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심청전」의 또 다른 이야기 형상화

        심치열(Shim Chi-Yeol) 돈암어문학회 2008 돈암어문학 Vol.- No.21

        황석영의 소설 『심청』은 고전소설 ?심청전?을 토대로 재창작한 작품이다. 원 텍스트의 중요 모티브를 해체하면서, 주인공 심청을 새로운 인물로 탄생시켰다. 하지만 ?심청전?의 전통적인 서사 장치를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원 텍스트의 전복을 시도하였다. 즉 계승과 전복이라는 상반된 장치를 조화롭게 실행하였다. 계승적 측면에서는 불교적 색채가 반영된 연꽃의 이미지가 심청의 또 다른 이름으로 제시되었으며, ?심청전?에서 가장 중요한 용궁이라는 공간이 『심청』에서도 동일한 성취 공간, 행복 공간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심청의 인생 역정으로 고전소설의 서사 장치인 일대기와 공간적 회귀 과정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반면 ??심청??은 원 텍스트와 상이한 전복을 시도하는데, 주인공은 동아시아의 국제적 공간으로 이동하여 아편전쟁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엄청난 고난을 극복하게 된다. 그러나 원 텍스트의 전복은 심봉사의 부재를 통해 드러나고 심봉사 이야기는 완전히 빠지게 된다. 즉 심청의 인생이 중점적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아버지의 개안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만큼 원전과 달리 『심청』에서는 비현실적이면서 환상적인 구조는 완전히 소멸된다. 그러면서도 맹인들의 잔치는 노인잔치로 바뀌면서, 잔치의 목적도 개안이 아닌 백성을 돌보기 위한 정치적인 명분으로 전환된다. 다시 말하면 ?심청전?의 원 텍스트에서 중세 이념의 가치를 승화시키는 모티프가 효에서 비롯된 개안(開眼)이다. 그러나 『심청』에서는 효와 개안 설정은 모성성을 드러내는 기아보호소로 대치된다. 심청의 뼈아픈 성장과정 속에서 자신의 육체를 버리고 대신 정신적 승화를 깨닫고 실천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의 개안이자 광명으로 볼 수 있다. 즉 황석영의 ??심청??은 ?심청전?과 동일하면서도 또 다른 심청의 이야기이다. Hwang, Seok-Yeong’s “Shim Chung” is a recreated literary work based on ancient novel.?He discounted an important motive, and made Shim Chung as a new character. However, he succeeded to traditional a child of a concubine system as it is, and tried to overthrow the original text. That is to say, he performed these two opposite system, succession and overthrow, in harmony. On succession side, the image of the lotus reflected buddhistic respect is suggested as another name of Shim Chung, and the most important place, namely the sea king’s palace, acted as the same achievement, happiness space. Also, a life story which is classic novel’s epic settings and spatial recurrence process spread like a panorama in the hardship of Shim Chung’s life. On the other hand Hwang, Seok-Yeong tried to overthrow the original text, and the main character moves to international space and goes through the agony in historical situation of the Opium War, but the overthrow of the original text is brought out with the absence of Shim Bongsa. Finally, Shim Bongsa’s story is totally omitted. So the opening father’s eyes didn’t accomplish because Shim Chung’s life spreads in priority. In “Shim Chung”, unrealistic and fantastic structure is completely disappeared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The blind’s party changes as the old people’s party and the purpose of the party becomes political justification to take care of people, not to open blind’s eyes. In other words, the motive that sublimates the value of medieval idea in the original “Shim Chung Jeon” is the opening eyes from filial piety. However, the setting of filial piety and gaining eyesight replaces a home for famine which reveals maternity, and the opening eyes is considered to another meaning of it and hope in Shim Chung’s painful growth process to realize mental sublimation and practice it instead of giving up her body. In conclusion, Hwang, Seok-Yeong’s “Shim Chung” is the same as “Shim Chung Jeon”, but another story of Shim Chung.

