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에 구현된 일연의 교육사상

        안경식(An Gyeong Si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4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일연의 《삼국유사》를 한 권의 교육고전으로 보고, 그 속에 구현된 일연의 교육사상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일연의 시대는 내부적으로는 무신집권기였고, 대외적으로는 장기간의 몽고 전란의 시대여서 국토는 황폐했고, 백성들의 마음은 절망감으로 가득 차있는 상황이었다. 전란이 끝나고 일연은 임금의 스승격인 국사(國師)의 지위에 올랐으며, 이 무렵《삼국유사》를 집필했다. 일연이 《삼국유사》를 쓴 의도 혹은 전략은 《삼국유사》를 통하여 이 땅이 불교적 이상세계인 불국토이며, 이 땅의 민중들이 이상적 인간인 불보살임을 ‘인식’시키는 것이었고, 백성들의 마음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그의 의도는 교육학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적 의도라 이해할 수 있다. 《삼국유사》는 그 의도를 달성하기 위 한 고안된 텍스트이자 미디어다. 일연의 교육사상은 한 마디로 불국토론이라 할 수 있으며, 《삼국유사》의 각 편은 불국토론과 밀접한 연관성을 맺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기이〉편에서는 시조와 왕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들은 불국토의 설계자이자 책임자들이다.〈흥법〉편은 불국토 건설을 위해 이 땅에 진리의 가르침인 불교를 들여온 사람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탑상〉편에서는 부처의 가시적 상징인 탑과 불상을 통해 이 땅이 곧 불국토임을 이야기하고 있다. 〈의해〉편에서는 불국토를 이루기 위해 애썼던 스승들에 관해 서술하고 있고, 〈감통〉편에서는 중생들이 불국토에 들어가기 위한 방법을 이야기하고 있다. 《삼국유사》의 끝부분인 〈피은〉편에서는 숨어 드러나지 않았으나 불국토 건설에 공이 있는 스승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 〈효선〉편에서는 부모님을 물질로 모시는 것을 넘어 불국토의 세계로 이끄는 것이 진정한 효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일연은 이와 같이 다양한 측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불국토론을 독자들에게 전달, 해설하고 있는데, 이 전달과 해설이 교육적 실천이자 교육사상의 의미를 지닌다 할 수 있다. 일연의 《삼국유사》은 플라톤의 이상국가론인 《국가》에 비견할 수 있는 교육고전이며, 한국의 교육사상 연구에서 간과할 수 없는 저술이다. In this paper, I thought of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s an educational classic and wanted to explore the ideas of the Japanese education system.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an era of internal atheism and a long time of Mongolian warfare, the nation was devastated and the people s hearts were filled with despair. After the war, the story of the war ended, he was in the position of the king s teacher, who wrote the Three Kingdoms. The intention or strategy of the three countries is to recognize through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at the land is a Buddhist ideal world, and that the people of this land are the ideal people. The whole idea is read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Three Kingdoms of Japan is a text and media to achieve its purpose. Each side is closely connected to the Japanese debate. Specifically, Gui is talking about Zizo and the King, who are the subjects of the Japanese debate. Heungkuk s book talks about the people who brought Buddhism, the teachings of truth to the land for the construction of Bulguksa.On the other side of the pagoda, the visible symbol of fire and death, the pagodas and Buddha statues, tell us that this is Bulguksa.The documentary talks about teachers and others who worked hard to complete the French national territory, while in the book, the book tells how Chinese people can enter Bulguksa. Even though Dapi, the back part of the Samguk Yusa, did not show up secretly, it is talking about teachers who worked on the construction of Bulguksa, which is beyond serving their parents with materials. In such diverse ways, the association communicates and explains the French debate to its readers in various ways, which is educational practice and meaning of educational thought. The Three Kingdoms is an educational classic comparable to Plato s idealism and a book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Korean educational thought studies.

