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의 東洋史學者 内藤湖南의 歷史認識 —支那認識과 文化史觀을 중심으로—

        신현승 동아시아고대학회 2009 동아시아고대학 Vol.19 No.-

        20세기 전반에 활약한 일본 역사학자들의 歷史認識과 歷史觀을 한 마디로 말하면 그것은 제국주의 이념을 정당화하고 체계화한 것이었다. 폄하와 멸시의 他者로서 이웃나라를 평가하고 인식한 결과, 수많은 침략주의 이론의 정당성과 ‘일본의 우월성’이라는 단편적 언설들을 쏟아내었다. 그들은 세계사적 보편성이라는 시각은 염두에 두고 있지 않았다. 현상을 쫓고 實質은 고려하지 않은 채, 미개한 他者를 이끌고 지도해야할 대상으로밖에 인식하지 않았다. 이러한 歷史認識을 소유한 일본의 지식인 가운데 内藤湖南(1866~1934)이라는 동양사학자가 있다. 그는 일본이 제국주의와 군국주의로 치닫고 있던 시기에 支那論(=中國論)으로 필명을 날리고 일본의 근대 동양사학을 개척한 인물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나이토 고난의 東洋史觀에 주목하여 그의 歷史認識에 초점을 맞추고 당시 그의 支那(=중국) 인식이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었는지, 또 그가 주창한 ‘時代區分論’과 ‘文化中心移動說’의 내재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은 대체로 두 단계로 나누어져 있는데, 본문의 첫 번째에서는 「支那認識의 양상」이라는 소제목을 달고 당시 나이토의 중국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의 양상이 어떠했는지를 다루었다. 거기에는 열등한 他者로서의 支那像이 각인되어 있었고 철저하게 중국인들을 폄하하고 무시하는 언설로 채워져 있다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그의 이와 같은 인식의 배경에는 당시 일본의 知性界를 휩쓴 支那論 열풍이 있었다. 그것도 대외팽창을 목표로 한 정부의 견해와 완전히 일치하는 열등한 他者로서의 支那(=중국)에 대한 의론이었고, 중화적 보편질서를 해체하려는 철저히 부정적 이미지로 他者化된 ‘支那論’이었다. 그 결과 他者化된 중국은 침략주의, 군국주의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나이토 고난의 경우도 이러한 사조에 동반하여 그 자신의 支那認識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본문의 두 번째에서는 나이토의 文化史觀을 『新支那論』에서 그 자신이 제기한 ‘文化中心移動說’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또 아직도 동아시아 삼국의 동양사학계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그의 ‘時代區分論’을 ‘文化中心移動說’과 연동하는 이론으로서 고찰하였다. 특히 그의 文化史觀이 ‘文化中心으로서의 일본’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경제대국·문화대국을 자부하는 그의 언설을 살펴보았다. 그가 말하는 동양문화는 중국문화만을 일컫는 개념이 아니었으며, 중국은 이 개념 속에서 他者化된 助演의 역할이 부여되었다. 그 대신 중국의 역사를 유지시킨 공로자이자 東洋文化의 主演은 이종족(곧 이민족)에게 부여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자연히 당시의 시점에서 볼 때 일본이 동양문화의 중심이라는 관념으로 연결될 수 있는 논리적 정당성을 확보해 주는 근거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나이토의 支那認識과 文化史觀은 한 마디로 말하면 ‘자국 우월주의’에 바탕을 둔 ‘일본 중심주의적’ 歷史認識이자 文化史觀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유교정치학으로서 퇴계의 성학과 정치 담론

