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진동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근전도 활동과 손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

        심선미,오덕원,기경일,박현주,차현규,조혁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1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얕은손가락굽힘근에 진동자극을 적용하는 것이 손의 기민성을 향상시키고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개시와 종료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실험연구방법 중 ABA 연구 설계를 이용하였다. 총 실험회기는 24회로 기초선 과정, 중재 과정, 기초선 회기 과정으로 나누어 각 8회기씩 진행하였다. 중재기간 동안 진동자극은 환측의 얕은손가락굽힘근에 적용되었다. 상자와 블록 검사(Box and Block Test; BBT), 그리고 컵을 쥐기 및 놓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개시시간과 종료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BBT 점수는 기초선 과정에 비교하였을 때 중재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5), 과제 수행 동안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개시시간과 종료시간은 중재 기간 동안 유의하게 단축되었다(p<.05). 이 러한 경향은 회귀 과정 동안에도 긍정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진동자극이 이환된 손의 기민성을 향상시키고 물건을 쥐고 놓는 동안 손과 얕은손가 락굽힘근의 활성 형태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at determining whether the application of vibration stimulation over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can be helpful in improving the hand dexterity and reducing the onset and end times of the muscle contraction. Methods : We used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A-B-A design. The experimental sessions were divided into three phases: baseline, intervention, and withdrawal, with eight sessions in each phase. In the intervention phase, the vibration stimulation was applied over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uscle of the affected side. Measurements included a box and block test (BBT), and the onset and end times of the muscle while gripping and releasing a cup. Results :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 the BBT score was clinically and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e baseline (p<.05), and this improvement was maintained during the withdrawal phase with no intervention. Further,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for the delay in the onset and end times of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p<.05), and these trends were favorably maintained during the withdrawal phase. Conclusion : Our findings suggest that vibration stimulation may be helpful in enhancing the dexterity of the affected hand post stroke, and optimizing the activation patterns of flexor muscles of the wrist and hand while grasping and releasing objects.

