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은급제도의 신학적 기초에 대한 고찰

        안계정(Kye Jung Ahn)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5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9

        은급(恩級)재단이라는 가시적 교회의 제도는 우리의 시대에 있어 교회의 보편성을 실현시키는 매개체이다. 그렇다면 은급제도는 어떤 면에서 교회의 보편성과 관련이 되는가? 은급재단은 합법적으로 임직된 모든 목회자들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가시적 교회의 연대성(solidarity)을 공고히 한다. 가시적 교회는 비가시적 교회의 속성을 부분적이고 파편적이지만 실현시킨다. 이런 면에서 교회는 “이미 그러나 아직 아님”(already not yet) 사이에 있는 “종말론적 공동체”(die eschatologische Gemeinde)이다. 은급제도는 이를 통해 교회의 통일성을 보장하고 공고히 한다. 비가시적 교회의 통일성은 그리스도의 교회의 머리되심이라는 진리에서 온다. 우리의 선택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며, 우리는 다른 형제들과 함께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구성한다. 윤리적 차원에서 사랑은 은급재단의 설립을 요구하고, 정의는 은급재단의 안정적인 운용을 뒷받침한다. 즉 왜 굳이 은급재단을 만들어야하는가라는 질문은 사랑이 답을 한다. 반면 어떻게 은급재단을 운용할 것인가에는 정의가 답을 한다. 두 가지 정의의 원칙이 중요하다. 심은 대로 거두는 원칙과 균등하게 하는 원칙이다. 철학적인 용어로 하자면 전자는 응보적 정의(retributive justice)에 관련되고 후자는 분배적 정의(distributive justice)에 관련된다. 그러나 동일하지는 않다. 이 두 원칙이 중요한 이유는 이들이 없다면 은급재단은 결국 혼란과 부패 속에서 소멸될 것이기 때문이다. The Ministerial Pension System(MPS) is a medium actualizing the Catholicity of Church in our era. But How? The MPS makes the solidarity of the visible church steady connecting pastors each other. Thus the visible church realizes attribute of the invisible church in part and fragment. In this view church is die eschalologische Gemeide standing between "aleady not yet". Out of ethical perspective love demands installation of the MPS, justice supports its stable management. Two principals of justice are important: as much reaping as sowing principal, equalizing principal. In philosophical terminology the former relate to the concept of retributive justice, the latter to that of distributive justice.

      • 안락사 문제에 대한 헬무트 틸리케의 생명윤리 입장에 대한 연구

        안계정(Kye Jung An)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4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6