        신현승 영남퇴계학연구원 2011 퇴계학논집 Vol.8 No.-

        이 논문은 조선시대 ‘유교정치학’의 집대성이라 할 만한 퇴계의 성학 론(聖學論)이 어떤 정치학적 의미를 내포하는지, 또 그의 정치적 언설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기획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이 논고에서는 퇴계 정치철학의 결정체인 성학십도(聖學十圖)와 정치 담론의 집약으로 볼 수 있는 상소문 「무 진육조소」를 주요 논증자료로 채택하였다. 이를 통해 퇴계의 ‘성학=유 교정치학의 정수’ 혹은 삼위일체의 정치 담론(학문과 도덕 및 정치의 삼위일체)의 다채로운 양상을 고찰하였다. ‘도덕=정치=학문’이라는 도식 은 동아시아 유교사상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이 도식은 거의 모든 유학자의 의식구조 속에 자리 잡고 있던 기본적 사유 형태였다. 퇴계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이러한 의식구조 하에서 자기만 의 독특한 학설 체계(성학의 체계와 새로운 천견론과 같은 입장)를 만 들어내었다고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유학자들의 정치적 담론은 도덕과 학문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았으며, ‘도덕=정치=학문’이라는 도식 하에서 다채로운 정치적 담론도 이루어졌다. 감히 이 논문에서 ‘유교정치학’이라는 용어를 퇴계의 ‘성학’ 과 동일시한 것도 그 때문이다. 결국 퇴계의 유교정치학적 의미에서의 탁월함은 위와 같은 도식을 더욱 정밀히 하고 체계화함으로써 정국의 안정과 조화로운 정치를 지향했다는 점에 있을 것이다.

      • KCI등재

        蕺山 劉宗周의 ‘宋明儒學’評 ― 人物評을 중심으로 -

        신현승 동양철학연구회 2008 東洋哲學硏究 Vol.56 No.-

        This paper was intended to focus on a conception of ‘Song-Ming Confucianism’ of Liu Zongzhou(1578-1645) at the late Ming of China, and to examine how he understood and evaluated Confucian scholars of Song and Confucian scholars of Ming. As his disciple Huang Zongxi said, it seems troublesome to find an independent comment contained in his thought only from a point of view that Liu Zongzhou is a scholar of Yang Ming Philosophy’s typical genealogy. In other word, if Liu Zongzhou is classified as the traditional successor of Yang Ming Philosophy by evaluation of only Huang Zongxi, it is not sufficient to analyze the unique situation of late Ming of China. In the text of this paper, as far as the comment of Liu Zongzhou is focused, Liu Zongzhou as the philosopher started as a critic of Yukwang(陸王) study. It was Jeongju(程朱) study against Yukwang study, and was not the inverse at all. Base on such the standpoint, a respect for Zhou Dunyi and Yin tun, the Confucian scholar of Song was never changed during the lifetime. Then, his evaluation and recognition on Confucian scholars of Ming were reviewed. As the result, he strictly took a neglecting attitude to Xue Xuan, Chen Xianzhang, Luo Zhengyan, and Wang Ji among Confucian scholars of Ming. On the contrary, he highly prized Fang Xiaoru and Wu Yubi at the early Ming, Wang Shouren who is the founder of Yang Ming Philosophy, Xu Fuyuan, Gu Xiancheng and Gao Panlong of Dongrim(東林) party. Especially, he criticized the attitude of many scholars based on his position considering ‘a devotion and fidelity’, and then established it as a criterion of personal evaluation. It can be known that he evaluated the man based on an ethical and moral criterion of Confucianism. It was same in the evaluation of Confucian scholars of Song. 本稿에서는 중국 明末期에 활약한 劉宗周(1578-1645)라는 儒者에 주목하여 그 自身의 ‘宋明儒學’觀에 초점을 맞추고 그가 어떻게 宋儒와 明儒에 관해 이해하고 평가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확실히 그의 제자 黃宗羲가 말하는 바와 같이 劉宗周를 陽明學의 정통 계보에 속하는 學者로서 평가하는 관점만으로는 그의 思想에 내재되어 있는 獨自的 견해를 찾아내는 일은 곤란할 지도 모른다. 다시 말해 黃宗羲 한 사람의 평가만으로 그를 陽明學의 정통 계승자로서 정리해 버리면 思想史上의 의의는 별개로 하더라도 中國 明末이라는 특수한 시대성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本稿의 本文에서 劉宗周의 언설로부터 보는 한, 우선 생각할 수 있는 것은 思想家로서의 그는 맨 처음부터 陸王學에 대한 비판자로서 출발했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陸王學에 대항한 程朱學이었지 결코 그 逆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또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宋代의 儒者 周敦頤와 尹焞에 대한 존경심과 顯彰은 일생 동안 변하지 않은 것이었다. 다음으로는 明代의 儒者들에 대한 그의 평가와 인식, 즉 그의 ‘明儒’觀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그는 明代 유자들 가운데 설선 · 진헌장 · 나정암 · 왕기 등의 인물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경시의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그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인물들은 明代 初期의 방효유 · 오여필을 필두로 하여 陽明學의 창시자인 王守仁, 스승 許孚遠, 東林派의 고헌성 · 고반룡 등이었다. 특히 그는 ‘忠節’과 ‘節義’를 중시하는 그 자신의 입장에 근거하여 諸 先學의 立身出處의 태도를 논평하고 그것을 인물 평가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면 그는 확실히 유교의 윤리적 · 도덕적 기준으로부터 인물을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宋代 儒者들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일이었다.