      • KCI등재후보

        소파 방정환의 삶과 동심

        안경식 ( An Gyeong-sik ) 방정환연구소 2019 방정환연구 Vol.2 No.-

        방정환의 어린이사상과 철학은 동심에서부터 시작한다. 방정환의 어린이운동의 출발점도 동심이다. 방정환의 문학과 예술, 교육도 동심을 이해하지 않으면 파악하기 어렵다. 동심에 대한 이해는 방정환의 삶을 이해하는 열쇠이자 방정환의 사상을 해석하는 관건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논문은 방정환의 동심을 연구 주제로 삼았다. 논문의 제2장에서는 방정환의 마음에 대한 견해를 고찰했다. 방정환은 언제, 어떠한 계기로 마음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는지를 그가 남긴 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방정환의 동심에 대한 견해를 고찰하였다. 그는 왜 동심에 주목했는지, 동심을 통하여 그가 전달하고자 한 메시지는 어떤 것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동심과 예술의 관계를 서술하였다. 방정환이 예술운동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를 고찰하고, 동심이 아동예술의 본질임을 서술하였다. 결론에서는 4차산업혁명의 시대의 한국사회에서 동심을 소환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hildren’s thoughts and philosophies of Bang Jung-hwan begin with childhood mind. The starting point of the children’s movement in Bang Jeong-hwan is also childhood mind. The literature, art and education of Bang Jeong-hwan are also difficult to grasp unless they understand childhood mind. Understanding childhood mind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life of Bang Jeong-hwan and the key to interpreting the ideas of Bang Jeong-hwan. In this point, this paper chose childhood mind of Bang Jung-hwan as the subject of study.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paper, I examined the views on the mind of Bang Jung-hwan. I examined when and how he became interested in the problems of the mind through a poem left by Bang Jung-hwan. In the third chapter of the paper, I examined the views of Bang Jung-hwan’s childhood mind. I examined why he was interested in childhood mind and what message he was trying to convey through childhood mind. I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mind and art in chapter 4. After examining the reasons why Bang Jung-hwan became interested in the art movement, I explained that childhood mind was the essence of children’s art. In conclusion, I discussed the reason why childhood mind should be recalled again in Korean socie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신라시대 과학 기술교육의 세 가지 통로

        안경식 ( An Gyeong-sik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1

        이 논문은 신라시대의 과학 기술교육의 통로로서 교육 시스템에 대한 글이다. 신라시대의 과학 기술의 종류는 매우 다양했으며, 관련 교육 시스템 역시 다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가운데 현재 학계에 알려져 있고,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교육 시스템은 국학이라는 학교와 조정의 해당 관서 등 두 가지다. 이 논문의 본론에서는 불교 사원의 불사 관련 부서를 또 하나의 통로로 보고 모두 세 가지 교육 시스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Ⅱ장의 1절과 2절에서는 기존 두 통로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특히 신라의 과학 기술교육을 중국과 일본의 사례와 함께 검토하여 동아시아 3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제Ⅱ장의 3절에서 또 하나의 통로로 사원에 주목하였는데, 이는 당시의 사원 불사에 첨단 과학기술이 집약되었기 때문이다. 당시의 큰 사원의 불사에는 성전, 도감전, 속감전 등의 관련 부서를 설치하였으며 주종(鑄鐘)이나 조탑(造塔) 등에서 기술직 박사의 호칭이 사용되었음을 주목하였다. 이는 여기서 관련 교육이 이루어졌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검토한 신라의 과학 기술교육의 세 가지 시스템은 모두 국가가 간여하는 인재 양성제도다. 이들은 모두 통일기인 7세기 이후에 성립한 제도이며, 특히 통일 후인 성덕왕, 경덕왕대에는 당(唐)과의 활발한 교류 속에서 과학 기술교육의 전성기를 맞았다. 의학, 산학, 천문학 등 각 방면에서 중국의 교육체제와 텍스트를 도입하여 동아시아 보편적 과학 기술교육체제에 동참하게 되었다. 신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과학 기술교육에는 유학교육에 비해 차별적 시선이 있었다. 이는 유학이 통치의 술(術)로 인정받은 데 비해 과학 기술은 말예(末藝)로 취급받았기 때문이다. his paper is an article on the educational system as a pathway for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the Silla era. It is estimated that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Silla era was very diverse, and related educational systems were also diverse. Currently, there are two educational systems that scholars are debating: the school called Gukhak(國學) and the related government offic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dd the architectural department of a Buddhist temple as another educational system. The reason why I paid attention to the temple as another educational system is that the high-tech science and technology of that time were concentrated in the temple's architecture. At that time, when a large temple was built, a supervisory office such as Seongjeon(成典), Dogamjeon(都監典), and Sokgamjeon(續監典) was established, and there were several professional doctors in this office. This suggest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took place around this government office.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system in Silla era was established after the 7th century. In particular, the times of King Seongdeok and King Gyeongdeok were the heyday of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the Silla era. During this period, Chinese education systems and texts were introduc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ine, mathematics, and astronomy, and based on this, they joined the universal trend of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East Asia. However, generally speaking,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was treated differently than Confucian education. This is because while Confucian education was recognized as a discipline of king,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was treated as insignificant.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system in the Silla era, established after the 7th century, lasted for more than 10 centuries until the late Joseon era, when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was introduced.

