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성사 공연 활동에 관한 예술사적 연구 -1910년-1918년대까지의 전통공연예술을 중심으로-

        신혜주 ( Hyeju Shin[hye Ju Sin] ) 한국음악사학회 2016 한국음악사학보 Vol.56 No.-

        본고에서는 1910년대 단성사에서 공연되었던 전통공연예술을 고찰하기 위해 당시 발행된 신문 기사와 잡지를 기반으로 단성사의 설립과 그 안에서 연행된 공연을 살펴보았다. 본고의 목적은 첫째,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근대 극장인 단성사의 위상을 살펴보는 것과 둘째, 단성사에서 공연된 전통공연 예술의 근대공연예술사적 의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장으로 구성된다. 본문의 첫 번째 장인 Ⅱ장에 서는 단성사의 공연 양상을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세 시기에 제시 되는 공연은 『황성신문』, 『만세보』, 『대한매일신보』, 『매일신보』 등의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시기마다 연행된 공연의 형태가 변화되어 온 것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공연을 종목별로 접근하여 공연의 연행 방식과 특성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무용은 종류에 따라 민간으로 전승된 궁중정재, 민간무용, 창작무용으로 세분화하여 검토하였다. 기악부분은 줄풍류, 음악 합주 등 다양한 명칭의 공연이 연행되었지만 악기편성을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 영산회상이 연주되었던 것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더불어 박팔괘 가야금 연주에 대한 연구는 박팔괘가 가야금 병창과 더불어 산조를 연주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기악과 성악부분에서 제시된 박팔괘 공연은 그동안 가야금 병창 명인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박팔괘에 대한 재조명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연극 및 재담에서는 단성사에서 공연된 연극을 살펴보았으며 배응현 일행의 구극 단체로서의 성격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혁신단과 같은 신연극 단체의 등장으로 구연극의 입지가 사라졌다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신연극과 구연극의 병행적 공연이 연행된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단성사의 공연예술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무대 변화를 통해 공연에서 무대 장치가 활용된 것과 관객 계층의 다양화로 공연 내용이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절에서는 극장의 운영구조와 신연극의 유입으로 다양한 근대예술이 창작되는 양상을 고찰하였으며, 특히 창극이 단순한 분창 형식에서 사실주의적 연극의 요소가 가미된 공연으로 변화해 갔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3절에서는 사설극장의 설립과 활성화로 인해 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하던 기생들이 개인예술가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신분의 변화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성사는 1910년대 광무대, 장안사와 더불어 서울의 주요 흥행극장이었으며 영화관으로 개축되기 이전까지 전통예술 공연장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본 연구는 단성사를 전통공연예술의 연행공간으로서 재조명할 수 있는 시론적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당시 단성사에서 연행된 공연들에 대한 예술사적 의의 또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establishment of Tansongsa theater and the performances held in it based on the articl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at the time, to examine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presented at it in the 1910s. The ai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o assess the status of Tansongsa, the most typical modern theat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secondly, to appraise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performance arts played there. This study comprises three phases. In the first part, I looked deep into the whole complexion pertaining to all range of performances staged at Tansongsa, dividing its chronicle into three periods. The performances shown at each period were confirmed by the articles in Hwangsong Sinmun, Mansebo, Taehan Maeil Sinbo, and Maeil Sinbo, and I inquired the changes in the form of the performances staged at each period. In the second part, I conducted specific research 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s assorted by types. In the case of dance, I subdivided it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folkloric court dance, folk dance, and creative dance. In the field of instrumental music, although performances were presented under the various titles such as chul p’ungnyu or music ensemble, a close look at the organization of music instruments reveals that Yongsanhoesang was mostly performed. Moreover, in the examination of the Kayakum performance of Pak Pal-gwe, I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he might have played kayagum pyongch’ang along with sanjo. I hope that Pak``s performances I introduced in the section of instrumental music and vocal music would shed new light on Pak who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as a master of kayagum pyongch’ang. Subsequently, I explored plays performed at Tansongsa which allowed me to newly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Pae Ong-hyon group as a kuyonguk (old-style theater) troupe. Furthermore,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claim that kuyonguk lost its ground as sinyyonguk (new theater) groups like hyoksindan (reformed theater troupe) appeared, I discovered some trace that sinyyonguk and kuyonguk were performed parallel concurrently. In third part, I assessed the significance of Tansongsa in the view of the history of performance arts. Through the changes of the stage, I recognized there was alteration of the contents in performances thanks to the utilizing diverse stage settings and diversification in strata of audiences. After examin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theater and all aspects concerning how various kind of modern arts were made by the influx of sinyyonguk, I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ch’angguk or a traditional Korean opera went through the transition from the style of simple punch’ang or divided-role singing to the performance with the elements of realistic plays. Lastly, I found that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theatres and its activation allowed kisaeng, who were forced into a group, work as an individual artist, which also brought change in their social position. Tansongsa edged its name among the most renowned theaters at Seoul in securing box office success in 1910s with Kwangmudae and Ch’angansa, and it had established itself as a transnational arts stage before it was entirely rebuilt as a movie theater. That said, I hope this study can be a preliminary study, resurfacing Tansongsa as performance stage for traditional performance arts and reminding its significance in the view of art history within the performances represented in it.

