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 소외계층 청소년을 위한 한국의 음악 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 '엘 시스테마'를 중심으로

        신혜연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El Sistema is an orchestra program for socially disadvantaged youth in Venezuela. Although the country is the 5th largest oil exporter in the world, lots of people are struggling from poverty and teenagers are exposed to lots of social problems such as violence and drugs. El Sistema can not only help them cultivate artistic expression capabilities and sensibilities through orchestra education, but it also provides them with a sense of belonging, away from poverty, crime, and drugs. As a result, the program can help them develop into emotionally healthy social members. The program has actually lowered the youth crime rate of Venezuela and produced world-renowned musicians, inspiring lots of similar programs around the world. As youth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ha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in Korea, the government has considered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music as an important educational objective. Based on such perspective, lots of programs modeled after El Sistema have been conducted by diverse national institutions and corporations, including the following: ‘School of Arts Flower Seeds,’ opera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undation; ‘Allkidstra’ founded in 2010 by a social welfare corporation called Children Walking Together; ‘Happy Music School’ operated b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SK Telecom; ‘Aloisius’ managed by a corporate foundation called Sisters of Mary. There are lots of other similar programs. However, many problems have surfaced, as the programs have been conducted within 5 years, only based on the positive objectives of El Sistema without detailed analysis and meticulous preparation. Thus, this study has explored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for youth and examined El Sistema in detail. Also, the music education programs modeled after El Sistema for socially disadvantaged youth in Korea were explored. Based on the result, the problems with current education and ideal development directions were explored. The research has revealed that Korea is in need of long-term, continuous government support for music education spann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Furthermore, the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with diverse support, and the detailed and specialized educational methodology and methods for orchestra should be studied. Also, various instruments should constitute an orchestra, which should engage in performances extensively, and they should be appreciated by communities and families with constant interest. In addition, full-time instructor in charge of such orchestra should be assigned. The programs modeled after El Sistema of Venezuela should be well-established in Korea taking into its circumstances as part of its music culture. Such programs should be well-developed, so that teenagers can learn about music and enjoy it. It can not only improve their musical abilities but also leads to happier lives of individuals, families, local communities, and even the entire society of Korea. 엘 시스테마는 베네수엘라의 사회적 소외계층 청소년들을 위한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이다. 베네수엘라는 석유 수출국 5위의 나라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빈곤에 허덕이고 있고 청소년들은 폭력 및 마약 등 사회적 문제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엘 시스테마는 청소년들이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예술적 표현력과 감수성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빈곤과 범죄, 마약의 위협에서 벗어나 소속감을 주고 미래를 설계할 기회를 주어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프로그램은 베네수엘라의 청소년 범죄율을 낮추는 동시에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훌륭한 음악가까지 배출하여 여러 나라에서 이를 모델로 한 많은 프로그램들이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부는 청소년들의 학교 폭력과 같은 사회적 문제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어 음악 교육을 통한 인성 교육의 함양을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삼아 우리나라는 엘 시스테마를 모델로 한 많은 프로그램들이 국가 기관을 더불어 민간 기업에서도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 문화예술 교육진흥원의 주관으로 시행하고 있는 ‘예술 꽃 씨앗학교’와 2010년에 창단한 사회복지법인 함께 걷는 아이들이 시행하고 있는 ‘올키즈스트라’, 한국교육진흥원과 SK텔레콤이 시행한 ‘해피뮤직스쿨’, 재단법인 마리아 수녀회가 보살피고 있는 ‘알로이시오’ 등 이외에도 많은 프로그램들이 있다. 그러나 엘 시스테마의 자세한 분석과 철저한 준비 없이 좋은 취지만을 목표에 두고 5년 미만의 단기간 내에 수용하여 진행하다보니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본 연구는 청소년을 위한 음악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엘 시스테마에 대해 자세히 고찰해본 후, 엘 시스테마를 모델로 한 우리나라의 사회적 소외계층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제적 교육 현황과 함께 연구를 통해 알게 된 문제점, 그리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정부의 지원과 어린 시절부터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연계된 음악 교육이 필요하고 교육이 다양한 지원 범위로 확산되어야하며 정교하고 전문적인 오케스트라의 교육학적 방법 및 내용들이 연구되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오케스트라 내의 다양한 악기 구성과 다양한 연주 활동에의 참여, 지역 사회와 가족의 꾸준한 관심도 필요하고 오케스트라를 담당하는 전담 교사의 확보 등이 개선되어야 할 점들로 제시되었다.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를 모델로 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이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게 음악 문화로 잘 정착되어 청소년들이 음악을 배우고 즐김으로써 음악적 능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의 행복한 삶으로 이어져 가족과 지역 사회, 더 나아가 우리나라 전체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를 위한 행동주의적 부모교육의 효과성 연구 :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의 비교