      • KCI등재

        마조 선사의 사상과 그 교육학적 의미

        안경식(An, Gyeong-Sik)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3

        이 논문은 동아시아 사회에 종교적, 사상적으로 큰 영향을 끼친 선불교의 조사(祖師) 마조선사의 사상과 그 사상이 지니고 있는 교육학적 의미를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2장 '마조의 생애와 시대'에서는 출가 이후 스승 남악 회양과의 만남을 비롯하여 그의 교화 행적을 고찰하였으며, 그가 살던 시대가 수도권 중심의 교학불교에서 지방을 근거지로 하는 실천 중심의 선불교로 관심이 전환되기 시작하던 시기라는 점을 지적했다. 제3장 '마조의 사상'에서는 '즉심시불(卽心是佛)',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도불용수(道不用修)' 등의 개념으로서 그의 선사상을 정리하였다. 제4장 '마조사상의 교육학적 논의'에서는 마조의 교육론을 마음교육론이라 규정하고, 마음교육의 개념과 방법, 사-제 관계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5장 '결론'에서는 마조의 교육론이 현대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마조의 사상을 마음사상, 즉 심학으로 규정하고, 마조의 교육론을 마음교육론으로 요약하였다. 마조의 교육론은 현대 학교 교육과 같이 학습자의 기능이나 역량 개발에 초점을 두는 '부가', '형성'의 교육관, 조형의 교육관이 아니라 대자재인을 목표로 하여 자신의 마음을 '반조(返照)'하는 반조의 교육관이라는 데 그 특징이 있다는 점을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Zen master Ma Zu(馬祖)'s thought and its educational meaning, that has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nfluence in East Asian society. The paper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 Chapter Ⅰ, 'Introduction' examines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East Asia in pre-modern society is mind studies, and described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research into Ma Zu(馬祖), founder of Zushi-Zen(祖師禪). Chapter Ⅱ focuses on 'The Ma Zu's career and His period', which covers timeline of Ma Zu's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practicing, spiritual awakening and educational trace, etc. Also, Chapter Ⅱ emphasizes on Ma Zu's lifetime. Ma Zu lived in transition period, which transits from theoretical Buddhism located in the city area to the practical Zen Buddhism located in the rural area. Chapter III summarizes 'Ma Zu's thought', Ma Zu's Zen thought as '卽心是佛', which means 'My mind is Buddha'; '平常心是道', which means 'Normal mind is Buddha'; '道不用修', which means 'Normal mind is unnecessary for cultivating'. Chapter IV covers 'Educational discussion of Ma Zu's thought', the core of Ma Zu's educational thought is contemplating mind, and examined the concept and method of contemplating mind, Master-Follower relationship, etc. Chapter Ⅴ 'conclusion' concludes educational suggestion of Ma Zu's thought and pointed out Ma Zu's educational idea. Ma Zu's educational method stressed the essence of education contrast to when modern educational system stresses developing one's function or ability.

