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맥락과 학업유능성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수업참여의 매개효과

        신현숙 ( Shin Hyeon-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2

        이 연구에서는 동기발달의 자기시스템 모형(self-system model)에 따라, 지각된 학급맥락이 중학생의 학업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수업참여(수업시간 중 학습활동에 참여하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은 예측변인(지각된 학급맥락)이 각각의 결과변인(학업유능성, 주관적 안녕감)과 관계를 이루는 직접경로, 예측변인과 결과변인의 관계를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매개하는 경로, 수업참여가 매개하는 경로,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수업참여가 순서대로 매개하는 직렬매개경로를 모두 포함하는 부분매개모형이고, 경합모형은 직접경로가 제거 된 완전매개모형이다. G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남녀학생 577명에게 자기보고형 질문지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에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부트스트래핑 절차를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에 비해 경합모형이 경험적 자료에 더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기본심리 욕구 충족과 수업참여가 매개변인으로 고려되면, 지각된 학급맥락이 학업유능성이나 주관적 안녕감과 직접 관계를 이루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학급맥락과 학업유능성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수업참여의 매개효과,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수업참여의 직렬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지각된 학급맥락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는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만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인 학급맥락이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에 영향을 주고,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수업참여에 기여함으로써 학업유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지만, 주관적 안녕감은 기본심리욕구 충족만을 매개로 한 학급맥락의 영향력에 의해 증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동기발달의 자기시스템 모형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고, 긍정적인 학급환경이 학업유능성이나 주관적 안녕감과 이루는 관계의 상이한 설명기제를 제시하며, 학업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이 저조한 중학생들을 위한 개입의 구성요소를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On the basis of the self-system model of motiva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test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i.e., student engagement with academic activities in the classroom) on the relations of perceived classroom context to academic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as the partial mediation model with direct paths through which perceived classroom context affects academic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mediated paths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mediated paths through classroom engagement, and serially mediated paths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The competitive model was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in which the direct paths were nonexistent.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577 eighth grader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G Cit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procedure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and the direct effects of perceived classroom context on academic competence and on subjective well-being were nonsignificant whe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were taken into account as mediators. Second, with academic competence as the outcome variable, the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that of classroom engagement, and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were all significant. Third, with subjective well-being as the outcome variable, only the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as found significant. The results imply that positive features of classroom context contribute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hich in turn increases classroom engagement, which ultimately enhances academic competence; however, positive features of classroom context affect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only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uch findings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self-system model of motivational development, explain differential mechanisms underly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perceived classroom context influences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suggest components of interventions for disengaged students who are low in academic competence or those suffering from subjective ill-being.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청소년기 대처양식: 비행과 학교동일시에 따른 차이

        신현숙(Hyeon Sook Shin) 한국상담학회 2001 상담학연구 Vol.2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adolescents` coping styl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069 adolescents attending junior or senio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or Kyung-Gi. A factor analysis yielded six factors representing general coping styles used by adolescents. This study examined gender- and grade-differences in the use of each of the six coping styles. It also investigated differences in coping styles among adolescents who differed by the extent of delinquency experiences and identification with school.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cope with stresses by seeking social relationships, by working hard and trying to solve problems, or by seeking religious help than were males. In contrast, male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actively seek help or avoid problems than were females. As grades increased, adolescents more frequently used ``passive coping,`` ``actively seek help; and ``seek religious help.`` However, grade-differences in the use of ``seek social relationships,`` ``hard work-problem solving,`` and ``avoid the problem`` were not found significant. Adolescents having a few delinquency experiences and a nigh sense of identification with school were more likely to work hard and try to solve problems, and were less likely to passively cope with stresses and avoid problems than were other adolescents. Regardless of the extent of delinquency experiences, adolescents with a high sense of identification with school were more likely to seek social relationships and actively seek help than Were those with a low sense of identification with school. In addition, out of adolescents having many delinquency experiences, those with a nigh sense of identification with school were more likely to seek social relationships, actively seek help, and work hard and solve problems than were those with a low sense of identification with school. These findings imply that not every delinquent adolescent relies on dysfunctional coping styles. Thus, it would be necessary for youth counselors to understand the variety of coping styles among delinquent adolesc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환경과 학습기술의 관계에서 교사학생관계와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검증

