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문학에 나타난 處士의 전형

        심경호(沈慶昊)(Sim, Kyung-ho)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1999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Vol.1 No.-

        " 1. There are a variety of concepts to describe the mode of being for human life, which were developed in the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Korean classics]. Among them, there is a term of ‘recluse’ referred to as a character who does not accept any government post but is entitled to a paragon of great personality. Meanwhile, in the Korean classics, the term of recluse takes a limited historical implic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concept. In the Korean classics, ‘recluse’ is referred as a seeker after truth in the province where is not far apart from human society.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e Korean classics wa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worry about the real world, and the first justice of it was the responsibility consciousness[Verantwortungsethik] to reform reality and build an ideal society up. However, when ideology is estranged from reality, a human being must concentrate his efforts to ‘improve himself alone.’ There were men who had the consciousness of worry about the real world but did not reveal a will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directly and who got himself absorbed in the individual and personal self-discipline [individuelle und persónliche Selbstbildung], retiring to hermitage in the mountains and forests. Such a mode of character is ‘recluse.’ 2. Around the mid-sixteenth century of the Yi dynasty, there were a good many of recluses whose purposes were to put the Confucian philosophy [moral philosophy] practice. For instance, characters such as Gyung-Duk Seo, Un-Jeok Yi, Hwang Yi, Sik Jo were representative recluses who produced many recluses of distinguished talent. Also, in the latter part of the Yi dynasty (that is,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there were a great number of characters who took the life of recluse, retiring to hermitage in the mountains and forests. The mountains and forests where they retired to hermitage are not spaces where they ‘live together with birds and beasts’ [鳥獸同群] but provincial societies where they ‘strive to put daily justice in practice’ [勉日用]. However, in the earlier Yi dynasty (before the seventeenth century) recluses took a life of moralist ‘sustaining the pious attitude and simultaneously pursue reason’ [居敬], while in the later Yi dynasty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recluses did not necessarily become ‘moralists.’ It is because the content of philosophical pursuit was changed then. In addition, some of characters could not help taking a life of recluse as they fail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owever, in general recluses lived a truth-seeking life to acquire essentiality, denying a daily mode of reality. 3. The study discussed the mode of being for recluses and examined their oriented consciousness, centering on the literature of ‘Toe-Kye’ Hwang Yi. In addition, as the separation literature from human being cannot be considered in the Confucian practice, the study discussed literature in the relation to the life of the subject of literature practice. This is derived from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before the modem time. The shape of recluse is not presented in the completed form but appeared indirectly in the total orientation of life and literature. The recluses seek the unity of objects and self that is the finality of moralistic mind boundary. That is, they attached importance to the state where the external objective and the internal spirit is united, which indicates ‘freedom from avarice and understanding’ [景與意會]. This attitude of truth-seeking is shown in Gyung-Duk Seo or Un-Gap Yi, but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who took such attitude is exactly Hwang Yi. He decided to retire to hermitage in order to ‘sustain the pious attitude and simultaneously pursue reason that is a law of universe’ [居敬窮理].

      • 양자 내성 공개키 암호알고리즘 연구 및 NIST 표준화 동향

        심경아 한국통신학회 2018 정보와 통신 Vol.35 No.7

        본고에서는 양자컴퓨터에 안전한 다양한 난제에 기반을 둔 양자내성 공개키 암호알고리즘 연구 동향과 미국 표준기술연구소 NIST의 양자 내성 공개키 암호 표준화 동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관찰-발견-확장〉 교수에서 실례를 통한 학생들의 창의적 사유능력의 배양

        심경호(沈京浩)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29 No.-

        《조선족고급중학교교과서 조선어문 필수 1》부터 《조선족고급중학교교과서 조선어문필수 4》까지 살펴보면 모두 8개의 습작과문이 있는데 그 내용들을 교원이 어떻게 실감 있고 재미 있게 효과적으로 가르치는가 하는 것은 자못 중요한 문제이다. 초중에서 일정한 작문기초를 닦고 고중에 진학한 학생들에게 어떻게 사물을 관찰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하게 할 것인가는 반드시 중시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특히 대학입시를 앞두고 있는 학생들은 자기나름의 세계관, 인생관, 스찔이 있는 글을 지어내야 할 것이다. 누군가 “관찰한 만큼 보이고 보인 만큼 쓸 수 있다.”고 하였다. 본 론문에서는 학생들의 글짓기능력 제고를 목적으로 하여 조선족고중 조선어문교원들이 습작교수에서 어떻게 다양한 실례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창의적 사유능력을 배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론술하였다.