      • KCI등재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죽음의 현장감과 재생의 상실감

        심치열(Shim Chi yeol)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2

        <숙영낭자전>은 적강형 애정소설로, 당대 인기가 많았던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많은 이본 중 특히 작품 결말 부분에서 구제 즉, 再生의 과정이 확연히 드러나는 수장(水葬) - 재생(再生) - 천상계(天上界) 계열인 필사본 <숙영낭자전>을 저본으로 삼았다. 이 작품은 숙영이 경험하는 억울한 죽음과 나중에 이를 확인하게 되는 선군의 슬픔, 그러는 사이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는 두 사람의 자녀인 어린이의 역할까지 섬세하게 표현된다. 또한 선군과 숙영은 천상에서 죄를 짓고 지상에 내려와서 지상공간에서 또 다시 천명을 파기하지만 오히려 두 자녀까지 낳고 8년간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이 때 어린 두 자녀는 어머니의 죽음 현장에 머물면서 서사의 중심에 서게 되고 비장미는 최고조에 이른다. 고전소설에서 어린이가 서사의 중심축이 되어 발화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즉 어린이가 존재감을 드러내는 소설은 이 작품이 유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어린 자녀는 선정적이기까지 한 어머니의 시신을 옆에 두고 거듭되는 슬픔을 반복하면서 비장미를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 재생은 예사롭지 않다. 물론 텍스트에 따라 결말 처리가 다르기 때문에 <숙영낭자전> 작품 전체의 공통적인 현상은 아니다. 그런데 본고에서 선택한 필사본은 숙영이 재생한 후, 남편인 선군과 어린 자녀들을 데리고 즉시 천상으로 회귀한다. 숙영이 재생되자마자 부모한테 하직인사를 하고 바로 천상으로 오른다는 것은 지상에서 지체할 시간과 이유가 없다는 냉정함도 엿보인다. 옥황상제가 부여한 천명은 숙영에게 매우 엄격하게 지켜져야 할 계율인데, 숙영은 천명을 두 번이나 거역한 결과 어떤 벌이 초래하는지 체험하고 절감했기 때문이다.반면에 선군은 낭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동적이고 천상으로의 회귀가 절박하지 않다. 선군은 낭자를 잃은 슬픔이 가장 크게 작동할 뿐, 천상의 계율에 대해서는 민감한 반응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지상에서 태어나서 부모와 자식관계로 혈육이 맺어졌기 때문이다. 즉 선군과 숙영은 천상의 죄를 수용하는 입장에서 확연히 다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셈인데, 이는 적강 과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결국 이 작품에서 재생은 숙영에게는 만족감을 주지만, 그 외 다른 인물, 특히 지상에서 삶을 영위할 부모 입장에서 볼 때 크나큰 상실감을 초래한다. 이러한 상실감은 마치 자식을 잃는 것과 동일하다. 자식뿐만이 아니라 손녀와 손자마저 천상으로 회귀하는 모습을 그대로 지켜볼 수밖에 없는 부모의 처지가 긴 여운으로 남게 되는 결말구조를 갖고 있다. Sugyeongnangja-jeon is a romance novel which is related to Heaven and immortal spirits, and it was very popular back in those days. This thesis is based on a manuscript of Sugyeongnangja-jeon which clearly explains the whole process of revival: water burial-revival-Heaven. In this story, Sugyeong s resentful death, Seongun s sadness who faced her death, and even their children who shows their existence are delicately described. Also, even though Seongun and Sugyeong come down to earth because of their sins, they break laws again, and this offers a unique story line. Seongun and Sugyeong have two children and spend 8 years happily. The children, however, stay around their mother who kills herself, and they become a main story reaching the sad climax. In classical novels, children rarely express their feelings while leading stories. That is, this novel is the only novel in which children reveal their existence. Especially, these young kids standing next to their mother s corpse, which is disturbing and shocking, show their grief repeatedly. In this process, the matter of death is naturally connected to salvation, which is revival. In this work, however, the revival is extraordinary. Depending on texts, endings can surely vary, so this does not commonly happen in Sugyeong-nangjajeon. It is because after her revival, she takes her husband, Seongun, and her young children back to Heaven. As soon as she revives, she says goodbye to her parents and goes back to Heaven, and this indicates there is neither time to waste nor reason to stay.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she recognizes how important the Jade Emperor s rules are and how strict they are since she has defied his rules twice and experienced his punishment. Meanwhile, Seongun is more passive than Sugyeong and not desperate for Heaven as she is. He gets agitated when he loses her, but he is not susceptible to Heaven s rules. The other reason why is he was born on earth and became their parents son, so when he goes to the court of Heaven, he misses his parents. That is, he takes a completely different position for a person who accepts his sins. After all, the revival in this work satisfies Sugyeong, but it causes other characters, particularly the parents who continue to live on earth, to feel such a huge loss; and this is equivalent to losing their children. Not only their children, but also their grandchildren go back to Heaven and the sadness of the parents who face this situation lingers at the end of the story.

