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래한국사회와 한국교회의 과업

        심상태(Shim, Sang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38 No.-

        This paper tries to give a short outline of the future perspective of the Korean society and the task of the Catholic Church for the Evangelization in this society and in the world mainly in accord with the teaching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some Apostolic Letters. At first, this paper will explain the intention and the main method of the current future studies that seek commonly to find adequate and better ways among various possible futures for the mankind and the world. They give quite intensive efforts to observe the trend of the main sectors' ongoing processes in the society and in the world and to analyze them carefully, and then to suggest the possible and adequate way. Although the reason of the human being is not possible to have any exact knowledge of the future because of his finiteness, it is also true that the future belongs to anyone who is ready through the bright and precise preparation to encounter any form of the future, namely a good or bad, or all new form of the future. Showing consideration for this Insight of the main future studies, this paper described the mega trends of the current scientific age and New liberal market system in the world, that seems to show quite clear characters of de-centralism and de-collectivism through the forming and broadening of collective intelligences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Cyber Era. In the coming era of such collective intelligences, every individual person, in Using freely and broadly various high-modern information equipments, is going to play decisively strong and important role, and the big organizations like governments or any form of informations institutions will lose irreversibly their current powers and influences in the future society and world, But at the other side, The phenomenons of more sharpening polarization between rich and poor groups amidst the broadening process of the New Liberal Market System were not overlooked. Countless masses around this Global are already tormented by severe poverty and alienation of various forms. And at the present phase of the 21st century human beings and all genus of lives are confronting a serious ecological crisis around the global. Lastly, this paper makes some suggestion for the Korean Church's appropriate way to the future. At this present time, she is being challenged to transform herself into the real sacrament as being in communion with God and with the human being, and to transform dominant "culture /civilization of death" in the present world into the "culture/civilization of love" as the Kingdom of God. In order to perform this task, the Church should spare no efforts to renew herself as the first step.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last Council, the Church should be the sacramental sign of the triune communion of God, so that she should give up her conventional vertical structure and build up the sacramental community of the trine communion as soon as possible. The other major task of the Church would be regarded as the role of a bridge-builder between the different cultures. Such a role would be assumed in Korea also as a multi-religious society where numerous religions are coexisting. Her roll of the bridge-builder would do an essential service to the enrichment of human universal culture and to the realization of the Asian evangelization. In order to do properly this work, she has to engage in dialogues and collaborations with the other Christian communities, the other religions and all others of good wills in services to the vitalization of the social common good. The Church should commit herself to restore the justice and peace through "the globalization of solidarity" or "globalization without marginalization" amidst the current extreme polarization in various fields of the society and the world. She can do great services to prosperity of humankind through initiative commitments for building up of this 'culture/civilization of love' as the Kingdom of God.

