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明 문인 관계망 속의 조선 문학 -杭州 勝蓮社 宋應昌을 중심으로-

        안나미 동방한문학회 2024 東方漢文學 Vol.0 No.98

        임진왜란 시기 조선과 명 문단 문인들의 직접적인 교류가 왕성하게 이루어졌다. 이때 두 나라의 사신들이 주축이 되어 직접적인 교류를 이어갔으며 그 관계에서 문학 교류의 성과가 높아졌다. 그 중심에는 주지번과 같이 조선 문학에 관심을 가진 명의 사신들이 주로 활약했으나, 명의 장수 중에서도 조선 문학에 관심을 가진 인물이 있었다. 바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經略으로 온 宋應昌이다. 그는 무관이었으나 학문과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인물로, 조선에 오자마자 조선 문인들과 문학과 학문에 대해 토론하고 시문을 수창하기도 했다. 1593년 명에 돌아간 송응창은 항주의 문인결사조직 勝蓮社의 핵심 성원이었는데, 승련사에는 조선 문학에 관심을 가진 虞淳熙, 潘景升이 활동하고 있었다. 그들은 직접 조선 문인을 만난 적이 없지만 조선에 다녀온 丘坦을 통해 조선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승련사 성원들과 조선 문학에 관심을 표명했다. 그러나 조선에서 직접 조선 문인들을 만난 송응창은 두 아들과 함께 승련사 조직 내에서 조선 문학을 소개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고, 조선 문학의 2차 전파에도 적지 않은 역할을 했을 것이라 짐작한다. During the Imjin War, direct exchanges took place between literary figures from the Joseon and Ming dynasties. At that time, envoys from the two countries took the lead in direct exchanges, and the results of literary exchanges were high. At the centre were Ming envoys who were interested in Korean literature, such as Zhu Zhifan, but there were also Ming generals who were interested in Korean literature. This was Song Yingchang (宋應昌), who was sent to Joseon as a Jinglue (經略) during the Imjin War. Although he was a non-commissioned officer, he was interested in learning and literature, and as soon as he arrived in Joseon, he began discussing literature and learning with Joseon literati and reciting poetry. Upon his return to the Ming Dynasty in 1593, Song was an important member of the Shenglian Association (勝蓮社), a literary association in Hangzhou, China, which included Yu Chunxi (虞淳熙) and Pan Jingsheng (潘景升), who were also interested in Joseon literature. They had never met Joseon writers in person, but had expressed their interest in Joseon literature through Qiu Tan (丘坦), who had travelled to Joseon and shared his interest in Joseon literature with the members of the Shenglian Association. However, Song, who had personally met Joseon literati, played a role in introducing Joseon literature within the Shenglian Association with his two sons, an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secondary dissemination of Joseon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17세기 초 화훼 취미에 관한 일고찰 : 이정귀 · 허균 · 이수광을 중심으로

