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화경찰 투입이 집회·시위 소요시간 변화궤적에 미치는 효과 : 성장혼합모형 검증

        심희섭,정준선 한국경찰연구학회 2021 한국경찰연구 Vol.20 No.1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가 2018년 10월 도입된 이래, 몇몇 사례연구와 대중매체에서 그 순기능이 보고되기도 했지만, 대화경찰 투입의 효과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여전히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연구는 집회 소요시간을 종속변수로 두고 대화경 찰 투입의 효과를 양적으로 규명하려고 시도하였다. 경찰청에서 수집한 통계자료를 활 용하여 일련의 성장혼합모형을 추정한 결과, 첫째, 시간에 따른 경찰서별 집회 소요시 간의 변화궤적 패턴이 3개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집회 참여 인원의 초기치가 클수록 장시간 집회가 이루어지는 잠재계층에 속할 가능성이 크고, 질서유지선 설정 집 회 비율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집회가 종료되는 잠재계층에 속 할 가능성이 크며, 흥미롭게도, 위법행위 발생 집회 비율의 초기치는 집회 소요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잠재계층 구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셋째, 일부 예외는 존재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월별 대화경찰 투입 집회 비율은 3개 잠재계층 집단별 월평균 집회 소요시간에 부적인 동시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책적 함의와 연구의 한계 및 제언은 한국적 맥락에서 기술되었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n Dialogue Police in October 2018, several case studies and media have reported its net function, but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statistically verified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deployment of dialogue police. This study attempts to quantitatively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eployment of dialogue police with the time required for the assembly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Using official data from the National Police Agency, a series of growth mixture models are estimated, and first, there exist three types of trajectories of change in the time required for respective police stations. Second, the larger the initial number of participant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long to the latent class in which each assembly ends in a relatively short time, and interestingly, the initial value of unlawful assembly rates has no effect on latent class membership. Third, although there are some exceptions, overall, the monthly rates of assemblies in which dialogue police are dispatched have a concurrent effect on the average monthly assembly time of respective, three latent classes. Policy implications, research limitatio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in the Korean context.

      • KCI등재

        경찰 중간관리자의 역량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심희섭,정준선,고재권 한국경찰연구학회 2020 한국경찰연구 Vol.19 No.2

        After the launch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intense reforms have been under way for the police, and, at the same time, the role of the police middle manager has also been highlighted.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competency perceptions of such officers, as well as to reveal how the group classification relates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It seems that, to date, a body of Korean literature has maintained interest in variables such as leadership,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behavior. However, they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on police middle managers’ perceptions of competency per se. Using a sample of 1,530 police middle managers,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that there are three distinct latent profiles and the profiles are related to som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relating to competency-based training and development are further discussed. 새 정부 출범 이후 경찰은 강도 높은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경찰 조직 내‧외부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한 시점이다. 향후 경찰 중간관리자의 역량 및 리더십 교육에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경찰 중간관리자들의 역량인식을 탐색하여 유형화함은 물론 해당 집단구분이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직무특성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경찰의 역량에 관해, 그간 국내 문헌은 주로 리더십과 같은 조직행태학적 주변 변수들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왔다. 그러나 그 정책적 중대성에도 불구하고, 경찰 중간관리자 역량인식 자체에 대한 실증연구 수행에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2018년에 조사한 1,530명의 해당 직급 경찰관 표본을 대상으로 일련의 통계분석을 수행한 결과, 경찰 중간관리자는 크게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해당 집단구분 변수는 응답자들의 근무기관 및 근무기능, 그리고 그들의 연령대 및 근무기간과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찰의 교육훈련 체계에 관한 시사점을 추가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미국경찰 수집 범죄정보의 시민공유 방향

        심희섭(Hee-Sub Shim),김영식(Young-Sik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gradually increased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should be dealt with by the police. Given this reality, today s police need to find answers to how to use the Big Data acquired from their everyday activities. South Korean police are no exception.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for the police to decide who to share crime data with. Since there are pros and cons on this issue,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US where crime data are actively utilized as a means of improving the police-citizens communication. Based on several principles, both federal and state laws, as well as each agency s philosophy, are found to respectively influence the issues of sharing crime data with citizens. To prepare for the relatively new paradigm in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etailed guidelines. Specific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o form a strong partnership with various community agencies is a prerequisite to successfully share crime data with Korean citizens. 과학기술의 발전은 지역사회에서 경찰에 의해 처리되어야 할 범죄정보의 양을 점차 증가시켜왔다. 이와 같은 현실을 반영할 때, 오늘날 경찰은 그와 같이 광범위하게 수집되고 있는 범죄 관련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을 필요가 있다. 한국 경찰 역시 예외는 아니다. 범죄정보를 시민과 공유하는 문제는 그 자체로 찬 반이 있는 문제이므로, 본고는 경찰과 시민 간의 의사소통 수단으로써 범죄정보의 사용이 가장 활발한 미국 경찰의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 경찰에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범죄정보를 시민과 어떻게 공유할지에 관하여, 미국 경찰은 몇 가지 대원칙을 토대로 연방법 및 각각의 주별 법률의 틀 안에서 각각의 경찰서별 철학(each agency’s philosophy)이 가미되어 있는 형태로 해당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까운 미래에 예상되는 우리 경찰과 시민 간 정보공유 패러다임의 도래를 대비하기 위하여, 세밀한 가이드라인의 마련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유관기관 간 범죄정보 공유 분석 파트너십을 형성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