      • 학생들의 독서를 어떻게 지도하였는가

        심경호(沈京浩)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25 No.-

        독서란 책을 읽고 학습하는 것을 가리킨다. 의무교육조선족학교 《조선어문과정표준》(시행고)의 ‘과정의 기본리념’부분에서는 “학생들의 문화루적에 주의를 돌려 문화적 기초를 충실히 하며 심미의식, 심미취미와 심미능력을 길러주고 비교, 판별 능력의 토대에서 문화품위를 높여주어 정확한 가치관과 량호하고 건전한 인격을 형성해야 한다.”고 제기하였다. 이 목표를 달성하자면 학생들의 독서흥미를 불러일으키고 독서면을 넓히며 독서량을 증가해야 한다. 책은 세계를 내다보는 창문이며 지식의 보물고를 여는 열쇠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에 이르러 인공지능시대에 들어선 오늘 독서는 여전히 학생들에게 너무나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중학생들은 보편적으로 독서를 싫어하며 책을 읽는다 해도 수업과목과 관계되는 일부 책들만 억지로 읽는 상태이다. 이 글에서는 학생들의 독서현황에 비추어 주요하게 초중 조선어문교과서에 수록된 과문들을 둘러싸고 어떻게 학생들의 독서흥취를 불러일으키고 그들에 대한 독서지도를 했는가 하는 것을 다년간의 수업실천과 결부하여 이야기하고저 한다.

      • 간(簡) 개념의 다층적 의미와 개념 활용의 역사

        심경호(沈慶昊)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4 동아한학연구 Vol.- No.9

        간(簡)은 한국 예술사 자료에서 단독의 용어로도 쓰이고, 간고(簡古), 간아(簡雅), 간이(簡易), 간약(簡約), 간정(簡靜), 간직(簡直), 간고전아(簡古典雅), 간엄수고(簡嚴邃古), 간이유법(簡而有法) 등의 복합어로 쓰였다. 이때 ‘간(簡)’은 ‘천박(淺薄)’ㆍ‘간루(簡陋)’가 아니고 간하면 할수록 더욱 아름다워지는 경지를 의미한다. 이를테면 간고(簡古)는 간솔(簡率)하고 고박(古朴)한 예술풍격을 가리킨다. 한국 예술비평 자료에서 간(簡)의 개념을 미학적 의미에서 사용한 예들을 보면, 간(簡)을 미학적 개념으로 사용한 예와 간(簡)을 수사법과 관련시켜 기능적 개념으로 사용한 예들로 크게 갈린다. 그 둘은 서로 관련이 깊은데, 이들은 다시 다음과 같이 세분할 수 있다. (1)간(簡)을 여러 풍격이나 미학의 한 개념으로 파악하는 관점, (2)한유(韓愈)나 유종원(柳宗元), 혹은 사마천(司馬遷)의 산문이 지닌 미학적 성취를 기준으로 간(簡)의 미학을 논하는 관점, (3)경전이나 성리학자들의 글을 간(簡)의 미학을 구현한 것으로 파악하는 관점, (4)간(簡)을 창작물의 최고 미학으로 파악하는 관점, (5)성리학, 경술 혹은 학문 일반에 근본을 둔 문학의 미적 경계를 간(簡)으로 보는 관점, 이 그것이다. 고문가들은 고문의 수사적 원리를 간(簡)에서 찾았다. 비지체(碑誌體)의 산문에서는 특히 간(簡)의 미학을 중시하였다. 고문에서 간(簡)의 미학은 수사적 기법상의 간(簡)에 의해 구현된다. 이의현(李宜顯)은 『도협총설』에서, 특정한 산문 문체를 모방한다고 해서 간이해지는 것도 아니고, 또 간이함만 추구하는 것이 최상이 아니라, 평창(平暢)과 간오(簡奧)를 문장의 성격에 따라 추구해야 한다고 했다. 간(簡) 개념은 문학적으로는 산문의 편법ㆍ장법에서 서술 대상의 초점을 부각시키는 때에 이루어질 미학성을 가리킨다. 한문산문은 당송고문이든 의고문이든 소품문이든 일반적으로 간(簡)의 미학을 추구하였다. 간(簡)은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수용자 측에게 기대하는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을 때 최선의 상태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근대 이전의 독서층은 간약(簡約)을 중시하여, 시문의 선별에서 간(簡)의 방식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또한 자형, 자체에서 예서(隸書)를 간(簡)의 원리를 구현한 글자체로 보기도 하였다. 근대 이전에는 인간과 예술의 관계를 불가분리의 관계로 보았으므로, 내면의 온축을 바탕으로 간(簡)의 미학을 실현하는 것을 미학의 높은 가치로 보았다. 조선후기에는 한문산문의 문법을 고정적인 것으로 보지않는 활법(活法)의 관념이 발달하면서, 간(簡)의 본래적 개념에만 한정하지 않으려는 사고도 나왔다. 하지만 근대 이전의 지식인은 책임의식과 자기수양을 매우 중시하여, 내면의 온축을 바탕으로 문학 등 예술에서 간(簡)의 미학을 추구하는 것을 지고(至高)의 이념으로 삼았다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더구나 한문 문언이 지닌 특징은 사유과정의 축약과 행문의 간결성을 실현하기에 용이하여, 한문 문언을 구사한 문학은 의식하든 의식하지 않든 간(簡)의 미학을 지향했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문자와 매체 : 조선선비의 문자생활과 지적 교류