        안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1

        문인들의 화훼에 대한 애호(愛好)는 그 역사가 오래되었지만 문인들의 화훼 애호는 선비 정신을 상징으로 하는 사군자와 파초, 연꽃 등에 한정되었다. 특히 성리학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조선시대 문인들은 화훼를 곁에 두고 가꾸는 일을 인격수양과 덕성함양의 수단으로 삼았다. 그러다가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화훼를 가꾸고 미적 대상으로 감상하는 화훼 취미가 유행하고 화보(花譜)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지만 17세기 초에도 화훼를 기존의 시각과 다르게 바라보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과 명(明)의 외교활동이 활발해지고 외교 일선에 있었던 문인들을 중심으로 화훼 취미가 시작된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이정귀(李廷龜), 허균(許筠), 이수광(李睟光) 등이 연행길에 명에서 화훼를 얻어와 조선에서 키우기도 하고, 명대에 유행했던 유서(類書)와 총서(總書)를 통해 화보를 보면서 명 문인들의 화훼 취미에 관심을 기울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극히 일부 문인에 한정되긴 했으나 당시 문인들이 화훼를 바라보고 기록하는 것과 다른 현상이다. 조선후기 화훼 취미의 융성은 조선후기 실학의 영향과 함께 명청(明淸)의 다양한 유서(類書)와 총서(叢書)의 유입이 큰 역할을 했겠지만, 그 이전에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대명 외교를 통한 직접 체험과 많은 서적 유입으로 몇몇 문인들에 의해 화훼 취미가 시작되었고 이것이 17세기 중후반에 이어지다가 18세기에 이르러 유행했다고 볼 수 있다. 17세기 초 화훼 취미가 비록 몇몇 문인에 한정되어 있긴 하나, 이 소수의 문인은 당시 조선의 문화를 주도하는 핵심 세력이었다는 점에서 이는 조선과 명이 교류하면서 실시간으로 지식 정보가 전달된 현상으로 의미 있다고 하겠다. 18세기 화훼 취미가 100년 이전의 명대 유행이 조선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면, 17세기 초 화훼 취미는 조선과 명 두 나라의 실시간 문화 교류의 일면이라는 것으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Writers’ preference of floriculture has a long history, but it was limited to the Four Gracious Plants, plantain, and lotus, all of which symbolize classical scholars’ sprits. In particular, writers based on neo-Confucianism regarded raising flowers as means of cultivating their personality and moral character. After the late Chosun dynasty, the flower hobby that raises flowers and appreciates them esthetic objects was in vogue, and then enhanced interest in flower books. However, a new perspective to differentiate the previous viewpoint of flower emerged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In particular, after the Imjin War, diplomatic activities between the Chosun and Ming dynasties were activated, and writers who were in the front line of diplomacy had a leading role in the floriculture. Writers such as Lee jeong-gui(李廷龜), Huh Gyun(許筠), Lee soo-gwang(李睟光) got flowers from Ming, and raised them in Chosun. They were interested in the floriculture while seeing flower books through reference books and a series of books which were in vogue in the era of Ming. These phenomena were limited to only a few writers, but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contemporary writers observed and recorded flowers. The imports of varieties of Ming and Ching dynasties’ reference books and a series of books as well as influences of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played a major role in the prosperity of the floriculture the late Chosun dynasty. Before these factors, direct experiences and inflows of many books through diplomacy with the Ming dynasty after the Imjin War helped several writers start the floriculture. This trend continued to the mid and late seventeenth century, and eventually was in vogue in the eighteenth century.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the floriculture was so limited to several writers that it is not considered a major trend. It was meaningful as a phenomenon that led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Chosun and Ming dynasties and then transferred knowledge in real time. If the eighteenth century’s floriculture implies that the Ming dynasty’s fashion one hundred years ago affected the Chosun dynasty,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s floriculture has a meaning that it was a real time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the Chosun and Ming dynasties.

      • KCI등재후보

        『실용영선척독(實用英鮮尺牘)』과 영어간찰서식집의 양상

        안나미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2 No.-

        In 1882, the Joseon Dynasty felt the need for English interpretation when it signed a treaty of peace,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Korea and the US (朝美修好通商條約). Thus, a modern school was established and English education began in earnest. In 1923, Korea's first English Letter Writing Form, 『How to Compose English Letter (實用英鮮尺牘)』, appeared. This book briefly but comprehensively dealt with how to write letters in English, and hence met the needs of the times. Prior to the publication of 『How to Compose English Letter』, English Letter Writing Forms (henceforth “ELWFs”) published in China were distributed and used in Joseon, and commercial ELWFs, popular in Japan, were distributed in Joseon in the 1920s. ELWFs are needed, but intellectuals at that time had to write English letters mainly with books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 After 『How to Compose English Letter』, in the 1940s, ELWFs appeared in earnest. This was the time when the English education fever took place, and ELWFs were used as part of studying English, not just teaching how to write letters. Looking at ELWFs in the 1950s and 1960s, there are works written by Korean authors, translated works into Korean, or works co-authored with foreigners, etc., and all of them were edi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Korea. Although ELWFs were constructed based on Western culture,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Letter Writing Forms (LWFs) were also common. In addition, unlike traditional LWFs, ELWFs pursued concise sentence writing and focused on practical purposes rather than excessive forms. 1882년에 조선은 미국과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을 맺으면서 영어 통역의 필요성을 느끼고 근대 학교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영어 교육을 시작하였다. 1923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영어 간찰서식집 『실용영선척독(實用英鮮尺牘)』이 등장하였다. 이 책의 저자 채성석(蔡聖錫)은 당시 영어 공부를 하는 책이 많아도 영어로 편지를 써야 하는데 필요한 서적이 없음을 알고, 저술하였다고 밝혔다. 『실용영선척독(實用英鮮尺牘)』 이 영어로 편지 쓰는 방법을 간략하지만 포괄적으로 다루어 당시의 필요에 부응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용영선척독』이 출간되기 전에는 중국에서 출간한 영어간찰서식집이 조선에 유통되어 사용되었으며, 1920년대에는 일본에서 인기 있던 상업 영어간찰서식집이 조선에서 활발하게 유통되었다. 주로 외국에서 수입한 책으로 영어 편지쓰기를 해야 하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실용영선척독』 이후 1940년대가 되면 본격적인 영어 간찰서식집이 등장한다. 이때는 영어교육 열풍이 일어났던 시기로 영어간찰서식집이 편지쓰기 방법을 알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영어공부의 일환으로 활용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영어간찰서식집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저자가 직접 저술하거나 외국인이 저술한 것을 번역, 또는 외국인과 공저(共著)하는 것 등이 있는데, 모두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도록 편집되었다. 영어간찰서식집이 서양 문화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지만, 전통 간찰서식집의 형식과 특징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영어 간찰서식집은 전통 간찰서식집과 달리 간결한 문장 쓰기를 추구하고 과다한 형식보다는 실용적 목적에 중점을 두는 특징이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 「三槎酬唱錄」의 일고찰