      • 하느님 자비의 신학 :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전환과 하느님 자비

        심상태(Shim, Sang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6 이성과 신앙 Vol.60 No.-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God’s mercy on the occasion of the proclamation of ‘Jubilee Year of Mercy’ by Pope Francesco, which begins on the 8th of December 2015 and ends on the 20th of November 2016, mainly according to Pope Francesco’s teaching in his Holy Year proclamation Encyclical “Misericordiae Vultus”, also “Evangelii Gaudium” and “Laudato Si.’” 1. God’s mercy is the central message of the Holy Bible. Pope Francesco referred to the fact that people Israel has been selected as God’s people only by His Mercy, and mentioned several witnesses of Old Testament about God’s utmost mercy in disregard of His people’s repeated betrayals and mistakes. Then the Pope pointed out that Jesus was born by the Virgin Mary at the time when God’s mercy reached finally the peak, and calls Jesus the face of God father’s mercy, then people sees and perceives that the triune God is love through Jesus’s mercy. And then Pope Francesco pointed out the facts that his words and deeds especially for sinners, poors, abandoned, invalids and painful peoples show God’s mercy. 2. Pope Francesco determined the Jubilee Year motto as “be merciful like Father!” and stressed that the practise of mercy would be the base of any church life. People Israel knew that they were compelled to have mercy on poor people in difficulty what they also got from God for nothing, who don’t take delight in their sacrifices and offerings and demands showing the poors mercy. Christians should follow the teaching of Jesus having mercy on others what they got ahead the unconditional mercy from God, too. Pope insisted that any practice of mercy is the proper essence of God, like Thomas Aquinas grasped previously. 3. Pope wishes very heartily Christians would think deeply about the activities of the bodily and souly merce during the Jubilee Year of Mercy, and practice both of them. The bodily merce means that one gives shabbily clothed and hungry, wayfarers and prisoners their daily needs. Mercy and justice are not two realities that are opposed to each other, but two dimensions of a reality which develops continuously, till reaches its fullness of love. Mercy is God’s activity toward the sinners, and any punishment, that these suffer, is not the end, let them begin their repentance, as they feel meekness of joining Mercy jumps over justice and let experience the love that is basis of true justice. 4. Pope Francesco desires earnestly that the Christians would practice merciful activities that surpass far any conventional charities, and are practiced more actively in the context of social and ecological dimension. Today, the world needs an alternative economy institution urgently, in which all community members would communize their profits, would replace present dominant new liberalistic market institution that has caused extreme poor-rich polarization. And the present ecological system has been facing a serious crisis because of irresponsible exploitation and of human being, so that as the alternative model to current dominant model of economic growth an ‘integral ecology’ would be urgently needed, which seeks a peaceful coexistence of the whole creatures. 5. We understand Pope Francesco’s pastoral intention that has been disclosed in his proclamation of the Jubilee Year of Mercy, as part of his efforts for inheriting and realizing the spirit and teaching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like his predecessors popes. Therefore Korean Church and members should follow his teaching during the Jubilee Year of Mercy and take part in the pursuing ‘New Evangelization task’, while they practise mercy actively toward numerous poor people in the present world that is confronted with a grave crisis of the politic-economic-ecological dimension. 본고는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2015년 12월 8일에 시작하여 2016년 11월 20일에 끝나는 ‘자비의 희년’ 선포를 계기로 ‘자비’의 신학적 의미를 주로 교황의 희년 선포 회칙「자비의 얼굴」을 비롯하여「복음의 기쁨」과「찬미받으소서」에 담긴 가르침에 따라 고찰하고자 한다. 1. 하느님의 자비는 성경의 가장 중심적인 메시지이다. 교황 프란치스코는 구약성경에서이스라엘 민족이 오로지 하느님의 자비 안에서 그분의 백성으로 간택되면서, 그들의 반복되는 배신과 과오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거듭 용서하시는 하느님의 지극한 자비에 관한 증언을 다수 언급한다. 이어서 그는 창조 역사 안에서 하느님의 자비가 절정에 이르게 된 ‘때’에 동정 마리아에게서 태어난 예수를 하느님 아버지의 자비의 얼굴이라고 일컬으며, 예수에게서 드러나는 자비를 통하여 삼위일체 하느님이 사랑이심을 읽고 깨달을 수 있음을 지적한다. 예수께서 특별히 죄인이나 가난한 이들, 버림받은 이들, 병자들, 고통 받는 이들에게 행하신 행업과 들려주신 말씀들을 들어 그에게서 하느님의 자비가 드러난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2. 프란치스코 교황은 희년 표어를 ‘아버지처럼 자비로워져라’로 정하고 자비의 실천이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교회 생활의 토대여야 하리라고 역설한다. 이스라엘 민족은 아무런 조건 없이 하느님으로부터 거저 받은 자비를 곤경에 처한 가련한 이들에게 베풀어야 한다는 요청을 받으며, 그분은 자신들의 희생과 제물을 즐기지 않으시고 다른 이들에게 자비를 베풀라고 요청하심을 알고 있었다. 그리스도인들도 먼저 무조건적인 자비를 하느님으로부터 입었기에, 스스로도 다른 이들에게 자비를 베풀어야 한다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따라야 한다. 자비 실천은 프란치스코 교황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이해하였듯이, 자비 실천이 하느님의 고유한 본질이라고 강조한다. 3. 교황은 ‘자비의 해’에 그리스도인들이 육체적이고 영적 차원에서 자비에 관해 깊이 생각하고 이를 실천하기를 기대한다. 즉, 헐벗고 굶주리는 가난한 이들과 나그네와 감옥에 있는 이들이 현실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을 베푸는 등의 ‘자비의 육체적 활동’과 정신적이거나 심리적으로 불안한 이들을 진심으로 도와주는 등의 ‘자비의 영적 활동’을 행할 것이다. 자비와 정의는 상호 대립하는 두 실재가 아니라, 한 실재의 두 가지 차원으로 충만한 사랑에 이를 때까지 계속해서 발전하는 것이며, 자비는 죄인을 대하는 하느님의 활동으로서 죄인들이 받는 벌은 끝이 아니고 이어지는 용서의 온유함을 느끼고 회개를 시작도록 한다. 자비가 정의를 뛰어넘어 참된 정의의 바탕이 되는 사랑을 체험토록 한다. 4. 교황은 희년 기간 중에 신자들이 자비를 재래의 자선 활동을 넘어서, 사회적이며 생태적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실천하기를 요청한다. 오늘날 극심한 빈부 양극화 현상을 초래하는 신자유주의 시장 제도를 대체하여, 공동체 구성원 모두 이익을 공유하게 되는 대안적 경제 제도 창출이 강력히 요청된다. 또한, 현재 생태계가 인간의 무책임한 착취와 남용으로 말미암아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현실에 직면해 있어서 현재 주도적인 경제 성장 모델 대안으로 전 피조물계의 평화적 공존을 추구하는 ‘통합 생태론’이 절박하게 요청된다. 5. 우리는 ‘자비의 해’ 선포에서 드러나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목적 지향을 그의 선임 교황들을 따라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과 가르침을 계승하여 이를 구현하기 위한 쇄신 노력의 일환으로 이해한다. 그러기에 한국교회와 신자들도 ‘자비의 해’ 기간 중에 교황의 가르침을 따라 정치․경제․생태 차원에서 심각한 위기를 드러내는 현대 세계 안에서 고통을 겪는 수다한 가난한 이들에게 자비를 실천하는 삶으로써 ‘새 복음화’ 작업 수행에 적극 동참할 것이다.