        신혜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문제행동 중재를 위한 행동주의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이론 교육 중심의 이론 집단과 실제적 연습 중심의 실습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서울 시내 2개 종합병원에서 실시된 12주 부모교육에 참여한 아동과 부모 총 26쌍이었으며, 그 중 이론 집단 14쌍, 실습 집단은 12쌍이었다. 통제 집단은 부모교육 대기 집단에서 모집 하였으며 9쌍이었다. 측정 도구는 부모보고 설문지(아동 문제행동 심각도, 행동수정 지식검사, 부모 효능감 척도, 부모 양육 스트레스척도)와 직접 관찰을 통해 수집된 행동자료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 후 실습 집단에서 아동의 긍정적인 행동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 이론 집단과 실습 집단에서 아동의 부정적인 행동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부모가 보고한 아동 문제행동 심각도, 행동수정 지식과 부모 효능감, 부모 양육 스트레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직접 관찰을 통해 수집된 부모의 부정적인 행동, 긍정적인 행동의 변화도 유의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미술에 관한 연구 : 가야트리 스피박(Gayatri C. Spivak)의 이론을 중심으로

        신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blematize the confines of the Western feminism in postcolonial feminism theory, and thus enable to explore and study a new aspect of femininity embedded in the works of women artists from Third World. In furtherance of the object the theory of Gayatri C. Spivak, who is an Indian literary critic and theorist well known for postcolonial feminism and subaltern studies, has been explored not only to refer to her critical approaches to previous feminist discourses but also to criticize the fact that throughout history feminism in art has been mainly represented by middle-class white women from Western Europe and North America. Furthermore, the aesthetic position of the work of feminism art would be consolidated by analyzing the art performed by women from Third World thereby a new aim and a new insight into feminism would also be presented. Postcolonial feminism theories were emerged from the perspectives of postcolonialism linked to contestation of colonialism's discourse and of feminism arising against power stratification along gender lines. Postcolonial feminists suggest that the perspectives of feminism be applied to the postcolonial theories in order to revalidate attributes of female from Third World struggling to fight racial and gender oppression within the society during history and regain their power and authority. The best-known postcolonial feminism theorist Gayatri C. Spivak argues that Western-centric forms of feminism and its universalizing tendency: 'it represents every woman' cannot be accepted as a generalized notion to describe and define the reality of women in the Third World. She also suggests that the difference of race, class, religion, ethnicity, and culture within the society and authority be regarded and the revision of critical terms in the Politics of feminism and setting a new standard and aim for the future be needed. Spivak has applied two strategic approaches to criticize the Western feminism. First, she uses deconstructionism to show how the critical terms defined and used by Western critics loses its significance thereby suggests replacing it with the term 'subaltern'. She points out the incongruity of the terms such as 'workers', 'women', and 'colonized people' indicating persons and groups marginalized and oppressed by Western colonizers, thus proposing a term of subaltern. She also coined strategic essentialism as an alternative plan for the concept of femininity embedded in Western feminism. Because it has been argued that the femininity concept asserted and used within the Western feminism considers the women as a homogeneous group generalizing historical, racial, gender, and class distinctions in women, deconstructionists criticize the essential attitude toward the femininity and make an overture of deconstruction. Spivak agreed with the aspect of deconstructionism in some degree, but she didn't think the complete deconstruction of femininity by dismantling of the figure of woman could bring an absolute resolution for an adequate practice of feminism. She has, therefore, proposed strategic essentialism speaking of the need temporary solidarity between women's group having different thoughts and agendas for the social action in an approach of essentialism and deconstructionism. Strategic essentialism picks up the concept of feminism admitting the differences existed between men and women but seeks to find their own identity emphasizing the various experiences of women. The art world has changed the way women want to present themselves over a period of time. During its history, the major approaches toward the feminist art would be represented with essentialism expressing femininity trapped in the confines of social traditions and