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척추성 하지 동통과 감별이 필요한 지단 홍통증

        심대무(Dae Moo Shim),김태균(Tae Kyun Kim),박진영(Jin Young Park),오성균(Sung Kyun Oh),우영하(Young Ha W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3

        지단 홍통증은 사지 특히 하지에 동통과 동반되는 발적, 온열감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그 임상적 특징이 척추성 하지 동통과 감별이 필요 할 정도로 유사한 경우가 많다. 69세 남자 환자가 재발되는 양측 하지 특히 족부에 타는 듯한 통증 및 부종, 열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시행한 단순 방사선 검사, MRI 및 신경학적 검사상 특이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따뜻한 물에 양측 족부를 담구었을 때 통증의 재현되고 평소 양말을 신으면 통증이 발생하여 잘 신고 다니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지단 홍통증을 진단하여 스테로이드와 3환계 항우울제를 사용하므로써 증상의 소실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저자들은 척추 질환에 의한 방사통과 비슷한 하지 통증으로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따뜻한 물에 담궈 통증으로 유발시키는 단순한 진단 검사법을 이용하여 지단 홍통증으로 진단하여 삼환계 항우울제와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여 증상의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정형외과 영역에서도 염두해야 할 질환으로 사료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하고자 한다. Erythromelalgia is a rare condition, of uncertain etiology, characterized by episodic erythema, intense burning pain and warmth of the hands and/or feet. We present here a case of erythromelalgia that was almost mistaken for lower leg pain of spinal origin. The diagnosis is based on a thorough history and physical exam during a painful episode along with diagnostic test to exclude other causes. A 69-year-old man developed recurrent attacks of redness, swelling and burning painful sensations of both feet. His symptom was aggravation of pain with warm water immersion. His symptom improved by antidepressant and steroid. To be learned an important general lesson is to pay attention to performing extensive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discontinuation of medication can also be used as a simple diagnostic test for clinical syndromes, such as erythermalgia.

      • KCI등재

        노령 환자에서 대퇴골 전자부 주위 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 시행 후 일상적인 기능적 회복지수

        심대무 ( Dae Moo Shim ),김태균 ( Tae Kyun Kim ),김종윤 ( Jong Yun Kim ),최덕화 ( Duk Hwa Choi ),이정숙 ( Joung Suk Lee ),이성인 ( Seong In Lee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1

        목적: 노령의 대퇴골 전자부 주위 골절의 대부분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바, 이러한 수술적 치료 후 퇴원을 하여도 일상 생활 기능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의 노령 인구에서 발생한 대퇴골 전자부 주위 골절에서 골절의 형태, 골절 위험 요인과 기능 회복의 정도를 평가하고 회복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대퇴골 전자부 주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만 65세 이상의 환자 총 121명에서 1년 이상 추시가 되었던 61명 중 면담 및 전화 설문에 응답한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 성별, 수상 방법 및 대퇴골 전자부 주위 골절 종류, 수술을 확인하고 수술 전후 일상 생활 기능 회복 지수 평가표에 따라 100%를 기준으로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기능이 높다고 해석하고 수술 후 일상 생활 기능 회복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75.8세이었으며, 성별에서 여자가 31명 (62%)으로 남자보다 여자가 많았으며 수상 방법에서 골절의 원인으로 실족이 27명 (54%)으로 가장 많았다. 골절 형태 분석에서 대퇴 전자간부 골절이 34명 (68%)으로 많았으며, 수술 전에 비교하여 기능적 회복 지수는 평균 16.24% 감소하였고, 연령에 높을수록 기능적 회복 지수의 감소도 증가하였고 성별에서는 여성의 기능 회복지수가 높았으며 골절 양상에 따른 경우 대퇴 전자하부 골절에서 17.6% 감소를 가져왔다. 결론: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대퇴골 전자부 주위 골절 수술 후 일상적인 기능 회복 지수는 수술 전에 비하여 평균 16.24% 감소하였으며 가장 많은 감소는 생활 능력 중 기본 생활 능력 회복의 감소였으며 나이는 증가할수록, 성별에서는 여성이, 골절 양상에서는 대퇴 전자하부 골절의 경우 기능적 회복 지수의 감소폭이 큰 것으로 조사되어 이들 요인이 기능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lthough most peritrochanteric fractures in old age necessitates surgical treatment, daily life functions are still impaired after discharge. We assessed the types of peritrochanteric fracture, risk factors, and functional recovery in elderly patients who were over 65 years old. We also tried to determine factors for recovery to daily lif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7, among 61 patients who were over 65 years old with the possibility of 1 year follow-up, 50 patients were selected through interviews. After verifying age, sex, mode, types of fracture, and method, we analyzed daily living activities with a functional recovery index and estimated recovery of daily life functions after surgery, assuming a score increase if functional recovery was good. Results: The mean age was 75.8 years, and females (31 patients, 62%) exceeded males. Slipping (27 patients, 54%)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fracture, and the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 was the most common fracture type (34, 68%). The average functional recovery index decreased 16.24% compared with the pre-operation value, having a tendency to decrease more in old age and female patients. Subtrochanteric femur fracture showed a 17.6% decrease in functional recovery index among the fracture types. Conclusion: In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the functional recovery index after peritrochanteric fracture decreased 16.24% on average compared with the preoperation state. The largest decrease was in basic life ability. The functional recovery index decreased more in old age, females, and subtrochanteric femur fracture, which indicates these factors influence functional recovery.

