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해방기 기념시집 연구 -“해방”과 “3·1” 표상을 중심으로

        심선옥 ( Seon Ok Sh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4 No.-

        해방 직후에 발간된 기념시집들은 발간 주체인 각 문학단체들의 지형과 조직적 역량, 문학적 성취를 보여주는 지표로서 의미가 있다. 해방기념시집은 식민지시대를 수난의 공유 기억으로 재현하고, ‘님의 귀환’과 시조 형식을 통해 초월적 민족 정체성을 규정하였다. 민족 개념을 표상하는 기호들(‘조상’, ‘전통’, ‘계승’, ‘핏줄’ 등)은 순혈주의(純血主義)를 통해 민족 정체성이 계승, 보존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횃불은 계급혁명의 필연성과 그 실현을 주제로 하여, 식민지 시대 민중들의 삶을 귀환 서사와 가족 서사로 재현하였으며, 시의 현장성과 대중성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행사시와 낭독시를 부각시키고 있다. 삼일기념시집의 3. 1표상은 피와 꽃, 불의 상징을 통해 나타나며, 희생제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3. 1의 민중 주체성을 계승하여 해방기 새나라 건설의 주체로서 혁명적 민중의 형상을 창조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ymbols of ‘The Liberation and ‘3.1 Movement,’and their meanings shown in 3 collections of memorial poetry. The collections are The Liberation Memorial Poetry, A Torch-Liberation Memorial Poetry and 3.1 Memorial Poetic Work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age of the Liberation. Their distinctive featur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ree points : the poetic attitudes to reflect the Colonial Age and commemorate the Liberation, the features to reconstruct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Age of Liberation, and the poetic attempts to establish the new popualce subject. The Liberation Memorial Poetry turned out to be a collective sharing of the national trialsand to reconstruct the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realization of transcendental values. ATorch showed the poetic standpoint to regard the 8.15 Liberation as unfinished one inthe viewpoint of proletarian classes. It also represented the Colonial Age through realisticnarrative of the family and repatriation. 3.1 Memorial Poetic Works paid attention to the populace`s inclination for resistence and revolution. The symbolic and ritual meanings of the ‘blood,’ and ‘fire’ shown in the 3.1 Movement were succeeded to the shape of therevolutionary populace subject in the age of the Liberation.

      • KCI등재

        한국전쟁기 미디어로서 시의 성격

        심선옥 ( Shim¸ Seon-ok ) 반교어문학회 2021 泮橋語文硏究 Vol.- No.58

        한국전쟁기 시는 국민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기능, 전쟁을 지원하고 문화 선전의 기능을 담당하는 ‘정훈 문학’의 기능을 하였다. 그런데 ‘정훈 문학’의 관점은 ‘전쟁 이데올로기의 선전’과 ‘문학(성)’의 대립이라는 이분법적인 틀을 벗어나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미디어의 관점에 근거하여, 한국전쟁기 시를 ‘창작자―작품―매체―수용자(독자) ―창작자(재생산)’의 다중 주체로 구성되는 복합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미디어 구성의 측면에서, 한국전쟁기에 발간된 『전선문학』(『문학』전시판), 『문예』 12호(전시판), 『시문학』 3호(전시판), 『전선문학』(육군종군작가단 발행) 등을 대상으로, 전시상황의 변화가 문학 잡지의 편집 이념에 미친 영향, 그리고 매체의 편집과 구성의 변화가 매체 안에서 시의 배치와 성격 변화로 연결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둘째, 미디어의 대중적 영향력 측면에서, 한국전쟁 중에 발간된 신문과 문학 잡지, 시집(개인 시집 제외), 군의 기관지, 정훈 단체에서 발행하는 시선집 등에 수록된 시인과 시의 목록을 조사한 뒤, 2차 작업으로 여러 매체에 반복해서 재수록되는 시의 목록을 조사하여 표 <한국전쟁기 매체별 재수록 시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다양한 매체에 재수록되는 시들은 한국전쟁기에 적합한 미디어의 요구와 독자 대중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하는 작품들로서, 시와 미디어의 관계 및 시의 대중화 양상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한국전쟁기 매체별 재수록 시 목록>의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전쟁기 시의 유형과 창작 원리, 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During the Korean War, poetry served two functions. One is the function of the media that satisfies people's emotional needs and provides information. The other is the function of ‘Agitation-Propaganda Literature’, which supports and promotes the war.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during the Korean W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edia. Using the media’s point of view, poetry can be explained in a complex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multiple subjects of ‘creator-work-media-reader-reproduction’. First of all, this paper analyzes literary magazines during Korean War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composition. Changes in the war situation influenced the editorial ideology of literary magazines and affected the position and character of the poetry in the magazines. Second,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media, this paper investigated the list of poets and poems in literature-related publication during the Korean War. The list of poems republished in various media was investigated and compiled into the table ‘List of republished poems by media during the Korean War.’ Poems on this list meets both the needs of the media and the readers. For major works on this list,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of poems, principles of creation,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oem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자기표현 글쓰기의 위상과 교육방법 연구