expectations and deconstructionism pushing the boundaries and destabilizing structural description. The collaborative forms of feminist art emerged out of the idea of essentialism and deconstructionism in 1990s adopted a diversity of artistic practice and transformation in feministic style through the efforts of admitting nature of essential femininity itself and individual identity within the group of women. In art world, great efforts of female artists in Third World attempting to reconstruct the life and experience that the women from Third World had in order to strengthen the aesthetics of the Third-World feminism art would be discovered. African American artist, Lorna Simpson found that within the American culture there was still the underlying racism and remains of an inaccurate and distorted image of black women given by Western feminists. She, therefore, portrays a true image of black women by deconstructing the falsely created image. Yong Soon Min as an Asian Diaspora artist sublimates postcolonial issue in art. Her works carry a sense of displacement and emotional detachment that Diaspora has to face from cultural affiliation and sexual identity matters. Shirin Neshat, Iranian Contemporary visual artist, explored how her native Islamic society treated women and considered it as a practice of colonialism. Her attempts to reshape the identity of Muslim women in Islamic society have been made into art and her works have created a new passage for Muslim women that can communicate ideas and feelings to each other. Postcolonial feminism has been gaining its power as a secured new form of criticism in the 21st Century. Increasing awareness of women and valorizing female role within a group consisting of different race, gender, social status, and culture through a precise and accurate comprehension of an intended message in their work would be the central challenge and important task for the feminist criticism and art history. In this context, this study guides the positive roles and possibilities of postcolonial feminism that can lay ground work for Third-World feminism art and therefore, sheds light on a new aim of the cultural study of feminism seeking the reconstruction of aesthetic theories that can represent their art. 본 논문은 탈식민주의 페미니즘(Postcolonial Feminism)의 이론적 틀을 통해 서구 페미니즘이 갖고 있는 한계를 지적하고, 제3세계 페미니즘 미술에 나타나는 새로운 여성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해 인도 출신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이론가인 가야트리 스피박(Gayatri C. Spivak)의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의 페미니즘 미술이 서구 백인 여성 중심이었다는 점을 비판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제3세계 페미니즘 미술을 분석함으로써 그에 적합한 미학적 입지를 마련하고 페미니즘 문화 연구의 새로운 목표를 조망해보고자 한다.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이론은 식민주의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탈식민주의적인 관점과 남성 중심적인 가부장적 권위구조에 따른 불평등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페미니즘적인 관점을 결합한 것이다.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인종과 성별에 따라 역사에서 이중으로 소외된 제3세계 여성의 권위를 복원하기 위해서 탈식민주의 이론에 페미니즘의 시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인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이론가인 가야트리 스피박(Gayatri C. Spivak)은 페미니스트들의 서구 중심적 시각과 ‘모든 여성을 대변한다’는 주장이 제3세계 여성의 현실을 설명하는데 보편타당한 것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스피박은 여성들 사이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인종 ․ 계급 ․ 종교 ․ 국적 ․ 문화의 차이를 존중해야 하며, 더 나아가 페미니즘 정치학에서 전유되다시피 한 비평 용어와 미래의 목표를 재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스피박은 서구 페미니즘을 비평하기 위해 두 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해체주의를 활용해 서구의 비평용어를 해체하고 하위주체(subaltern)개념을 사용하는 것이다. 스피박은 서구에 의해 식민지화 되어온 개인과 사회 집단의 삶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서구 비평가들이 사용하는 ‘노동자’, ‘여성’, ‘피식민지’ 등의 지배단어가 부적절하기 때문에 이를 해체하고 ‘하위주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스피박은 서구 페미니즘에서 주장하는 여성성의 개념에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두 번째 대안으로 전략적 본질주의를 제안한다. 그동안 페미니스트들이 가정한 여성성 개념은 여성전체를 동질적인 집단으로 간주하고 여성집단들 사이의 역사적, 계급적, 인종적, 성적 ‘차이들’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때문에 해체주의자들은 여성성에 대한 이러한 본질주의적 입장을 비판하고 이를 해체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스피박은 해체주의적 견해에 어느 정도 동의하지만, 여성성의 전면적 해체가 페미니스트적 실천에 반드시 대안을 마련해 준다고는 보지 않는다. 스피박은 여성 정체성에 대한 본질주의적 접근과 해체주의적 방법론에 관한 논의와 차이들 간의 연대를 가능케 할 대안을 ‘전략적 본질주의’라고 부른다. 전략적 본질주의는 페미니즘의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 대한 개념은 받아들이되, 여성 경험의 다양성을 담아내고 드러낼 수 있도록 여성이라는 범주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자는 것이다. 미술계에서도 여성성의 표현 방식은 점차 변화되어 왔는데, 여성성을 고정된 범주로 간주하여 본질주의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방식과 여성성을 고정된 본질로 보지 않고 이를 해체해야한다고 보는 해체주의적 관점이 있다. 1990년대 들어서 등장한 페미니즘의 새로운 흐름은 이 두 흐름을 적절히 조합시키는 전략적 본질주의적 성향을 띤다. 전략적 본질주의적 관점은 여성성 자체의 본질과 여성들 간의 차이를 동시에 인정하고 여성들만의 언어와 재현체계를 새롭게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적 본질주의적 관점에 의해 여성의 삶과 경험들을 효과적으로 재현하고자 한 사례들을 제3세계 페미니스트들의 작품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흑인 여성의 전형적인 이미지를 해체하고자 한 ‘로나 심슨’은 흑인 여성을 열등한 존재로 보는 서구 백인 페미니스트들을 비판하고, 사회적으로 왜곡된 흑인 여성의 전형적 이미지를 해체해 흑인 여성의 본질을 복원시키고자 하였다. ‘민영순’은 자신이 서구로 이주해 제3세계 여성으로서 느낀 문화정체성과 성정체성의 교차점에서 혼란스러웠던 디아스포라 여성의 심리를 주로 다루었다. 