      • KCI등재

        퇴계의 삶에서 ‘물러남’의 교육적 의미

        안경식(An, Gyeong-Sik),장상재(Jang, Sang-Jae),문미희(Moon, Mi-Hee),최두진(Choi, Doo-Ji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3

        이 논문은 조선 중기의 유학자들의 삶에서 물러남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를 퇴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유학자에게 물러남은 단순한 직업 일선에서 은퇴가 아니다. 그것은 공부와 학문의 계기가 되었으며, 그런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지닌다. 조선 중기 유학자의 전형적인 삶을 산 퇴계 역시 정치에 진출한 이래 수많은 관직을 역임하였지만 일생 79차례나 사퇴의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퇴계의 물러남은 당시의 정치적 현실, 개인적 성향, 학문적 열의 등 여러 계기와 동기가 결합되어 이루어졌다. 퇴계는 정치에서 물러난 이후, 마음공부와 학문을 위한 독서와 강학 등으로 일상을 보냈으며, 이러한 일상 활동들은 유학의 목표인 위기지학의 실천 과정이었다. 오늘날 우리 사회도 물러남보다 나아감의 가치를 우선시하고 있으며, 학교교육 역시 직업에 나아가기 위한 교육, 즉 직업교육에 일차적 가치를 두고 있다. 퇴계와 같은 유학자들의 물러남은 교육의 수단적 가치가 아닌 본질적 가치를 실현할 한 방안이 된다는 점에서 현대 교육학 연구의 대상으로서 의의가 있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Stepping back’ in the life of a Confucian scholar in Joseon period especially focusing on Toegye. Stepping back for a Confucian scholar did not merely mean a retirement from his job. It was a good opportunity to study. And in this respect, it had educational significance. Confucian scholar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oegye who had lived typical life of that period also had entered politics and served as his office a number of times, but had tried to resign from his office 79 times. Toegye’s stepping back was motivated by combination of the political realities of the time, personal inclination, and academic enthusiasm. After retiring from the polititics, Toegye spent a day reading and studying for mind practice and academic studies. Those everyday activities were practice of wigijiihak(learning for self-perfection) which is goal of Confucianism. Our society today attach importance to value of advance rather than stepping back, and place value primarily on vocational education. Stepping back of Confucian scholars such as Toegye is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it could accomplish the essential value of education rather than instrumental value of education.

      • KCI등재

        신라 지성사의 구성과 그 특질 : 한국 고대 교육사 연구 대상과 방법의 확장을 위한 시론

        안경식 ( Gyeong Sik An ) 한국교육사학회 2012 한국교육사학 Vol.34 No.3

        This research is designated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ancient Korean education. What elements are found in a structure of intellectual history of Silla, and discuss it`s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by each era. Shamanism, Seondo, Hwarangdo, Buddhism, and Confucianism are taking big part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llectual history of Silla. The research objective is history of intellectuals in the sixth to ninth century. The research excepted before the fifth century which was based on the intellectual of the shamanism. In the sixth century, rising of Hwarangdo dominated native culture. Also,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gave variety of contents and forms to intellectual history of Silla. In the seventh century, intellectual of Silla started to develop intellectual capacity from the both intranational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addition, Confucian appeared and began to act in the intellectual scene. In the eighth century, Confucian culture was getting depended upon the Tang dynasty, when the brilliant Buddhist culture was developed by the first appeared intellectuals in technical field. In the ninth century, collapse of centralized political system and import of the Zen Buddhism brought the era of local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 history of Silla could be summarized in three words: communication, conciliation, and creation. Silla could avoid ancient society`s self centrism by its communicational and conciliation abilities that based on openness and receptiveness. These ability were developed into ability to create own culture that fit into the Silla`s society. 이 글은 한국 고대 교육사 연구 대상과 방법을 확장시키기 위해 지성사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6세기부터 9세기까지의 신라 지성사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 그리고 각 시대별 지성사의 특질이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6세기 신라 지성사는 화랑도가 성립하면서 신라 토속 문화를 흡수하였다. 또 불교가 전래되면서 지성사의 내용과 형식이 풍부해지기 시작했다. 7세기의 신라 지성들은 국내·외에서의 폭넓은 문화교류를 통해 지식과 지성을 확충시켜나갔다. 유학자가 처음 등장하여 국가의 지성으로 활약한 시기다. 8세기가 되자 유교문화는 당나라의 문화에 종속되어 갔으나 기술 방면의 지성들이 등장하여 신라 문화를 창조하게 되었다. 9세기 이후가 되면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의 붕괴와 더불어 선종이 도입되어 지방 문화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신라 지성사의 첫 번째 특질은 소통(疏通)이고, 두번째 특질은 회통(會通), 세 번째 특질은 창조다. 개방성에 바탕한 소통 능력과 포용성에 바탕한 회통 능력은 결국 신라 사회에 맞는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능력으로 발전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고대사회의 자기중심성을 탈피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전쟁기 어린이의 삶과 교육