        독일의 신학자 헬무트 틸리케는 우리에게 교의학자 혹은 뛰어난 설교자정도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그가 자신의 시대의 다양한 문제들과 학문적 대결을 펼쳤던 기독교윤리학자였다는 사실은 종종 간과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틸리케의 기독교윤리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특히 안락사문제에 있어서 그가 어떠한 생명윤리적 입장을 전개하는지를 연구할 것이다. 기독교윤리학자로서 틸리케는 원리성찰-상황분석-윤리적 판단의 3단계로 안락사문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개진한다. 원리성찰에서 틸리케는 먼저 20세기에 거대하게 성장한 현대의학의 진보에 대해 비판적으로 질문한다. 왜냐하면 안락사 문제는 이러한 현대의학의 가능성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인간이란 과연 무엇인가이며, 이 문제는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반성을 필요로 한다. 틸리케는 성경의 진리에 입각해 "인간이 할 수 있는 다고해서 그것을 다 해서는 안 된다"는 원리를 제시한다. 다음단계에서 틸리케는 안락사 문제를 분석한다. 그는 의사와 환자 사이의 인격적인 관계에서 출발하는데, 이는 그의 인격적 윤리학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여기서 생명을 살려야만 하는 의사의 전통적인 도덕적 책임과 의무는 '환자의 가기결정권'과 갈등을 빚는다. 이를 통해 인간의 생명과 죽음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 제기된다. 틸리케는 "생물학적인 생명"과 "인간적인 생명"을 구분한다. 인간의 생명은 단순히 생물학적인 현상으로 환원될 수 없는 초월성을 갖는다고 틸리케는 주장한다. 그러기에 비록 안락사가 의료적으로도 법적으로도 윤리적으로도 문제가 없다 해도 형이상학적 죄책감정을 발생시킨다고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안락사는 원칙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틸리케는 판단한다. 여기에 대한 기준이 인간의 형이상학적이고 초월적인 존엄과 가치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기에 다른 어떤 것으로 대체될 수 없는 존엄과 그 자체로서 목적이라는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생명을 죽이거나 죽도록 협력하는 것은 생명의 주인에 대한 명백한 반역이다. 그러나 틸리케는 원칙만을 고집하는 '원리주의자'가 아니다. 안락사라는 어려운 결정은 의사들만이 아닌 신학자를 포함하는 위원회를 통해 내려져야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대안을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능한 죄책감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German theologian Helmut Thielicke was known us merely as a dogmatic theologian or an excellent preacher. So it has been often ignored that he was also ethicist who made scientific confrontation with various problems of his age. Therefore this article is to scope on his ethics. Especially it will concentrate on which bioethical position he takes in the debate on euthanasia. As a christian ethicist Thielicke builds up his own position concerning euthanasia on the schema of three stages, that is principle reflection - situation analysis - ethical decision. 1). In the stage of principle reflection he asks critically about the progress of modern medicine. Here it ist the most important question: What is the man? And this question needs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nsight. Thielicke offers a principle grounded on the biblical truth: "Der Mensch darf alles nicht tun, was er kann." 2). In the next stage he analyse the euthanasia problem. He starts with the relation between doctor and patient, which makes the character of his Personal-ethics(Personalethik) clear. Here the traditional moral responsibility and duty of doctor that ought to save life comes into conflict with the self-deciding-right of patient. Under this conflict situation Thielicke distinguishes "human life" from "biological life", and the human life can not be easily reduced into the biological life. For this reason, he analyse, euthanasia would generate the "metaphysisches Schuldgefühl", although it could be free from medical, criminal and ethical blame. 3). Finally Thielicke goes into the judgment that euthanasia can not be accepted. Norm for this decision is metaphysical and transcendental dignity and value of human being. Because the man was created by the image of God, he has the irreplaceable dignity and the value itself. Thus helping death could be regarded as revolt against the Lord of life. Thielicke, however, is not an fundamentalist holding tenaciously to his own view. A hard decision such as euthanasia must not be done not only by doctors, but also by committee including theologian.