이슬람 여성들의 국가적 인종차별과 사회적 성차별 상황을 이중 식민화 과정으로 보고 이에 대한 저항적 표현을 시도한 ‘시린 네샤트’는 이슬람 여성들이 자신들의 발언권을 되찾고자 하는 목소리를 작품으로 승화시키고, 더 나아가 이슬람 여성만의 새로운 재현체계와 언어를 만들어내고자 시도하였다.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이론은 점차 21세기의 새로운 비평의 방법으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미술계에서도 성별, 인종, 문화, 그리고 계급 등 다양한 문화집단 내에서 여성들의 역할을 구별해내고, 그녀들의 작품을 그 특징 그대로 해석하려는 노력이 앞으로 페미니즘 비평과 미술사의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맥락에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담론이 수행할 수 있는 적극적 역할과 가능성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제3세계 페미니즘 미술을 위한 미술사적 자리를 마련하여 그에 적합한 미학적 이론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페미니즘 문화 연구의 새로운 목표를 조망해보고자 한다.

      • 단주자조그룹에 참여하는 단주자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단주기간과 성별에 따른 분석

        신혜연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인의 심신의 건강은 물론,나아가 가족,사회적 관계에 큰 손상을 끼치는 알코올중독의 해로운 영향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의 예방 또는 치료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그러나 이 만성적이고 진행적인 알코올중독은 치료가 매우 까다로운 질병이며 재발률 또한 매우 높다.이 연구의 목적은 단주자조그룹에 참여하고 있는 단주자들의 단주기간 (장기:3개월-1년미만,중기:1년이상-3년미만,장기:3년이상)에 따른 자아존중감,금주자기효능감과 삶의 목적수준의 차이를 조사하여 각 그룹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장기 단주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새로 회복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들이 단주의 생활양식을 유지하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리라고 본다.이 연구에서는 또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이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그리고 인천지역의 단주 자조그룹(AlcoholicsAnonymous)을 방문하여 총 97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으며 이 중 93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단주기간에 따른 회복 중인 알코올중독자들의 자아존중감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M=25.67로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둘째,단주기간에 따른 단주자들의 단주 자기효능감은 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단기와 장기단주자들 사이의 차이는 매우 유의미하였다.셋째,삶의 목적수준의 단주기간에 따른 차이는 p=.028로 유의미하였으며 장기단주자들의 삶의 목적수준이 다른 그룹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넷째,단주자기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p값은 .016이였다.남성의 점수가 여성보다 높았다.다섯째,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삶의 목적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본 연구의 결과,단주기간이 길수록 단주자기효능감과 삶의 목적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삶의 목적수준은 세 그룹 모두 낮은 수준으로 명백한 삶의 목적이 결여된 상태로 나타났다.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치료 프로그램에 의미요법을 도입해 보는 것이 효과성이 클 것이며 AA의 12단계과정을 실천해 나가는 것 또한 도움이 될 것이다. As the recognition of adverse influences of alcoholism that damages familiar and societal relationships, not to speak of individual's mental and physical health is increased, the concerns of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coholism are increasing as well. However, this chronical and progressive alcoholism is a very intricate disease to treat and the relapse rate is also significantly high.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levels of self-esteem, abstinence self-efficacy and purpose in life among sober alcoholics according to their time in recovery: short-term (3-12months), mid-term (13-36months) and long-term (longer than 36 months)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recovering alcoholics may be very helpful to treat newly recovering alcoholics to avoid relapse and maintain the life style of sobriety.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differences existed relative to gender. For this study, 9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visiting the AA meetings in Seoul, Kyung-ki and Incheon areas and among 97 questionnaires, 93 were finally examined for the analysis.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f-esteem relative to time in recovery among sober alcoholics and the scores were relatively low as M=25.27.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bstinence self-efficacy scores relative to time in recovery at p<.001. Especially, the differnces between the short-term and long-term grups were very significant.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levels of purpose in life scores at p=.028. It is found that the long-term sober alcoholics reports higher scores than other group.Four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bstinence self-efficacy scores according to gender at p=.016. The male's scores were higher than the female's.Four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f-esteem and purpose in life scores according to gender.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onger the time in abstinence is, the higher the levels of abstinence self-efficacy and purpose in life scores it shows. However, the levels of purpose in life of all three groups were very low, showing lack of clear purpose in life. To increase the levels of purpose in life, it might be very effective to add the logotherapy to the existing programs and follow the 12 step processes of AA as well.