      • KCI등재

        편마비 환자의 보행치료로서 6분걷기검사의 사용: 결과지식 제공을 통한 연습효과의 가능성

        심선미,오덕원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1 No.1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actice effect of the 6-minute walk test (6MWT) after providing the subjects with knowledge of the results (KR). Methods: Sixteen subjec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6MWT was performed by having the subjects take repeated walks along a 20-m walkway for 6 minutes; and the maximum distance walked was recorded. Two trials of the 6MWT were conducted under three conditions: no-KR, immediate-KR (providing knowledge of the time taken to complete each 20-m distance), and summary-KR (providing knowledge of the time taken to complete 60 m). Results: The practice effects of all 3 conditions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paired t-tes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ith <0.75, and the Bland-Altman plot. The findings of the paired t-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under the immediate-KR condition onl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under the no-KR and summary-KR conditions. In a data agreement analysis across the two trials using the ICC, none of the obtained values under the three conditions were in an acceptable range indicative of a practice effect. In the Bland-Altman plot, a greater data variation was observed under the immediate-KR condition than under the other two conditions. When comparing the conditions, the immediate-KR condition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no-KR condition. Conclusions: Our findings do not support the presence of a practice effect across the 6MWT. However, a practice effect seems to be clinically possible when the immediate-KR condition is incorporated into this test. 연구배경: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치료로서 6분걷기검사의 사용과 결과지식을 제공한 연습효과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편마비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세 조건(KR-없음, 즉시-KR, 통합-KR)에서 6분걷기검사를 시행하였다. 즉시-KR은 6분걷기검사 동안 20 m 마다 즉시 보행시간을 알려주었고, 통합-KR은 6분걷기검사를 종료한 후 각 60 m 마다 측정한 보행시간을 알려주었다. 6분걷기검사를 종료한 후에는 각 조건에서 6분 동안의 전체 보행 거리에 대한 되먹임을 제공하였다. 결과: 각 조건의 일치도 분석에서 세 조건 모두 연습 효과를 인정할 만한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6분걷기검사의 전후 비교는 즉시-KR 조건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Bland-Altman plot에서의 2회 측정에 대한 차이값과 평균값의 분포 범위는 즉시-KR에서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조건 간 전후 차이값의 비교에서는 KR-없음과 즉시-KR 조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6분걷기검사의 세 조건들에 대한 연습 효과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였지만, 즉시-KR 조건에서 6분걷기검사가 수행될 경우 연습 효과의 가능성이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12주간의 자이로토닉과 케겔운동이 중년여성의 심부근육과 요부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심선미,김재호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gyrotonic exercise and kegel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and lumbar stabilization of deep muscle in middle-aged women who are at risk of urinary incontine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exercise methods for urinary incontinence in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were (Gyrotonic exercise group; GT N=20), (Kegel exercise group; KG, N=18) and (Control group; CG, N=18). The two exercise groups except the control group were conducted for 12 weeks, with gyrotonics for 60 minutes three times a week and kegel exercise for 30 minutes six times a week. In additi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re-test subjects were measured and homogene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e data were processed by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with repeated measurements with SPSS Ver.23.0 statistical program. In conclusion, gyrotonic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vation of deep muscle and the improvement of balance ability of lumbar stabilization in middle-aged women who are at risk of urinary incontinence. In the exercise method for urinary incontinence in middle-aged women, it was found that general muscle strength exercise which can activate deep muscle at the same time as breathing training was more effective for urinary incontinence. In addition, Kegel exercise tended to increase deep muscle and lumbar stabiliz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This suggests that the typical kegel exercise of pelvic bottom muscle exercise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due to lack of persistence or lack of persistenc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objective follow-up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systemic strength exercise on strengthening pelvic bottom muscle and improving urinary incontinence through a study comparing the effects of each object according to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이 연구는 요실금 위험군인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자이로토닉운동과 케겔운동을 적용하여 심부근육들의 근활성도와 요부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중년여성의 요실금에 효과적인 운동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자이로토닉 운동집단(Gyrotonic exercise group; GT) 20명, 케겔 운동집단(Kegel exercise group; KG) 18명, 통제집단(Control group; CG) 18명으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을 제외한 두 운동집단 모두 12주 동안 자이로토닉운동은 주3회 60분씩, 케겔운동은 주6회 30분씩 실시하였다. 또한 사전 각 대상자들의 신체적 특성을 측정하여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Ver.23.0 통계프로그램으로 반복측정이 있는 이원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한 결과를 종합하면 자이로토닉운동이 요실금 위험군인 중년여성의 심부근육의 활성화와 요부안정화 균형능력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고, 중년여성의 요실금을 위한 운동 방법에 있어서 호흡훈련과 동시에 심부근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전신 근력운동이 요실금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케겔운동은 심부근육과 요부안정화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점은 없었다. 이는 골반저근운동의 대표적인 케겔운동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았거나 지속성의 부족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지 않았다고 생각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요실금 유형에 따른 대상별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전신 근력운동이 골반저근의 강화 및 요실금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객관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인지운동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 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군 예비연구

        심선미 ( Sun Mi Sim ),오덕원 ( Duck Won Oh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15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ual-task training with cognitive effort on the walking and balance functions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e study included 14 chronic stroke patients, wh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EG) and control group (CG), each with 7 patients. The EG performed the dual-task training with cognitive effort 3 times a week, 30 minutes for 4 weeks, where as the CG performed single-task training three times a week, for 30 minutes for 4 weeks. Outcome assessments were made with 10 m walk test, timed up and go test, 6 minutes walk test, and Berg balance scale. In within-group comparison, subjects from the E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p<.05), while subjects from the CG showed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6 minutes walk test, and Berg balance scale (p<.05). Furth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rate of 10 m walk tes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ual-task with cognitive effort may be beneficial for improving walking and balance functions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SCOPUSKCI등재