        안나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4

        임진왜란으로 인해 조선은 명나라와 직접적인 접촉이 빈번해지면서 조선과 명나라 문인들의 교류가 활발해졌다. 임진란 이후 조선과 명나라 두나라 문화에 변화가 있게 된 데에는 명군과 조선의 문인지식층의 교류가 큰 역할을 했다. 특히 임란 초기 명나라 군대 막부에서 세 사람의 조선 문인이 7개월간 함께 지내며 학문에 대해 토론하고 시를 수창하면서 양국의 제도와 문화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은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三槎酬唱錄」은 李廷龜, 柳夢寅, 黃愼 세 사람의 문사가 임란이 일어난 다음해인 계사년 3월부터 9월까지 명군 지휘부와 함께 의주에서 지내면서 수창한 시를 묶은 것이다. 임란 초기, 그것도 임란이 일어난 바로 다음해에도 명나라 군인과의 교유가 있었고, 그것을 다룬 기록이 「三槎酬唱錄」이다. 임란 초기 명군 교유에 대해 다룬 기록은 이것이 유일하다. 특히 공식적인 사행을 통한 교유와는 달리 7개월이라는 기간 동안 함께 숙식을 하며 양국의 지식층이 깊이 교유한 것은 매우 드문 일로, 임란 초기 조선의 대표적인 문인이 명군 지휘부와 문화교류를 한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고 하겠다. 더욱이 「三槎酬唱錄」은 임진란을 계기로 조선과 명의 문화교류가 어떤 방식으로 시작되었으며, 두 나라 지식층의 서로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도 살필 수 있어, 앞으로 한중 문화교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三槎酬唱錄」의 일고찰

        안나미(Ahn Nami)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4

        임진왜란으로 인해 조선은 명나라와 직접적인 접촉이 빈번해지면서 조선과 명나라 문인들의 교류가 활발해졌다. 임진란 이후 조선과 명나라 두나라 문화에 변화가 있게 된 데에는 명군과 조선의 문인지식층의 교류가 큰 역할을 했다. 특히 임란 초기 명나라 군대 막부에서 세사람의 조선 문인이 7개월간 함께 지내며 학문에 대해 토론하고 시를 수창하면서 양국의 제도와 문화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은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三槎酬唱錄」은 李廷龜, 柳夢寅, 黃愼 세 사람의 문사가 임란이 일어난 다음해인 계사년 3 월부터 9월까지 명군 지휘부와 함께 의주에서 지내면서 수창한 시를 묶은 것이다. 임란 초기, 그것도 임란이 일어난 바로 다음해에도 명나라 군인과의 교유가 있었고, 그것을 다룬 기록이 「三槎酬唱錄」이다. 임란 초기 명군 교유에 대해 다룬 기록은 이것이 유일하다. 특히 공식적인 사행을 통한 교유와는 달리 7개월이라는 기간 동안 함께 숙식을 하며 양국의 지식층이 깊이 교유한 것은 매우 드문 일로, 임란 초기 조선의 대표적인 문인이 명군 지휘부와 문화교류를 한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고 하겠다. 더욱이 「三槎酬唱錄」은 임진란을 계기로 조선과 명의 문화교류가 어떤 방식으로 시작되었 으며, 두 나라 지식층의 서로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도 살필 수 있어, 앞으로 한중 문화교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During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Chosun and Ming Dynasties exchanged with each other more actively and intimately than any other periods. It was full-scale and direct interchange entirely different from formerly the envoys official communication or exchange by book imports. Especially during this period, Chosun and Ming, all of the two countries suffered from critical changes and faced lots of significant literal changes. While literary persons in two countries contacted with each other directly in this trend of changes, Chosun writers could recognize a new wave of Ming dynasty literary circles and the new literature, and then Ming writers met Chosun literature and send it to Ming. Samsasoochngrok(三槎酬唱錄) a record of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from April 1592 to December 1593), are written in a Poetry style. This work expressed completely separation from his family and a fortuitous meeting with them, and the sorrows of life due to the war. Wolsa combined his personal experiences closely in the whole story structure and made a complete narrative structure. So heightening a dramatic effect, it reveals the theme. Especially during this period, Chosun and Ming, all of the two countries suffered from critical changes and faced lots of significant literal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