      • 12地支의 命理的 受容과 展開에 관한 硏究

        신혜연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地支의 기원과 발전 그리고 이것의 명리학에서의 수용과 운명 推論에의 활용을 고찰하였다. 처음에 地支는 날을 기록하는 수단이었다. 地支가 天干과 결합하여 날을 기록함으로써 그 하루하루들은 특정한 날이 되었다. 이 地支에 음양오행이 결합하면서 계절과 방위와 동물이 배속되고 紀月, 紀年, 紀時法에 이용되었다. 그리고 명리학에 수용되면서 인간의 명운을 推論하는 하나의 체계에 중요한 因素가 되었다. 干支의 기원에 관하여는 여러 문헌에서 天降說, 天皇氏, 大撓氏, 伏羲氏 기원설 등이 언급된다. 지지의 발전은 음양오행과 결합하고, 계절과 방위와 연계되면서 이루어졌다. 월과 년과 시의 기준점이 되었고 이것이 동양 律曆體系의 근본이 되었다. 地支는 계절적인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음양의 消長 작용에 따라 만물이 탄생, 성장, 쇠퇴해가는 과정을 상징하고 있으며 명리학에서 地支의 陰陽消長과 오행의 상징을 그대로 받아들여 운명 추론의 기반으로 삼았다. 12地支의 순환은 인간의 탄생과 성장과 노쇠의 과정에 비유되어 설명되어졌다.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이며 자연의 이러한 사이클은 인간의 命運에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보았던 것이다. 오행의 생왕사절은 포태론으로 자리를 잡았고, 사주는 인생의 根苗花實을 의미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우주자연과 인간사와의 관계를 상응하는 것으로 여기는 자연과 인문의 유기적 결합인식이 있었다. 명리학의 地支 이론은 藏干論, 天干과 地支와의 관계와 合 刑, 冲, 害로 대표되는 地支 상호관계 등으로 발전하였다. 장간론은 하나의 地支에 여러 개의 干이 內藏됨으로써 매우 복잡한 干支構造物이 사주 속에 담기게 되었다. 支藏干에 따라 天干과의 관계가 결정되었고 이에 따라서 通根, 透干, 格局 등의 명리적 개념들이 성립되었다. 合과 刑, 冲, 害 등 地支 상호관계에서 도출된 원리는 기계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많은 조건들을 수반함에 따라 명리가 균형과 조화와 상호 관계의 고려라는 보다 높은 수준의 연구와 지식의 축적이 필요한 학문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것들의 상호관계와 작용을 통해서 身强, 身弱과 失令, 得令 그리고 生扶, 資助, 中和 등 현대 명리학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명리적 개념들이 자리를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이론들이 通辯에 활용되면서 인생의 다양한 변화와 굴곡들을 읽어내고, 行運과 결합하여 수많은 사건과 의미들을 설명할 수 있었다. 핵심어: 地支, 曆法, 명리학, 포태론, 장간론 The Thesis gives consideration to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Earthly Branches, their acceptance in the science in Myungri and their application to reasoning on destiny. At first, the Earthly Branches are the means to record dates. The Earthly Branches, combining with the ten Celestial Stems, represented dates and each of the dates became a special day. The Earthly Branches combined with Yinyang and Five Elements, being assigned to seasons, directions and animals and being used in indicating time, month and year. Accepted in the science in Myungri, they became important causal factors of a system which reasons on the destiny of man. Regarding the origin of the Earthly Branches, there are a variety of views in different texts including the view of the descent from the heaven, of Tianhuang, of Danao and of Fuxi. The development of the Earthly Branches was established by their combining with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connecting with seasons and directions. They became the fiducial point of time, month and year, which made the foundation of the oriental calendar system. The Earthly Branches symbolize the process of birth, prosperity and declin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according to the rise and fall function of Yinyang in the flow of seasonal time. The rise and fall of Yinyang and the symbol of Five Elements, as they were, were accepted in the Earthly Branches, becoming the basis of the reasoning on the destiny in the science of Myungri. The circulation of the twelve Earthly Branches was explained comparing to the process of man's birth, prosperity and decline. It was thought that man was also a part of nature and this cycle of nature was applied to the destiny of man. The birth, growth, prosperity and decline in Five Elements setteled down as Potae-theory, and the Four Pillars came to represent the root, sapling, flower and fruit in life. Here was the recognition of organic conjunction with nature and humanities which regarded universal nature as corresponding to human affairs. The theory of the Earthly Branches in Myungri developed into Jijanggan-theroy, the relation between the Celestial Stems and the Earthly Branches and the interrelation of the Earthly Branches which are represented by Hab-Hyung-Choong-Hae. In Jijanggan-theory, it casuesd a very complicated Earthly Branches structure to be included in the Four Pillars that a Earthly Branch had several Celestial Stems within. According to Jijanggan, the relation with the Celestial Stems wa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which the concepts of Myungri such as Connected Root, Penetrate the Celestial Stems and the Principles of Frame were built up. As the principle derived from the interrelation of the Earthly Branches like Hab-Hyung-Choong-Hae was followed by a number of conditions which couldn't be applied mechanically, it showed that Myungri is the studies which requires a higher level of investigating and accumulating of knowledge. Through their interrelation and interaction settled down the concepts of Myungri such as Shingang, Shinyak, Shilryung, Deukryung, Shengbu, Jajo, Joonghwa etc. which are still used in modern Myungri. Made use of in interpretation, these theories were able to read the vicissitude and ups and downs in life. Besides they could explain numerous incidents and meanings in life, connecting with the circulation of destiny. keyword: the Earthly Branches, the Celestial Stems, calendar system, Potae-theory, Jijanggan-theroy, Hab-Hyung-Choong-Hae, Myungri.