      • KCI등재

        요추 수술 예정 환자에서 실시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5년 추시 결과

        심대무(Dae Moo Shim),김태균(Tae Kyun Kim),오성균(Sung Kyun Oh),최윤홍(Yun Hong Choi),이석중(Suk J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1

        목적: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는 환자의 수술 준비 과정에서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을 실시하고, 그 효과가 얼마나 오래 유지되는지를 알아 보고자 5년 이상 추시된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에서 2000년 12월까지 하지 방사통으로 타 병원 혹은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권유받은 환자 중 수술 준비 과정에서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분석은 진료기록부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하였으며. 신경차단술 시행군과 수술을 시행한 군의 치료결과 분석은 Kim's criteria (김의 평가기준), VAS(Visual analog scale) score를 이용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환자 69예 중 37예에서는 차단술 후에 증상 호전이 없어 수술을 시행하였고, 32예에서는 신경차단술 만으로 증상호전 되었다. 젊은 사람(60세 미만)에서 보존적 요법보다는 수술을 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이환 기간이 길수록(6개월 이상) 신경근 차단술 보다는 수술하는 경우가 높았다. 차단술 만으로도 호전된 32예의 환자 추시 결과상 다른 치료 없이 증상 호전이 지속되었던 환자는 17예(24.6%)였고 증상이 재발하여 추가 치료를 필요로 한 환자는 15예이었다. 이중 4예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론: 수술이 예정된 하지 방사통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준비 기간 동안에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하여 그 중 일부에서는 장기 추시에서도 증상 호전이 지속 되었다. 따라서 신경차단술은 수술 전에 한번 시도해 볼 만한 방법 중의 하나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in patients with sciatica before surgery through a more than 5 year follow up.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0, patients with sciatica, who were recommended to undergo surgery to diagnose and treat sciatica by other clinics or at our hospital, were selected to undergo SNRB before surgery. Among them, 69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5 years.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interviews, and the treatment results in the SNRB group and operation group were analyzed using Kim's criteria and the Visual Analog Scale score. Results: Among the 69 patients, there was no improvement in symptoms in 37 patients after SNRB. Therefore, they underwent surgery. The symptoms of the remaining 32 patients were improved by SNRB. Overall, younger patients and those with a longer symptom duration required surgery. Conclusion: SNRB was performed on patients with sciatica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surgery. Some pati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symptoms in the long term. Therefore, SNRB should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option prior to surgery.

      • KCI등재

        국소 자가골을 이용한 경추 전방 유합술의 유용성

        심대무(Dae Moo Shim),김태균(Tae Kyun Kim),오성균(Sung Kyun Oh),김상열(Sang Yul Kim),이승빈(Seung Bi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2

        목적: 국소 자가골과 자가 장골을 충전한 polyetheretherketone (PEEK) 케이지 삽입술 및 경추 전방 유합술 후 결과를 비교하여 국 소 자가골 이용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에서 2009년 3월까지 전방 추간판 제거술 및 PEEK 케이지와 전방 금속판을 이용한 전방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국소 자가골을 케이지에 충전한 15예와 자가 장골만을 충전한 16예, 총 31예를 대상으 로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Visual analogue scale 점수는 경부 동통/방사통이 국소 자가골을 이용한 경우 술 전 5.8/7.7에서 술 후 1.6/2.3으로 호전되었 으나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05), neck disability index도 국소 자가골군에서 평균 6.25점, 자가 장골군에서 평균 5.75점 으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두 군간의 통계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방사선학적 유합 시기는 국소 골이 평균 14.0주 에, 자가 장골이 평균 12.62주로 평균 1.38주 자가장골이 더 짧은 유합 시기를 보였으나 통계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76). 결론: 국소 자가골을 충전한 PEEK 케이지를 이용한 경추 전방 유합술은 자가 장골을 이용한 경우와 방사선학적 골유합과 임상결과 에 있어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locally harvested bone in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including 31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using a polyetheretherketone (PEEK) cage and anterior plate fixation. We randomly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local bone group and iliac bone group. In 15 patients of the local bone group, the cage was filled with locally harvested bone, and in another 16 patients of the iliac bone group, the cage was filled with autogenous iliac bone. Results: Improvements in mean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from 5.8 and 7.7 to 1.6 and 2.3 for neck pain and arm pain, respectively, were observed in cases using locally harvested bone, while the improvements were from 5.7 and 7.2 to 1.4 and 2.2, respectively, in those using autogenous iliac bone graf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VAS and neck disability index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last follow up (p>0.05). Radiologic union was achieved at 14.0±2.50 weeks in the local bone group, and at 12.62±1.58 weeks in the iliac bone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p=0.076). Conclusion: Utilization of locally harvested bone for packing in a PEEK cage for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is considered a useful method because it gives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for retention of bone union and lordosis angles.

