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한묵시록 19장 9절의 어린양의 혼인잔치(Cenam)을 통해 살펴본 성찬례

        안동훈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atholic Church always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ucharist and also continued in her efforts to do this, because she has gained the power to maintain and to change herself from the Eucharist. Eucharist is the climax and main core of Christian life. It came from Jesus’ sacrifice of taking all the sins of the world by himself to save people, and also reflects Jesus’ last favour at The Last Supper; “Do this in memory of me.” The church remembers, celebrates, hopes Jesus’ life and death and God’s salvation from resurrection through the Eucharist. Sacrosanctum Concilium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said following : The liturgy is the summit toward which the activity of the Church is directed; at the same time it is the font from which all her power flows. For the aim and object of apostolic works is that all who are made sons of God by faith and baptism should come together to praise God in the midst of His Church, to take part in the sacrifice, and to eat the Lord's supper. The liturgy in its turn moves the faithful, filled with “the paschal sacraments," to be “one in holiness" ; it prays that ”they may hold fast in their lives to what they have grasped by their faith" ; the renewal in the Eucharist of the covenant between the Lord and man draws the faithful into the compelling love of Christ and sets them on fire. From the liturgy, therefore, and especially from the Eucharist, as from a font, grace is poured forth upon us; and the sanctification of men in Christ and the glorification of God, to which all other activities of the Church are directed as toward their end, is achieved in the most efficacious possible way. The Eucharist has two aspects. One side is sacrifice and another is festive. However, the side of sacrifice has been overemphasized, on the other hand the festive side was disregarded until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is is not what Jesus and the early churches wanted. In the Eucharist, we take part in a foretaste of that heavenly liturgy which is celebrated in the holy city of Jerusalem toward which we journey as pilgrims. So we need to emphasize festive side because Lamb's wedding feast which is heavenly liturgy is the most spectacular festival which is beatific by unity with Lord as bridegroom of marriage. Therefore, I stressed on festive side on this essay to conclude with the balance of both aspect of Eucharist. To do this, first, In Chapter Ⅱ, I considered Israel's festival, Parable of wedding feast of Gospel and the Lord's last supper. Because this is the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that Lamb's wedding feast in the history of salvation. In chapter Ⅲ, to reveal meaning of Lamb's wedding feast on Apocalypse, I examined essential contents about Apocalypse, association with Apocalypse and Liturgy, and the relationship Lamb's wedding feast between Eucharist. In chapter Ⅳ, I investigated theological meaning of Sunday, church who is celebrated Eucharist, contents of Mass including its meaning, structure, effect, existence of God who is Trinity in mass, in order to understand meaning and value of Eucharist that is celebrated on Sunday. In chapter Ⅴ, Through the linguistic analysis of exemplifications that were applied to the Romanum Misale, I contemplated about Cenam that translated into Lamb's wedding feast in the Apocalypse 19,9. Eucharist is the climax, baseline, and fountain of Christian life. We need to feel the Living God and importance of Mass by proper understanding of Eucharist. 잔치로서 성찬례의 가장 큰 효과는 주님과의 일치이다. 주님과의 일치는 그리스도인의 모든 것을 수렴하고 있는 영원한 생명을 뜻한다. 하느님 나라에서 하느님과 생명을 나누는 일치의 관계를 요한묵시록은 ‘어린양의 혼인잔치’로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 ‘잔치’로서의 성찬례의 완성된 실재이다. 따라서 성찬례의 ‘잔치’의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요한묵시록의 어린양의 혼인잔치와 성찬례의 연관성 안에서 고찰해야 할 것이다. 교회생활의 정점이며 원천으로서 특전적 위치를 차지하는 성찬례는 성경 안에서 자신의 원천을 발견하고, 또한 성경은 성찬례에 부합된다. 이는 특히 요한묵시록에서 풍부하게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의존관계로 말미암아 성찬례는 요한묵시록의 환시를 완성할 뿐만 아니라 어린양의 혼인잔치라는 종말론적인 잔치를 현실화시킨다. 따라서 성찬례의 ‘잔치’로서의 성격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요한묵시록에서 말하는 어린양의 혼인잔치에 대하여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특별히 그 범위는 ‘어린양의 혼인잔치’가 명시되어 있는 요한묵시록 19장 9절의 Cenam으로 한정하여 성찬례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어린양의 혼인잔치의 구세사적 배경이 되는 이스라엘의 축제와 복음서에 나타난 혼인잔치의 비유, 그리고 어린양의 혼인잔치의 표상인 성찬례의 기원이 되는 최후만찬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Ⅲ장에서는 요한묵시록에서 말하는 어린양의 혼인잔치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요한묵시록의 간략한 내용과 요한묵시록과 전례와의 관련성, 그리고 어린양의 혼인잔치와 성찬례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Ⅳ장에서는 주일에 거행되고 있는 성찬례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주일의 신학적 의미와 성찬례를 거행하는 교회 그리고 미사의 구조와 의미, 효과 그리고 성찬례 안에서 현존하는 삼위일체 하느님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Ⅴ장에서는 요한묵시록의 어린양의 혼인잔치가 성찬례 안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밝히기 위해 요한묵시록 19,9의 어린양의 혼인잔치(Cenam)에 대한 미사전례서 안에서의 범례를 살펴보고 언어분석을 통해 그 의미와 가치를 알아볼 것이다.

