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5,18소설의 지식인 표상

        심영의 ( Young Eui Shim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3 기억과 전망 Vol.0 No.28

        5·18항쟁을 대상으로 한 문학 텍스트들에서 민중계급은 투쟁적이고 헌신적인 태도를 보인 데 반해, 지식인은 대체로 항쟁의 과정에서 현실적이고 타협적인 모습을 보인 것으로 묘사된다. 항쟁의 발단은 대학생으로 대표되는 지식인들이었으나 상황이 악화되고 결국 무장 항쟁의 상황이 닥치자 그들은 몸을 피해 숨거나, 아니라도 현장에 함께 하지 못했다는 죄의식으로 고통을 겪을 뿐이다. 결사항전이냐 무기회수를 통한 수습이냐의 대치국면에서 민중계급은 죽음을 불사한 항전을, 지식인들은 현실과의 타협을 강조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그렇다면 항쟁에서 지식인들은 단적으로 말해 무용한 존재인가? 누가 그날 최후까지 총을 들고 항전했는가를 기준으로 항쟁의 주체를 문제 삼는 것은, 자국 군대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당한 상황에서 무장 항쟁의 의의를 높이 평가하려는 역사적 관점을 강조하려는 의도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그것은 5·18항쟁의 의의를 왜소화하고 만다. 그것은 항쟁이든 운동이든 공유의 감정을 건드릴 때에 생동할 수 있다는 진리를 애써 외면한 결과이다. 레비나스는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과 관련하여, 타자에 대한 책임은 타자의 요청에 의해 내가 타자를 대체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휴머니즘의 근원은 타자이며, 이런 휴머니즘 안에서의 책임이 나의 유일성에 대한 중요한 근거가 된다. 고은의 말처럼, 그 날 지식인들은 일련의 투옥사태와 해직·감시의 수난을 제외하면 항쟁의 현장에서 멀리 도피하고 말아서, 정작 한 사람의 시인도 민중적 전사로 싸운 바 없고, 그 처절한 학살의 피투성이 희생자 가운데 아직까지도 어떤 문학인의 이름이 나타나고 있지 않음은 부끄러운 일이기는 하지만, 그렇다면 그날 모두가 총을 들고 장열하게 죽었어야 하는가? 살아남은 사람들은 모두가 죄인인가? 많은 5·18문학은 이 죄의식에 대해 말하지만 그건 일종의 집단적 강박일 수 있다. 도피하거나 모두 살아남기를 열망했던 이들-지식인들의 행위에 대하여 우리는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의식으로 긍정할 수는 없을까.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한 글이다. Literature texts on 5·18 Strife depict that while minjung class the underprivileged class demonstrated struggling and committed attitude, intellectuals showed reality-based compromising looks in the course of struggle largely. The strife was initiated by intellectuals represented by college students, but they ended up with the guilty consciousness that they only hided or could not stay with the minjung class as the situation grew worse to become an armed strife. The literature texts further depict that in the confronting situation where they would choose to fight back desperately or settle the situation by collecting weapons, the minjung class emphasized desperate fightback, and the intellectuals compromise with the reality. If so, in the strife, were the intellectuals of no use in short? Calling to question of who the subject of the strife is based on who fought desperately until the end that day by holding guns would only dwarf the meaning of 5·18 Strife even though the armed strife is desired in historical perspective to be highly evaluated in a situation where the people were repressed ruthlessly by the military of their own country. That is a result of disregarding the truth that people may stand up when shared emotions may be disrupted. Regarding the ethical obligation for the other, Emmanuel Levinas a French philosopher and Talmudic commentator of Lthuanian Jewish origin commented that the obligation for the other is for the subject him/herself to substitute for the other upon the request of the other. According to his comments, the foundation of humanism is the other, and the obligation within such humanism becomes important ground for the uniqueness of me. Just as Ko Un a South Korean poet said, should all have died courageously by taking gun that day when it is such a shameful reality that no intellectuals particularly poet have fought as minjung warrior that day by only escaping far away from the field of the strife except a small number of imprisonments of intellectuals and hardship of job dismissal and monitoring. Are all who survived sinners? Many literatures of 5·18 Strife speak of such consciousness of guiltiness, but such perspective is only a type of group compulsion. About the behaviors of these intellectuals who aspired to escape or survive, can`t we admit it as a sense of ethical obligation for the other? This article is a writing that began from such consciousness of matter.