      • KCI등재
      • KCI등재

        하지 방사통을 동반한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서 선택적 척추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

        심대무(Dae Moo Shim),김태균(Tae Kun Kim),송승엽(Seung Yeop Song),김창수(Chang Su Kim),권병택(Byung Taek Kwon),전영대(Young Dae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2

        목적: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 대해 선택적 척추신경근 차단술의 이의 효과 및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4월부터 2013년 3월까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조절되지 않는 하지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받은 총 642명의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1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군은 41명(A군), 단순 하지 방사통 환자군은 72명(B군)이었으며,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후 김의 평가기준상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인 환자는 A군 14예(34.1%), B군 45예(62.5%)로 단순 하지 방사통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좋은 결과를 보였다(p<0.05). Visual analog scale (VAS) 점수는 A군에서 시술 전 7.57, 시술 12개월 후 5.23으로 나타났고, B군에서 시술 전 7.11, 시술 12개월 후 3.49로 두 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A군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까지 시기가 B군보다 유의하게 늦게 나타났다. 결론: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의 경우 초기 치료 시작 시기와 연관성을 보여, 신경병증성 통증의 적절한 평가를 통해 조기에 적극적인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시행을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effect and efficiency of selective spinal nerve root block for neuropathic pain patients with lower leg radiating pai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13 patients were evaluated and follow-up periods were a minimum of 12 month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included 41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and group B included 72 patients with simple lower leg radiating pain. Results: Fourteen (34.1%) patients in group A and 45 (62.5%) patients in group B had favorable results for selective spinal nerve block (p<0.05). Visual analog scale (VAS) was improved from 7.57 to 5.23 at 12 months in group A and from 7.11 to 3.49 at 12 months in group B. Conclusion: The initial treatment period for group A was significantly later than in group B. For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and radiculopathy, early assessment was recommended and early selective spinal nerve block could be a good treatment option for neuropathic pain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경추부 연부조직 계측에 있어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의 비교

        심대무(Dae Moo Shim),김태균(Tae Kyun Kim),이석중(Seok Jung Lee),송승엽(Seung Yeop S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4

        목적: 초음파를 이용한 경추부 해부학적 구조를 탐색하고 이를 자기공명영상 결과와 비교하여 경추부 구조 탐색에 있어 초음파 이용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5월에서 2009년 1월까지 경추부 통증을 주소로 본원 외래 내원하여 경추부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고 추시 진료 중인 16명(남 8명, 여 8명, 평균 55.5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윤상연골 부위, 기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내정정맥(Internal jugular vein),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경장근(logus colli muscle)까지의 최단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경장근(longus colli)에 대해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자기공명영상의 축상면상(axial view) 제6경추에 해당하는 높이에서 각각의 최단거리 및 경장근의 두께를 측정하여 평균 값을 구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한 거리는 내경동맥까지 평균2.12 ㎝, 내경정맥까지는 평균 3.04 ㎝, 흉쇄유돌근까지는 평균4.34 ㎝, 경장근까지는 평균 0.68 ㎝이었다. 경추부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한 거리는 내경동맥까지 평균 2.23 ㎝, 내경정맥까지는 평균 3.14 ㎝, 흉쇄유돌근까지는 평균 4.39 ㎝, 경장근까지는 평균 0.70 ㎝이었다. 또한 경장근에 대해 측정한 두께는 초음파에서 평균 0.77 ㎝이였고,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는 평균0.76 ㎝를 보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측정과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이용한 측정에서의 거리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경장근의 두께에 대해 측정한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초음파를 이용한 경추부 주요 구조물들의 계측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 경장근 두께를 측정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 초음파가 향후 경추부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wanted to determine the usefullness of ultrasonography for exploring cervical anatomical structures and to compare its results with thos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8 and January, 2009, 16 patient (8 male patients and 8 female patients, average age: 55.5 years old) with neck pain following in out patient clinic and who had cervical MRI performed were selected By using ultrasonography, we measured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internal jugular ve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longus colli muscle based on the vertebral body of cricoid cartilage. We also measured the thickness of the longus colli muscle. We measured the average length of the shortest distance and thickness of C6 on MRI axial view. Results: The length using ultrasonography showed that the average length was 2.12 ㎝ for the internal carotid artery, 3.04 ㎝ for the internal jugular vein, 4.34 ㎝ for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0.68 cm for the longus colli muscle. Cervical MRI was used to measure the same structures. Its results were 2.23 ㎝ for the internal carotid artery, 3.14 ㎝ for the internal jugular vein, 4.39 ㎝ for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0.70 ㎝ for the longus colli muscle. We also measured the thickness of the longus colli muscle with ultrasonography and cervical MRI, and the results were 0.77 ㎝ and 0.76 ㎝,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ltrasonography and MRI for the measurement of length,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measurement of thickness.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measurement of cervical anatomical stuctures using ultrasonography, and especially the longus coli thickness, as compared with that of MRI. Therefore, we suggest that ultrasonography can give mor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roblems in the cervical spinal fiel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