      • KCI등재

        물리적 환경과 생명에 대한 신학적 고찰

        심상태(Shim Sang-Tai)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1994 생명연구 Vol.2 No.-

        It is our purpose to clear up the meaning of life's relation to the natural world as physical environment from the theological perspective. The ecological crisis facing our nation has been rapidly growing since the beginning of the social industrialization in 60' years. Now, all life in the world is today threatened by the worldwide environmental disruption. The undefinite will of a 'domination' power has been the decisive factor what has been conquering and exploiting the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modern technology. If present trends continue, we will face an environmental disaster as irreversible. Therefore, profound changes of our thinking and living way in regard of human relation to the natural world are very urgent in order to enhance all life and to avoid an environmental catastrophe. As such, life could not be defined exactly like other external realities. From the theological viewpoint, life can be understood only in relation with God. Theological view of life issuses from the faith on God as creater and savior. The biblical terms as 'hayim', 'ruah', 'nephesh' and 'basar' may be used to denominate the life as such. Life, as understood in the Bible, in motion. The primordial meaning of life has to do with 'mobil' and 'mobilizing'. Also life consists primarily not in 'esse in ', but in 'esse ad'. To have life is to possess the power to move and to act. In the revelation of the Trinity one can glimpse the fullness of the interpersonal diving life. In the one God there are three persons who live and act. God, Father, principle of life gives all he is to Son. God the Holy Spirit, mysterious bond between Father and Son, who pours Their life and love in man. he who is life itself made incarnate as Jesus Christ. He comes to men to take them up into sharing of the trinitarian God's life to which God has gratuitously called them. It is through the Holy Spirit, the life-giver, that this union of man with Christ is forged and sustained. All life is this trinitarian God's action within a plan of goodness and for a purpose, fully known only to God. Life itself is the breath of God places the life within an order or relation to Himself. So, man does not merit the life. This is God's free gift. All life stems from the divine act of creation. God is life and the source of every life. The high estimate of the title of the living God is an indication of the Christian regard for life. It spears at the last stages of creation as its crowning point in the Bible. Finally, man was created as image of God with His blessing. Therefore, man is ready to sacrifice everything to preserve life. While all life comes from God, life is something precious and sacred. All life participates in God as Creator. And man as image of God has to become a guardian of all life in the world. There are differentiated lives in this world which should not be seen as objects of dominance and exploitation. In union with God man has the task to guard all life with brotherly and sisterly love and to develop all world's possi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e creation. This means that man has to protect the physical environment as the real condition of all life.