        인체 암세포주에 대한 당근잎 추출 성분의 세포독성과 Quinone Reductase 유도효과

        심선미(Sun-Mi Shim),김미향(Mihyang Kim),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폐기되고 있는 당근잎을 methanol로 먼저 추출하고 이를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식품 폐기물 속에서의 생리활성 물질을 검색하여 보았다. 3종의 암세포주(HepG2, HeLa 및 MCF-7)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한 결과 전반적으로 당근잎의 ethyl acetate층(DCLMEA)에서 다른 층에 비해서 비교적 높은 세포독성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MCF-7세포주에서 최고농도인 500 μg/mL로 첨가하였을 때 62.8%의 비교적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으며 HeLa세포주에서는 농도에 따른 의존적인 효과를 보였고 다른 세포주에 비해서 hexane층인 DCLMH에서 41.3%의 효과를 보였다. 한편 당근잎의 QR유도활성 효과는 분획물의 농도를 증가시켜 갈수록 QR유도 효과는 매우 증가되었으며 특히 hexane층인 DCLMH에서 다른 식품 추출물에서는 볼수 없는 매우 괄목할만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무처리군을 1로 하였을 때 최저농도인 25 μg/mL에서 이미 5.08배의 높은 효과를 보였고 실험 첨가 최고농도인 200 μg/mL에서는 4.99배의 효과를 나타내어 농도첨가에 따라 일정효과를 유지하였다. 또 methanol층인 DCLM에서도 나머지층에 비해 높은 QR유도 활성을 보였으며 농도증가에 따라 의존적인 경향을 보여 최고농도인 200 μg/mL에서 4.73배로 DCLMH층과 비슷한 QR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The anticarcinogenic effects of various food components on human cancer cell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The precise effect and mechanisms of anticarcinogens in food materials on cancer cells have rarely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aucus carota L. leaf (DCL) extracts on cytotoxic and chemopreventive effect on human cancer cel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cytotoxicity of Daucus carota L. leaf extracts on HepG2, HeLa and MCF-7 cells by MTT assay.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Daucus carota L. leaf, the ethylacetate partition layer (DCLMEA) at 500 μg/mL was shown to be most effective on MCF-7 cell lines. The four partition layers which are DCLM, DCLMH, DCLMB and DCLMH were less effective in inducing cytotoxicity than DCLMEA was. We also determined the induction of intracellular quinone reductase (QR) activity by adding DCL extracts on HepG2 cells.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DCL extracts, DCLMH and DCLM were tested to be most effective with results such as 4.9 and 4.73 with a control value of 1.0.

      • SCOPUSKCI등재

        석류 추출성분이 암세포 증식 억제와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에 미치는 효과

        심선미(Sun-Mi Shim),최상원(Sang-Won Choi),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1