      • 住商複合建築物의 計劃 特性에 관한 考察 : 1990년대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안동훈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representative cases of the domestic mixed-use dwellings by forms and periods, and to analyze several factors of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se cases. And then it will clarify the trends in the mixed-use dwelling plann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signing mixed-use dwellings, which are databased. After 1990's, the following trends show much clear than before in mixed-use dwellings 1. High-rise buildings of the simply and vertically piled type are most frequently constructed. 2. Isolated style is more preferred than the parally-connected style among the horizontally-seperated style. 3. Isolated style and flat-form style tend to be constructed more frequently in suburban region than urban. 4. In the 1990's mixed-use dwellings, various exteriors are made by a symbolic model on the top floor or a intermediate floor. In the 1990's mixed-use dwellings, in a word, factors which have to be improved are as follows; 1. The mixed-use dwellings in Seoul should have been more various types of dwelling unit in scale. 2. The types of corridors and cores should be considered prudently related with residence. 3. When the flow lines of cars and people are mixed, the facilities should be set-up to separate the two lines. 4. The public or a sub-public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more positively.

      • 未分讓 住宅의 發生原因과 解消方案에 관한 硏究

        안동훈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umber of unsold housing of the nationwide has reached a record since its figures were counted, being over 160,000 families. Especially unsold hous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at is being left instead of working out proper measure is close in upon 23,000 families. So far, the government has constantly put forth a great many measures but those were only partial policies or temporary ones. The measures were not fundamental policy making at all. I think that the major cause of the failure of government is because the government did not bring about a down-to-earth approach. In my opinion, there have always been the problems of unsold housing in market, to some degree, however, unsold hous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housing security of people as well as the country's economy due to its exceed or its long period after completion. I believe that among these failures are three major causes. First, supply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other words, tons of builders have poured out housing sales since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ice ceiling for sale in before its enforcement. Probably it would be more accurate to say that this resulted in current over supply. Also, in order to secure decreased profitability level from the price ceiling for sale in, construction companies have put forth midsize and large centered apartments rather than small-and medium-size ones. This is why unsold house had to occur, to put it another way, builders didn't see into the needs of actual demand in market. Second, both the enforcement of price ceiling for sale in and the oversupply of apartments encouraged demanders to reduce their consumption ; demanders expect current drop in real estate prices to go down more than now. Besides, the factor of demander's taking prudence from the stronger lock-up period of the exclusive purchase right for housing is now contributing to the decline of housing demand in market. Third, to prevent the owners of multiple houses and the speculative power, there are some tax policies through the heaviest-ever tax such as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es, property tax, and capital gains. However, these