        신현숙(Hyeon Sook Shi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교육연구 Vol.32 No.-

        이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환경과 학습기술의 관계를 교사학생관계와 성취목표지향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3학년 학생 357명을 대상으로 지필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세 가지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고 경로계수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첫 번째 모형은 수업환경이 학습기술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만을 가정한 직접 효과 모형이다. 두 번째 모형은 수업환경이 학습기술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 수업환경과 학습기술의 관계를 교사학생관계와 성취목표 지향성이 매개하는 경로, 교사학생관계가 성취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모두 가정한 연구모형이다. 세 번째 모형은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비교하기 위하여 수업환경이 학습기술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제거한 경합모형이다. 연구모형과 경합모형을 설정할 때 성취목표지향성의 유형을 고려하여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를 각각 매개변인으로 가정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 효과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며,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환경이 긍정적일수록 학습기술의 효율적 사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환경과 학습기술 간 부적 관계가 유의하였으나, 교사학생관계와 숙달목표지향성을 매개로 할 경우 수업환경이 학습기술 사용에 긍정적 영향을 줌으로써 수업환경과 학습기술의 부적 관계가 억압되었다. 셋째, 수업환경이 학습기술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은 경우에도 교사학생관계와 수행접근목표지향성 및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을 매개로 하면 수업환경이 학습기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환경을 개선하여 학생의 학습기술 사용을 증진시키고자 한다면, 학급 안에서 원만한 교사학생관계를 조성하는 개입과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을 향상시키는 개입의 병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in the relation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instructional contexts and academic skill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57 ninth grader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for each typ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i.e., mastery, performance approach, performance avoidance). First, the direct-effect model depicting the influences of instructional contexts on academic skills was found to have a reasonable fit. The more positive the instructional contexts, the greater the tendency to use academic skills. Second, the negative, direct effects of instructional contexts on academic skills were transformed into the positive effects through the mediation of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mastery goal orientations. Third, direct effects of instructional contexts on academic skill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models with performance approach goals or performance avoidance goals as mediators; however, instructional contexts exerted positive influences on academic skills through the mediation of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performance goals. These results imply that it be necessary to help students maintai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classroom and pursue achievement goals if school professionals intend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skills by altering instructional contexts.

      • KCI등재
      • KCI등재

        친구관계의 질이 사회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의 조절효과

        배민영 ( Min Young Bae ),신현숙 ( Hyeon Sook Shi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친구관계의 질이 초등학생의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노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학생 487명에게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자기노출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자기노출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노출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부적 관계가 유의하였다. 즉, 자기노출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친구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사회불안이 낮았다. 둘째, 친구관계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 자기노출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긍정적 친구관계와 주관적 안녕감 간 정적 관계가 자기노출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노출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강력하였다. 즉, 자기노출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긍정적 친구관계의 질이 높을 수록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노출이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관계 그리고 친구관계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를 조절함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불안이 높거나 주관적 안녕감이 낮은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의 친구관계가 긍정적일지라도 사회불안을 낮추고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려면 적절한 자기노출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isclosure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and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87 5th- and 6th-grader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In the low self-disclosure group,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In contrast,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That is,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e higher the friendship quality the lower the level of social anxiety.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also significant. The positive effect of friendship quality on subjective well-being was stronger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an in the low self-disclosure group. That is,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e higher the friendship quality the higher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elation of friendship quality to social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be moderated by self-disclosu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friendship quality of children who are socially anxious or low in subjective well-being and to increase self-disclosure of those who, despite positive friendship, suffer from heightened social anxiety and reduced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