      • 임상간호사가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신혜연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전주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에 승인을 받은 후 J시, I시, K시에 소재한 4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9월 12일부터 9월 28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One-way ANOVA, Scheffé test 또는 Duncan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Sobel test는Free statistics calculators version 4.0 progra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는 평균 3.62±0.56점으로, 근무부서 (F=3.23, p=.042), 부서이동 경험(t=-2,26, p=.02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감성지능은 평균 4.83±0.81점으로, 근무부서(F=4.94, p=.008), 총 경력(F=3.33,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평균 2.52±0.54점으로, 나이(F=5.73, р=.004), 총 경력(F=4.28, р=.01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사회적지지는 감성지능(r=.49, р<.001)과 회복탄력성(r=.47, р<.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성지능은 회복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66, р<.001). 다섯째,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은 부분 매개효과(z=5.76, p<.001)를 보였다. Baron & Kenny 단계별 절차에 따라 1단계에서 사회적지지는감성지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β=.46, p<.001), 2단계에서 사회적지지는 회복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47, p<.001), 3단계에서 감성지능을 통제한 사회적지지는 회복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β=.21, p<.001).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지지와 감성지능은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으며,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이 부분 매개효과를 지닌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현장에서 사회적지지를 통해 효과적인 회복탄력성 증진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간호사 개인의 감성지능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해 유용한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것이다. This descriptive survey-based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perceived by clinical nurses, thereby providing primary data for improving resilience.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ethics board of Jeonju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for the period September 12–28, 2021 from nurses employed at four general hospitals in J city, I city, and K city. For analyzing the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or Duncan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using version 4.0 of the Free Statistics Calculator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with an average score of 3.62±0.56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epartment (F=3.23, p=.042) and experience of department transfer (t=-2,26, p=.025).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with an average score of 4.83±0.8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epartment (F=4.94, p=.008) and total number of years working as a nurse (F=3.33, p=.038). Third, resilience with an average score of 2.52±0.54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F=5.73, р=.004) and total number of years working as a nurse (F=4.28, р=.015). Fourth, social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r=.49, р<.001) and resilience (r=.47, р<.001).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66, р<.001). Fifth,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z=5.76, p<.001). Based on Baron and Kenny’s procedures, social support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in step 1 (β=.46, p<.001); in step 2, social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β=.47, p<.001). In step 3, social support with controlle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β=.21, p<.001). The study also found that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re the variables affecting resilience of clinical nurses. Furthermore, it empirically confirm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urses’emotional intelligence at the individual level to effectively improve resilience through social support. This study contributes to nursing-related research by presenting valuable data for improving resilience of clinical nurses.