      • KCI등재
      • ‘덴칭거’ 한국어 대역판 출판의 역사적 의미와 오늘의 신학

        심상태(Shim, Sang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recent publication of, Creed, Faith and Morals: a guide to rules and teachings, a compilation of 2000 years of the formal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 on faith and morals. Firstly, the author looks at the historical construction of truth within the Church and then seeks to deduce some of its implications for the contemporary work of theology. Proclaimed dogma, that is Divine revelation and the power of the Magisterium, is sourced in Sacred Scripture, the teaching passed down from the apostles and in interpreting its fundamental principles. Theology is not the curation of ‘relics in a museum’, but the re-interpretation of the living tradition, that ever-new source which is Christ the light of the Gospels. Contemporary theology must seek to understand the true import of this faith by investigating its historical contexts and then applying that learning to shed light on contemporary issues. The hermeneutical project is the Church’s source of renewal within a rapidly changing world. Recently, Pope Francis proposes that the way forward for the Church in Korea and its theological task is to discover God’s mercy which lies at the heart of Gospel and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Church’s catechesis and dogma. 이 논문은 2000년 가톨릭교회의 신앙과 도덕에 관한 공식 가르침을 집대성한 『신경, 신앙과 도덕에 관한 규정·선언 편람』의 한국어 번역이 갖는 의미를 추구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먼저 신앙의 진리들이 어떻게 정식화되는지 교의사적 관점에서 일별하고, 이로부터 오늘의 신학함을 위해서 요청되는 조건들을 도출한다. 신적으로 계시되고 교회 교도권에 의해 공적으로 믿을 교리로 선포된 신앙의 교의들은 성경을 그 원천으로 하며, 사도들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전승 또한 해석학의 ‘전통 원리’로 삼는다. 신학은 신앙의 유산인 교의들이 ‘박물관의 유물’로서가 아니라 살아 있는 전통으로 되게 하기 위해서 새로움의 원천인 ‘그리스도의 복음의 빛으로 그 교의들을 재해석해야 한다. 오늘의 신학은 과거의 신앙 유산을 그 맥락 안에서 진의를 파악해야 하며, 오늘날 제기되는 문제에 빛을 비추어야 한다. 이러한 해석학적 작업은 또한 급변하는 사회 안에서 교회의 자기 쇄신의 원천이 된다. 최근 프란치스코 교황이 복음의 핵심 진리로서 하느님의 자비를 모든 신앙 교리와 교의의 해석학적 원리로 파악하고 있는 것은 오늘날 한국교회와 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준다.