      • KCI등재

        김영량 시(詩)의 문학사회학적 위상(位相)

        심영의 ( Young Eui Shim ) 우리어문학회 2007 우리어문연구 Vol.28 No.-

        문학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아니 문학은 이 시대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하는 구태의연한 질문을 나는 다시 하고 있는 중이다. 언제는 아니었는가 하는 반문이 뒤따르겠지만 오늘 한국 사회는 격동의 시기가 아닌가 한다. 한미 FTA를 찬성하거나 혹은 반대하는 논리의 이면에는 세계화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보다 근본적인 질문이 자리한다. 마찬가지로 민족문학이라는 간판을 떼어 내자거나 아직은 유지해야 한다는 논의의 근간에는 이제 세상은 변했다는 세계 인식이 자리 잡고 있음을 본다. ``민족의 시대가 가고 있다.`` 지금 내가 보고 있는 어느 기자의 칼럼 제목이다. 과연 그러한가. 과연 세상은 변했는가. 변했다면 무엇이 어떻게 변했는가. 그렇다면 여전히 세상에 빚지고 있는 문학도 변해야 하는가. 그래야만 한다면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 아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의 본질은 변할 수 없는 것 아닌가. 이런 여러 물음에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나는 김영랑의 시를 읽는다. 새삼스레 왜 다시 김영랑인가. 그가 작품을 쓰며 살다간 시대와 오늘의 문학사회학적 환경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인식 때문이다. 다른 게 있다면 그가 살았던 시대에는 ``민족``이라는 개념이 타자에 의해 철저하게 부정되던 시기였고, 오늘날에는 우리 내부에서 ``민족의 시대``가 가고 있다는 논의가 점점 힘을 얻고 있다는 차이일 것이다. 그런데 과연 우리에게 민족과 현실과 문학은 서로 다른 범주의 개념일 것인가. 김영랑이 남긴 시편들과 그의 생애와 그의 문학적 지향의 검토를 통해 그와 같은 질문들에 나름의 답을 찾아가는 것이 본고의 의의일 수 있을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김영랑은 1930년에 간행된 『시문학』을 통해 시단에 등장하였다. 따라서 김영랑의 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시문학』지의 성격을 살펴보는 일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박용철은 『시문학』 창간호 『후기』에서 "우리의 시는 가슴에 느낌이 있을 때 절로 읊어 나오고 읊으면 느낌이 일어나야만 한다."고 말한다. 궁극적으로 김영랑을 중심으로 한 시문학파의 순수시는 "특이한 체험이 절정에 달한 순간", 곧 "절정의 시학"에 근거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절정에 달한 순간의 특이한 체험을 언어로 표현하는 데에 시의 본질이 있다고 했을 때 이는 곧, 시에서 다루어지는 경험 혹은 감각이 현실적 삶에의 관련에서 먼 것임에도 불구하고 가치 있다는 것이 아니라 멀기 때문에 혹은 멀면 멀수록 더 가치 있다는 것으로 읽힌다. 그래서 김영랑 시를 평하면서 박용철은, "서정주의의 극치", 서정주는, 싱그러운 음색과 생생한 기운으로서의 "촉기", 정한모는, "순수 서정시의 한 극치"라고 극찬하고 있다. 그러니까 김영랑의 시는 "순수서정의 시"라고 이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가 문제 삼는 지점이 여기에 있다. 문학에서의 순수성이란 과연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언어에서 내용인 의미를 배제 혹은 초월하는 것이라 볼 수 있지 않을까. 이 내용의 배제(혹은 초월)란 시에서 일상적 현실, 또는 정치사회적 현실을 제거하는 것이 될 것은 불문가지다. 이것이 문학에 있어서의 순수성의 일반적 의미가 아닐까 한다. 그렇다고 필자가 (카프처럼) 문학이 정치 선전의 수단이나 도구로 씌어져야 한다는 입장에 서는 것은 아니다. 다만 문학과 삶이 분리될 수 있을까. 소박하게 말해서 일상 언어와 시어의 분리가 그처럼 쉽게 가능한 I am asking the conventional question on how we should define literature, or what does literature mean today. People might say did I ever stop asking this question, but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an extreme upheaval. The essential question which we should ask before addressing the pros and cons of Korea-U.S. FTA is how we should address globalization. Likewise, the basis of our conflict between rebuilding or preserving national literature is the understanding that the world has changed. "The time of nation has passed." This is the subject of a newspaper column which I am reading right now. Is it true? Has the world changed? If yes, what has changed? Should literature change too? If yes, how should it change? Nevertheless, the essence of literature cannot change. In search of my answer, I read Young Rang Kim`s Poetry. Why Young Rang Kim again? It is because his time is not very different from today`s socio-literature environment. If anything is different, his time forced Korean people to neglect the concept of "nation," whereas we are spontaneously proposing the idea that "the era of nation" has passed. Are nation, reality and literature different concepts for 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Young Rang Kim`s poetry, his life and literary pursuit in search of answers for my question. As widely known, Young Rang Kim made his debut in through 『Poetic Literature』 that was published in 1930. In order to understand Kim`s world of poetry, it would be useful to analyze the character of 『Poetic Literature』. Yong Chul Park says in the 『Afternote』of 『Poetic Literature』`s Foundation Issue that, "Our poems are automatically read when we have the feelings to touch our hearts." Ultimately, pure poems of Kim`s order of poetic literature are based on "the climax of unique experience," or "poetry of climax." If the essence of poetry lies in expressing the unique experience of climax in language, this means that experiences that are distant from reality are valuable "because they are distant from reality", not "although they are distance from reality!" In evaluating Kim`s poetry, therefore, Yong Chul Park called it the Extreme of Lyricism, Jung Joo Seo called it Moist Energy (fresh sound and lively energy), and Han Mo Jung called it the Extreme of Pure Lyricism. Thus, we can name Kim`s poetry as "Poetry of Pure Lyricism." This is where I can discuss theanswer to my question. What is purity in literature? Wouldn`t it be something that excludes or surpasses meaning in language? Exclusion (or transcendence) of contents would mean exclusion of reality, or socio-political conditions, in poetry. This would be the general meaning of purity in literature. However, I do not insist that literature should be a tool of political propaganda (as KAPF did). I am just asking whether literature can be separated from life. In other words, I am asking whether it would be easy to separate daily language from poetic language. As Bakhtin, I believe that abstract biological man does not exist. Human existence does not emerge as an abstract biological organism, but is born as landlord, farmer, bourgeoisie, or proletariat. Furthermore, we are born as Russian, French, Japanese or Korean and in a year between 1920s and 2000s. Bakhtin says, "Only social and historical localization make a truthful man and determine his life and literary creations. "What Bakhtin said could not be the absolute condition, but this study inevitably examined Kim`s biography in literature in order to address his poetry from the socio-literature perspectives and examine introverted pursuits of most of Kim`s pieces.