      • 초등 중학년의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언플러그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신혜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중학년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하여 총 10차시의 데이터 리터러시 수업 내용을 선정하고 초등 중학년의 인지 발달 수준에 적합한 언플러그드 활동을 고안하여 언플러그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그리고 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P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언플러그드 활동에 대한 사후 설문지를 분석하여 언플러그드 교수법의 효과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중학년을 대상으로 한 언플러그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중학년의 효과적인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을 위하여 언플러그드 활동을 적용한 수업법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언플러그드 활동에 대한 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 언플러그드 활동이 수업의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자기주도력, 학습 흥미도, 도전감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n unplugged data literac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nd applied by devising 10 classes and unplugged activities suitable for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 of the middle grade of 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unplugged education program, 56 students in two classes of third-grade P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were tested for data literacy capabilities, and post-questionnaires on unplugged activit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n unplugged data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the middle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appli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 method that applied unplugged activities was appropriate for effective data literacy education in the middle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e-post data literacy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data liter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all area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st-questionnaires on unplugged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unplugged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the cognitive domain. but also on the affective domain.

      • 반계 유형원의 실리의 성리학과 실학사상 연구

        신혜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coherence between Neo-Confucianism of Bangye(磻溪) Yu Hyeong-won(柳馨遠) and his theory of institution reform. The progressive characteric shown in Bangyesurok(磻溪隨錄) is enough to recognize him as a Shilhak scholar. However, as for his Neo-Confucian philosophy,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whether to be Post Neo-Confucianism or not.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find out that his theory of institution reform was based on the Shilli-theory(實理論), and that the reform proposal presented through Bangyesurok is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his Neo-Confucian philosophy. Yu Hyeong-won's LiQi(理氣) view has been established in a long time of deep thought and agony. He first had the thought of 'there is no Li(理) outside of Qi(氣)' and 'Li is just Li of Qi'. Later, he does not abandon this way of thinking, but he takes a step back from 'the theory of Qi' by saying, “Li itself is Shilli(實理), not because of Qi” and insisting on the Shilli-theory, which emphasizes Li's meaning and role afresh. According to him, having order in Qi's world is that 'Existence itself' is so, and this world is governed by some transcendental principle. By asserting Shilli, Li became independent from Qi and its character as 'the Beings(所以然)' and 'the Oughtness(所當然)' was consolidated. It happened while he was writing Ban- gyesurok. Acknowledging Li's independence and subjectivity has the effect of securing moral standards. On a technical level, this could be seen as trying to convey the meaning that that Bangyesurok has contained the common sense and method, which exist across ages, by securing a new qualitative content called 'Shilli' in the form of the system. Meanwhile, according to Yu Hyeong-won, Shilli is utmostly true and at the same time a real Li which exists in relation to reality. He described this as Wanshuzhili(萬殊之理) and focuses on the fact that Li is inherent in Wu(物). His Shilli was Wuzhili(物之理), and it also was Shizhili(事之理). By placing the Shilli on the level of Wu and Shi, not on the level of Qi, first, 'the Beings' and 'the Ougtness' of Li is based not only on the principles of Wu and Shi's existence, but also on the rules of conduct, thus making the quest for behavioral rules no different from Shi's quest for the Ougtness. His exploration of the system has also been justified as a search for the reason of things. He called it 'If there is Wu, there must be a rule.' Secondly, the exploration of Wu and Shi, which contain Li, has also become important. Wu and Shi are the shape-based reality. If you have to find Li in the shape-based reality, the exploration of reality is also justified. It is natural that Yu Hyeong-won, who values the reality at the level of wu and shi, pursues the substance of learning and focuses on realistic learning. He began to explore the ways to realize the sage's Dao(道) and Renyi(仁義) Li, which he thought were the prototype of Shilli, everywhere in the real world of Joseon. The work of the whole people having a permanent economic foundation, knowing morality through education, and finding roles placed in society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is the criteria on Dao and Li, or