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척골 신경 탈구와 동반된 삼두근 탄발 증후군

        안기찬,김주용,곽희철,권용욱,An, Ki Chan,Kim, Joo Yong,Gwak, Heui Chul,Kwon, Yong Woo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4 No.1

        삼두근 탄발 증후군은 주관절을 굴곡할 경우 삼두근 내측두의 일부와 척골 신경이 내상과의 전방으로 탈구 되는 드문 질환이다. 드문 질환인 만큼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에 어려운 점이 많아 척골 신경 탈구 등의 다른 주관절 질환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많다. 역동적 초음파 검사로 삼두근과 척골 신경의 동적인 상태를 주관절 굴곡, 신전시 관찰 할 수 있다. 2명의 환자에 대해 역동적 초음파 검사를 실시함으로 주관절 삼두근 탄발 증후근을 확진하고, 척골 신경 전방 이전술과 삼두근 내측두 절제술 혹은 이전술을 시행하여 치료하였기에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Snapping triceps syndrome is a rare disease in which medial head of triceps dislocates over the medial epicondyle during elbow flexion. It is difficult to diagnose the snapping triceps syndrome, because that this syndrome is frequently misdiagnosed as other elbow disease such as ulnarnerve dislocation. The dynamic ultrasonographic imaging allows continual visualization of the ulnar nerve and triceps muscle throughout active elbow flexion and extension. We report two patients of snapping triceps syndrome who were diagnosed with the use of dynamic ultrasonography and treated with ulnar nerve anterior transposition and repositioning or resectioning of medial head of triceps.

      • 경추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 - 증례 보고 -

        안기찬,정경칠,김윤준,An, Ki-Chan,Chung, Kyung-Chil,Kim, Yoon-Jun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1

        척추의 거대 세포종은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고도의 악성도로 인해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척추의 거대 세포종은 높은 재발율과 함께 척수의 기계적 압박 가능성으로 인해 방사선 치료가 근간이었으나, 최근에는 근치적 절제술과 함께 기구를 이용한 전후방 고정술을 시행 하여 좋은 결과를 보고 하고있다. 본 정형외과학교실에서는 경부 동통을 유발하며 제3경추를 침범한 거대세포종에 대해서 근치적 절제술과 함께 후방 기기술을 통한 융합을 시행 하였으며, 추시 관찰상 우수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iant cell tumors are potentially malignant tumors in vertebrae, affecting frequently difficult to diagnose and are often inoperable. So it will be treated using radiation because of their high recurrence rate and the mechanical compression of spinal cord, but many surgeons described tumors of the vertebra, and the affected vertebral body can be treated using radical or near to total excision, with anteroposterior vertebral fusion or instrumentation of the spine. we report a case of giant cell tumor affecting the third cervical vertebra which caused neck pain and destroyed the vertebra body had treated using radical excison with fusion of posterior arch using instrumentation of the spine together with a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 KCI등재

        하부 요추의 방출성 척추 골절에서 추궁판 골절과 경막 파열의 상관 관계

        안기찬 ( Ki Chan An ),박대현 ( Dae Hyun Park ),권용욱 ( Yong Wook Kwon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3

