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증상과 위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식이 성분의 영향

        명보현 ( Bo Heon Meong ),이광재 ( Kwang Jae Lee ),심성준 ( Sung Jun Shim ),김진홍 ( Jin Hong Kim ),함기백 ( Ki Baik Hahm ),조성원 ( Sung Won Ch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5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1 No.2

        목적: 고지방식이 기능성 소화불량증에서 소화불량의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지만 칼로리 농도와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구성과 같은 식이 요소들이 소화불량 증상 및 위의 운동이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도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과 건강한 지원자군에서 비영양 유동식(물)과 영양 유동식, 그리고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구성비가 다른 두 영양 유동식 간에 소화불량 증상과 위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첫 번째 연구에서는 27명의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와 10명의 건강 지원자를 대상으로 비영양식인 물과 칼로리 영양 유동식의 효과를 비교하였고, 두 번째 연구에서는 21명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와 10명의 건강 지원자를 대상으로 고탄수화물 유동식과 고단백 유동식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위전도(electrogastrography; EGG)와 증상의 정도를 처음 15분동안 기록하고, 음식을 섭취한 후에 30분 동안 측정을 계속하였다. 결과: 2-4 cpm 범위에서 식사전후의 power ratio는 환자군과 건강 대조군 모두에서 물과 칼로리 유동식간에, 또한 고탄수화물과 고단백 유동식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후에 2-4 cpm 서파의 평균비율은 물과 칼로리 유동식 간에, 그리고 고탄수화물과 고단백질 유동식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강 대조군과 달리 소화불량 환자들은 물보다 칼로리 유동식 섭취 후에 증상의 정도가 더 심하였으나 고탄수화물과 고단백질 유동식 후의 증상의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는 칼로리 영양식이 비영양식보다 더 증상유발과 관련되어 있지만 탄수화물과 단백질 구성의 변화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소화불량 증상과 비정상적인 위의 전기적 활동의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 Background/Aims: Only Limited information has been provided on the effects of dietary factors in functional dyspepsia (F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liquid meals on the symptoms and gastric electrical activities in FD patients. Methods: In the first study, comparisons between water and a caloric nutrient drink were performed in twenty-seven FD patients and ten healthy volunteers. In the second study, a high carbohydrate liquid meal was compared with a high protein meal with the same calories, volume and fat component for the twenty-one FD patients and the ten healthy volunteers. Recording of the electrogastrography with symptom assessment was performed. Results: The power ratio, the postprandial dominant frequency instability coefficient and the postprandial percentage of time with normogastric slow wav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water and a caloric nutrient drink, and also between the high carbohydrate and high protein meals. Unlike the healthy controls, the FD patients had more severe symptoms after a caloric nutrient drink as compared to water. No difference in the symptom scores was observed between the high carbohydrate and high protein meals. Conclusions: The caloric nutrient drink is more associated with symptoms than is a non-nutrient meal for FD patients. Variations in the carbohydrate and protein composition are of no importance in the genesis of dyspeptic symptoms and gastric electrical abnormalitie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5;11:123-12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