      • KCI등재

        일반 : "조직신학"과 "교의학"의 학문적 관계성에 대한 연구 -바르트, 벌코프, 틸리케, 판넨베르크를 중심으로

        안계정 ( Kye Jung An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4 No.-

        한국의 신학교육에 있어서 ``교의학``이라는 용어는 매우 드물게 사용되고 있으며 대신 ``조직신학``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렇다면 조직신학과 교의학은 사실상 같은 개념인가? 현대 조직신학에 큰 영향을 끼친 바르트, 벌코프, 판넨베르크, 틸리케가 교의학과 조직신학을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연구함으로써 이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바르트에게 교의학이 곧 조직신학이다. 교의학은 한 신학적 분과로서 "교회에 고유한 하나님에 대한 말함의 내용에 관한 기독교 교회의 학문적인 자기시험"이다. 바로 이 ``교회의 하나님에 대해 말함``이 ``도그마``인데, 바르트는 단수 ``교의``와 복수 ``교의들``을 구별한다. 교의는 교회적 선포와 성서 안에서 증언된 계시와의 일치이다. 또한 바르트는 윤리적인 문제를 교의학 안에서 통합적으로 취급한다. 벌코프는 조직신학과 교의학을 사실상 동의어로 취급한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과 ``교의``를 구분하는데, 교의가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나온 진리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진리가 엄밀한 의미에서의 교의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오직 교회가 이 교리적 가르침들을 공식화하고 공적으로 채택할 때만이 그것들은 교의가 된다. 교의학은 이 교의를 연구하고 해석한다. 판넨베르크는 교의학이 곧 조직신학이라고 주장한다. 판넨베르크는 "계시진리의 보편성"이 조직신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라고 천명한다. 조직신학은 근본적으로 기독교의 교리를 전체적으로 다루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진리의 보편성과 일반성의 요구를 거절하는 것은 아닌데, 판넨베르크는 이 문제를 종말론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조직신학이 다루는 기독교 교리의 진리문제는 근본적으로 종말과 그 예견에 달려있다. 틸리케에게 조직신학은 교의학과 윤리학의 통합적 개념이다. 기독교 신앙을 통해 교의학과 윤리학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각각의 고유한 독자성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교의학과 윤리학은 각각 다루는 주제영역에서 구별된다. 교의학의 임무는 전통적인 기독교회의 교의를 해석하는 것이고, 윤리학은 그리스도인의 이 세계 안에서의 실존을 해석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신학교육에서 조직신학과 교의학은 학제적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조직신학은 성경신학, 역사신학, 실천신학과 함께 신학이라는 전체 학문을 구성한다. 둘째, 교의학의 임무는 교회의 교의를 역사적으로, 조직적으로 기술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셋째, 윤리학은 조직신학의 한 분과로 인정되어야 한다. 특히 윤리적 문제가 첨예화되는 지금의 시대에 개혁주의 윤리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A Study on the scientific relation between Systematic Theology and Dogmatics Centered on Barth, Berkopf, Pannenberg and Thielicke Kye-Jung An (Baekseok University, Systematic Theology) In the theological education in Korea the term ``Dogmatics`` has been rarely used; instead the name ``Systematic Theology`` is in common. Are they actually same concept? This article will find a solution studying how some great theologians like Barth, Berkopf, Pannenberg and Thielicke understood Systematic Theology and Dogmatics. For Barth Dogmatics is Systematic Theology. Dogmatics as a theological discipline is the scientific self test of Christian church concerning its own saying about God. This saying of church is dogma, and Barth concerns strictly the singular ``Dogam`` from the plural ``Dogmata``. The Dogma is the coincidence between church preaching and revelation testified in the Scripture. And Barth deals with ethical problems within the Church Dogmatics. Berkopf actually understand Systematic Theology as Dogmatics. He distinguishes ``the Word of God`` and ``dogma``. Though the dogma is truth that comes from the Word, this truth does not become the dogma in strict meaning. They can be dogma only when the Church formalize officially these doctrinal teachings. Pannenberg insists that Dogmatics should be Systematic Theology. He makes it evident that the universality of revelation truth is the core problem of Systematic Theology. So it deals with Christian doctrines historically and systematically, but it does not refuse the demand on universality and generality of truth; Pannenberg tries to solve this theme from the point of eschatology. Therefore the truth problem of Christian doctrines which are the task of Systematic Theology is dependent fundamentally on the End and its anticipation. For Thielicke Systematic Theology is a integrated concept between Dogmatics and Ethics. They are connected each other through the faith, but their identity never goes in annulment. The Task of Dogmatics is to interpret the traditional dogma of Church; that of Ethics is also to expose the existence of Christian in the world. Finally this article suggest these themes: First, Systematic Theology and Dogmatics should be distinguished interdisciplinary; the former consists the ``Wissenschaft`` theology with Biblical Theology, Historic Theology and Practical Theology. Second, the task of Dogmatics is to describe as well as to interpret the dogma of Church historically and systematically. Third, Ethics should be acknowledged a discipline of Systematic Theology; especially because of this age in which ethical problems are sharpening the importance of a reformed Ethics becomes more and more greater.

      • 봉은사 땅밟기 사건'을 통해 본 기독교적 정체성과 타자성의 문제

        안계정(Kye Jung An)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1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1