        심선옥 ( Shim Seon-ok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3

        2000년대 들어와 디지털기술이 발전하고 지식정보화시대가 도래하면서 교양교육에서 주체의 위상이 중시되었고, 그에 따라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도 ``자기 자신``에 대한 글쓰기가 주목받고 있다. ``자기 자신``에 대한 글쓰기 교육의 체계를 잡고 교육 프로그램을 구조화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에 따라 혼용되는 개념들을 통일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2000~2014년 사이에 발간된 대학의 글쓰기 교재들을 조사하여 성찰적 글쓰기, 치유적 글쓰기, 자기표현 글쓰기로 분류하고, 글쓰기의 목적과 이론적 근거, 글쓰기 방법 등을 비교·검토하였다. 이를 근거로, 자기표현 글쓰기를 ``자기 자신``에 대한 글쓰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설정하였다. 자기표현 글쓰기는 자신의 경험·생각·느낌 등을 자신의 것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존재 의미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와 제재가 ``자기 자신``일 경우 여타의 글쓰기 형식이나 관습의 제약이 없는 자유로운 글쓰기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글쓰기 프로그램 중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자기서사 쓰기는 시간적 지속성과 인과관계를 핵심으로 하는 시간 중심의 글쓰기에 해당한다. 하지만, 갓 성인기에 진입한 대학생의 상황을 고려하고, 디지털시대에 맞는 탈문맥적이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융합·재생산되는 주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공간 중심의 글쓰기로의 전환이 요청된다. 자기표현 글쓰기에서 교수자의 적절한 지도는 글쓰기의 목적을 실현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를 위해 교수자는 쓰기 주체의 인지적 가능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질문자``의 역할을 맡아야 한다. 평가 기준의 경우, 논리적 글쓰기와 별개로 자기표현 글쓰기에 적합한 독립된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The status of Subject in the General Education is important by growth of the digital technology and coming of Knowledge-Information Era in the 2000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writing of ``Self`` come to the fore. In order to set up the system of education in ``Self`` writing, We should unify various concepts about ``Self`` writing and make educational program. This thesis researched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published for 2000-2014. It was extracted Self-reflection writing, Scripto-therapy, Self-expressive writing as key concepts. After explained the purpose of writing, theoretical basis, and writing method of three concepts, I determined that Self-expressive writing is a representative concept in ``Self`` writing. Self-expressive writing is liberal on writing form and content except that the writing subject is one`s own self. The self-narrative writing is used the most ``Self`` writing program. It is ``the significance of time`` writing by continuance of time and cause relationship. But ``the significance of space`` writing is suitable for university student in the digital technology era. The guide of professor is important factor for realization of purpose and advance of effectiveness in Self-expressive writing. It is necessary to make the assessment standard for special Self-expressive writing divided off logical writing and academic writing.