tax policies resulted in leveling off not only the certain force but also the market of actual demand. Therefore, it is advised that the government must stimulate current market through deregulation of appropriate level. The demand of housing in the Seoul area has been stagnant substantially toward expensive, large homes ; the impact of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es, the strong regulations about mortgage rate and home equity loan. Both add points for subscription and the price ceiling for sale in made people take great care in using their housing bank accounts. As a result of this, the inclining towards certain areas is rising and the sale of large homes that go beyond 135㎡ is decreasing, whereas medium and small sized homes that are in and out 85㎡ are not in big reason after new comple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rveyed the cause and the problems of unsold housing, suggesting the solution using a method of limitation on how to resolve them through the deregulation and the maintenance of related systems as an alternative. I believe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of limitation could bring about the expansion of house owners in middle and low class, the stimulation of housing upward mobility, and the easing of the burden of funds for the construction sector. What I want to stress is that the aim of housing is that the underprivileged must get the chance for housing which they want to live within their incomes, not to mention rental housing. To sum up, I can say that three major policies must be reformed soon or later ; the maintenance of related systems for expansion of sales in, the leading to the upward mobility through more deregulation measure for expensive housing, the reform of subscription systems in new sales market. For the above-mentioned reasons, I believe that we can absolutely see some light in unsold housing without a ripple effect in market if the government takes flexibility at housing demand in market. I expect to boom in our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future as well. 전국의 미분양 주택수가 16만 가구를 넘어 미분양 집계를 시작한 이래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대책 없이 방치되고 있는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이 2만 3000여 가구에 肉薄했다. 그 동안 수많은 정책이 쏟아져 나왔지만 部分的 대책이나 一時的 대책에 불과할 뿐 근본적인 정책수립이 되지 못했다. 정부가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미분양 주택의 해결방안에 대한 현실적 접근이 되어있지 못하다는 것 때문이다. 주택미분양은 어느 정도 尙存하는 것이 정상이지만 미분양이 過度하거나 장기화되어 준공 후에도 지속적으로 남아 있는 경우 미분양으로 인한 영향은 업체 뿐 아니라 크게는 國家的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고 결국 미분양은 국가 전체의 經濟性과 국민의 주거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게 된다. 주택 미분양의 원인으로 첫째, 공급의 문제를 들 수 있다. 2007년 하반기,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실시의 발표로 많은 건설사들이 정책의 시행 이전에 물량을 많이 쏟아냈다. 그 결과, 현재 供給過剩을 야기시켰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분양가 상한제의 실시로 줄어든 收益性을 맞추기 위해 중소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로 오르는 중대형 아파트 위주의 공급으로 실수요자와의 必要欲求가 제대로 맞지 않아 미분양으로 넘어서는 사태를 초래하게 되었다. 둘째, 분양가 상한제의 실시와 아파트의 과잉 공급을 수요자의 입장에서 볼 때 앞으로도 가격하락을 기대할 수 있는 기대심리를 부추기며 상대적으로 수요자들의 소비를 줄이게 되었으며 분양권 전매 제한 기간 강화 등의 영향으로 수요자들이 주택 구매 결정에 더 신중하게 된 요인도 주택 구매 수요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셋째,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그리고 양도세 등의 중과세를 통해 다주택자, 投機性 勢力을 막는 세제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특정세력 뿐 아니라 실수요의 시장도 沈滯시키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적정선의 규제완화를 통해 시장의 活性化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수도권의 주택 수요는 주택담보대출 금리 및 대출 규제 강화, 종부세의 영향으로 고가 대형 주택을 중심으로 크게 위축되어있다. 청약가점제, 분양가상한제 등의 영향으로 청약통장 사용에 신중을 기하는 수요자가 늘고 있어 인기지역의 분양에만 청약이 몰리는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신규 분양의 청약 결과 역시 85㎡ 내외의 중소형 주택은 분양에 큰 무리가 없으나 135㎡를 초과하는 대형 주택의 경우에는 매수세 위축으로 판매가 크게 부진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분양 주택이 발생하는 원인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 규제완화와 관련제도의 정비를 통한 미분양 해소방안과 지분형 분양방식을 활용한 미분양 주택의 解消方案을 제시하였다. 미분양 아파트의 지분형 분양 방식의 적용 효과로 중ㆍ서민층의 자가 보유 확대, 상향 이동형 주택 교체의 活性化, 부분적인 미분양 해소로 건설업체들의 자금 부담 완화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주택의 목적은 저소득층 서민도 임대주택뿐 아니라 능력에 맞는 주택을 공급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자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 향후 지분형 분양 방식의 活性化를 위한 관련 제도를 정비, 고가 주택에 대한 규제완화로 주거 상향이동 유도, 신규 분양시장 청약제도의 개편이 요구된다. 또한, 경직된 주택수요 억제 대책에 融通性을 부여한다면 시장의 큰 波及效果 없이 미분양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으리라 본다.