        한국교회가 지금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 가운데 하나는 사회로부터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집단으로 비춰지고 있다는 현실이다. 이를 잘 말해주는 최근의 사건은 2010년 10월에 발생했던 소위 '봉은사 땅밟기사건'이다. 우상숭배 금지 말씀에서 비롯된 어느 기독교단체의 이 스캔들은 다원화, 다종교, 다문화, 다민족 사회에서 살고 있는 우리 크리스천들에게 자기정체성(Identität)과 타자성(Andersheit)에 대해 근본적인 반성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는 우상숭배 금지에 대해 성경적으로, 교회사적으로 살핀 후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먼저우상숭배금지는그리스도인의자기정체성과관련된다. '너는나외에 다른 신을 네게 두지 마라'(출 20:3)는 야훼의 요구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너'이다. 여기서 '너'란 지금 계명을 받고 있는 이스라엘 공동체이다. 기독교적 정체성은 오만과 편견의 자의식이 아니라, 겸손과 낮아짐의 자의식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봉은사 땅밟기 사건이 만일 그것이 자기우월감과 배타성에 나온 것이라면 진정한 기독교적 정체성의 발로로 볼 수 없다. 다음으로 우상숭배 거절은 객관적 정체성이 아니다. 다시 말해 말씀과 믿음으로 중생한 사람들에게만 이 정체성은 효력을 발생한다. 하나님은 오직 자신이 선택한 자기의 백성들에게 나 외에 다른 신을 두지 말라고 요구한다. 결론적으로 하나님 자신이 타자적 존재임을 우리는 배워야 한다. 이것은 하나님을 "전적 타자"라고 이해했던 바르트와는 다른 방향에서의 접근이다. 전적 타자로서의 하나님이란 인간의 편에서, 인간의 관점에서 다른 존재와 질적으로 구분되는 타자라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 자신이 타자적 존재라는 것은 이러한 인간 주체성의 개입 없이, 그 자체로 타자적 존재, 다시 말해 '우리와 함께 하는'임마누엘의 하나님이라는 것이다. 하나님 자신 안의 타자성은 삼위일체에서 무엇보다 뚜렷하게 드러난다. One of the biggest problem that korean church is facing is that the korean church is being seen as a closed and exclusive group. The case called 'Bongeunsa ground treading'which happende on October in 2010 requires us a fundamental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otherness of Chistian faith. Christian identity should not be dissolved in a merely religious consciousness as the religious pluralism does. For the Bible demands us the sincere faith towards one God. But this identity as only people of God should not be lead to a type of exclusive or violent activity. For our redemption from sin and childship with God come not from our attempt, but only God's grace. We should learn that God himself is being of otherness. This is an another approach to Barth's understanding of God as "ganz Anderer". But the understanding that God himself is being of otherness means that God is 'God with us'(immanuel) without any interference of our sense of identity as the trinity shows it.

      • KCI등재

        틸리케의 칼빈 해석과 수용: 성만찬론을 중심으로

        안계정 ( Kye Jung An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0 No.-

        우리는 어떠한 근거로 틸리케의 신학을 ``종교개혁신학``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가? 그는 루터교 신학자 혹은 복음주의자로 더 잘 알려져 있지 않은가? 이러한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우리는 틸리케의 성만찬론을 살펴볼 것이다. 왜냐하면 성만찬론은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루터파와 개혁파의 신학이 구별되는 분명한 지점이기 때문이다. 루터와 츠빙글리 사이의 유명한 성만찬 논쟁에서 틸리케는 무엇보다 칼빈의 입장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 우리를 놀라게 한다. 틸리케에 의하면 칼빈은 츠빙글리의 상징설을 강하게 거부한다. 츠빙글리는 빵과 포도주를 단순한 상징으로만 봄으로써 성만찬에 있는 그리스도의 실제현존을 부정했다. 그것은 이제 막 동터오는 근대의 합리주의적 사고유형을 보여준다. 틸리케는 칼빈이 츠빙글리보다는 루터의 입장에 가깝다고 분석한다. 루터는 성만찬에 있어 그리스도의 실제현존을 바르게 파악했지만 이 현존을 빵과 포도주라는 요소에 고착시킴으로써 공재설을 주장하는 오류를 범했다. 칼빈은 루터의 이러한 한계를 수정함으로써 성만찬에 나타나는 신자와 그리스도 사이의 신비적 연합이라는 영적 임재설을 주장하게 된다. 틸리케는 칼빈의 이러한 입장이 가장 성경적이라고 평가하면서 루터와 칼빈의 입장을 극단적으로 분리시켜는 안 된다고 경고한다. 그것은 신학적인 이데올로기와 별반 다르지 않다. 두 개혁자의 신학적 입장이 그렇게 큰 것도 본질적인 것도 아니라고 틸리케는 주장한다. 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반성행위보다 성만찬의 공동체가 더 앞서고 본질적이라고 강조한다. 그러므로 틸리케에게 종교개혁신학이란 성경 중심의 신학이요 교회중심의 신학이다. Is it right that we understand the theology of Helmut Thielicke as reformational or reformed theology? Has not he been world-widely acknowledged as a Lutheran or a Evangelist? For the proper answer to these questions we``ll examine Thielicke`s concept of the Eucharist, because the Eucharist is an indicate which helps us discerning between Roman Catholic and Protestant as well as between Lutheran and Reformed. It surprises us that Thielicke follows even Calvin in the famous debate on the Lord`s Last Supper between Luther and Zwingli. According to Thielicke the reformer of Geneva rejected the position of Zwingli decisively; he has missed the real presence of Christ in the Eucharist, as he considered the bread and the wine as merely symbol. In contrast to Zwingli Luther perceived rightly this presence, but he also made a mistake fixing the presence of Christ into the elements. Modifying and refining the intention of Luther Calvin constituted his conception of spiritual presence of Christ in the Eucharist. Thus Thielicke lays emphasis on the similarity between Luther and Calvin. It is no more than a theological ideology to absolutize their differences with one-side.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the reformational theology means for Thielicke a bible-centered and church-centered theology.