        안경식 ( An Gyeong-sik ) 방정환연구소 2020 방정환연구 Vol.4 No.-

        이 논문의 탐구 주제는 한국전쟁기 어린이의 삶과 교육의 모습이다. 전쟁 중이라 하더라도 어린이의 삶의 모습은 단일하지 않다. 평시에는 어린이들의 삶은 대개 학교를 중심으로 전개되지만 전쟁기 어린이의 삶의 중심지는 학교가 아니다. 어린이의 삶을 학교 생활로서만 다 말할 수 없다. 어린이의 삶의 전모에 다가서려면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 그들의 삶을 고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문에서는 어린이의 삶을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네 측면으로 나누어 각 단면을 살펴보았으며, 한국전쟁기라는 시기의 의미와 한국전쟁이 어린이의 삶에 끼친 영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전쟁기는 어린이들이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몸으로 체득한 시기다. 그들의 경험은 지역과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한민국의 어린이들은 공산주의라는 이데올로기에 대해 공통적으로 분노와 증오의 감정과 인식을 체득하게 되었다. 이러한 체험은 전쟁 후에도 지속되고 강화되어 반공 세대의 중심이 되는 바탕이 되었다. 둘째, 한국전쟁기는 어린이들마저 경제적 주체로 나서야 할 만큼 생존을 위한 경제 활동이 필요한 시기였다. 이 시기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들 대부분이 70년대 산업화에 시기의 경제 역군으로서 역할을 담당했으며, 어린 시절의 경제적 빈곤 경험이 산업화의 정신적 동력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한국전쟁기는 경제적 빈곤뿐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빈곤기였다. 아동기의 문화적 결핍은 산업화시대에까지 이어지면서 이들을 결국 문화결핍세대로 남게 했다. 넷째, 한국전쟁기는 어린이들이 정규적 교육 대신 피난학교를 체험하던 시기였다. 이 시기의 교육은 어린이를 나라의 존재로 만드는 과정이었다. The theme of this paper is the life and education of children during the Korean War. Even during war, children’s lives are not simple. In peacetime, children’s lives usually revolve around schools, but the center of children’s lives during the war is not schools. Confused societies and exhaustion were often the scene of their lives. So I can’t talk about the life of a child only in school. To get closer to the full picture of a child’s life, we should consider their lives in more diverse ways. In this paper, children’s lives were divided into four aspects: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The meaning of the Korean War in relation to children’s live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War was a time when children learned political ideology through their lives. Their experiences vary depending on region and time. However, children in Korea have become angry and aware of the ideology of communism. These experiences continued and strengthened after the war, making them the anti-Communist generation. Second, the Korean War was a time when even children had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to survive. During this period, elementary schools also had to provide job preparation education. Most of those who spent their childhoods in this period played a role as economic leaders in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and the experience of economic poverty in their childhood may have been a spiritual driver of industrialization in South Korea. Third,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was not only economically poor but also culturally poor. The cultural deficiency of childhood led to the industrialization era, leaving them eventually as a generation of cultural deficits. Fourth, The Korean War was a time when children experienced refugee school instead of regular school education. Schooling was the process of making a child a living being for the nation.