      • K-Culture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와 지속화 방향 탐색

        안동훈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 정부의 문화 정책에 나타난 K-Culture의 가치를 탐구하고 지속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현 정부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문화융성 정책 내용을 통해 국가 수준에서 문화를 통한 융성을 지표로 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문화 강국 즉, 소프트파워(Soft Power)의 의미와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었다. 한류는 중국, 일본, 태국, 베트남 등의 동아시아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한류 문화의 기반을 형성하였다. 이에 K-Culture는 드라마와 K-Pop으로 대변되었던 대중문화 주류의 콘텐츠와 한식, 한글, 아리랑, 태권도 등과 같은 전통문화 콘텐츠가 더해져 한류의 범위를 확장해 나가며 국가 브랜드화 전략을 통한 한국적인, 한국을 표상하는 모든 것을 세계와 공유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문화 콘텐츠와 기술력의 확산을 통한 한국 대중문화의 지속적인 확산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는 노골적으로 한류를 부정하고 왜곡하는 미디어가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외교적, 군사적 상황과 맞물려 한류 금지령을 통해 한국 기업, 브랜드, 광고 모델 등 한국을 나타내는 모든 요소를 규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토대로 한·중 간 콘텐츠 투자 교류 위축은 물론 국내 한류 관련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류는 K-Pop 대중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으며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 앞의 SM 콘서트, 영국 트라팔가 광장의 K-Pop 플래시 몹, 가수 싸이(PSY)의 ‘강남스타일’ 신드롬(Syndrome) 등의 이슈 등을 통해 수용자가 지닌 새로운 문화 호기심을 넘어선 한국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파악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외국으로 나아가는 세계화(Outbound Globalization)의 단계를 지나 한국으로 들어오는 세계화(Inbound Globalization) 단계를 맞이하였으며, K-Pop의 단순 소비를 넘어 한국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상품을 소비하는 적극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한식과 한복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 한글을 학습할 수 있는 공간, 대중문화인 K-Pop을 직접 체험하는 공간 등의 체험 콘텐츠 마련으로 외국인에게 K-Culture 콘텐츠를 학습하고 한류의 다양화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한류의 경제적 효과는 콘텐츠 판매, 수출 효과 외에도 관광, 제조, 서비스 업 등의 간접효과로 이뤄지는 고부가가치 상품이며, 이는 신 성장 동력인 문화콘텐츠, 관광산업의 역할에 대한 기대감을 상승시켰다. K-Pop 콘텐츠 중심의 한류는 비슷한 포맷과 다양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현 정부의 국가적 정책지원을 통한 K-Culture 콘텐츠의 양적인 성장은 문화계 비리, 창작자의 공공지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 등을 통해 정부주도의 K-Culture 산업기반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건전한 문화 생태계, 창작자 여건 마련, 다양한 콘텐츠 개발 등의 문화와 관련된 새로운 사회풍토의 조성을 통해 K-Culture가 지속화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은 미국, 일본, 영국 등의 선진국 중심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이는 해당 콘텐츠의 글로벌화를 통해 문화의 힘과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지속되는 한류문화의 발전과 K-Culture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전통문화와 대중문화 영역의 융합이 필요하며, 그 안에서 대한민국의 가치와 본연의 의미를 담고 있어야 할 것이다. 본래 한류는 우리의 문화이며, 한국 사람의 정서를 통해 표출되어 나타나는 자산이다. 탈 아시아와 세계화 추구를 위해 본연의 가치를 희석하는 것보다 어리석은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한류의 확산은 지역적 한계성을 벗어나 전 세계로 지속되고 있으며, 국가 간 콘텐츠의 쌍방향 교류를 통해 문화할인율을 서서히 낮추는 방향으로 외교적이고 정책적인 고려와 판단이 필요하다. 이 밖에도 문화정책에 대한 내부적인 반성과 제도 개선 이외에도,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 기술을 활용한 한류 콘텐츠 개발 및 자원 육성을 통해 시대의 흐름에 빠르게 대처하는 유연한 자세를 통해 K-Culture를 지속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 of K-Culture found in the present government’s cultural policy and find out ways to make it sustainable. To attain the goal, first,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policy to flourish culture being enforced by the present government and learned the government is taking national development based on culture as an indicator. Based on that, this researcher has analyzed the meaning of the culture power, that is, the soft power and its ripple effect. The Korean Wave gained great success in the markets of East Asia, for example, China, Japan, Thailand, or Vietnam and laid the ground for the culture of the Korean Wave. In fact, K-Culture has extended its range from the mainstream contents of popular culture represented by dramas or K-Pop to those including traditional culture as well such as Korean food, Hangeul, Arirang, and taekwondo. It means that they intend to share with the world all things representing Korea or Korean styles through strategies