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인리히 만의 『운라트 교수』에 나타난 운라트의 ‘기형적 성장’ 연구

        신혜선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5 獨語敎育 Vol.62 No.62

        In den bisherigen Interpretationen wurde der Protagonist Professor Unrat lediglich als ein 'verschlagener Psychopath', der dem Leben seiner Schüler schaden will, oder als ein von Macht besessener Fanatiker aufgefasst. Diese Etikettierungen sind zwar nicht ganz unrichtig, reichen aber zum Verständnis von Unrats konstanter, am Ende eskalierender Idiosynkrasie gegenüber Lohmann und seiner obsessiven Liebe zu Rosa Fröhlich nicht aus. 독일소설의 최근 문화학적 연구들에서는 '청(소)년기 Adoleszenz'라는 개념이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른다. 20세기 전환기에 젊은 작가들에 의해 대두되기 시작한 학교소설(이야기)류에서 다루어진 '청년기'의 주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흥미롭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이 일련의 문학작품들을 언급할 수 있다. '학교이야기'라는 측면에서 학교드라마를 포함시켜 제시한다. 프랑크 베데킨트 Frank Wedekind(1890/91): 『깨어나는 봄 Frühlings Erwachen』, 막스 할베 Max Halbe(1893): 『청소년 Jugend』, 게르하르트 하웁트만Gerhard Hauptmann(1894): 『하넬레의 승천 Hanneles Himmelfahrt』, 페터 힐레 Peter Hille(1896): 『플라톤주의자의 아들 Des Platonikers Sohn』, 야콥 바써만 Jakob Wassermann(1897): 『찌른도르프의 유대인 Die Juden von Zirndorf』, 라이너 마리아 릴케 Rainer Maria Rilke(1899): 『체육시간 Die Turnstunde』, 게오르그 카이저 Georg Kaiser(1901/02): 『학생 페게작의 사건Der Fall des Schülers Vehgesack』, 토마스 만 Thomas Mann(1901): 『붇덴부르크가』의 마지막 장 Das letztes Kapitel der 『Buddenbrooks』, 에밀 슈트라우스 Emil Strauss(1902): 『친구 하인 Freund Hein』, 프란치스카 레벤틀로프 Franziska Gräfin zu Reventlow(1903): 『엘렌 올레스트예르네 Ellen Olestjerne』, 로베르트 발저 Robert Walser(1904): 『프리츠 코허의 작문 Fritz Kochers Aufsätze』, 하인리히 만 Heinrich Mann (1905): 『운라트 교수 Professor Unrat』 /Heinrich Mann(1906): 『퇴위 Abdankung』, 로베르트 무질 Robert Musil(1906): 『생도 퇴를레스의 혼란 Die Verwirrungen des Zöglings Törless』, 헤르만 헤세 Hermann Hesse(1906): 『수레바퀴 아래서 Unterm Rad』이에 대한 사회문화학적 연구에 대하여는 신혜선(2013) 참조. 근대화로 나아가는 시대상에는 전체주의 및 민족주의의 유지를 위하여 군국적, 보수적 억압이 사회와 문화를 지배하고 있었으며, 국가가 교육기관의 '주인'역할을 독점하였다.하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이러한 억압적 사회에서 일탈하고자 하는 자아관이 움트고 있었고, 이는 '젊은이들 즉, 아돌레스첸츠'의 특성과 맞물려 있다. 이렇듯 학교소설에서는 억압적 사회·문화의 담론과 근대 개인화과정의 담론이 중첩되어 대위법적 서술구조를 이루고 있다.