      • KCI등재후보

        「부용의 상사곡」에 나타난 평양의 문화적 현상과 그 의미

        심치열 ( Chi Yeol Shim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硏究 Vol.30 No.-

        This thesis explores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classic novels, centrally Buyong-sangsagok which was written in the turning point of modern times. Most of classic novels in Joseon era are directed in the background of its country and China. When it comes to the turning point in modern age, however, the last classic novel, Buyong-sangsagok, tells the core story in the same space, Pyungyang; in other word, not in the transcendent and vague space, but in the space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atmosphere, the novels are played based on their microscopic geography. Pyungyang was especially known for history, art, scenic spots, and entertainment at that time, so their love stories in Pyungyang sound familiar. Moreover, the realistic endings of the men from different areas and the Gisaengs from Pyungyang would make readers feel sympathy and attract their interest. However, the recognition of Pyungyang is set differently to main characters; for heroes, Pyungyang is for love and playing, and for heroines, it is for living and reality. This different recognition leads them to the conclusion of journey to Pyungyang and the heroes meet the ideal women free from social status there realizing the true meaning of life.

      • KCI등재

        <육미당기>의 문화론적 의미 연구

        심치열(Shim chi-yeol) 돈암어문학회 2002 돈암어문학 Vol.- No.15

        최근 들어 고전을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바라보고 연구하고, 교육하는 일련의 시도들이 있다. 본 연구는 <육미당기>를 중심으로 이러한 문화론적 측면에서 바라본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문화 현상을 되짚어보고 그 의미를 찾는데서 출발하였다. 곧 〈육미당기>를 기점으로 전시대 작품과 후대의 작품을 수용과 창출이라는 문화론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br/> 그 결과 텍스트의 문화적 생성과 그 원리가 공통적으로 모색될 수 있는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이는 독자층의 확대와 작품의 장편화 원리, 소설 위상의 변이와 작가의식의 생성, 당대 작품과의 문화적 동질성 확보라는 세 측면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이는 당대 소설사적 측면에서 바라본 작가와 독자가 향유하던 문화론적 현상을 그대로 반영한 결과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일련의 현상은 문화논리의 수용과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전통적인 민족의 자긍심이 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br/> 또한 19 세기인 문학의 전성기에 등장한 사대부들에 의해 창작된 장편 소설에서는 여성등장인물의 확대와 심화가 공통적으로 남녀 주역의 긴밀한 연관 속에 다양한 삶이 투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당대 사대부들이 지향했던 유교적인 입신양명의 이상을 드러냄으로써 남성적 욕망을 투사시킴과 동시에 당대 여성 독자층의 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렇듯 고전소설에 함축된 주변 환경 및 생활 측면을 함께 분석한다면, 그 작품의 내적 체계와 외적 체계를 이해할 수 있는 폭이 훨씬 다양해 질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이생규장전」의 특징과 그 의미

        심치열 ( Chi Yeol Shim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科學硏究 Vol.28 No.-

        「Leesaeng-gyujang-jeon」, a piece of 『Kuem-o-shin-hwa』, is the best characteristic of fictional biographies. There is romance between two main characters and fantastic this life and afterlife in this literary work. It is based on love than other pieces, so it seems it`s the easiest one to learn f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se reasons, 「Leesaeng-gyujang-jeon」is included in high school text book best, compared with other pieces in 『Kuem-o-shin-hwa』and all other classic novels. In this thesis, I analysed 12 kinds of text books including 「Leesaeng-gyujangjeon」and found out how teachers teach this piece in their class. First, I examined how learning activities go by dividing ``acceptance and creation of literature by genre`` and ``literature and culture``. The former has 3 kinds of text books and the latter has 9 kinds of them. However, it composes uniform contents without regard to learning goals and features. Next, I looked into appropriacy based on quotations in text books. As a result, there is no way to know who translate these novels written in Chinese in most cases. In addition, it is summarized too much, so narrative context is not connected to the story and there is room for confusion by mismarking main character`s name to learners. It is very important to focus texts` contents with what view you have, even same literary piece. That`s because these are variable characters that literary works have, and it could be the guideline to experience the value of piec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금방울전>에 나타난 주인공의 조력적 면모와 의미