      • KCI등재

        특집논문 : 제도로서의 "독자" ; 해방기 시의 정전화 양상 -≪시집≫과 ≪현대조선명시선≫을 중심으로-

        심선옥 ( Seon Ok Sh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시인선집의 정전 형성 요인은 선집의 발행 시기, 당대의 주류적 문학 경향, 편집 주체가 지지하는 특정한 이념과 문학 경향, 대중의 독서 취향과 인지도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정전화 주체, 정전화 이데올로기, 정전화 효과로 범주화된다. 해방기에 발간된 시인선집인 ≪시집≫(임학수편, 한성도서주식회사, 1949)과 ≪현대조선명시선≫(서정주편, 온문사, 1950)은 선집의 편집원칙과 수록 시인과 작품 목록에서 차이를 나타낸다. 그 차이는 정전화 주체와 정전화 이데올로기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다. 임학수의 정치적 좌표는 `좌익적 중간파`이며, 그의 `시` 개념은 영국의 낭만주의 시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서정주는 `민족문학` 진영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언어 민족주의`와 `순수시`를 결합한 새로운 `시`의 개념을 확립하였다. ≪시집≫은 정치적 이념과 문예 조직의 배타성을 극복하고 `좌익`과 `우익`의 이념적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근대시문학사의 온전한 목록을 구성하였다. ≪현대조선명시선≫은 `민족문학`의 관점에서 근대시문학사를 새롭게 구성하였으며, `저항시`를 새로운 `민족`시의 영역으로 발굴하였다. 시인선집들은 과거의 시인선집의 목록을 수정하고 보완하면서 정전이 될 텍스트를 선택한다. 해방기 시인선집은 신경향파시인들과 1920년대 초기의 시인들을 배제하고 박두진, 박목월, 조지훈, 서정주, 신석정, 장만영을 새로운 시인 목록에 추가하였다. 이는 근대시문학사의 무게 중심이 1920년대에서 1930년대로 이동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식민지시대와 해방기시인선집을 통틀어, 현대의 정전 텍스트에 가장 근접한 시인선집은 ≪현대조선명시선≫이다. 이것은 근대시의 정전화 과정에서 ≪현대조선명시선≫의 중요성을 말해주는 반면, 해방기에 형성된 `민족문학`의 관점이 현대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재생산되었음을 의미한다. This paper inquired into the canonizing features of the poems published in the period of liberation, focusing on two volumes of collected poems. The <Shijip>(ed. Lim Hak-Su. 1949) was the 10th volume of the <Complete Series of Joseon Literature> and contained the self-nominate works of 49 poets. It seemed to keep the ideological bal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ng through overcoming the contemporary political ideologies and the exclusivism of the literary circles. It also contributed to the making up of a full list of Korean modern poets including those who remained in North Korea or crossed over there from the South. The <Modern Selection of Joseon Poetry>(ed. Seo Jung-Ju. 1950) showed the works of about 40 poets after classifing their poetic schools. In the book, the history of modern poetry was newly written in the viewpoint of national literature. The poems in the <Modern Selection of Joseon Poetry> expressed the national emotion and traditional aesthetic sense by putting much emphasis on `blood relation`, `love of native place`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Especially it is remarkable that a new poetic field, poems of resistance, was firstly discovered by the book. The <Shijip> and <Modern Selection of Joseon Poetry> turned out to be very different in terms of the subject and ideology of canonization. Lim Hak-Su`s political stance belonged to the group of the `middle leftist` and his concept of poems was based upon that of the British romanticism. Seo Jung-Ju was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poet of the national literary group and he established a new concept of the poem by combining `lingual nationalism` and `pure poetry`. Compared with the modern canon texts, the <Modern Selection of Joseon Poetry> shows the most similiar list of poetic works. It suggests that the <Modern Selection of Joseon Poe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anonizing the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However, it also turns out to be a paradoxical evidence that the literary viewpoint has been so far reproducted by the literary circles, publishing media and eudcation of literature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present days.