      • KCI등재

        『소영집성』 가곡 중 변조 악곡 고찰 - <율당삭대엽>, <농>, <(계)낙수조>, <편락>을 중심으로 -

        신혜선 한국국악학회 2016 한국음악연구 Vol.60 No.-

        소영집성(韶英集成)ꡕ에는 1822년 편찬된 거문고 악보로 가곡 한바탕이 수록되어 있다. ꡔ소영집성ꡕ의 가곡 수록체계는 우조 10곡과 계면조 10곡을 악조별로 나누어 수록하였으며, 한 악곡 내에서 변조가 이루어지는 4곡의 악곡이 수록된 점이 특이하다. 본 연구는 ꡔ소영집성ꡕ의 가곡 체계 특징을 먼저 살펴보고, 특히 변조 악곡인 <율당삭대엽(栗糖數大葉)>, <농(弄)>, <(계)낙수조(落水調)>, <편락(編樂)> 등을 분석하여 19세기 전반 가곡의 연창방식(連唱方式)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율당삭대엽>의 실제 내용은 <우롱(羽弄)>에 해당된다. 이것은 ꡔ삼죽금보(三竹琴譜)ꡕ와 같은 예로 ꡔ삼죽금보ꡕ에서는 <우롱>이란 명칭 아래 악곡을 수록한 반면, ꡔ소영집성ꡕ은 <율당삭대엽>이란 명칭 아래 <우롱>의 곡을 수록하고 있는 것이다. 이 곡이 <율당삭대엽>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중여음부터 계면조로 변조하여 4장과 5장을 <(계)이삭대엽(二數大葉)>으로 연주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연주방법을 중여음 한 장단의 선율과 주(註)로 설명해 주고 있으며 이것 또한 ꡔ삼죽금보ꡕ의 예와 비슷하다. <농>은 현행 남창 <평롱(平弄)>으로 5장 이두 제 6박부터 변조하는 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즉, <농>으로 연주하다가 5장 이두 제 6박부터 <우락(羽樂)> 5장 선율로 연주하는 것이다. 이것은 현행 여창 <평롱>에서 연주하는 양상과 일치하며 현행 여창 <평롱>도 5장에서 우조로 변조한 후, 그 다음 <우락>으로 넘어가고 있다. 즉, 이 당시에는 남창 <평롱>에서 5장을 우조로 변조하는 예가 있었으며 현행으로 오며 남창은 <평롱>에서 변조하지 않고 여창 <평롱>에서 변조하는 경우만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계)낙수조>도 <농>과 같이 5장 이두 제 6박부터 우조로 변조를 하는데, 그 변조 양상이 <농>과 동일하다. <(계)낙수조>를 <농>과 비교한 결과 초장 선율만 다르고 2~5장의 선율 전체가 동일하다. 즉, 19세기 초반의 <농>과 <(계)낙수조>는 모두 <우락>의 선율로 진행할 수 있는 곡임을 알 수 있다. <편락>은 2장에서 <우락> 2장의 선율을 10박으로 축소하여 연주하고 3장 후반부 계면조로 변조되는 부분부터는 <(계)편삭대엽(編數大葉)>을 연주한다. 이것은 현행 <편락>의 변주 양상으로 19세기 초반에 이미 현행 <편락>의 모습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편락>은 18세기 후반에 이미 생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ꡔ소영집성ꡕ의 가곡 수록 체계는 악조별로 되어 있으나 그 안의 변조 악곡을 통해 19세기 연창방식을 살필 수 있었다. 특히 <율당삭대엽>의 명칭을 분명히 부여받은 <반엽>이 19세기 초반에 존재하였으며, 이 곡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농>과 <(계)낙수조>가 초장만 다를 뿐 동일한 곡이며 변조의 양상 또한 같은 곡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거(中擧)>와 <평거(平擧)>가 파생되기 이전인 19세기 초반 가곡의 연창방식은 현행처럼 <농>은 여창에서 <계락>은 남창에서만 변조하는 것이 아니라, 남창과 여창 모두 <농>이나 <계락>에서 변조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Soyeong jipseong, the music score of geomungo published in 1822, compiled dozens of gagok pieces. The gagok system in Soyeong jipseong is made up of 10 pieces in ujo mode and 10 pieces in gyemyeonjo mode, separately compiled based on its melodic mode. Moreover, there are four pieces of modulating music that feature the change of a melodic mode within a pie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formance style of gagok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gok system in Soyeong jipseong first, and then analyzing the musical modulation including “Yuldang sakdaeyeop”, “Nong”, “Gyemyeonjo Naksujo”, and “Pyeollak”. The actual content of Yuldang sakdaeyeop is same as the one of Urong. Whereas it was compiled under the name of Urong in Samjuk geumbo, it was compiled under the name of Yuldang sakdaeyeop in Soyeong jipseong. So to play a role as Yuldang sakdaeyeop, it requires modulation into gyemyeonjo from jungyeoeum part playing “Gyemyeonjo Isakdaeyeop” in the 4th and 5th movement; such playing techniques were explained with a melody and annotation of one rhythmic pattern of jungyeoeum, which is similar to the example of Samjuk geumbo. “Nong”, as the one currently called namchang (male) “Pyeongnong”, indicates the modulating part from the idu of the 5th movement. In other words, it plays “Nong” and begins to play melody of the 5th movement of “Urak” from the idu of the 5th movement. This parallels to the current practice of yeochang (female) “Pyeongnong” ; the latter shifts from “Nong” to “Urak” in the 5th movement. At the time male “Pyeongnong” used to modulate in the 5th movement, but nowadays female “Pyeongnong”, not male “Pyeongnong”, features the modulation. “Gyemyeonjo Naksujo” shows the same modulation as “Nong” in that it modulates into ujo mode in the idu of the 5th movement. Comparing “Gyemyeonjo Naksujo” and “Nong” shows that they share the same melody from the 2nd to 5th movement except for the 1st movement. This seems to prove that “Gyemyeonjo Naksujo” and “Nong” were the same piece in the 19th century. That is, both “Nong” and “Gyemyeonjo Naksujo” can be proceeded to the melody of Urak. The 2nd movement of “Pyeollak” plays the melody of the 2nd movement of “Urak” by reducing it into 10 beats and then it plays “Gyemyeonjo pyeonsakdaeyeop” modulating it into gyemyeonjo from the second half of the 3rd movement. This, as the current aspect of “Pyeollak”, seems to have already shown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refore, “Pyeollak” is estimated to have already been created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performance style of gagok in the early 19th century through examining the four pieces of modulating music compiled in Soyeong jipseong can be inferred as follows. First, “Banyeop” was played in the process of passing from ujo to gyemyenjo mode. Second, when music was played in gyemyenjo mode, there was the performance style that “Nong” was followed by “Gyerak”, then modulated into either “Urak” or “Pyeollak”. Third, when music was played in gyemyenjo mode, there was the performance style that “Nong” is modulated into “Urak”, then followed by “Gyerak” or “Pyeollak”. The system that Soyeong jipseong compiled gagok was based on melodic modes, but its modulating music manifests the performance style of gagok in the early 19th century. Particularly, it is considered that “Banyeop” clearly granted the title of Yuldang sakdaeyeop existed and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arly 19th century. “Nong” and “Gyemyeonjo Naksujo” were basically the same piece featuring the same modulation except that they had a difference in the 1st movement. That is, in the early 19th century, when “Junggeo” and “Pyeonggeo” were not derived yet, both male and female gagok were able to modulate in “Nong” and “Gyerak”, as opposed to the current practice that female gagok modulate only in “Nong” and male gagok in “Gyerak”.