        심치열 ( Shim Chi Yeol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8

        본 논문은 <금방울전>의 주인공인 금방울의 조력적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고전소설에서 주인공인 경우 보편적으로 조력자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이 작품에서는 주인공이되, 주인공다운 조력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오히려 주인공이 주변 인물들을 위해 배려와 봉사, 그리고 희생도 마다하지 않고 타인을 위해 조력하는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우선 금방울은 거의 모든 등장인물을 위해 방울인 형상 그 자체로 소통하면서 치밀하게 목적을 성취한다. 뿐만 아니라 천정배필인 해룡을 위해 해후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도움을 주면서 베풀게 된다. 즉 주인공이지만 부여된 험난한 여정을 타인을 위해 사력을 다해 수행할 뿐, 조력자는 등장하지 않는다. 더욱이 금방울은 비록 방울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인간적 속성인 판단과 감성을 온전히 지니고 있다. 그러나 다만 언어적 표현 능력은 부여받지 못한 안타까운 조력자이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더욱 더 방울을 굴려가면서 종횡무진 자신의 역할을 ‘수고롭게’ 할 수밖에 없다. 그 결과 금방울은 해룡에게 헤어진 부모를 찾아주기 위해 ‘그림족자’를 이용, 즉 ‘시각적 표현’ 방식을 동원하여 부모와 상봉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해준다. 주인공이면서 타인을 위해 모든 조력적인 역할이 끝난 뒤에 비로소 금방울은 해룡과 결합하게 된다. 이는 예나 지금이나 모두가 주인공이 되고 싶은 인간의 욕망에서 한 발 물러서서, 타인을 위해 배려하는 삶이 진정한 가치가 있다는 메시지를 금방울을 통해 전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supportive role of Geumbangwool, the heroine in Geumbangwool-jeon. It is usually helpers who help main characters in classic novels. However, surprisingly, Geumbangwool is not only a main character, but also a considerate helper. She does not take the advantage as a heroine but rather sacrifices herself for others. As a bell itself, she communicates with all the characters in the novel and achieves her goals. Also, she keeps helping people until she meets the only love of her life. In a word, she carries the role as a helper and goes through difficulties, but an actual helper for her does not exist in the novel. Moreover, even though she is a bell, she can judge and have emotions just like a human. The only thing she is not able to do is, unfortunately, speak. Because of this limitation, being unable to speak, the bell has to roll herself and makes the efforts. After all, Geumbangwool uses a picture scroll to find Haeryong`s missing parents for him, which is a method of “optical expression,” and to give him a chance to meet his parents again. Geumbangwool and Haeryong finally reunite after finishing her role as a helper. The fundamental message in this novel is, life is more valuable when we step back from the desire for getting spotlighted and care about other people.

