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유아의 행복 탐색

        신현정,제희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ntexts of recognizing and using strengths by interviewing the ‘doing well activities' and ‘favorite activities' that the children think, and to explore deep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trengths and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22 young children aged 5 years and analyzed qualitative data.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oing well activities' and ‘favorite activities', The children experience it through recognition and autonomy, in one side the recognition of others and the positive feedback were important especially in ‘doing well activities'. Second, we can see that children can experience strength in terms of relationship throug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hird, children experienced ‘doing well activities' and ‘favorite activities' through perseverance and pleasure, and patience promoted by expected positive emotion was found to be based on continuous strength enhancement. Fourth, children responded that they can experience happiness when they experience a positive relationship and make it active, and through accomplishments that can transcend the present joy. Through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the happy educational field through the recognition and promotion of the strengths of the children were derived. 본 연구는 유아가 생각하는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을 통해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맥락을 드러내고,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중 더 행복한 것과 그 이유를 알아봄으로써 강점 활용과 행복의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만 5세 유아 22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과 질적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인식한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은 인정과 자율성을 통해 경험하며 특히 잘하는 것에 타인의 인정과 긍정적인 피드백이 중요하였다. 둘째, 경쟁과 협력을 통해 관계적 측면에서 강점을 경험하였다. 셋째, 인내와 즐거움을 통해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을 경험하고, 긍정적인 기대감으로 인내가 촉진되어 강점 증진의 기반이 되었다. 넷째, 유아의 행복은 자율성이 발휘되는 상황에서 경험되며 다섯째, 유아는 긍정적 관계 경험과 이를 능동적으로 만들어 갈 때, 마지막으로 즐거움을 넘어 선 성취를 통해 행복을 경험하였다. 이들 결과를 통해 유아의 강점 인식과 증진을 통한 행복한 교육현장의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아동상담가인 어머니가 체험한 양육에서의 ‘세대 간 전이’

        신현정,이은영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4

        This study aims at view-expending on generational transmission based on nurturing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mother. Overall definition about generational transmission has limitation that not revealing abundant nurturing phenomena. So through nurturing experience narrative based on two child counselor-mother who have been sensitive, explorations to become better mother for better nurturing have been conducted. Leading from abstract to concrete on generational transmission is so much meaningful. It would be possible that expending of generational transmission’s shape based on nurturing-history telling both two child counselor-mother. Generational transmission is consisted on continuity, situation, interaction, the result is revealed at ‘becoming confusion’ vs ‘becoming dissociation’ in content. Also ‘becoming adherence’ vs ‘becoming transform’ in way can be found. Differences between ‘becoming confusion’ and ‘becoming dissociation’ are related to how they can alert, tolerate and practice. It is also connected to ‘seeking boundary’ between their own mother and herself through continual time. Several objective ego explorations from symbolic interactionism are needed for better ‘becoming dissociation’ from their own mother. In this process, contradictions have accompanied. Beyond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perspective about generational transmission, connected mothers with intersubjectivity are required ‘understanding’ of their own mother’s nurturing as well as theirs. Serious reinterpretation of their nurturing life can lead to change their real thing. 본 연구는 아동상담가의 양육체험을 통해 ‘세대 간 전이’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확장하는데 목적을 둔다. ‘세대 간 전이’에 관한 문(文)적 개념화는 세대 간 대물림의 다양한 현상을 드러내는데 한계를 지닌다. 이에 양육이슈에 민감한 아동상담가들의 자녀 양육체험 내러티브를 통해 양육사를 탐구하고 더 나은 양육의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삼차원적 탐구 공간 안에서의 아동상담가의 내러티브에 천착하는 일은 그간 추상적이었던 ‘세대 간 전이’의 담론을 구체적 현상으로 재현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양육사 바탕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세대 간 전이’의 가능성과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대 간 전이’를 시간성, 상황성, 상호작용성으로 분석, 해석한 결과 내용적으로는 ‘일체-화(一體-化) VS 분신-화(分身-化)’로, 방식적 측면에서는 ‘고수-화 VS 변형-화’로 나타났다. ‘일체-화’와 ‘분신-화’ 간의 차이는 원가족인 어머니와의 합일 정도를 자각하고 용인하며 실천하는 수준과 관련되었다. 이 과정은 또한 자신의 ‘경계-찾기’의 시간성을 수반하였다. 방식적 측면에서의 ‘고수-화’, ‘변형-화’는 다양한 객관적 자아를 찾으려는 시도와 연관되었다. 하지만 자신이 곧 어머니라는 세계에서 비롯되었고 어머니라는 객관적 자아의 상당부분이 자신의 주관적 자아와 중복된다는 모순을 깨닫는 것은 중요했다. 따라서 다양한 객관적 자아와의 만남은 필요했다. 모순을 반영하는 정도와 더불어 어머니의 양육적 삶을 ‘이해’하는 과정은 자신의 양육적 삶을 재해석하고 다시 살아갈 양육적 삶을 동기화 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주관적 존재로서 양육적 삶을 사는 많은 주체들을 두 어머니의 양육 내러티브로 연결함으로 ‘세대 간 전이’가 부정적, 긍정적 영향력을 넘어서 선행된, 재해석 및 재구성될 삶의 현상이며 과정으로 ‘경계-찾기’와 ‘이해-되기’의 시간성 속에서 추진되어야 할 점임을 제안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교사역량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신현정,박진성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he influence of teacher competency on psychological burnou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6 child care teachers in day care center. The measurer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questionaries; the STEBI of Hye Young Shin, the teacher competency scale of Ok-Kyung Lim, the MBI of Jin-Hwa Lee.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the program ‘SPSS 21.0’ to carry out reliability,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ppeared in the order of emotional depletion, personal achievement degradation, and cynicism. Second, the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and teachers’ competency had meaningful nega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 psychological burnout. Third, the psychological burnout was affected by personal efficacy, child learning support,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lann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teacher efficacy and competency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lower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사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256명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신혜영(2004)이 수정, 보완한 교사 효능감 검사도구, 임옥경(2014)이 개발한 교사역량척도, 이진화(2009)가 수정, 보완한 MBI 측정도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수준은 정서고갈, 개인성취감 저하, 냉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교사역량과 정적관계를 보였으며, 교사 효능감과 교사역량은 심리적 소진과 부적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심리적 소진에 대한 교사 효능감과 교사역량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개인 효능감, 유아 학습지원, 교육과정 이해, 교육계획은 심리적 소진 전체에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효능감과 교사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낮추기 위해 교사의 효능감과 역량을 강화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강점 키우기를 통한 유아의 인성역량 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신현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3