        목 적: 하부 요추의 방출성 골절에서 추궁판의 완전 골절 및 불완전 골절에 따라 경막 파열 및 신경근 포착의 상관 관계와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방출성 척추 골절로 진단받은 51명, 52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39세였으며, 남자는 30명 (58.8%),여자는 21명 (41.2%)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9개월이었다. 1 mm 절편의 요추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3절편 이상에서 연속적으로 추궁판의 일측편 피질골 연속성만이 소실을 보인 경우 불완전 골절로 판단하였으며, 경막 파열과 신경근의 포착은 술 중 술자에 의해 확인하였다. 결 과: 방출성 골절이 있었던 52예 중 추궁판의 완전 골절은 21예였으며 불완전 골절이 있었던 환자는 14예이었다.12예 (23%)에서 신경학적 손상을 동반하였고 이 중 추궁판의 완전 골절은 5예 (63%), 추궁판의 불완전 골절은 3예 (37%)였다. 경막의 파열은 9예(26%)에서 관찰되었다.추궁판의 완전 골절이 있는 21예 중 4예 (19%)에서 경막 파열이 관찰되었으며 추궁판의 불완전 골절이 있는 14예 중에서 5예 (36%)에서 경막 파열이 관찰되었다. 결 론: 추궁판의 불완전 골절이 동반된 경우 높은 비율에서 경막 파열과 신경근 포착이 관찰되므로 술 전 경막 파열 및 신경근 포착 가능성을 고려하고 술 중에도 신경근 포착 유무를 주의 깊게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eenstick laminar fractures and the dural tear in low lumbar burst fractures and their optimal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We enrolled 51 patients (52 case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low lumbar burst fracture from June 2003 to May 2007. The average age was 39 years (range, 22 to 58), 30 male patients (58.8%), and 21 female patients (41.2%). Average follow-up periods was 19 months (range, 11 to 45). Lumbar CT scan were taken 1 mm slices in precision for all patients. We judged it incomplete fracture if lumbar CT scans show loss of cortical continuity over 3 slices if there is an aggrement of two among one radiologist and two orthopaedic surgeons reached a consensus. Dural tear and entrapment of nerve root were confirmed intraoperatively by the senior surgeon. Results: In 52 burst fractures, complete lamina fractures occurred in 21 cases and there were green stick laminar fractures in 14 cases. Neurologic defect has been found in 12 cases, 5 (63%) from complete laminar fractures and 3 (37%) from green stick laminar fractures. Dural tears has been detected in 9 cases (26%), 4 (19%) from complete laminar fractures and 5 (36%) from green stick laminar fractures. Conclusion: Dural tear and nerve root entrapment can be accompanied in patients with green stick fracture. There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ural tear and nerve root entrapment before operation and to indentify carefully to the presence of nerve root entrapment during operation.

      • KCI등재

        수술적 도달법에 따른 고관절 전치환술후의 이소성 골형성

        안기찬 ( Ki Chan Ahn ),윤현기 ( Hyun Ki Yoon ),최장석 ( Jang Seok Choi ),김영창 ( Young Chang Kim ),유현덕 ( Hyun Duk Yoo ),서승석 ( Seong Seok Seo ),이영구 ( Young Gu Lee ) 대한고관절학회 1994 Hip and Pelvis Vol.6 No.1

        Periarticular heterotopic bone(HB) formation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THA) was unknown causes yet, but occurs more commonly after procedures in which considerable bone was resected or the soft tissues were dissected extensively. The effect of the lateral and the postero-lateral surgical approaches for THA on HB formation were studied in 210 consecutive patients with 246 THA when reviewed 12 months following the operation. Overall rate of formation of HB after THA was 9. 75% and almost HB maturation occured before six months. Although the lowest incidence of HB formation occured after the posterolateral approach, postoperative hip scores for pain, function and range of motion(ROM) score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refore, the ability to achieve adequate pain relief and function with THA is not affected by the type of approach.

      • KCI등재

        소아의 요추 후궁에 발생한 거대 동맥류성 골낭종의 일괄 절제술에 의한 치료

        안기찬(Ki-Chan An),나채오(Chae-Oh Na),김영복(Young-B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8세 여야의 제4 요추 후궁에 발생한 거대 동맥류성 골낭종의 임상상에 대한 보고 및 일괄 절제술에 의한 치험을 기술하고자 한다. 소아의 동맥류성 골낭종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3-20% 빈도로 척추를 침범하며 양성의 조직 소견을 보이나 임상적으로 공격적인 양상을 보인다. 사지를 침범하는 대부분의 경우 소파술 및 골이식술이 표준으로 이에 색전술이나 방사선 치료의 부가로 충분하나 척추의 병변은 해부학 및 생역학적으로 많은 고려를 요한다. 저자들은 환아의 거대 동맥류성 골낭종의 병소를 일괄 절제술로 제거하였다. 술 중 조절이 불가한 대량 출혈은 없었고 과도한 주위 연부조직의 소실없이 종양을 잔여 병소를 남기지 않고 제거할 수 있었으며 술 후 추적 관찰에서 재발의 증거나 유의한 방사선학적인 불안정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소아의 요추부를 침범하는 거대 동맥류성 골낭종에 있어 기구고정 및 골유합을 시행하지 않은 일괄 절제술만으로 술 후 1년 이상의 추적 관찰에서 만족스러운 임상 결과를 보여 이를 척추의 후궁을 침범하는 척추의 변형과 신경학적 결손을 동반하지 않은 동맥류성 골낭종의 치료 경험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We present a case of an 8 year-old girl with a large aneurysmal bone cyst (ABC) of the 4th lumbar vertebra that involved the adjacent posterior element and which was treated by an en bloc excision. An aneurysmal bone cyst is an uncommon lesion. Among lesions that involve the extremities, standard treatment with curettage and a bone graft or other alternatives, such as embolization and radiation therapy, may be sufficient; but those that involve the spinal column require special con-sideration because of its anatomical and biomechanical complexity. We removed a large aneurysmal bone cyst from the posterior element of the lumbar spine with an en bloc excision without fusion or instrumentation and the clinical result was satisfactory. At the 1-year follow-up, there was no evidence of clinical recurrence or radiological instability. We describe a case of a large aneurysmal bone cyst of a lumbar vertebra of a child and present a review of the pertinent literature.