      • KCI등재

        일반 : 칼뱅의 인간 이해에 있어 “첨가된 속성”과 “본래의 특성” 사이의 문제에 대한 연구

        안계정 ( Kye Jung Ahn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38 No.-

        칼뱅은 기독교강요 제2권 1장의 마지막에서 이렇게 말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선천적으로 타락했으며 부패했지만 본성에서 타락이 온 것은 아니라고 우리는 주장한다.” 계속해서 개혁자는 대단히 철학적인 개념을 사용해 “본래의 특성”과 “첨가된 속성”을 구별한다. “우리는 그 타락이 본성에서 흘러 온 것이 아니라고 함으로써 그것은 처음부터 본성 안에 있었던 본질적 속성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온 첨가된 성질이라는 것을 가리키려 한다.” 이러한 칼뱅의 주장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칼뱅 인간론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야 하고 그 속에서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 칼뱅은 먼저 타락 이전의 원초적 상태의 인간과 타락 이후의 죄 아래 있는 인간을 조직적으로 구별한다. 원초적 상태에서 인간의 이성과 오성과 의지는 완벽하게 조화되었다. 이것이 칼뱅이 말하는 인간의 본래적 특성이다. 그러나 최초의 인간은 불순종을 스스로 선택함으로써 타락하게 되었고 죄로 오염되었다. 이렇게 죄는 본래적 특성이 아니라 의지의 타락으로 발생한 첨가된 속성이다. 그러나 칼뱅은 타락한 인간이 전적으로 무가치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처럼 “자연적 소질”과 “초자연적 소질”을 구분한다. 태초에 부여받은 초자연적 소질은 타락과 부패로 완전히 제거되었다. 그러나 본래적 특성으로 이성과 의지는 죄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다. 이 자연적 소질 덕에 자연적 인간은 비록 타락했지만 놀라운 학문과 찬란한 문화를 이룩한다. 그러나 칼뱅은 이러한 능력이 하나님의 일반은총에서 왔다고 단정한다. 이처럼 칼뱅의 인간이해는 변증법적이다. 인간은 전적으로 타락한 존재이지만 일반은총의 빛 속에서 문화적인 책임을 다하는 이성적인 존재이다. 바로 이러한 사고 덕분에 칼뱅주의는 인간의 타락을 강조하면서도 뛰어난 학문과 찬란한 문화를 이룩하여 전체 사회발전에 공헌하였다. Calvin says in his Institute of Christian Religion (II.1.11): “We say then that man is corrupted by a natural viciousness, but not by one which proceeded from nature.” Continually he discerns a substantial property from an adventitious event: “In saying that it proceeded not from nature, we mean that it was rather an adventitious event which befell man, than a substantial property assigned to him from the beginning.” We have to prospect the whole structure of Calvin`s Anthropology and apprehend his intention in order to understand exactly in this complicated argument. The beginning point ist that Calvin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men of primal condition before the fall and the men under sin. He asserts that the men of primal condition was in perfect harmony of reason, intellect and volition. But by choosing the evil the men came to corruption and has been under pollution of sin. Calvin, however, does not say the fallen man ist not totally unworthy. “Supernatural gifts destroyed; natural gifts corrupted.” That means the genuine knowledge about salvation was extinguished wholly, but the reason which had been assigned in the beginning remained still alive in spite of effect of sin. Thus the man, although he was fallen, can achieve amazing science and brilliant culture by using the reason as the gifts of nature. But Calvin emphasizes this ability came from the common grace. Like this Calvin``s understanding on human being is dialectical. The man is obviously fallen, but in light of the common grace he is the resonable being, who accomplishes his cultural responsibility. Thanks to this viewpoint the Calvinism was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ntire society by achieving excellent science and brilliant culture in spite of its doctrine of total depravity.