      • KCI등재

        1950~70년대 난해시 논쟁의 경과와 담론 분석

        심선옥 ( Shim Seon-ok ) 반교어문학회 2018 泮橋語文硏究 Vol.0 No.49

        이 연구는 195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초반까지 일어났던 난해시 논쟁의 내용과 경과를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난해시 논쟁이 시기적으로 변화하는 양상과 당대 문학장에서 난해시 논쟁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난해시의 문제가 처음 제기된 것은 1930년대 중반 김기림, 이상, 정지용 등에 의해 모더니즘 시의 창작과 이론적 모색이 이루어졌을 때이다. 새로운 시의 개념과 창작경향을 표방하는 신진시인들이 다수 등장하여 시단의 재편이 이루어졌던 시기에 난해시의 문제가 부각되었다. 난해성의 본질은 ‘이해할 수 없음’이 아니라 새로움에 있으며, 그것은 새로운 가치체계의 발견으로써 시의 진보와 연결되어 있다. 1950년대 후반, 전통 서정시를 옹호하는 계열과 전후 모더니즘 시인들 사이에 일어났던 난해시 논쟁은 시의 개념과 언어의 문제, 현대시에서 세계사적 동시성과 민족적 주체성의 관계, 시와 독자의 문제 등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촉발하였다. 또한 난해시 문제는 당대 시단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던 전통 서정시 중심의 보편적인 시의 규범에 문제를 제기하고, 시의 개념을 서정 중심에서 지성의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문학의 제도적 측면이 확립되었던 1960년대 문학장에서 난해시 비판은, 『현대문학』과 기성시인들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서정시의 규범을 재교육하고 그 위상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반면 김수영은 4·19 이후 한국 현대시의 방향으로 새로움과 자유의 실현을 제기하고, 이것을 가로막는 사이비 현대성, 사이비 난해성을 비판하였다. 이 시기 난해시 논쟁에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른 지식(인)의 위상 변화, 문학과 시의 주변화 현상, 시와 독자의 소외 등이 영향을 주었다. 1970년대 문학장에서 난해시 문제는 주변화 되는 양상이 나타나며, 이전의 난해시 비판을 이론적으로 반복하는 차원에 그치고 있다. 또한 산업화와 대중문화시대에 들어서면서 문학과 시의 주변화 현상에 대한 대응으로써 독자들의 이해와 공감을 돕는 쉬운 시의 창작과, 현실의 구체적인 실감을 표현하는 리얼리즘 시의 창작이 시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urse of the Difficult Poems Debates from the late 1950s to the early 1970s. The literary field of the 1950s is characterized by the dominance of the ‘sense of the modern’ and the vigor of the new generation of poets. There was a confrontation between traditional lyric poetry and modern poetry. The Difficult Poems Debates had led to theories on the concept and language of poetry, the World’s historical concurrency, National identity, and readers of the poetry. Also, the Difficult Poems Debates raised the issue of the traditional lyric rules and expanded to intellectual territory in poem. In the 1960s, the literature system was established, and criticism of the Difficult Poems emerged from the center of Contemporary Literature. Its purpose was to reeducate the rules of lyric poetry to new poets and literary aspirants. However, Kim Su-young has offered new ideas and freedom in the direction of modern Korean poetry since 4·19. He criticized pseudo-modernism and pseudo-difficult poems that blocked the realization of new poet and liberty. This period saw chang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status of intellectuals, peripheral position of literature and poetry, and alienation of poetry and readers. In the early 1970s, the issue of the Difficult Poems became unimportant. There was no new point of contention and they repeated the past theory. The difficult poems of new poet was evaluated in a positive sense(in terms of alluding aesthetic or the language group, etc.), not an obstacle. The industrialization and pop culture era began in the 1970s, and the position of literature and poetry was reduced gradually. The response method for this situation has led to the creation of easy poetry and realism.

      • KCI등재후보

        애국계몽기와 1910년대 '민요조시가'의 양상과 근대적 의미

        심선옥 민족문학사학회 2002 민족문학사연구 Vol.20 No.-

        이 연구는 애국계몽기와 1910년대에 민요를 변형한 시가를 ‘민요조 시가’로 명명하고, 그 양상과 미의식, 근대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애국계몽기 시가의 주류를 형성했던 창가의 미의식이 숭고를 지향하는 것과 달리 ‘민요조 시가’는 희극미와 비극미로 대표된다. 이것을 「흥타령」과 통속 민요의 근대적 변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1910년대에 국문 시가의 변모양상을 살펴보고, ‘민요조 시가’를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국내의 ‘민요조 시가’에서 「농부가」의 미의식을 해명하였다. 그리고 일본 유학생과 미국 이주자, 북간도의 유랑민들에 의해 민요가 민족의 노래, 고향의 노래로서 새롭게 ‘발견’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민요조 시가’에 대한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애국계몽기와 1910년대, 1920년대로 이어지는 한국 시문학사의 내적 연속성과 변화양상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entral features, aesthetic consciousness and modernity of the folk-song styled Shiga(民謠調 詩歌). The name, Folk-song-styled Shiga, was given to the poems of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and 1910s which showed the changed from of the Korean folk songs. Most of the Shigas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pursued the beauty of sublimity, bu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Folk-song-styled Shiga was typically embodied in the beauty of comedy and tragedy. That was found out through the study on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Hong Ta Ryung” and popular folk songs. This study also made a survey of the changing feacures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1910s’ Slhiga in the Korean language, and explained the difference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Folk-song-styled Shiga. The domestic Folk-song-styled Shiga show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Farmer’s Song”. And It was also an important part of this study to examine how Korean students in Japan, emigrants to America and nomads in Bukgando found traditional folk songs as songs of racial spirit and songs of nostalgia. The above-mentioned study also helped to shed light on the inner continuity and various transformations in the Korean poetic history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through the 192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