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경향상 기술이 제기하는 난제: 신경법학의 기반 연구를 위한 윤리적 쟁점 검토

        신희건,엄주희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20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3 No.1

        As clinical neurotechnologies have been rapidly making progress in the 21st century, several medical technologies, originally used for treating mental diseases, have been developing in a way that they may go beyond the simple purpose of treatment and be used for improvement of an ordinary person's brain functions. Such technologies are those of which the objective is to carry out neuroenhancement, a set of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the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of an ordinary person - they are thus so called neuroenhancement technologies. These technologies can be classified as surgical, electronic, and psychopharmacological. As has surfaced the prospect in which they directly and indirectly intervene in mental phenomena of a healthy person beyond the treatment purpose, ethical discussions pertained to neuroenhancement technologies have been actively taking place. Ethical debates that have proceeded surrounding the notion of their social acceptance may be generally reviewed with four large issues. The first of these is safety; the position that views problematic the potential danger long-term and future of neuroenhancement technologies is pitted against the position maintaining one cannot simply make a negative ethical assessment with just the possibility of danger. Secondly, there is the issue of inequality - in terms of which debates have been focused upon whether neuroenhancement technologies will worsen the existing socioeconomic gaps. The third issue is coercion and autonomy. On this the opinions have as well diverged, as on one hand is the position that social pressures to use neuroenhancement technologies will violate the right and freedom to not choose neuroenhancement, and on the other the position stressing the autonomy of an individual who freely chooses to use a neuroenhancement technology. Finally, there is the issue of authenticity, regarding which exists the negative view that neuroenhancement technologies undermine authenticity of human who autonomously identifies one's own mental states and applies them to one's action, in contrast to the view merely holding these technologies as means to realize human authenticity. 21세기 임상 신경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본래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데 쓰이던 의학 기술들이 단순히 치료 목적을 넘어서, 일반인의 뇌 기능 향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일반인의 인지 및 정서 기능을 향상시키려는 개입인 신경향상을 이행하는 기술로서, 곧 신경향상 기술로 지칭된다. 신경향상 기술은 크게 침습적, 비침습적, 그리고 정신약리학적 기술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것이 건강한 사람의 정신적 작용에 치료 이상의 목적으로 직간접적으로 개입하는 전망이 제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윤리적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신경향상 기술의 사회적 수용에 관하여 전개되어온 윤리적 논쟁들은 크게 네 가지 의제로 나누어 개괄적으로 검토해볼 수 있다. 첫째는 안전성으로, 신경향상 기술의 미래적이고 장기적인 잠재적 위험성을 문제 삼는 입장과 잠재적 위험성만으로 신경향상 기술을 윤리적 차원에서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 대립하는 형국이다. 둘째는 불평등으로, 이와 관계된 논쟁들은 신경향상 기술이 계층 간 기존 사회적·경제적 격차를 심화시킬지의 여부에 관심을 갖는다. 셋째는 강제성 및 자율성이다. 이와 결부된 입장들은 신경향상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이 신경향상을 선택하지 않을 권리 및 자유를 침해할 것이라는 관점, 그리고 신경향상 기술을 사용하기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개인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관점으로 나뉜다. 마지막 의제인 진정성 관련해서는 신경향상 기술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정신 상태를 식별하여 본인의 행동에 반영하는 인간의 진정성을 훼손시킨다는 부정적 시각이 존재하며, 이에 반하여 신경향상 기술은 단지 인간의 진정성을 이행하는 수단일 뿐이라는 대조적 시각이 존재한다.

      • KCI등재

        학령기 후기 아동의 삶의 질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희건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1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아동의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 정도를 파악하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서울, 6대 광역시, 경기도, 충북 지역 소재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1,802명의 설문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변량평균 4점 만점에 아동의 삶의 질 정도는 2.97±0.61점, 자아존중감은 2.65±0.60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의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은 학교성적, 아동이 지각하는 가정의 경제상태, 형제 중 순서 그리고 거주 지역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동의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은 서로 순 상관관계가 높으며(r=.879, p<.001), 학교생활, 또래집단과의 관계 그리고 부모와의 관계는 아동의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아동의 학교생활정도와 부모와의 관계는 학령기 아동의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또래집단과의 관계, 친한 친구 수, 학교성적, 경제상태, 형제관계, 방과 후 집에 어른의 유무 역시 아동의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아동의 삶의 질 설명력은 62.8%, 자아존중감은 60.2%였다. 학령기 후기 아동의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을 이해하고 증진을 위해서는 이들 요인을 고려한 중재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of primary school-age childre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This study was secondary data analysis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802 children at primary schools which were located in Seoul, Kyunggi-do, and Chungcheong-do areas including 6 metropolitan cities. The quality of life (QOL) score has shown 2.97±.61 and self-esteem (SE) 2.65±.60 on a maximum scale of 4 points (range 0~4). The result h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in QOL and SE at the fa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economic status, order of sibling, and living area in general characteristics. QOL showed strong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 (r=.879, p<.00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QOL and SE were also correlated with school satisfaction, relationship same age group, and relationship parent. The factors affecting QOL and SE were school satisfaction, relationship parent, relationship same age group, best friends number,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economic status, relationship sibling, and caregiver after school. R2 showed 62.8% in QOL, 60.2% in SE.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s to develop intervention strategy promoting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of school-age children.