        심경호(沈慶昊)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조선시대의 지식인은 시문을 통해서 책무의식을 충족하고 자기완성을 시도하였으며 지적 교류를 행했다. 그들은 시문의 다양한 양식과 장르를 활용해서 삶의 제 국면들을 기록하고 논평하고 상상력으로 개입시켜 형상화했다. 본고는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문자활동과 지적 교류 양상에 대해 다음 몇 가지 국면을 중심을 살펴보았다. (1) 제한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차운次韻, 시평詩評과 간찰簡札 : 선인들은 수창酬唱과 간찰 왕래를 통해 공감, 논쟁, 추인, 반성의 계기를 마련했다. 수창에는 개별적인 오론晤論과 권면勸勉을 대신하는 양태도 있고 집단적 만남인 시회詩會의 양태도 있다. 또 정서와 사상의 교감을 위한 통로로 간찰을 이용했다. (2) 정서적 교감과 집단정서 창출 방식으로서의 시회詩會 : 사대부 문인이나 중간 계층의 지식인들의 각종 모임에서 주령의 하나로서 시령을 행하였는데, 분운分韻ㆍ경작競作ㆍ연구聯句ㆍ호운呼韻ㆍ호자呼字 등의 여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밖에 여러 가지 규식規式을 사용했다. (3) 서발문과 비지ㆍ행장을 통한 평론과 의론 : 서발문은 잠재적 의론과 논쟁을 유발했다. 또한 비평은 곧바로 시문 교환을 통해서 감수성과 사유관념을 타자에게 제시하고 평가를 받는 양식으로서 큰 의미를 지녔다. (4) 간역刊役과 강학講學을 통한 학맥의 확인 : 집안 어른의 문집을 간행하는 일은 간혹 실질을 벗어나 사적 편협성이 개입되는 예가 없지 않았다. 그러나 스승의 문집을 간행하는 일은 사승을 확인하고 발전시키는 일과 관계되어 공적 성격을 띠었다. 한편 조선 후기의 선인들은 강학을 통해서 학문적 결속을 다지기도 했다. (5) 공동저술과 학단學團의 형성 : 조선시대에는 학맥과 학파는 여럿 형성되었으나, 동시대에 공동 연구를 행하는 학단은 그리 성하지 않았다. 다만 김진金搢이나 다산 정약용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향후 조선시대 학맥을 중심으로 학안學案을 구성하는 일이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본다. Joseon dynasty literati, through poetry and prose, tried to fulhill his duty to the society he belonged and to cultivate his mind and at the same time to exchange academic opinions as well. This treatise is to clarify the literary activities and intellectual intercourse of Joseon dynasty literati. (1) Ciyun(次韻), criticism for poems and correspondence of letters as the way of restricted communication : Through correspondence of poems and letters, Joseon dynasty literati sympathized and disputed with each other and reflected themselves. They communicated through poems and letters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2) Poetry clubs(詩會) for emotional communication and for creation of emotional union : Joseon dynasty literati used shiling (詩令) as one of jiulings(酒令). In that case fenyun(分韻), jingzuo(競作), lianju(聯句), huyun(呼韻), huzi(呼字) etc were in use. (3) Criticism and argument through prefaces(序跋) and prose on tombstone(碑誌) : prefaces induced arguments and disputes which lied hidden. Criticism by which one can, through correspondence of letters, reveal one's feeling and thought was also important. (4) Confirmation of a school through publishing and lectures : There sometimes were cases that in publishing ancestor's collection of works intervened a private prejudice. But publishing master's collection of works possessed public character in a sense that it confirmed and develop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s and pulpils. Joseon dynasty literati also strengthened members' solidarity through lectures. (5) Joint authorship and formation of a school : In Joseon dynasty many school formed but academic party which perfomed joint research was rarely formed. Gim Jin(金搢) and Jeong Yakyong(丁若鏞) were rare examples.

      • 고중 조선어문교과서에 수록된 중국 고대문학작품에 대한 약간의 탐구

        심경호(沈京浩)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2 중국조선어문 Vol.239 No.-

        신편 조선족 고급중학교교과서 조선어문 필수 1부터 필수 4에는 9편의 중국 고대문학작품이 수록되여있다. 교과서에 수록된 중국문학작품중 중국 고대문학작품이 차지하는 비률은 22%에 달한다. 학생들에게 중국의 문화에 대한 자신심을 키워주고 중국 전통문화의 정수를 이어나가게 하는 막중한 임무를 지닌 교원으로서 중화민족의 우수한 문화중의 일부분인 중국 고대문학작품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론문에서는 신편 조선족 고급중학교교과서에 수록된 중국 고대문학작품과 관련된 문체지식에 대한 인식과 함께 학생들이 중국 고대문학작품을 쉽게 접수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