      • KCI등재
      • 한국 가톨릭대학교 신학 교육의 반성과 전망

        심상태(Shim, Sang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40 No.-

        본 논문의 주 목적은 7개 한국 가톨릭 대학교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 이래 시행해온 신학 교육의 현실을 분석하고 평가하며 그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다. 첫째로, 논자는 현행 교육 정책과 교과 과정의 성격을 형식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다음에 이 대학교들이 지난 십수 년간에 걸쳐 실시해 온 교육 내용의 실제를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한국 가톨릭 대학교들의 형식상의 신학 교육 정책과 교과 과정들은 한국 정부와 보편 로마 가톨릭 교회의 상이한 두 지침들을 면밀하게 따라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대학교들은 정부 지침에 따라서 4년의 학부 과정과 2 내지 3년의 대학원 과정으로 교과 과정을 채택하였으며, 교회 규정에 따라서 대신학교로서 1년간의 예비 과정, 2년간의 철학 과정과 4년간의 신학 과정으로 전 가톨릭교회의 정식 사제 양성의 교육 과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것은 한국 주교회의 지침에 따라 몇몇 특수한 한국 주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전 신학 교육은 네 개의 구별되는 부분, 즉 인격적이고 지성적이며, 영성적이고 사목적 양성 부분으로 구성된다. 교회 지도자들과 교육자들은 매년 정례 합동회의를 개최하여 현행 교육 체계를 평가하고 사제 양성을 위해 보다 나은 길을 모색하기도 한다. 한국에서 양질의 사제 양성을 이룩하기 위한 괄목할만한 노력이 도모되었음을 쉽게 간과할 수 없으나, 현재 신학 교육의 상황은 꽤 비판적으로 보인다. 이 기간 동안 7개 한국 가톨릭 대학교들이 시행해 온 신학 교육의 수준은 전국에서 모인 학자들과 교육자들이 유일 전국 신학교로서의 신학 대학에서 전국 차원의 신학 교육을 담당했던 과거 1970년대보다 상대적으로 빈약하고 낮은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서 소수의 자격 있는 학자 성직자들이 7개 다른 기관들로 나뉘어져서 상당히 무거운 과업들을 또 다른 추가적인 행정적이고 사목적 업무와 함께 담당해야 한다. 그리고 교회 지도자들에 의해 학자들에 대한 임면이 너무 자주 이루어져서 대학교들에서 안정되고 충분히 높은 수준의 교육을 유지하기가 너무 어렵다. 근래에 이르러 적지 않은 수효의 성직자들의 유감스러운 행태에 대한 비판적 지적들이 지역 교회들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교황의 가르침과 지침들은 교과 과정들이 몇몇 사회적이고 심리학적이며, 교육학적이고 자연 과학들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요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신학 기관들은 이 요청들을 제대로 시행할 수 없는 처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신학 교육이 외부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전통적 신학교 영역 안에서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체 신학 패러다임의 서구 지향성은 한국 신학 체계의 미숙성을 특징적으로 나타낸다고 볼 것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비서구 지역 교회들에게 이미 반세기 전에 토착화를 요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는 로마보다 더 로마적으로 머물러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제삼천년기의 현 단계에서 이 지역 교회의 지도자들이 학자와 교육자들로 하여금 수효와 기간 면에서 이 나라의 어느 다른 대학교 교수들과 교육자들처럼 안정된 조건에서 그들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할 때에 보다 나은 신학 교육에 커다란 공헌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아직 약한 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훌륭한 자질을 지닌 학자에게 교구와 관구, 그리고 국가를 초월하여 가르치고 지도할 기회가 부여되기를 권장한다. 그리고 신학 교육의 폭을 넓히고 강화하기 위하여 7개 대학교들이 공통의 권리와 과업을 지니고 참여하는 소수의 공동 대학원을 구성하여 학생들이 보다 많은 주제들의 강의를 접하고 그들 자신의 학부 대학에서보다 더 많은 다른 학생들을 알게 되는 더 나은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 사회와 전 교회의 비판적인 상황 속에서 한국 교회는 대부분의 작고 미약한 아시아 교회들과 노쇠한 서구 교회들과는 대조적으로 생동적인 역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교회 지도자들과 학자들은 성숙한 한국 교회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토착화의 절박한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reality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that has been pursued at 7 Korea Catholic Universities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1962-1965), and then to point out its future perspective. Firstly, I tried to character the present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 in a formal view, and to evaluate their reality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these universities have practic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formal theological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 of Korea Catholic Universities have followed carefully two different directions of the Korea Government and the universal Roman Catholic Church. According to the governmental directives, they have took commonly the formal educational system with four years' undergraduate courses and two or three years' graduate ones as the university, yet according to the ecclesiastical one, they as major seminaries have peformed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the formal priestly formation for the entire Catholic Church with one year's preliminary course, two years' philosophy courses and four years' theology ones that contain also some specific Korean topics or subjects according the directives of Korea Bishops' Conference. And the entire theological education consists of four different parts, that means, personal, intellectual, spiritual and pastoral formation. The church leaders and the educators have an annual joint meeting regularly to evaluate the ongoing educational system and to seek a better way for the priestly formation. It is not simply overlooked that remarkable efforts have been done to make better quality of the priestly formation in Korea, but ye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seems to be quite critical. The level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that have been pursued at 7 Korea Catholic universities in these periods, seems to be relatively weaker and lower than in the past 1970th years, when the national theological education had been taken by the scholars and educators from the whole country at a single theological faculty as National Major Seminary. Few qualified clerical scholars around the country who have been divided in seven different institutions, have to take quite heavy tasks with another additive managerial and pastoral works. And too frequent nominations and releases of scholars and educators that have been done by the Church leaders make it hardly difficult, to keep the steady and sufficiently high level of education at these universities. In recent years, various critical remarks about regrettable attitudes of not few priests have been made in the local churches. Although the teaching and direct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the popes demand t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has to imply also the areas of several social,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natural sciences, the Korea theological institutions seem to be not able, to fulfill properly these demands, because the whole theological education has been pursued in the traditional seminary area which is secluded from the outer society. And the Western orientation of the whole theological paradigm should be characterized as the immaturity of the Korean theological system. Although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ked every not-Western local church for the inculturation almost a half-century ago, it is quite true that the Korean Church has remained more rom than Rom as such. At the present phase of the Third millennium responsible leaders of this local Church would contribute powerfully to the better theological education, when they let scholars and educators do their works in a stable condition of numbers and periods like other professors and educators of any other universities in this country. And it would be recommendable that any well qualitied scholar might be given the teaching and leading opportunity beyond any diocese, province, and nation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still weak education. And to broaden and strengthen the theological educat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form few joint postgraduate schools that 7 universities partake with common rights and tasks, so that the students have better opportunities to get lectures of more subjects and to know more other students than in their own undergraduate school. In the present critical situation of the Korea society and universal Church the Korean Church manifests a vital dynamism in contrast to most small and weak Asian Churches and antiquated Western Churches. I think that the Korean Church leaders and scholars are confronting pressing needs of Inculturation to develop a more mature Korean Church.