      • KCI등재

        1979~1980, 부마와 광주민중항쟁의 문학 담론

        심영의 ( Shim¸ Young-eui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획기적인 계기를 제공했던 1979년 부산과 마산 일원의 시민항쟁과 1980년 광주에서의 비극을 제재로 한 문학 담론은 군부독재의 청산과정에서 발생한 국가 폭력과 그것과 맞선 시민들의 (무장)저항이라는 공통점을 기반으로 한다. 물론 사건의 계기와 전개 양상 및 이후의 기억 투쟁에 얼마간 차이도 있다. 그런데 부마항쟁과 관련한 문학 담론이 광주의 그것과 비교할 때 이제 시작 단계에 있는 것은 무엇보다 광주에서의 학살과 시민들의 저항에 함께 하지 못한 작가들의 무의식에 작동하는 죄의식의 문제가 연결되어 있다. 광주항쟁의 기억을 담론화하는 항쟁 문학이 광주와 연결되어 있는 부마에서의 역사적 사건과 좀 더 긴밀한 접점을 찾는 노력을 통해 각각의 사건이 각각의 공간에 닫혀있지 않도록 관심이 요구된다. 문학적(혹은 문화적)기억으로 기록되거나 재현되지 않는 역사적 기억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망각되거나 진실과는 다른 개인의 기억들로 얼룩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Literary discourse, which sanctioned the civil uprisings in Busan and Masan in 1979 and the tragedy in Gwangju in 1980, which provided an epoch-making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Korea, is about the state violence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liquidation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and (armed) is based on the commonality of resistance. Of course,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the timing and development of the event and the subsequent memory struggle. However, compared to that of Gwangju, the literary discourse related to the Buma Uprising is now at the beginning stage, above all, the issue of guilt operating in the unconscious of the writ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massacre and citizens' resistance in Gwangju. Through an effort to find a closer contact point with the historical events in Buma where the struggle literature discourses on the memories of the Gwangju Uprising is connected with Gwangju, attention is required so that each event is not closed in its own space. This is because historical memories that are not recorded or reproduced as literary (or cultural) memories may be forgotten over time or stained with personal memori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truth.