        As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es, human needs are character competences closely related to human nature. It is the ability to be the basis of human life, so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on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can be said to be more effective when one increases one’s will to practice the moral values cherished by individuals, which can be done more effectively by utilizing the strength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this purpose, twenty-eight 5-year-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s were constructed with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collected data were averaged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paired t-test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 Competencies Raising Program by Promoting the Strengths of children have the following main activities. Those are ‘finding one’s strengths’, ‘to make a happy tree’, ‘strengths naming’, ‘the riddle to find a friend’, ‘success stories using strengths’, ‘the strengths of friends in fairy tales’, ‘the play utilizing strengths’, the golden bell of strengths, writing thank-you letters (diary), ‘self-portrait expressing strengths’. Second, this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aising the character competences of children.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인간의 본성과 밀접히 관련된 인성역량이며 이는 인간 삶의 기본이 되므로 유아기부터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인성교육은 개인의 도덕적 가치 실현을 위한 실천 의지를 높이고 긍정심리학에 기반 한 강점을 활용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점 키우기를 통한 유아의 인성역량 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만 5세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차이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성역량 함양 프로그램의 유아 강점 키우기 주요활동으로 유아 강점 찾기, 행복나무 꾸미기, 강점이름 짓기, 친구 찾기 수수께끼, 강점을 활용한 성공경험 이야기, 강점 찾아주기, 강점 활용 동극, 강점 골든벨, 감사편지(일기) 쓰기, 강점자화상 등이 있다. 둘째, 강점 키우기를 통한 유아의 인성역량 함양 프로그램은 유아의 인성역량을 함양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형태적 수렴 특성을 이용한 하구 분류

