 학생들이 다양한 인지전략을 사용하고 학습에 대한 동기화를 촉진하며,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능력을 갖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을 동시에 고려하는 통합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을 통해 학생은 과학학습에 대한 태도에 자신감과 흥미를 갖고, 전략적인 측면에서 능동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하게 되어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oday, as never before, schools must empower students to enhanc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e learners. Through active, constructive process learners set goals for their learning and then attempt to monitor, regulate, and control their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s Self regulated learning Teaching Model has on Academic self regulation ability,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from fifth grades of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61 students. One class(31 students) out of selected two classes was applied to Self regulated learning Teaching Model, the other(30 students) took conventional methods of teaching. The experiment proceeded for 21 weeks, 51 times of classes. The designation method of the components of academic self-regulated ability used by Mun, Byeong-Sang(2000), and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 Inventory used by Kim, Hyo-Nam(1998). The result was estimated with ANOCOVA. The research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Teaching Model developmented from Zimmerman & Martinez-Pons(1986)'s self-regulatory learning strategies and Kim, Yong-Soo(1998)'s study. Three main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selected as follows: Three main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selected as follows: Regulation of cognition(continuing recording/checking out, organizing/transforming, demonstrating/memorizing, reviewing), Regulation of motivation(goal setting/planning, self-rewarding and punishing), and Regulation of behavior(environment structuralizing, information searching, social support pursuing, self-evaluating). In the present study, the author conducts an empirical study on self-regulated learning in a rather comprehensive way by covering all the aspects of self-regulation such as cognitive, motivational, behavioral and environmental strategies to overcome with the problems caused by simple correlation among a limited number of variables.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Teaching Model improved the children's Academic self regulation ability(p< .01). And It encourages students to have positive six distinct dimensions of Academic self-regulation(p< .01). But the differences in Academic self-regulation ability based on sex was very slight(p> .05). Academic self-regulation ability based on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showed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of high-middle, high-low(p< .01). Third, Self-regulated learning Teaching Model improved the children's science achievement(p< .01). Fourth, Self-regulated learning Teaching Model improved the children's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p< .01). And It encourages students to have positive three main categories of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p< .01). But the differences in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 based on sex was very slight(p> .05).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 based on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showed littl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of high-middle, high-low(p> .05). Fifth, six distinct dimensions of Academic self-regulation have correlation with scientific attitudes(p< .01), interests of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p< .05). Sixth, In Qualitative study, The term self-regulated can be used to describe learning that is guided by metacognition(thinking about one's thinking), strategic action(plann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personal progress against a standard), and motivation to learn. In particular, self-regulated learners are cognizant of their academic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they have a repertoire of strategies they appropriately apply to tackle the day-to-day challenges of academic tasks. These learners hold increm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as opposed to fixed views of intelligence) and attribute their successes or failures to factors (e.g., effort expended on a task, effective use of strategies) within their control. Finally, students who are self-regulated learners believe that opportunities to take on challenging tasks, practice their learning, develop a deep understanding of subject matter, and exert effort will give rise to academic success. In part, these characteristics may help to explain why self-regulated learners usually exhibit a high sense of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