      • KCI등재

        日本의 近代 學術思潮와 陽明學

        신현승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08 일본사상 Vol.0 No.14

        Japan’s modern period is the time whe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modern Japan’s imperialism, Asianism, national polity, and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existed and was introduced. Among them, Kongzi and Mengzi’s advanced Confucianism, Zhuzixue started from Song Period, and Neo-confucianism(新儒敎) were introduced and transferred to Japan with Edo(江戶) era. It became one part of Japan’s spiritual history regardless of being negative or positive. Also, Neo-confucianism created Japan-styled thoughts or Japanized thoughts different from the form of China’s Neo-confucianism through Shugo(習合) process, since it was introduced to the modern Japan. At the outset, Kogaku revolted against Zhuzixue, and then Kokugaku carried on. Then, Mitogaku significantly affected the national polity of Japan’s modern period. Such thought school formed one part of Japan’s spiri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ecute the discussion ranging from the introduction of Neo- confucianism and to the birth of Kogaku(古學). This discussion was the process which extracted the core ideological factors in the consecutive process that Zhuzixue and Yang-ming Studies of Neo- confucianism were introduced to Japan and then were re-born as the new Japanese Zhuzixue and Japanese Yang-ming Studies. Accordingly, it described the active role of Yang-ming Studies in Japan’s modernization process. Besides, how modern Japanese intellectuals understood Yang-ming Studies(陽明學) and what Yang-ming Studies was positioned in Bushido, was discussed. Finally, it was indicated that Yang-ming Studies movement was succeeded as the studies school which was vivid in Japan’s history by taking the period of Yang-ming Studies movement as the example, after Japan’s modern period. Also, in Japan’s modernization process, how much Confucianism was affected in Japan’s society as the ideological basis of Meiji or in Japan’s society after Meiji, was intensively discussed through connecting with Yang-ming Studies. Also, This paper covered the spiritual world of Kogaku appeared as the transcendence and overcoming of Chinese Sinocentrisim or Antithese. It contained the advent of Japanese spirit and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There was the fusion of compromise and harmony. As more detailed proof, the scholarship spirits of Ito Jinsai (1627~1705), Ogyu sorai(1666~1728) and Yamaga soko (1622~1685) who were the representative men of Kogaku were examined. In their scholarship spirits, there was commonly the strong opposition against Neo-confucianism (specifically, Zhuzixue).

      • SCOPUSKCI등재

        내시경직시하 세침흡인세포진검사로 진단된 상부위장관종양

        신현승,강진경,박인서,문영명,정재복,박찬일,송시영,정진이,임현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93 Clinical Endoscopy Vol.13 No.2

        The endoscopic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may add to the diagnostic accuracy of endoscopic biopsy and brush cytology. It is also of particular value in submucosal, infiltrative and ulceronecrotic tumors. Endoscopic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was done with sclerotherapy needle(23 gauge) in. the 17 patients with submucosal tumor(18 cases), extrinsic compression(2 cases), infiltrative gastric cancer(one case) and cancer of the ampulla of Vater(one case) on the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Endoscopic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established the diagnosis in 6 cases(submucosal tumor of the stomach; 2 cases, submucosal tumor of the duodenum; one case, extrinsic mass of the duodenum; one case, infiltrative cancer of the stomach; one case, and the cancer of ampulla of Vater; one case) of 17 cases. There were negative results for malignancy in 7 cases and material insufficiency in 4 cases. Five cases of the positive results with endoscopic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were not diagnosed with endoscopic forceps biopsies. There was no complication. We conclude that endoscopic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is a simple and safe technique and is of particular value in submucosal tumor, extrinsic compression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by tumor, and infiltrative gastric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