        신현정,유호상,이관홍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3

        하구의 분류는 크게 지형경관적 특성에 근거한 정성적인 분류와 수괴의 물리적 특성에 근거한 정량적 분류로 구분될 수 있으나, 전자는 하구의 특성을 정량화하기 어려우며 후자는 자료부족으로 인해 폭넓은 적용이 어렵다. 하구의 형태적 수렴 특성은 자료의 획득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면서도 하구의 조석전파 특성과 연관시킬 수 있어 하구 분류 기준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본 연구는 국내 19개 하구에 대해 하구의 형태적 수렴특성을 이용하여 하구별 특징을 파악하고 분류를 시도한 것이다. 하구의 수심과 너비자료를 이용하여 수심과 너비의 감소율(n)과 무차원화된 하구의 길이(y0)를 구하고, 1차원 수심적분 운동방정식과 연속방정식으로부터 유도한 전이함수 x(n, ky)에 n와 y0을 대입하여 하구별 조위/조석 진폭비와 조위/조류 위상차를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19개 하구의 특징을 파악하고 3개 그룹을 구분하였다. 국내 19개 하구는 크게 조위 변동이 조류 변동보다 우세한 제1그룹, 하구와 조류 변동이 조위 변동보다 우세한 제2그룹, 그리고 1그룹과 2그룹의 전이 형태를 갖는 제3그룹 하구로 분류된다. 민감도 분석 결과 하구분류 알고리듬은 하구 길이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구 길이가 과대 혹은 과소 추정되었을 때 본래의 조위/조류 진폭비는 과소 혹은 과대 추정되며, 본래의 조위/조류 위상차는 과대 혹은 과소 추정된다. 그러므로 형태적 수렴 특성을 이용하여 하구분류를 하고자 할 때는 하구 길이의 적절한 산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구분류 알고리듬은 수심의 변화를 무시하여도 동일한 분류 결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하구길이의 적절한 산정이 전제될 경우 하구분류 알고리듬이 자료의 제약 없이 대부분의 국내하구에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estuarie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qualitative classification based on geomorphic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classification based up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water body. While simple and intuitive scheme of the former is difficult to quantify, the latter is not easy to apply due to the lack of data. A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morphological convergence is very promising because it only requires easily accessible data such as width and depth of channels, as well as it can characterize estuaries in terms of tidal propagation. Thus, this paper examines the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estuarine morphological convergence using depth and width data obtained from 19 major Korean estuaries. Morphological convergence for each estuary was estimated with the estuarine length, width and depth data to get the convergence parameters, which includes the degree of funneling n and the dimensionless estuarine length y0. The transfer function x(n, ky) is then deduced analytically from 1D depth-integrated hydrodynamic momentum equation and continuity equation for estuarine shapes. Tidal response of each estuary is finally calculated using n, y0 and x(n, ky) for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The 19 Korean estuar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idal amplitude-dominated estuaries with standing wave-like tidal response (group 1), currentdominated estuaries with progressive wave-like tidal response (group 2), and the intermediate group (group 3) between groups 1 and 2. The sensitivity analysis revealed that uncertainties in determining the estuarine length can have a critical effect upon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reasonable determination of the estuarine length is of critical importance. Once the estuarine length is feasibly determined, depthconvergence can be neglected without any negative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which has an important ramification on the wide applicability of the classification scheme.

      • KCI등재

        최근 천문학 연구 키워드와 천체 분야 교육과정 내용 요소 비교 분석

        신현정,권우진,가석현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2 No.2

        힉스입자 발견, 블랙홀 이미지 촬영, 외계행성 탐사, 깊은 우주탐사, 중력파 관측 등 최근 천문학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학생들도 상대적으로 흥미가 높은 분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천문학 연구 저널에서 높은 빈도로 등장한 키워드들과 중고등학교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된 천문학 내용 요소를 7개 영역별로 비교하여 천문학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우선 선정된 4개 저널-ApJ, ApJL, A&A, MNRAS-에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모든 논문의 키워드를 R 패키지로 수집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내용 요소는 7학년부터 12학년 학생이 배우는 과목중 천문학 내용 요소가 포함된 6개 과목(과학, 통합과학, 지구과학I, 지구과학II, 물리II, 융합과학)의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내용 체계표, 성취기준, 성취기준해설을 현직 교사들이 코딩한 결과를 종합하여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학에서꾸준하게 많이 등장하는 키워드는 ‘galaxies: formation, galaxies: active, star: formation, accretion, accretion discs, method: numerical’ 이다. 둘째, 천문학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이 배우는 공통 과학 과목 안에서 ‘High Energy Astrophysical Phenomena’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으나 키워드 수준에서 보면 과목별, 학년별 내용 요소 배치와 새롭게 도입할 만한 주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목의 근간을 이루는 과학연구 분야와교육과정을 비교한 탐색적 연구로서, 연구 결과는 향후 천문학 교육과정 개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신현정,성영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2003 兒童硏究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teacher about early adjustment in child car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3 child care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child care center in Seoul, Gyunggi-do, Chungcheong-do.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Questionaire developed by Park, Lee, Kim(1996) and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PAQ) developed by Jewsuwan, Luster, Kostelink(1993). PAQ was rated by child care teacher doing acurrent early adjustment program in child care center, i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adjustment program in child 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condition of early adjustment program enforcement in child care center was 71.3%.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 and private child care center. Second,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teacher about early adjustment program necessity in child care was 96.5%, Third, the effect of a current early adjustment program in child care was more than average. Also,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teacher about a new early adjustment program necessity in child care according to children attachment and temper was very high as 9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