      • KCI등재

        10년간 10, 11세 청소년에서의 특발성 척추 측만증 유병률 연구

        안기찬(Ki Chan An),박대현(Dae Hyun Park),공규민(Gyu Min Kong),김주용(Joo Yong Kim),진성엽(Sung Yub Jin),이운성(Woon Seong Lee),김대유(Dae You Kim),하은정(Eun-Jung Ha),이규열(Kyu Yeol Lee),박원욱(Weon Wook Park),이정섭(Jung Sub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1

        목적: 10년간 10, 11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특발성 척추 측만증에 대한 학교 검진을 실시하여 유병률, 만곡의 크기, 유형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2011년 동안 10, 11세 청소년 총 413,351명에 대해 선별검사로 모아레 검진법을 실시하였고, 선별된 피검자에 대해 단순 기립 척추 전장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다. Cobb 각도 10o 이상을 측만증으로 판정하였으며 만곡의 크기, 위치 및 유형 등을 기록하였다. 결과: 10년간 전체 유병률은 평균 0.4% (0.3%-0.5%)였으며, 연도별 유병률은 큰 변화 추이가 없었다. 10년간 남녀의 유병률은 1.0:3.8이었으며 만곡의 크기는 10o-19o가 71%, 20o-29o가 24%, 30o-39o가 4%였다. Type III가 45%로 가장 많았고 type IV가 35%, type II가 11%, type I이 7% 및 type V가 5%로 조사되었다. 결론: 10, 11세 척추 측만증 유병률은 10년 동안 유사하였지만, 이전의 연구와는 차이를 보였다. 만곡의 크기, 위치 및 유형은 기존연구와 유사하였다. 기존 연구들과의 유병률의 차이는 선별검사가 원인으로 생각되며, 효과적인 선별검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School screening for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AIS) was conducted for 10 years and the prevalence of scoliosis as well as the size and types of curvature were investigated. The outcomes and existing research resul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nd the usefulness of the moire topography as a screening tool was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Moire topography was used in screening of 413,351 10- and 11-year-old from 2002 to 2011; simple standing entire spine x-rays of selected examinees were taken. When the Cobb angle was 10° or higher, the condition was deemed to be scoliosis, and the size, location, and types of curvature were recorded. Results: The average prevalence over the 10 years was 0.4% (0.3%-0.5%) and the trends in yearly prevalenc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e ratio of boys-to-girls prevalence rates for the 10 years was 1.0:3.8. The rate of those with scoliosis whose curvature was 10°-19°, 20°-29°, and 30°-39° was 71%, 24%, and 4%, respectively. King-Moe type III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at 45%, followed by type IV at 35%, type II at 11%, type I at 7%, and type V at 5%.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scoliosis in the subjects was similar for the 10 years but differed from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size, location, and types of curvature were similar to those reported in previous research. The differences in prevalence from existing research are considered to be due to the screening method used. Therefore, conduction of additional research on effective screening tests is necessary.

      • KCI등재

        지속적인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사용으로 발생한 대퇴부 부전 골절의 치료 및 경과

        안기찬 ( Ki Chan An ),박대현 ( Dae Hyun Park ),공규민 ( Gue Min Gong ),김주용 ( Ju Young Kim ),김상범 ( Sang Bum Kim ),사공승엽 ( Seung Yeob Sakong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1