to make Korea a brand. Despite the continuous spread of Korea’s popular culture through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technological power, in Japan, its media have been severely and explicitly negating and distorting the Korean Wave. In China, along with the current diplomatic or military conditions, they has imposed the Korean Wave ban to control all the elements representing Korea including Korean companies, brands, or models appearing in advertisements. This has deteriorated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for contents investment, and of course, domestic entertainment business related to the Korean Wave will suffer much, too. Nevertheless, the Korean Wave is still being spread to the whole world with K-Pop and the contents of popular culture. There was an SM concert held before the Musée du Louvre in Paris, France and also was a K-Pop flash mob in the Trafalgar Square, England. Also, a Korean singer, PSY, raised a syndrome with ‘Gangnam Style’. With issues like these, we can assume it is not just the receivers’ curiosity about new culture but their love and interest towards Korea. Korea has passed the step for outbound globalization and now is in the phase of inbound globalization. The receivers are not just consuming K-Pop simply but experiencing Korea’s traditional culture and consuming its products aggressively in various forms. In fact, with experiential contents such as space to experience Korean food or hanbok, space to learn Hangeul, or space to experience its popular culture, for instance, K-Pop directly, they are providing foreigner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K-Culture and experience the diversification of the Korean Wave. The economic effects of the Korean Wave are enormous as well. Contents or goods are sold and exported, and also, indirect effects are gained from tourism and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through high value-added products. This has increased expectations about the roles of cultural contents and tourism industry, the new growth engines. The contents of the Korean Wave just centered around K-Pop are all very similar and are not diversified. Although the present government provided nationwide political support and increased the contents of K-culture quantitatively, corruption in the circles of culture or originators’ high dependency on public support has revealed limitations in the industrial foundations of government-led K-Culture. This implies that it is needed to establish a sound ecosystem for culture and grounds for originators and also form social climates associated with culture by developing various contents so that K-Culture can continue afterwards. Cultural contents industry are exerting its influence over advanced countries like the US, Japan, or England. With the globalization of those contents, the power and influence of culture are being exhibited. In order to develop the culture of the Korean Wave and strengthen the influence of K-Culture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combine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areas of popular culture, and within that, the value of Korea and its original meanings should be contained. The Korean Wave is originally our own culture and is the properties made by the expression of Korean people and their sentiment. To go beyond Asia or pursue globalization, the true value should never be diluted foolishly. The spread of the Korean Wave is being done to the whole world with no regional restrictions. Through two-way exchange of contents between countries, the cultural discount rate should be lowered gradually through diplomatic and political consideration and decision making. Aside from this, it is also needed to reflect on cultural policy internally and revise the system, to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ntents of the Korean Wave using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ake flexible attitudes to cope with the trends promptly by cultivating resources so that K-Culture can continue afterw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