      • KCI등재

        신라 국학의 `현지화` 과정 연구

        안경식 ( An Gyeong-sik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4

        `현지화`는 현대 경영학에서 널리 사용하는 개념이며, 현지화 전략은 어떤 기업이 자사의 제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국가나 지역의 현실에 맞추려는 노력을 말한다. 현지의 상황이나 수요를 얼마나 제대로 파악했느냐에 따라 사업의 성공 여부가 결정되기에 `현지화`는 매우 중요한 내용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지화` 개념을 신라시대의 국학의 설립과 운영에 적용시켜보았다. 당(唐)의 국자감을 참조하여 만든 신라 국학의 성공 여부는 결국 `현지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Ⅱ장에서는 국학이라는 제도의 도입과정을 `현지화`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국학의 도입 작업은 장기간에 걸쳐서 자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제도의 운영 과정을 `현지화`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여기서는 국학의 교사(校舍)와 교사(敎師), 학교 운영의 규정, 학생 선발과 교육과정의 개설 등의 문제를 고찰하였는데, 이들 각각에 모두 신라 현지의 사정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국학에서 이루어졌던 수업 과정의 `현지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당시의 유학자였던 설총의 노력은 국학의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밝혀주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국학의 `현지화`가 성공적이었는지에 대한평가는 학문과 문화적 수준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말하였다. `Localization` is popular idea in modern business management. Which is the process of enterprise adapting a demand to a specific locale or market. Localization is the key to success. Understanding of local demand or situation determines make or break business. This paper brought the concept into establishing and operating Gukhak(國學) in Silla. Silla referred Guozijien(國子監) in Tang Dynasty when they established Gukhak, therefore `localization` has intimate relations with its success. Chapter II emphasizes on the adopting procedures of Gukhak with the view of `localization`. As the result shows, adopting process of Gukhak was done with its own will with long-term based. Chapter 3 focuses operating process with the view of `localization`. Facility, lecturer, admission, educational policy and developing curriculum was reflecting local issues. Chapter IV discusses `localized` lecture in Gukhak. This chapter pointed out that the effort of confucian Seolchong could be the evidence of how they lectured in Gukhak. Also this chapter deals with evaluating `localization`. It should be evaluated with perspective of both academic and cultural level.

      • KCI등재

        교육사상 연구방법으로서 사상가 연구에 대하여

        안경식(An, Gyeong-Si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1

        이 논문은 교육사상 연구로서 교육사상가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분석 대상은 그간 『교육사상연구』에 실린 논문 가운데 교육사상가를 연구한 논문들이다. 논문의 연구 문제는 1) 왜 사상가를 연구하는가? 2) 무엇을 연구하는가? 3) 어떻게 연구하는가? 4) 사상가 연구의 과제는 무엇인가?(결론) 등 네 가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들은 사상가 연구의 목적으로 시사점 탐구를 제시하였으며, 둘째, 연구의 형태상 사상사 연구보다 사상 자체 연구를 주제로 삼았다. 셋째, 연구 방법으로는 이해-해석의 문헌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는 것이다. 연구과제로서는 사실성, 역사성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과 연구대상 사상가과 연구자료를 다양화해야 한다는 것 등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방법의 체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A research on educational thinker has been studied on not only the area of philosophy of education or history of it, but also in field of whole pedagogics. However, there has been no progress in method of studying educational thinkers. This thesis will unfold how researching in educational thinkers has been studied as a educational study. It will analyze some of thesis in《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Idea》, which studied about educational thinkers. We will examine in 4 points : why we study educational thinkers, what are we looking for, how we study these, and finally what is our job by studying these. After the study we learned that a lot of studying focused on implications by researching thinkers. Also they put more emphasis on thought itself than history of it. In their method, they mainly used understanding-interpretation researching. Lastly, thesis suggests four researching points. First, we have to focus more on historical facts, such as how the thought made and how it unfolds and so on. Second, we need to keep a distance from famous thinker centered study, which means we have to study variety of thinkers. Thirdly we should use different materials to avoid text centered data. Finally it is our duty to concern in philosophical studying in other subjects such as thought in literature, society, art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