      • KCI등재

        농촌 주민의 시 치료 프로그램의 치유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심영도(Young-Do Shim),김현(Hyun Kim),강대구(Dae-Koo Kang) 한국농촌지도학회 2021 농촌지도와 개발 Vol.28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oetry therapy program on individual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for rural residents. For the research data, before the end of the poetry therapy program,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 confession, and as a retrospectiv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participants to find out whether the effects of the program continued after about 14 month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fter the program ended, it was said that it was a meaningful time to communicate and live positively through poetry. In a retrospective study, it was said that poetry writing relieved depression, released and purified emotions, created a sense of relaxation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rural residents who are experiencing many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n improve their negative psychology and find peace of mind through poetry writing.

      • KCI등재

        다문화소설의 유목적 주체성 연구

        심영의(Shim young-eui)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아시아여성연구 Vol.52 No.2

        이 글에서는 천운영의 소설 『잘 가라, 서커스』와 송은일의 소설 사랑을 묻다를 중심으로 다문화소설에 나타난 감정자본주의와 유목적 주체의 문제를 살펴본다. 이 두 소설은 사랑과 경제의 관계를 통해서 조선족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꿈과 삶, 사랑과 상처를 드러내 보이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국제결혼은 가난한 나라 여성의 경제적 동기와 한국 남성의 가부장적 전략의 협상 결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신부들의 결혼 동기를 단지 경제적인 차원으로 환원시키기보다는 ‘결혼’과 ‘이주’를 통해 이들이 배우자와의 관계를 포함한 자신들의 삶을 어떻게 만들어 가고자 하는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새로운 사람들과 낯선 생활 풍습 속에서, 익숙한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며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여성인물의 정체성을 ‘유목적 주체성’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유목적이며 들뢰즈-니체적 관점에서 볼 때 윤리학은 본질적으로 부정성을 긍정적 열정으로 변신시키는, 이를테면 고통 너머로 이동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는 고통을 부정한다기보다 오히려 이를 활성화하고 고통을 통해 작동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참담한 고통 속에서 생겨난 지표만이 인간 전체를 의미 있는 방향으로 이끌어간다는 사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otional Capitalism and the issue of nomadic subjectivity in multicultural novels especially on 『Good bye, circus』 written by Cheon Un-young, and 『Ask about love』 written by Song Eun-il. These two novels reveal Korean immigrant women"s dreams, lives, love and wounds through the relationship of love and the economy. The international marriage which increases rapidly in our society i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negotiations between the economic motive of Korean immigrant women from poor countries and the patriarchal strategy of Korean men. However it"d rather raising the question about how to make their lives inclu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through ‘marriage" and ’immigration" than understanding the motive for foreign marriages to be related with economic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dentities of female characters in these novels which are acquired in process of abandoning the old life style and making with the strangers in unfamiliar surroundings and focused on their nomadic subjectivity. From the nomadic and Deleuze-Nietzsche point of view, the ehtics is essentially changing negativity to positive passion which is like moving on beyond agony. It"d rather invigorating and activating through agony than denying the agony.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only the indicator made in destress leads mankind to the significant direction.