      • KCI등재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스토리텔링 방식

        심치열(Shim, Chi-yeol)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1

        본 논문은 가사 <추풍감별곡>과 소설 <채봉감별곡>, 그리고 현대소설 <어머님이 들려주시던 노래>를 스토리텔링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지금까지는 가사와 소설의 관계 속에서 <채봉감별곡>을 인식하고 분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 자체의 분석보다는 작품 형식과 외피적 환경에 집중하였다. 그 결과 <채봉감별곡>은 원소스인 가사를 거쳐 1910년대 독서물로 출판되었으나, 독서물로 그치지 않고 여전히 가사를 읊던 익숙함을 소설 장르에서도 그대로 적용하였다. 즉 스토리텔링이 거듭 적용된 것이다. 대중문화는 익숙함과 낯설음의 조화라고 볼 수 있는데, 그 당시 "잡가"(雜歌) 및 "송서"(誦書)가 대중문화의 한부분이었다. 즉 기존의 가사 작품은 익숙함이요, 새롭게 스토리텔링된 소설작품은 낯설음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요소의 결합은 독자들에게 참신함으로 다가갔으며, 긴 가사의 전문이 소설이라는 장르 속에 생략 및 축약 없이 고스란히 활용되었기 때문에 낭독하기(송서)에 적절했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적 코드는 현대소설인 성석제의 <어머님이 들려주시던 노래>에서 고스란히 활용되면서 계승되었다. 이 작품에서 등장인물 재희를 통해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이 "읽어주기" 형식을 빌어 그대로 재현된다. 즉 작품 속에서 시대를 달리하고 있지만 등장인물 "채봉"과 "재희"가 오버랩되면서 "소설 속의 또 다른 소설"이 펼쳐진다. 이는 앞서 설명한 읽어주기의 전통을 그대로 활용한 아날로그식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성석제는 단지 콘텐츠적인 차원에서 고소설을 현대적으로 수용하려 한 것이 아니라, 방법적인 차원에서도 고소설이 당대에 독자/청자 등의 수용자와 맺었던 향유 방식을 그대로 재현함으로써, 전통을 계승한 작가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thesis considers the gasa, Chupunggambyeolgok, the novel Chaebonggambyeolgok, and the modern novel Uhmeonimi Deulyeojushideon Norae (The Song My Mother Sang) based on the narrative mode. As being known, Chaebonggambyeolgok has been analyzed in the relation between gasa and novel so far. However, the thesis focuses on the form and background of the novel than anlayzes the novel itself. As a result, Chaebonggambyeolgok was pusblished in 1910s through the original source, which was gasa, and the familiarity with singing a gasa was applied into the novel. Popular culture is a combination of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Jabga and Songseo was a part of popular culture at that time. That is, gasa is familiarity and novel is unfamiliarity.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different factors originally appealed to readers, and the whole lyrics were appropriate for citing, which is Songseo. Later, this cultural background succeeded to the modern novel Uhmeonimi Deuleyojushideon Norae. In the novel, Chaebonggambyeolgok is realized by the form in reading through the character, Jaehee. In other words, although background time is different in the two novels, Chaebong in Chaebonggambyeolgok overlaps Jaehee and story within a story is expanded; this is an analogue way which using a reading strategy. That is, Seok-je Seong did not modernly accept the classic novel in a content dimension, but succeeded to tradition by realizing the link between the classic novels and readers/audience of the time in a methodical dimension.

      • KCI등재

        「윤지경전」연구

        심치열(Shim Chi-yeol) 돈암어문학회 2003 돈암어문학 Vol.- No.16

        「윤지경전」은 중종대와 역사적 사실을 삽화로 접목시킨 애정소설이다. 특히 남자 주인공의 진솔하고 애틋하면서도 적극적인 구애가 돋보이는 탁월한 창작소설이다. 본 논문에서는 남녀 주인공의 애정방식과 삽화로 들어간 역사적 상황 모두에 관심을 갖고 작품을 분석하였다.<br/> 그 결과 애정소설의 구조적 틀인 '만남'과 '이별'이 주인공들의 일대기적 순차구조에 맞추어 흥미롭게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만남의 계기와 이별의 원인도 여주인공보다는 남자주인공에 초점이 맞추어 있다. 윤지경은 역사적 사건까지 접목시켜, 대범하게 자신의 사랑을 지켜나간다. 반면 최연화는 윤지경에 비해 행동반경이 매우 미약하역 주인공의 역할 분담면에서도 매우 저조하다. 이 작품에서 만남은 6차례, 이별은 5차례로 전개되는데, 특히 이별은 가족구원성 및 왕권개입에 의해 의도적·타의적·지리적인 이유 때문에 벌어진다.<br/> 다음 정치적, 역사적 삽화는 애정소설의 무게를 진중하게 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로 해석되는데, 무의미한 삽화가 아닌, 조광조에 대한 끊임없는 애정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작품 결미에서는 조광조에 대한 재평가가 자세하게 기술되면서 명예회복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윤지경이 혼례와 상관없이 최연화를 그리워하면서 재회하기 때문에, 늘 감시를 받게 되고 그 감시는 이별이라는 처벌을 얻게 된다. 이처럼 두 주인공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역사적 사건은 애정에서 오는 낭만성에 그치지 않고 작품의 진지성을 가미시켜 남성의 철저한 애정방식을 반영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