      • KCI등재

        1950년대 민족주의 담론과 전통음악 -제1공화국 시기를 중심으로-

        신혜주 ( Hye-ju Shin ) 한국음악사학회 2019 한국음악사학보 Vol.63 No.-

        제1공화국은 해방과 전쟁, 국가의 재건 등이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진 시기로, 이 안에서 국가는 국가의 정통성과 당위성을 찾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국가 기조 속에서 전통음악예술은, 민족의 문화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취득해야할 상징성을 가졌으며, 이는 전통음악예술을 국가기관으로 소속시키고, 제도적 차원의 전승체제를 유지시키려는 모습으로 발현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국가기관으로 소속되어 개원한 국립국악원(구. 구왕국아악부)은 다양한 국가주도행사에 동원되어 활동하였으며, 전통음악과 관련한 사설 단체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전승체계 속에서 신국악에 대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시 국립국악원을 중심으로 보여진 신국악은 김기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전반적인 내용에 있어 1950년대 국가 기조에 부합하는 반공주의, 민족주의적 색채가 다수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내부적 움직임과는 상반되게 당시 국가의 문화예술은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에 대한 우상화 작업과 전시체제의 분위기를 강화하기 위한 것에 주력되어 있어 그 사용범위가 매우 소략함을 검토할 수 있었다. 또한 국가기관으로 소속시켜 민족의 음악을 보존시키려 한다는 설립 취지와는 달리 실질적 지원은 열악한 상황이었던 것 역시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당시 정부는 국가의 전통 획득을 위한 다양한 방식 중 하나로 전통음악을 차용하였을 뿐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도나 그것을 활용하고 보존하려는 방안은 오히려 부재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어 아쉬움을 남긴다. During the First Republic, a period when the liberation, war, and reconstruction of the nation took place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nation strived continuously to seek its authenticity and legitimacy. On these basis of the country, the traditional music arts had symbolic significance that must be acquired in terms of the national culture. This can be seen as a way of attaching the traditional music to the state institute and maintaining transmission system at an institutional level. In such process, the present National Gugak [Kugak] Center called Kungnip Kugagwon 國立國樂院 (formerly known as Kuwanggung aakpu 舊王宮雅樂部), which was established as a national institute, was mobilized for various national events and was making a move toward a 'New Gugak [Kugak]' 新國樂 in a relatively stable transmission system compared to other related private institutions. It is found that the 'New Gugak [Kugak]' driven by the present National Gugak [Kugak] Center was led by Kim Ki-su 金琪洙 and its overall contents were mainly about anti-communist and nationalism that matched the national tone of the 1950s. In contradistinction to the internal activities, however, the culture and arts of the country were focused on idolizing then-President Syngman Rhee [Yi Sŭng-man 李承晩] and intensifying the atmosphere of wartime showing that the scope of its use was very small. In addition, unlike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which was to preserve the traditional music as a national organiz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ufficien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Eventually, it has shown that the government had just borrowed the traditional music as one of methods to acquire the tradition of the nation without having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music nor plan to preserve and utilize the art.