      • KCI등재

        일반 : 틸리케의 역사신학과 윤리학의 발전과정에 대한 연구

        안계정 ( Kye Jung An )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우리에게는 단지 한 사람의 루터교 신학자로만 알려진 헬무트 틸리케(Helmut Thielicke, 1908-1986)는 현대신학에 있어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바르트(Karl Barth), 불트만(Bultmann), 틸리히 (Tillich) 같은 20세기 현대신학의 `주류`뿐 아니라 알트하우스(Paul Althaus), 엘러트(Werner Elert) 같은 에어랑엔의 신-루터주의 학자들과도 비판적인 대결을 벌였다. 이러한 대결을 통해 틸리케의 독특한 신학과 윤리가 발전되었다. 틸리케는 한편으로 루터나 칼빈 같은 종교개혁자들의 유산을 진지하게 수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이를 단 순히 반복하고 인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새롭게 해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틸리케의 처녀작인『역사와 설존』에서 포괄적으로 드러난 그의 신학적 문제의식이 이어지는『신학적 윤리학학』 에서 어떻게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발전되고 확대되는가를 밝히고자 함이다. 초기작에서 그의 신학적 문제의식은 초월적이고 수직적인 계 시의 현설성이 어떻게 수평적이고 내재적인 세계현실성에 관계되는가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어지는 신학적 윤리학에서는 이 문제의식과 입장이 칭의와 성화, 하나님의 계명과 타락한 세계의 문제로 발전되고 확대된다. 여기서 틸리케는 기독교윤리의 과제는 어떤 보편타당한 규범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한계상황에 대한총체적인 해석과 진단에 있다고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이러한 틸리케 신학이 한국교회에 던지는 의미를 제안할 것이다. Helmut Thielicke, known to us as merely a lutheran theologian, occupies a peculiar position in the contemporary theology. He made a series of critical debates not only with the mainstream theologians such as Karl Barth, Rudolf Bultmann and Paul Tillich, but also with the Neo-Lutheran Theologians as Paul Althaus, Werner Elert. These theological discussions led him to develop his own ethics and theology, which on the one hand accepts truly the the Reformation tradition of Luther and Calvin, and on the other hand makes it actual, not merely repeating and quoting it. This study aims to make it clear how the basic concepts of Thielicke s theology described comprehensively in his first theoloegomenum History and Existence had been developed and expended in the following period of Theological Ethics and of Evangelical Faith. In History and Existence Thielicke explicates that his concept begins with the problem, how the vertical reality of the revelation ca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and immanent reality. This historical-theological question is continually enlarged into the them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nd the theme of the God s Commandment and the fallen world in Theological Ethics. Here he asserts that the task of christian ethics ist not an effort to build universal validity of the norm, but a total interpretation and diagnosis on the conflict situation. Finally we suggest the meaning of Thielickes theology to the korean church.

      • 박근혜 정부의 "국민행복연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평가

        안계정(Kye jung Ahn)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4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7