        옛부터 질병 치료를 위해서 민간요법이나 한약재로 쓰였으며 설사, 이질, 구내염 및 장출혈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석류를 추출, 분획하여 5종의 암세포주(HepG2, HeLa, C6, MCF-7, HT-29)를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 실험을 한 결과 HepG2 세포의 경우 PGMEE층에서는 최고농도인 500 μg/mL에서 92.6%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PGMB도 75.1%로 비교적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자궁경부암 세포인 HeLa세포에서는 PGMEE, PGMEA, PGMB순으로 각각 96.9%, 92.5%, 92.5%로 월등히 높은 효과가 나타났고, 신경교종세포인 C6에서도 최종농도 500 μg/mL에서 PGMEE, PGMB 및 PGMEA순으로 각각 97.8%, 94.5% 및 92.5%의 효과를 나타내어 HeLa세포주와 비슷한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유방암 세포인 MCF-7에서는 PGMEE층이 86.9%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그외 층은 효과가 미약하였으며, 인체 대장암 세포인 HT-29세포주는 모든 층이 60% 이하의 낮은 세포독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다른 세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과가 미약하였다. 이상과 같이 5종의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 실험에서 전반적으로 PGMEE 층이 월등히 강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인체 간암세포인 HepG2를 이용하여 QR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분획물 첨가농도 50 μg/mL에서 PGMEE가 대조군에 비해 1.4배로 나타나 유의적 효과가 있었으며 PGMB의 경우 50 μg/mL에서 대조군에 배해 1.5배의 유도활성 효과가 나타났으나 그 이후 농도 증가와 더불어 QR유도효과가 급격히 떨어져 추후 그 이유와 기전을 밝히고자 한다. Various lines of evidence suggest that dietary components protect the initiation step of carcinogenesis. In this study, the ethylacetate (PGMEA), ethylether (PGMEE), butanol (PGMB) and aqueous (PGMA) soluble fractions of Punica granatum L. (PG) were screened for their growth inhibition using the MTT assay on HepG2, HeLa, C6, MCF-7 and HT-29 cells and for their activity to induce quinone reductase (QR) in HepG2 cells. Among various fractions of Punica granatum L., the PGMEE showed the strongest growth inhibition at 500 μg/mL which resulted 92.5% on HeLa cell lines and 97.8% on C6 cell lines. The PGMEA and PGMB also showed significant growth inhibition. The assay of QR induction on HepG2 cells indicated that PGMEE had the highest activity among all the fractions. The QR activity in HepG2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PGMEE at the concentration of 50 μg/mL, was 1.4 times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the control value of 1.0.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seful cancer chemoprevention materials could be isolated from PGMEE fraction of Punica granatum L.

      • KCI등재

        중년여성의 자이로토닉과 케겔운동에 따른 심부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신정엽,심선미 한국웰니스학회 2024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는 요실금 위험군인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자이로토닉운동과 케겔운동을 적용하여 중년여성의 요실금에 효과적인 심부근육들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운동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경기도에 거주중인 40~65세의 폐경기 전 중년여성 56명을 대상으로 자이로토닉 운동집단(Gyrotonic exercise group; GEG) 20명, 케겔 운동집단(Kegel exercise group; KEG) 18명, 통제집단(Control group; CG) 18명으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을 제외한 두 운동집단 모두 12주 동안 자이로토닉운동은 주3회 60분씩, 케겔운동은 주6회 30분씩 실시하였다. 또한 사전 각 대상자들의 신체적 특성을 측정하여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Ver.23.0 통계프로그램으로 반복측정이 있는 이원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자이로토닉운동이 요실금 위험군인 중년여성의 심부근육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고, 또한 케겔운동은 심부근육과 요부안정화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골반저근운동의 대표적인 케겔운동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았거나 지속성의 부족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지 않았다고 생각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요실금 유형에 따른 대상별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전신 근력운동이 골반저근의 강화 및 요실금 개선위한 심부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on exercise methods by analyzing the effect of gyrotonic exercise and Kegel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of deep muscles effective for urinary incontinence in middle-aged women by applying gyrotonic exercise and Kegel exercise in middle-aged women at risk of urinary incontinence. The subjects consisted of 20 Gyrotonic exercise groups (GEG), 18 Kegel exercise groups (KEG), and 18 control groups (CG) in 56 pre-menopausal women aged 40 to 65 living in Gyeonggi-do. Both exercise groups, excluding the control group, performed gyrotonic exercise for 60 minutes 3 times a week and Kegel exercise for 30 minutes 6 times a week for 12 weeks. In addition,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by measu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in advance. For the processing of the data,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with repeated measurements was performed with the SPSS Ver.23.0 statistical program.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gyrotonic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vation of deep muscles in middle-aged women who are at risk of urinary incontinence, and Kegel exercise tended to increase in the stabilization of deep muscles and lumbar par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t is thought that the representative Kegel exercise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was not performed accurately or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lack of persistence, and in future studies,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effect of systemic muscle exercise on deep muscle activity to strengthen pelvic floor muscles and improve urinary incontinence by comparing the effects of each subject according to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