      • KCI등재

        1900년대 기생 환등회 연구

        신혜주 ( Shin Hye-ju ) 한국음악사학회 2017 한국음악사학보 Vol.58 No.-

        환등회(幻燈會)는 환등기에 그림이나 사진을 투사하여 스크린에 비춰진 화면을 구경하는 모임을 가르킨다. 한국에서의 환등회는 20세기 초 무렵 환등기의 유입과 동시에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선교단체에서 진행된 환등회와 위생, 교육, 지식 선전을 내용으로 하는 환등회가 지속적으로 설행되었다. 초기 환등회의 내용은 교육과 선교, 위생 환등과 같이 계몽, 정치적 성격이 강했으나 1910년대로 들어서며 개최주체와 연행 공간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그 중 극장에서 연행된 기생환등회는 평화회(評花會)와 같은 이름으로 기획되며 공연에 출연한 기생을 소개하거나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00년대 연행된 기생환등회(妓生幻燈會)를 연구함으로써 초기 환등유입의 모습과 기생환등회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기생환등이 이루어지기 이전 시기인 19세기 무렵, 우리나라에 환등이 유입된 역사를 살펴보았다. 이후 3장에서는 기생환등회가 언급된 기사를 통해 기생환등회의 연행방식과 내용을 유추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기생환등회가 연행되었던 시기에 존재했던 기생관련 매체와 담론을 살펴보며 기생환등회의 의의를 다시 한번 되짚어 보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생환등에 관한 연구는 관련 자료가 매우 영성하여 비슷한 성격의 다른 매체들과 당시 우리나라 문화예술 전반에 영향을 끼쳤던 일본 문화를 중심으로 추정하여 살펴볼 수 밖에 없는 한계점을 지닌 연구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는 기생환등이라는 새로운 공연예술의 가치를 살펴볼 수 있는 시론적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Hwandunghoe 幻燈會 refers to a slide-show-meeting to watch paintings or pictures together reflected through the slider. It seems that the Hwandunghoe began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with the introduction of a slider. Afterwards, many times of Hwandunghoe had been held for about sanitary, educational, and knowledge issues by missionaries. The contents of the early period tends to deal with enlightening or political aspects such as missionary or sanitary issues. But after the 1910s, it became to have various aspects according to the hosting parties or places. Also, there was an event which introduces or evaluates kisaeng 妓生 to public in theaters under the name of Pyonghwahoe 評花會. The early period of Hwandunghoe was reviewed on this study, and the aspects of earlier stage and the meanings of Hwandunghoe was discussed through the 1900s. In the second part, the history about the import of the slider from the 19th century was informed, when the period before the slide was introduced. In the third part, the aspects inferred through the newspaper articles how and what about the slide show. It had been reviewed the meaning of Hwandunghoe once more through the media and discourses about kisaeng in the fourth part. The studies about Hwandunghoe in Korea is to be reviewed through the relative assumption to Japanese cultural effects. However, those limits can be another beginning point where it starts new types of value in art such as kisaeng hwandung.