      • KCI우수등재

        로짓모형을 적용한 학생 맞춤형 예방상담지원 서포트지수 개발 연구

        신희건,남호수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9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0 No.2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through developing support index and utilized the index for student counseling from whom encountered various issues during their college life. In order to develop the support index, about 20,419 recor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learning from the training data for the last six years. Individual factors for students were set as descriptive variables, and students' academic continuity and dropout were analyz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s a results, firstly, the input of explanatory variables was significant in the model fit (p<.001). Secondly, the number of breaks, the number of academic records, and economic factor1 have a strong impact on the support index, but the number of enrollment semester, the average of grades, and the number of scholarship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upport index. Lastly, economic factor2 and the total amount of scholarships were shown significant, but the impact on the support index was minimal. Based on the results, the support index,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support required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udent counseling.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대학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개인특성요인들을 분석하여 학생상담지원을 위한 서포트지수 (support index)를 개발, 활용함으로써 상담지원의 효율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서포트지수는 학생 개개인이 다양한 여건에서 제적과 자퇴의 중도탈락 할 가능성을 확률로서 나타낸 값으로 정의하였다. 서포트지수 개발을 위해 A 대학의 최근 6년간 중도탈락 관련 자료를 훈련 데이터 (training data)로 학습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학생 포함 총 20,41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대학생의 개인특성요인으로 학업, 경제적 여건, 심리적 요인, 대학생활환경 요인을 설명변수로 설정하고, 학생의 학업지속 및 중도탈락을 이항반응변수 (binary response variable)로 logistic regression (logit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투입된 설명변수 (등록학기수, 휴학횟수, 평점평균, 학사경고수, 경제요인1 (건수), 장학수혜횟수, 면담횟수 등)는 모형적합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p< .001). 둘째, 승산비를 고려할 때 휴학횟수, 학사경고수, 경제요인1 (건수)은 서포트지수에 강한 양의 영향을 미치며, 등록학기수, 평점평균, 장학수여횟수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요인2(금액)와 장학총액은 모형적합 결과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서포트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상담지원이 필요한 정도를 나타내는 서포트지수의 추정과, 이를 기반으로 학생상담지원에서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일 지역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정서지능, 삶의 질, 학과적응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희건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9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emotional intelligence (EI), quality of life (QOL), major adapt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f healthcare-related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were 201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of A university in Busan city. The data were processed through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h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in QOL, major adaptation and major satisfaction at the factors of major, academic achievement and number of best friends i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ajor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EI, QOL and major adapt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actors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were EI, QOL, and major adaptation. R^2 showed 72.5% (F=106.43, p<.001) in major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s to develop intervention strategy promoting EI, QOL, and major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일 지역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정서지능, 삶의 질, 학과적응 및 학과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016년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A대학교의 보건의료계열 6개 학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 201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정서지능은 197.74점 (0~400점), 삶의 질 6.49점 (0~10점), 학과적응 6.55점 (0~10점), 학과만족도 6.39점 (0~10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지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대학생의 삶의 질, 학과적응, 학과만족도는 전공, 학교성적, 친한 친구 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지능, 삶의 질, 학과적응 및 학과만족도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과적응, 삶의 질, 정서지능으로 나타났고, 모형에의 설명력은 72.5% (F=106.43, p< .001)를 보였다. 보건의료계열 학생의 학과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정서지능, 학과적응 그리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공영역별, 개인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삶의 질과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와 의사소통과의 관계

        신희건,유일영,오의금 한국아동간호학회 201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6 No.3

        서울 및 경기도 지역 4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과 부모 148쌍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아동과 부모 모두 아동의 삶의 질을 높게 보고하였고, 부모의 양육태도(r=.418, p<.001)와 부모와 의사소통(r=.453, p<.001)은삶의 질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또래집단과의 관계, 부모와의 의사소통, 학교 성적, 방과 후 집에 어른이 계시는지의 여부, 학교생활 만족 정도 및 출생순위는아동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전체 모델의 47.7%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6.184, p<.001).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아동은 발달단계에 따라 삶에 대한 인지가 다르므로다양한 발달단계의 아동을 대상으로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을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바람직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이고 체계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적용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입원환아의 보호자와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의 질 비교

        박경옥,신희건,변현주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1996 간호학탐구 Vol.5 No.2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focused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clients to measur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However, studies of nurses self evaluations on the quality of nursing care they provide have been very rare. In this research, quality of nursing care was evaluated by the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in the pediatrics ward of a hospital and by nurses themselves. These evaluations were then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evaluated the quality of nursing care as being slightly higher than what the nurses themselves evaluated for their care. In the case of the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they believed that they received kind nursing care, and they thought that the nurses expressed sincere interest in the health status of the patients and were encouraging and helpful.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size of the difference was very small. One of the main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the small number of nurses compared to caregivers.

      • KCI등재

        남자대학생의 콘돔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은미,신희건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6

        This study has been attempted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promoting condom usage, introducing specific nursing intervention plan, and developing ST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Abortion, and AIDS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dom use to target the male college stud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le students at 2 colleges in B city between March 1 and 30, 2015 and 15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with SPSS/WIN 21.0 program.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condom use of the subjects appeared to 69.03±35.11. Condom use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xual attitude (r=.263, p<.05) Relevant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condom use of the subjects were identified number of dating, the number of sex partners, and sexual attitud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20.6%. In this study, it was able to verify that repeated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condom and that the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to improve the use of condom of male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콘돔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조사함으로써 이에 근거한 콘돔사용 증진과 구체적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하고 성병, 낙태, 에이즈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의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대학생으로 2015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고, 최종 15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사후검증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계수, 콘돔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콘돔사용정도는 69.03±35.11%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콘돔사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데이트횟수, 파트너수 그리고 성태도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20.6%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남자대학생의 콘돔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요구되며, 콘돔사용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