        지난 18대 대선에서 "모든 노인에게 20만원의 연금"을 주겠다고 약속했던 박근혜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후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맞춤형 복지"를 전면에 내세웠다. 특히 기존의 기초노령연금과 국민연금을 통합하는 것으로 알려진 "국민행복연금" 은 매우 중대한 사회적 아젠다가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많은 국민연금 가입자의 노후와 직결된 사안이기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의 연금정책에 대한 평가와 판단은 순수하게 사회복지와 정치학의 전문분야일수 있다. 그러나 왜 노령연금을 가난한 노인들에게 세금으로 줘야하는지, 왜 국가가 굳이 거기에 나서야하는지, 국민연금과 노령연금을 왜 통합시켜서 국민행복연금을 만들려하는지는 결국 윤리적 반성과 판단을 요구하는 것이다. 기독교윤리의 관점에서 박근혜 정부의 연금정책에 대해 세 가지로 평가하고자 한다. 첫째, 국민행복연금은 65세 이상 모든 노인에게 20만원의 연금을 주겠다는 '이념'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그것은 성경적 인간론의 기초인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사회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둘째, 국민행복연금은 65세 이상 모든 노인에게 연금을 주겠다고 밝힘으로써 연대성과 공동체성의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가난한 노인에게 세금으로 돈을 주는 것은 자비이다. 그러나 여유가 있고 부유한 노인에게도 세금으로 연금을 준다면 그것은 더 이상 시혜가 아니다. 그것은 공동체성과 연대성의 가치이다. 셋째, 국민행복연금이 본래의 취지를 구현하고 참으로 국민에게 행복을 주기 위해서는 국민연금과는 별도로 추진되어야 한다. 앞의 분석에서 살폈듯이 국민행복연금의 잠정안은 노령연금을 국민연금과 굳이 연계시키면서 많은 혼란과 문제를 발생시켰다. 사회적 합의와 공감대 없이 기존의 틀을 바꾸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원리성찰에서 틸리케는 먼저 20세기에 거대하게 성장한 현대의학의 진보에 대해 비판적으로 질문한다. 왜냐하면 안락사 문제는 이러한 현대의학의 가능성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인간이란 과연 무엇인가이며, 이 문제는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반성을 필요로 한다. 틸리케는 성경의 진리에 입각해 "인간이 할 수 있는 다고해서 그것을 다 해서는 안 된다"는 원리를 제시한다. The Park-Government, the winer of the last 18th presidential election, has put the settled welfare on the front. Especially the "people-happiness-pension"(PHP) known as a combine between old-age pension and national pension can not help being a very important social agenda because it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insurance for the aged. Of course a evaluation on policy of the Park Government can belong to an expertise of politics or social welfare. But there should be ethical decision to these questions: Why should tex be delivered the old aged or why should national pension and aged pension combined? First, the PHP has a valuable price proclaiming an idea that the nation gives all the over 65 aged 200,000 won as monthly pension. It makes concrete the imago Dei as basis of biblical human understanding such as human dignity and equality. Second, the PHP realizes value of solidarity and communality. It is charity giving the poor aged through tex. But if the government gives pension also to the rich aged it is no more charity; it is value of solidarity and communality. Last, the PHP should go forward separating from the national pension if it really wants to give the people happiness and to actualize its original intension.

      • 경제적 약자에 대한 한국교회의 책임

        안계정(Kye Jung An)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2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3