      • KCI등재

        새 50주년을 위한 토착화 신학 진로 모색

        심상태(Shim, Sang Tai)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神學展望 Vol.- No.177

        본 연구논문은 광주가톨릭대학교 설립 50주년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개최 50주년을 맞아 새 50주년을 위한 토착화 신학의 진로 모색을 시도한다. 발표자는 먼저 ‘토착화’ 개념이 둘 이상 문화 사이에 성격을 각기 달리하는 만남이 이루어지는 경위를 나타내는 다섯 용어, ‘문화 융합’, ‘문화 순응’, ‘본방화’, 그리고 ‘뿌리내림’, 또한 ‘상황화’로 표현되는 광의의 개념임을 밝힌다. 이러한 복합적 성격의 ‘토착화’ 신학이 I960년대 이래 비서구 지역 교회들 안에서 각기 다른 성격과 편차를 보여주면서 진척 중이다. 본시 자랑스러운 초기 교회의 토착화 노력과는 대조적 양상을 오늘날 한국 교회는 드러내고 있다. 교회는 전반적으로 여전히 서구 교회에 의존하는 풍토에 머물러 있으며, 신학자들 거의 대다수가 토착화 신학에 대해 무관하거나 냉담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어서 토착화 신학의 기본 입장을 평소 지론에 따라 간략히 서술한다. 토착화 신학은 역사적 유다인 예수를 육화된 하느님의 아들로 믿는 그리스도 신앙의 진리를 여전히 성경과 성전에 의거하여 제시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한국의 종교?문화?정치?사회?경제?지리?역사 등등의 현실 환경과 풍토에 상응하여 한국적 제 범주양식으로 신앙이 표현되고 생활화됨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계시 진리를 구명하는 방법적 입장에서 서구 신학의 합리적 사고에 입각한 논리-분석적 탐구 원리뿐만 아니라, 한국 내지 아시아적인 직관-종합적 사고에 입각한 감성적 체험과 직관의 진리 탐구 양식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마침내 소위 ‘미래학’(未來學)의 기본 통찰을 원용하면서 한국 사회와 세계의 미래 전망을 제시하면서 새 50주년을 향한 토착화 신학의 진로를 모색한다. 금세기에 접어들면서 수직적이고 중앙집권적 구조의 재래 기존 사회 질서를 수평적이고 그물망 형 구조로 대체하는 획기적인 변화가 영상 정보 매체가 중심이 되는 지식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진행 중이어서 미구에 질적으로 새로운 사회의 면모가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미래 전망의 지평 안에서 토착화 신학의 진로를 가늠한다. 발표자는 이 진로가, 1970년대 이래 ‘아시아 주교회의 연합회’(Federation of Asian Bishops’ Conferences: FABC)가 지난 공의회의 토착화 가르침을 아시아 대륙 교회에 적용하고 창출을 강조해 온 기본 입장, 곧 아시아의 가난한 이들, 토착 문화, 종교들과의 대화 등 삼중적인 대화를 통한 ‘아시아 교회의 새로운 존재 양식’에 담긴 전망 안에 이미 제시되어 있다고 보아서 토착화 신학은 그리스도의 계시 진리를 다종교적 문화 풍토 안으로 뿌리내리게 하는 작업을 올바로 수행하기 위하여 토착 문화 종교와의 진실한 대화에 임해야 함을 역설한다. 이 대화는 이 땅에 신앙 진리의 충만한 보편성을 꽃피우기 위한 목표와 함께 현실 세계에 만연한 소외 현상을 지양하여 공동선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표를 지향하고 상대방 안에서 하느님의 계시 진리가 어떠한 양식으로 결실을 맺었는지를 주목하며 이를 수렴하려는 자세로 이루어질 것이다. 끝으로 한국 교회가 앞으로 세계 교회 안에서 보다 크고 주요한 역할을 수행할 태세를 갖추어야 하는데, 발표자는 이를 위해, 신학자들이 아시아 주교회의 연합회의 결의 요청에 상응하여 한국 교회를 ‘이론적 교리와 형식적 법 중심 구조의 경성(硬性) 종교 양식’으로부터 ‘생생한 삶과 영성 중심 구조의 연성(軟性) 친교 공동체 양식’으로 전환함으로써 ‘한국 교회의 새로운 존재 양식’을 창출하는 과업 수행에 명운을 걸고 선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