      • KCI등재후보

        상흔(傷痕)문학에서 역사적 기억의 문제

        심영의(Shim Young-eui)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5 한국문학과 예술 Vol.16 No.-

        이 글에서는 한국의 4·3과 5·18, 중국에서의 문화대혁명, 그리고 베트남전쟁을 다룬 상흔문학 읽기를 통해 각각의 작품들에서 인물들이 감당해야 하는 폭력의 정체가 무엇인지, 그들은 그러한 폭력적 상황에서 어떤 대응양상을 보이는지 혹은 기억하고 있는지를 비교하여 살펴본다. 한강 소설 『소년이 온다』는 사건이 종결되고 오랜 시간이 지났어도 그날에 살아남은 자들이 갖고 있는 트라우마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것은 현기영 소설 「순이(順伊) 삼촌」의 서사가 4·3사건이 지난 30년 후라는 배경과도 유사한데, 두 소설은 한 세대 정도의 시간이 지나도 결코 지워지지 않는, 그리고 회복될 수 없는 역사적 상처와 상실을 이야기하고 있는 점에서도 닮았다. 문화대혁명과 베트남 전쟁 역시 인간에게 가장 끔찍한 단절과 무감각을 강요하는 비탄의 상흔을 남겼다. 그것은 폭력 혹은 전쟁 체험을 통해 그것의 잔인함과 인간의 황폐함을 인식하게 되고, 무엇인가의 승리가 그로 인한 슬픔까지 극복해주지 못함을 깨닫게 하는 것과 관련된다. 그러나 문학이 상처를 치유해 주지는 못한다. 문제를 해결해 줄 수도 없다. 다만 환기를 통해 문제를 직시하게는 할 수 있다. 문학은 다만, 그것의 두려움을, 그 두려움의 정서를 독자와 함께 공유할 뿐이다. 그리하여 저마다의 가슴에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질문을 제기하는 것만으로도 버거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 혹은 국가폭력의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이들에게 남겨진 과제, 곧 그것을 어떻게 치유하고 극복해낼 것인가 하는 것은 여전히 우리의 지속적인 관심을 요구한다. Through reading the scar literature of 4·3, and May 18th in South Korea, Chinese Cultural Revolution in China and the VietnamWar,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identity of violence the characters in works had to stand, how they corresponded to the violent situation and whether they remember the violence Han gang novel ?Boy comes? is terminated and the case is also a long time talking about those who have survived the trauma of that day’s been. It is similar background and also called Hyun Ki-young novel Soon-Yi uncle of the epic four, three incidents in the last 30 years, two novel indelible never stand the test of time in a generation or so, and can not be restored historic cuts and resembles that point in the story the loss.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Vietnam War also left the humans are forced to stupor of grief and the terrible scars break. It is recognized for its cruelty and human devastation through violence or war experience, the victory of what is associated with the inability to realize haejuji to overcome the resulting grief. But, literature can’t heal the wounds as well as can’t solve the problem. Merely it can make look squarely at problems through ventilation. Literature, however, its fear, only to share the emotion of fear and readers. Thus, each one of the breasts by simply raising the question of how do you now also be tough. Nevertheless, it left to those who are suffering from the trauma of war or national task force, that will do it and how to cure it soon overcomes still require our constant atten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화 <벌새>에 나타난 상실과 소통의 성장서사

        심영아 ( Shim Young-a ),최수웅 ( Choi Soo-wung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20 한국문화기술 Vol.28 No.-