      • KCI등재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장소기반 지역화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신혜주(Hye Ju Shin),한동균(Dong Kyun Ha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3 사회과수업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장소기반 지역화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의 ‘한강’에 주목하여, 초등학교 4학년 대상의 사회과 지역화 학습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직접 실행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행 전후로 서울 지역에 대한 지역 정체성 함양 정도와 학생들의 인식 변화, 본 프로그램의 영향을 정성적, 정량적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장소에 뿌리 내린 건전한 지역 정체성을 함양하게 하였고, 서울 지역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사회과에서 늘 강조하던 시민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도해 내어 학생들의 실천적 민주 시민성을 함양시켰다. 셋째, 장소기반교육이 사회과의 핵심 역량을 기르는 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학습자의 삶과 밀접한 ‘장소’에 대한 학습은 학습자를 수업에 몰입시키고 배우는 즐거움을 알게 하며, 학생들의 삶과 학습을 연결시켜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살고 있는 서울 지역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건전한 ‘지역 정체성’을 함양시켜 책임의식을 가진 실천적 민주 시민으로 길러내고자 하였다. This PBE-based study reorganizes the 4th-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learning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ound achievement standards to ensure actual localized learni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s selected as the case area, with a focus on the ‘Han River’ as a specific place. After applying to the three-time progra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o analyze students' cultivation of regional identity,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 Seoul area, and the program’s overall effects on students. The result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program fostered a healthy regional identity rooted in the place by students and positively changed the perception of the Seoul area. Second, this program effectively induced civic participation, which has always been emphasized in social studies, to foster practical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place-based education(PBE) i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in social studies. Learner-centered inquiry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and practical activities in the community naturally led learners to acquire core competencies in social studies. Fourth, learning about a 'place' close to the learner's life deeply engaged the learners during class created awareness of the joy of learning, and connected students' lives and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students will grow up to be excellent democratic citizens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social and ecological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direct practical efforts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community.

      • 멀티 탐침 측정법을 이용한 전극의 합재저항과 계면저항의 측정

        허성욱(Seong-wook Heo),신혜주(Hye-ju Shin),최신호(Sinho Choi),김태희(Tae-Hee Kim) 한국전지학회 2021 한국전지학회지 Vol.1 No.1

        이차전지 셀 음극의 로딩과 건조 조건에 따른 전극 저항을 합재저항과 계면저항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로딩이 높을수록 합재저항은 증가하는 반면 계면 저항은 유사하였다. 0.5C와 1C 전류로 셀 평가한 결과 로딩이 높을수록 합재저항이 증가하여 용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진공 건조한 전극이 상압 건조한 전극보다 합재저항과 계면저항이 모두 낮았다.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loading level and drying condition on an anode resistance of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composite resistivity and interface resistance of the anode were measured respectively. Composite resistivity increased as loading level increased, however, interface resistance were not dependent on the loading level. Cell validation at 0.5C and 1C demonstrated that cell capacities decreased as anode loading increased. On the other hand, composite resistivity and interfac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dried in a vacuum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electrode dried at 1 atm.

      • KCI등재

        인천광역시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김진희 ( Jin Hee Kim ),김현진 ( Hyun Jin Kim ),김혜진 ( Hye Jin Kim ),박지혜 ( Ji Hye Park ),방우리 ( Woo Ri Bang ),신혜주 ( Hye Ju Shin ),한수진 ( Su Jin Han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1 치위생과학회지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behavior and awareness of teacher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the state of oral health care among children in the centers and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on child oral health education in a bid to gather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community children`s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8 teachers who worked in 98 community children`s centers in the city of Inche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8 to June 4, 201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57.3% of the teachers investigated provided toothbrushing guidance from time to time or couldn`t do it at all. As for the reason why toothbrushing guidance was scarcely conducted, the largest group cited shortage of sinks(27.5%) as the reason, and the second biggest group replied they couldn`t afford to pay attention to that due to heavy workload(20.6%). The third greatest group was pressed for time(16.7%). The teachers got a mean of 3.27 in oral health behavior, and 87.7% were concerned about children`s oral health. The group of teachers who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was significantly better at oral health behavior and showed significant more interest in oral health(p<0.01). The 97.2%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oral health important. Concerning the reason, they replied it was crucial for systemic health (74.2%). The 89.4% of the teachers viewed child oral health education as necessary, and 86.5% had an intention to provide oral health education for children. They hoped to receive education on the oral health control act(4.52) and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4.40). The above-mentioned findings confirmed that in order to step up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child users of local children`s centers, it`s necessary to provide secondhand education for them through their teachers who have a great impact on them.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cater to local children`s center teachers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