      • KCI등재
      • KCI등재

        순종과 저항의 기로에서 -존 녹스(John Knox)와 스코틀랜드 저항사상의 발전-

        신혜선 영국사학회 2023 영국연구 Vol.49 No.-

        The emergence of discourse on the resistance theory was an inevitable result of the Reformation. ‘Should obedience to God be set before obedience to secular monarch, as the case may be?’ The conclusion the Protestant reformers made was ‘resistance’ for ‘obedience’ in extreme persecution by Catholic monarchs. It was John Knox, a Scottish minister, who first accepted ideology of resistance in Scotland. In exile to avoid the religious persecution of the Scottish and English rulers, he fell into deep agony about obedience and resistance, and established his resistance ideology in a conversation with prominent religious reformers in Switzerland. Since then, Knox’s resistance theory shows a gradual development. In the early time, he was limited to passive resistance, demanding the completion of the Reformation against the Catholic authorities, but in 1557, in the rapid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in Scotland, he began to urge active armed resistance even to overthrow the regime. The declaration of dethronement of Regent Mary of Guise in 1559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1560 were the results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sistance theory introduced and developed by John Knox. 근대 초 저항권 담론은 종교개혁의 필연적 산물이었다. ‘세속군주에 대한 순종과 신에 대한 순종이 정면으로 배치되는 상황에 처한다면, 누구에 대한 순종을 우선해야 하는가?’ 가톨릭 군주들의 극심한 탄압 속에서, 신교도 개혁가들이 내린 결론은 ‘순종’을 위한 ‘저항’이었다. 이러한 저항사상이 스코틀랜드에 처음 수용된 것은 종교개혁가 존 녹스(John Knox)를 통해서였다. 그는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통치자들의 박해를 피하기 위해 떠난 망명길에서 순종과 저항에 대한 깊은 고민에 빠졌고, 스위스의 저명한 종교개혁가들과의 대담 속에서 그의 저항사상을 정립하였다. 이후 녹스의 저항사상은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인다. 초기에는 가톨릭 당국에 맞서 종교개혁을 완수할 것을 당부하는 소극적 저항에 그쳤으나, 1557년 극변하는 스코틀랜드 정세 속에서 그는 방어적 저항을 넘어선 적극적 무력저항, 나아가 체제 전복까지도 촉구하기 시작했다. 1559년 섭정 기즈 메리에 대한 폐위 선언과 1560년 장로회교회의 수립은 녹스가 도입‧발전시킨 저항사상이 실천적으로 적용된 결과였다.

      • KCI등재

        스코틀랜드 혁명과제1대 아가일 후작(Marquess of Argyll)의 통치론

        신혜선 대구사학회 2018 대구사학 Vol.130 No.-

        17세기 중엽 스코틀랜드 혁명은 국왕의 부재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초래하였는데, 당시 의회정부를 구성하여 스코틀랜드 정국을 이끈 정치지도자는 아가일 후작(the 1st Marquess of Argyll)이었다. 아가일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국왕에 대한 인식과 정치사상을 바탕으로 스코틀랜드 의회정부를 이끌어갔다. 그가 표방한 이상적인 정치형태는 국왕과 귀족, 그리고 의회가 함께 하는 헌정적 혼합 군주정(mixed constitutional monarchy)이었다. 아가일 후작은 스코틀랜드 귀족이 중재자로서 국왕과 백성을 연결하는 한편, 국왕의 감시자로서 국왕이 지닌 왕권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는 고유의 권한과 역할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국왕과 귀족의 공동통치라는 아가일의 사상은 스코틀랜드 귀족들의 오랜 전통이기도 했다. 또한 아가일은 국왕과 의회가 통치권을 공유해야 하며, 모든 절차는 반드시 의회를 거쳐 합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1640년대 국왕부재기 아가일은 의회정부를 통해 헌정적으로 국정을 운영해 나갔는데 이는 공화정의 형태에 가까운 것이었다. 아가일의 태생적 입지와 고유의 신념은 그를 국왕에 대한 무력저항의 길로 이끌었다. 국왕이 주어진 권한을 넘어선다면 국왕은 반드시 신민들에 의해 제한되고 저항 받아야 하는 것이 그의 정치적 신념이었다. 찰스 1세는 이러한 저항의 조건에 수렴하는 국왕이었고, 이에 따라 1640년 아가일은 발로크 성 비밀 회담에서 찰스에 대한 폐위를 계획하였다. 비록 국왕 폐위가 실제로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당시 아가일의 폐위 시도 자체는 역사적으로 의미하는 바가 컸다. In the mid-seventeenth century, the Scottish Revolution brought about the collapse of the kingship. The Scottish government was in the hands of the covenanters, led by the 1st Marquess of Argyll. The Scottish parliamentary government was run according to Argyll’s idea of the kingship and government. The virtue of nobility, he argued, to watch the power of the king, and to mediate between the king and the people as moderators. Argyll believed in a mixed constitutional government of the Parliament consisted of the King and the nobility. According to Argyll, the King and the Parliament should share their sovereignty. Almost every single political proceedings of Scotland in the 1640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political conviction of Argyll. Scotland of 1640s was de facto a republic. Argyll’s status and his conviction led him to a path of resistance against the king Charles I. It was his political belief that the king must be limited and resisted by the people if the king desert his people and invasion against them. Charles I was the king who converged on the conditions of this resistance theory. The the Balloch castle conference of 1640 was to implement the deposition of Charles, even though it did not actually take pla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