        이 연구는 성장서사의 관점에서 영화 <벌새>에 나타난 입사의 의미를 1990년대 한국사회현실의 맥락과 함께 고찰함으로써 주인공의 개인적 경험에 기입된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추적하는 동시에 그 현재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작품에 나타나는 상실의 경험과 소통의 의지는 개인적인 동시에 사회적인 것으로, 1990년대를 관통하는 한국사회의 공통경험에 기반을 둔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유효한 보편성을 획득한다. 작품에서 1994년 대치동의 학교와 아파트는 물신주의적 자본주의와 그와 연동하여 작용하는 가부장제의 폭력성이 드러나는 세계로 그려지고 있다. 주인공 은희가 가족과 친구 관계, 수술로 겪는 여러 경험들은 상실이라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 성장서사의 맥락에서 이런 상실의 경험은 입사적 의미로 해석된다. 작품 속 가장 큰 상실에 해당하는 학원 선생 영지의 죽음은 성수대교붕괴와 이어지면서 주인공의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차원의 상실을 사회적으로 확장하는 서사적 장치로 작용한다. 은희가 이런 상실의 경험들을 수용하고 성장할 수 있는 데에는 영지 선생으로 대표되는 타인들과의 관계와 연대가 중요한 지지가 된다. 의무나 혈연으로 엮이지 않은 타인들에게서 오는 지지와 소통은 은희 안에서 창작과 소통에 대한 욕망으로 자라난다. 소통의 욕망은 수동적이고 소외된 존재였던 은희가 적대적 세계와 화해하고 타인과 관계를 맺고자 하는 열린 존재로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폭력적으로 경험되는 세계 안에서 상실의 경험을 통과하면서 연대와 소통을 추구하는 존재로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벌새>의 서사는 개인의 과거를 통해 1990년대의 사회적 맥락을 소환함으로써 한국사회의 공통 기억에 호소한다. 또한 창작을 통한여성 성장서사의 한 유형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initiation in the film House of Hummingbird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narrative, along with the context of Korean social reality in the 1990s, and traces the sociocultural context represented in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main character. It also analyse the meaning of this sociocultural context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 The experience of loss and the will of communion in the film are both personal and social, and they acquire universality that is valid even today,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 of Korean society in 1990s. In the film, school and apartment in 1994’s Daechidong are depicted as a violent world dominated by capitalism and patriarchy which are intim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The protagonist Eun-hee’s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friends, as well as the experience of surgery, can be summed up in terms of loss. In the context of a growth narrative, these experiences of loss can be interpreted as a symbolic process of transition and initiation. The death of Yong-ji, due to the collapse of Seong-su Bridge, connects the disaster of social dimension with Eun-hee’s personal loss. In these losses and trials, solidarity with others is important support for Eun-hee to accept the losses and grow up. Support and sympathy from others who are not bound by duty or kinship, give her a desire to support others and communicate with them in her turn by creating cartoons. This will of communion is a result showing that Eun-hee, who was passive and alienated at the beginning, has reconciliated with the hostile world and grown into a person open to others. The narrative of the film, which shows the process of growing toward solidarity and communion pass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loss in a violent world, summons the social context of the 1990s through the individual's past. It also presents a type of female growth narrative motivated by creation.

      • KCI등재

        조선시대 성 담론의 정치학

        심영의(Shim Youngeu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3

        이 글에서는 병자호란(1636-1637)을 배경으로 한 장편역사소설 「화냥년」을 읽는 다. 이를 통해 청나라 포로로 끌려갔던(그리고 이후 속환의 과정 속에서) 조선 여인들의 발가벗고 박탈의 삶이 어떤 담론의 과정 속에서 가능했는가를 탐문한다. 그리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지 못한, 혹은 버림받은 삶들의 현재적 의미를 짚어본다. 국난을 당했을 때 군신은 물론 죄 없는 백성들이 죽음을 포함한 온갖 고초를 감내할 수밖에 없겠으나, 특히 여성들이 겪는 성적 착취의 문제가 얼마나 자심했는가 하는 것, 더불어 그들을 대하는 조정과 사대부들의 시선이 어떠하였는가에 보다 주목한다. 까닭은, 여성억압-착취의 원인을 찾아내고 해방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 보고자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글은 결국 역사의 진보가 여성에게도 그러했는지를 묻게 될 것이다. In this paper, through the book ‘Hwanyangnyen’, which is a long historical novel set in Manchu war (1636-1637), I would like to question how women’s naked and deprived lives could be possible when they were taken to Qing Dynasty as captives and then returned to Chosun Dynasty. So, I want to take a look current meaning of lives that couldn’t get national protection and were abandoned. During a national crisis, not only innocent people but also a king was forced to endure all kinds of hardships, including the death. But I want to pay attention to especially how serious women’s sexual exploitation was and How government and high officials treated them. Because I want to find out the cause of woman oppression and exploitation, presenting forecast of woman liberation from the oppression. Therefore, this paper will eventually ask that the historical advancement was also same to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