Shilli which already was embodied in it, and this can be guaranteed through the system. Dao cannot leave Qi, and can only be realized within Qi. His proposal for institution reform is to find and to apply Shilli, which is embedded in all sectors of the national society of land, education, administrative appointment, and management job. Of course the system is Shilli's a proper rule to follow. The progressive and advanced charateristics of his institution reform theory stem from Yu Hyeong-won‘s Neo-Confucian philosophy, Shilli. In his Neo-Confucian philosophy, Li is the Li inherent in Wu. By setting Li as the Li inherent in Wu, rather than Li at odds with Qi, it has brought the phenomenon of things from a world of ideological speculation to a world of real experience. His method of learning was not a matter of thought or reasoning but a method of observing and analyzing the phenomena and nature of actual events at the Shilli's level. He says, “All Wuzhili are caused by Essence(體) and Function (用).” If Essence is caused by Function, Function also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This idea has an aspect of fairly find out of feudalism. It was the recognition of the time that Mingfen(名分) should be strictly observed as ordered by heaven. The meritocracy, the equalism, and the progressive character in the idea of status liberation shown in his reform plan are in accord with his Neo-Confucianism, the Shilli, or Wuzhili. Yu Hyeong-won actively affirmed Li's Ontology characteristic, or Transcendence. His Wuzhili means that transcendental Li is inherent in Wu(物). Thus his Wuzhili can be described as 'internalization of transcendence' which could be a sign of Confucian modernity. The internalization of transcendence is a phenomenon in which transcendental providence or orders, Li or Dao, which were the power source of society's organi zation and operation, are internalized into society and into individuals. Because of the attribute that human and social organizational principles are given as Li but are inherent in Wu, Wu or the power and choice within human and society determine its success or failure. That's why he said, “The people of man are Wu of heaven, and the business of man is the virtue of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The law and order to control the power and choice of human beings and society became more important, and it became a proper task for intellectuals and rulers of Joseon to make the right legal system, which was compared to the right yardstick, right mold, and proper scal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his Neo-Confucian philosophy possessed modern-oriented elements.

      • 청년세대의 근린환경 만족도가 주거이동계획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지역 및 자녀유무별 비교를 중심으로

        신혜연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구의 주거이동은 현재의 주거에 대한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나 은 환경의 주거를 선택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선택이며 (Moore,1972), 이는 개별 가구 가 가진 저마다의 주거가치관에 근거한 합리적인 선택의 과정이다. 그중에서도 청년세 대의 주거이동은 특히 중요성을 가진다. 청년은 모든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노동인구 이자, 가족생활주기의 여러 단계를 경험하며 다양한 주거욕구를 가지고, 타 연령대에 비해 주거이동의사도 높아 이들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거시적 관점에서 청년 가구의 특성 별 주거이동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근 린환경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거주지역과 근로여부, 가족생활주기 상 위치 등 청년의 현재 사회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세분화된 모델과 종속변수인 주거이동계획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도권은 비수 도권보다 다양한 근린환경 요소들을 고려하며 그 차이가 두드러지고, 같은 수도권에서 도 자녀 유무에 따라 다른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따라서 앞으로의 주거계획에 있어 청년을 대상으로 주거지를 개발하며, 특히 수도 권의 청년을 이주시키고자 한다면,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가족생활주기 에 적합한 다양한 주거유형을 공급하고, 거주자의 정주의식을 높이기 위하여 접근성, 입지, 쾌적성, 안전성 등을 고려한 근린환경의 조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Households' housing movement is a choice to choose and move to a better environment than the present to resolve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housing (Moore, 1972), which is a reasonable process of choice based on individual households' own housing values. Among them, the housing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Young people are a labor force needed in all regions, and they need to study them in-depth due to various housing needs that arise due to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family members through various stages in the family life cyc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that affect the housing movement plan by characteristics of young households from a macro perspective. Accordingl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divided model considering the current socioeconomic situation of young people, such as the residential area, work status, and the location of the family life cycle, and the residential movement plan,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metropolitan area considers various neighborhood - 52 - environment factors than the non-metropolitan area, and that the difference is noticeable, and that the same metropolitan area is affected by other factor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reate a neighborhood environment considering accessibility, location, comfort, and safety in order to provide various types of housing suitable for the family life cycle so that young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can live stably for a long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