        목적: 지속적인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사용 후 발생한 대퇴부 부전 골절 환자 분석을 통해 골절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5년 이상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를 복용한 과거력을 가진 환자 중 대퇴골 전자하 및 대퇴골 간부에 특징적인 방사선적 소견을 보이는 골절 혹은 임박 골절이 있는 10명의 13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구 증상 및 양측성, 술 후 통증 소실 기간 및 독립 보행 가능 시점, 술 후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13예 중 7예에서 전구 증상으로 서혜부 및 골반 통증을 호소하였고(53.8%) 3명에서는 양측성 골절로 나타났다(30%). 총 6예에 있어 전구증상이 있는 임박 골절이 관찰되었으며(46.2%) 3예에 대해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예방적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임박 골절이 있던 3예 중 2예에서 평균 11개월(3-19개월)만에 완전 골절이 발생하였다. 예방적 고정술을 시행했던 3예에는 술 후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았고 술 후 1년 이내 모두 방사선적 유합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골절 후 수술을 시행했던 9예에서는 불유합이 2예 있었으며 수술 부위 통증 소실은 술 후 평균 4.7개월(3-9개월)이었고 독립 보행은 술 후 평균 5.2개월(3-9개월)로 조사되었다. 결론: 장기간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복용 환자에서 전구 증상은 대퇴골 전자하 골절 및 간부 골절 발생의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임박 골절의 경우 완전 골절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에 대한 예방적 고정술 시행은 우수한 임상 경과를 보인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identify an appropriate fracture treatment method by analyzing patients in whom a femoral incompetence fracture occurred after receiving a long-term bisphosphonate administ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 cases out of ten patients among those who had a history of receiving bisphosphonate for more than five years and had a fracture or an imminent fracture with a characteristic radiological finding in the femoral subtrochanteric region and the interfemoral region. The period of the drug administration, bone density, the existence of a prodromal symptom, and bilateral fracture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seven out of the 13 cases, the patients complained of painat the femoral and pelvic parts as a prodrome (53.8%), and three of them showed a bilateral fracture (30%). An imminent fracture with a prodrome was observed in six cases (46.2%); for three of these cases, a prophylactic fixture pexis was performed by inserting a metal nail into the medullary cavity, and in two out of these three, a complete fracture was found within 11 months on average (3 to 19 months). In the three prophylactic fixture pexis performed cases,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found, and a radiological finding of concrescence was seen within one year after the operation. Among the nine operation performed cases after the fracture, non-union was found in two. Conclusion: In the patients who have received bisphosphonate for a long periodof time, a prodome may be a useful indicator of a fracture in the femoral subtrochanteric region and the interfemoral region; therefore, a careful observation is necessary. A prophylactic internal fixation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imminent fracture with a prodome since they have a high risk of a complete fracture is high in them.

      • KCI등재

        피부 이식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분석

        안기찬(Ki-Chan An),최장석(Jang-Seok Choi),김정한(Jung-Han Kim),김동민(Dong-Mi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2

        목적: 피부 이식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부분 층 피부 이식을 시행 받은 10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 평균 연령은 39세(16-67세)였으며, 남자는 63명(62.4%), 여자는 38명(37.6%)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8주(2-23주)였다. 이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요인과 창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피부 이식의 성공 기준으로는 피부 생착률이 80% 이상, 피하조직의 노출이 없으며, 명확한 감염 증후가 나타나지 않았던, 재수술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로 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각각의 요인들과 피부 이식의 성공과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수술 전 혈중 c-반응성단백(c-reactive protein, CRP)와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수치는 피부 이식의 성공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다(p<0.05). Cut off value는 WBC의 경우 10.500×10<SUP>3</SUP>/μl, CRP는 1.02 mg/dl을 기준으로 피부 이식의 성공과 실패에 상관성을 보였으며 각각의 요인은 27.6배와 9.5배로 연관 강도를 나타냈다. 결론: 피부 이식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 중 수술 전 혈중 CRP와 WBC 수치는 피부 이식의 결과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 술 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객관적 평가지표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ful outcome of skin grafts. Materials and Methods: One-hundred and one patients undergoing split-thickness skin grafts were reviewed between March 2000 and March 2008.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9 years (16 to 67 years). The number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were 63 (62.4%) and 38 (37.6%), respectively.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8 weeks (2 to 23 weeks). For the analysis, patients were classifi ed by patient factors and wound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of skin grafts. The criteria for the successful outcome of skin grafts were as follows: over 80% of skin ingestion rate, no exposure of subcutaneous tissue, no distinct signs of infection, and no need for reoperation. Also,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regarding the outcome of each skin graft. Results: The preoperative serum levels of c-reactive protein (CRP) and white blood cell (WBC)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ccess of skin grafts (p<0.05). The cut-off value of WBC and CRP were 10.500×10<SUP>3</SUP>/μl and 1.02 mg/dl, respectively. Each factor showed 27.6 and 9.5 times of association strength. Conclusion: Among the various factors, the preoperative serum levels of CRP and WBC had signifi cant correlations regarding the successful outcome of skin graft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ose levels can be objective indexes to predict the outcome of skin graf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