        월터스토르프는 하나님의 가난한 자의 편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성경을 전체적으로 검토하고 이스라엘의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는 가난하고 압제당하는 자의 편을 든다고 말하며, 카이퍼와 바르트도 비슷한 주장을 폈다고 한다. 그렇다면 정말 하나님은 가난한 자의 편인가? 모세율법에서 하나님은 고아와 과부들에게 정의를 행하는 분이시다. 약자들의 편을 들고 그들에게 떡과 옷을 주는 구체적인 행위 속에 야훼의 정의는 현존한다. 이스라엘은 이집트 땅에서 고된 강제노동에 시달리던 노예였고, 모세의 지도로 홍해를 건넌 후에는 시나이 반도의 광야를 떠도는 유랑민이었다. 그러므로 출애굽과 광야에서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가난하고 약한 자들의 하나님일 수밖에 없다. 그 결과 후에 이스라엘 공동체가 그 안에 있는 사회적 약자들을 돌보고 보호해야할 책임과 의무는 한 때 모두가 이집트에서 종살이를 했다는 이 공통의 역사적 현실성 위에 서있다. 주전 8세기부터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는 히브리 예언자들의 사회적 메시지는 새로운 사회개혁 프로그램을 도입하자는 것이 아니라 고아와 과부를 제도적으로 보호하라는 율법의 근본정신으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신약성경에도 구약 못지않게 가난한 자들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있다. 예수와 그의 제자들은 당시 사회에서 실제로 가난한 자들이었다. 예수는 하루 일당을 받는 '일용직 노동자'였다. 예수의핵심 제자들은 주로 갈릴리의 어부였고, 모두 가난했다. 예수가 선포한 하나님의 나라는 당시 사회의 정치적 관점에서 보자면 전복적이다. 하나님의 나라에서 먼저 된 자는 나중 될 것이고, 나중 된 자는 먼저 될 것이다. 그 나라에서 복된 자는 가난하고, 슬프고, 애통하며, 핍박받는 자들이다. 초대교회는 그 시작부터 매우 급진적인 '코뮤니즘'의 형태를 보였다. 초대교회에서 직접적인 공동체주의와 간접적인 공동체주의라는 코뮤니즘의 두 형태가 발견된다. 초대교회는 구성원들 각자가 재산을 처분하고 그것을 각 사람의 필요에 따라 분배해서 사용하는 직접적인 공동체주의를 구현했다. 또한 사도바울은 연보제도를 통한 공동체주의를 호소한다. 이러한 공동체주의는 절대적 평등을 지향하는 분배방식이 아니라 사적인 소유권을 인정하는 범위에서 한 공동체의 부족한 부분을 다른 공동체가 보충해주는 평균적 평등을 지향하는 분배 시스템 위에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한국교회의 책임에 대해 세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교회의 전통인 십일조는 성경의 원리에 따라 바르게 지출되어야한다. 성경적 원리에 따라 모아진 십일조는 가난한 자와의 연대를 위해 지출되어야한다. 둘째, 교회는 공동체의 평균적 균등을 위한 '연보'를 제도화해야한다. 마지막으로 교회는 사회에서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을 법적으로 보호하는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N. Walterstorff strongly asserts that God sides always with the poor. The Bible shows that God of Israel as well as Father of Jesus Christ protect the poor and the oppressed; according to him A. Kuyper and K. Barth's has stressed the same opinion. Does God really side with the poor? In the Mose's Law God is one who does justice for orphans and widows. God's justice exists in his concrete action giving them breads and clothes. Israel was slave suffering from compulsory labor in Egypt and was wandering people through the desert. Therefore God in the exodus and the desert should be God for the poor and the week. Consequently responsibility and duty of Israel that should care and protect them stood on this common historical reality that they all have been slave in Egypt. It was not the social proclamation of the prophets to institute some new reform programs, but to come back to the foundational spirit of the law. The New Testament has a peculiar interest to the poor. Jesus and his disciples were really poor in that social structure. Jesus was a day-working labor as carpenter; his main disciples were poor fishermen.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has proclaimed was toppling from the view of that society; in the Kingdom the last will be first, and the first will be last. The early Church revealed a very radical communism from its beginning. It incarnated a direct communism in which every member sold his property and let it distribute according one's demand. And St. Paul made a second form of the communism. This indirect communism stood on a system of average equality in which one community compensated for the lack of another community. As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tithe as a tradition of the Christian Church must be distributed by the command of the Bible. Second, the Church should institute the collect as a system. Last, the Church has to take part in the movement for protecting the poor legally.

      • KCI등재후보

        기획 논문 : 헬무트 틸리케 윤리학의 근본사고에 대한 개혁신학적 논구

        안계정 ( Kye Jung A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9 기독교철학 Vol.8 No.-

        본 논문은 헬루트 틸리케의 윤리적 사고의 기초를 명확히 밝히고자 하는 시도이다. 틸리케는 지난 20세기의 신학에 세계적인 영향을 끼쳤던 칼 바르트, 루돌프 불트만, 폴 틸리히만큼 잘 알려진 학자는 아니다. 그러나 그의 신학은 한국교회의 신학과 교회실천을 새롭게 하는 데 있어 거대한 동력을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에 한국교회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틸리케의 윤리는 정치, 경제, 사회 등등의 세계현실성의 구조에 대한 해석에 집중한다. 틸리케는 세계 안에서 인간의 윤리적 실존을 복음의 빛을 통해 해명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교의학과 윤리학의 통일을 주장한다. 그래서 칭의와 성화라는 전통적 교의는 그의 윤리적 사고의 발전과정에서 기초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착상은 그로 하여금 도덕적 행위의 근본적 동기는 하나님의 자비로운 은총에서 발견되어야만 한다는 주장에 이르게 한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make it evident, what the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basis of the ethical thought Helmut Thielickes is. Thielicke is not so much well known as Karl Barth, Rudolf Bultmann and Paul Tillich who have laid the world-wide affect on the theological thought in the 20 century. The theology Thielickes, however, has the important meaning for the churches of Korea, because it gives them the great impulse to renew their theology and church praxis. The ethic Thielickes concentrat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ructures of the world-reality such as politic, economy, society and so on. He claims basically the consequent unity between dogmatic and ethic in order to explicate the ethical existence of human being in the world with the help of the light of the Gospel. So the traditional dogmas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play an elementary role in the development of his ethical thought. This kind of concept allows him to insist that the fundamental motive of the moral act should be founded in the merciful grace of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