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호청소년을 위한 컴퓨터 교육과정 모형 제안 및 컴퓨터 보조 학습자료 구현

        신현란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we are focusing on research of comput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a juvenile training school. The curriculum of the general education has already been researched for a long time over many times, but the researches into th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placed under the protection in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are not yet active. The educations for them emphasize on the cultivation but the general education and the vocation training education is also important in order for them to adapt themselves to everyday lives after leaving the training school. Especially, from 2000, the special computer classes expect to be established newly. And also the research into the computer education for the student in the training school is much more needed. Then from now, let us think the reasons we cannot apply the curriculum for the general education to th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in a training school. First place, their ages and academic backgrounds are different. Accordingly, the degree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re different. Second, the numbers of school days are same to all the students in the general school, but this is different to the students each in a training school depending on their crime. Third, the date of admission into a training school cannot be expected. For the students can enter a training school, only when they commit a crime, and then are decided to enter a training school. Accordingly, here after I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of a training school for a juvenile delinquent, I propose the short-term model, the middle-term model and long-term model, depending on his protected term. And I investigate the interest of a training-school student, the computer area where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rporation is interested, and the computer curriculum in the vocational training centers. I applied these developed assistant program, but wasn't able to apply the models to the curriculum of a juvenile training school. Accordingly, the researches into the computer-curriculum model should be progressed to make more suitable model for a juvenile training school. 본 논문은 비행으로 소년원에서 보호받고 있는 소년원생들을 위한 컴퓨터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일반 학교의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은 이미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보호 청소년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않는 실정이다. 소년원에 있는 학생들의 순화교육과 인성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퇴원 후 사회 생활 적응을 위해 보호기간 중의 학과교육이나 직업훈련 교육 역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2000년부터 컴퓨터 특별반이 신설될 예정이기 때문에 소년원에 적합한 컴퓨터 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면 일반학교의 교육과정을 적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살펴보도록 하자. 첫째 학생별 연령 차이와 학력차이가 매우 심하다. 이로 인해 개인별 학업 성취도도 일반학교보다 심하다. 둘째 일반학교는 일정한 기간동안 교육을 받지만, 소년원에서는 비행의 정도에 따라 소년원에서의 교육 기간이 다르다. 셋째 소년원으로 입원이 불규칙적이다. 일반학교는 입학과 졸업이 있지만 소년원은 비행하여 소년분류심사원으로부터 소년원 입원을 결정 받게 되므로 소년원 입원을 예측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소년원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보호 기간별로 단기형, 중기형, 그리고 장기형 컴퓨터 교육과정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교육 내용은 소년원생의 흥미 영역을 설문 조사하였고, 정보통신 업체가 선호하는 컴퓨터 영역을 조사하였으며, 직업훈련원의 정보처리반 교육내용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실습 위주의 교육을 지원하도록 보조학습자료를 구현했다. 보조학습 자료를 이용해서는 직접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비주얼베이직을 학습시켜보았지만, 제안된 모형의 적용은 현실적으로 직업훈련 과정으로 컴퓨터 교육이 진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소년원에 적합한 컴퓨터 교육과정 모델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교회 내 네팔 외국인 노동자 공동체 형성과정에서의 학습에 관한 연구

        신현란 숙명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한 교회 내 네팔 외국인 노동자 공동체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서 학습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는 그동안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의 수가 크게 증가했을 뿐 아니라 이제는 출신국 별로 많은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지내고 있고, 그러한 공동체 참여와 활동을 통해서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한국사회에 적응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동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팔 외국인 노동자들은 어떤 경험을 통해 교회 내 네팔 외국인 노동자 공동체에 참여하는가? 둘째, 교회 내 네팔 외국인 노동자 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네팔 외국인 노동자들이 경험하는 학습은 어떤 것들인가? 셋째, 교회 내 네팔 외국인 노동자들은 학습을 통해 어떻게 변화되는가? 그리고 이러한 연구 문제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A교회내 네팔 외국인 노동자 공동체와 구성원을 대상으로 참여과찰 및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민속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네팔 외국인 노동자들은 문화적 차이와 차별, 작업장에서의 착취와 폭력을 경험하면서 교회 내 네팔 외국인 노동자들이 제공하는 이주노동자센터 서비스 이용, 종교적 활동 참여, 그리고 네팔 외국인 노동자들과 교류하기 위해 공동체에 참여하였다. 둘째, 네팔 외국인 노동자들은 개종을 통해 공동체를 만들 수 있었고 자발적으로 쉘터(shelter)를 마련하면서 공동체적 적응 학습을 하였다. 네팔 개신교 노동자들은 종교 의례에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공동체 주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고 교회 한국인 중심이었던 공동체를 네팔 외국인 노동자들 중심으로 변화시키면서 공동체적 대응 학습을 하였다. 나아가 네팔 외국인 노동자들은 공동체 내 네팔 외국인 노동자들 사이의 종교적 차이를 극복하고자 공동체 의식을 공유하며 연대적 대응 학습을 하며 공동체 발전을 모색하였다. 셋째, 네팔 외국인 노동자들은 한국 사회의 차별과 착취의 원인을 네팔의 낮은 경제적 수준에 있다고 파악하였기 때문에 네팔로 귀환한 후 교회 공동체적 수준에서 인재 양성 교육을 기획하며 네팔 사회 발전을 위해 공동체적 실천 학습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교회 내 외국인 노동자 공동체의 형성단계를 제시하였다. 둘째, 외국인 노동자들의 학습 단계를 제시하였다. 셋째, 교회 내 외국인 노동자들의 학습에 종교적 요인, 국가/민족적 요인, 그리고 계급적 요인들의 개입 양상을 밝혔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해 단순히 특정한 종교, 출신 국가, 계급을 기준으로 단일하고 분절적인 시각보다는 그러한 요인들이 임시적·대립적·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집단에 속한 소수자로 볼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how the Nepal labour worker interact with the church by examining how the religious, national, and class factors influence their learning by the Ethnography method.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ise as follows: first, how do Nepal labour workers get involved in the Nepal labour workers’ community in a church? Second, what kinds of learning do the Nepal labour workers experience? Third, How the Nepal labour workers in the church have changed through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pal labour workers have experienced cultural differences and discrimination and exploitation and violence. And they participated in community to use immigrant labour workers services and the religious ritual by Nepalese, and to make a relationship with Nepalese Second, in the process of community formation, the Nepal labour workers started their community adaptation learning building their community in the church through conversion and preparing their shelter. And then the Nepal Christian workers do community response learning against koreans in the church forming subjectivity through they were active in religious ritual. As a result, the community has shifted from church Korean activities to Nepalese activities. Furthermore, the Nepal labour workers shared a sense of community to bridge religious differences between the Nepal Christian workers and the Nepal non-christian workers. They sought ways to develop their community through solidarity response learning. Third, Since the Nepal labour workers perceived discrimination of Koreans because of Nepal country’s low economic level, they planned to train talent in the church after retuning to Nepal. To do this, they were seeking community praxis learning in the churc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age of foreign labour workers’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church was proposed. Second, this study suggested the stage of the Foreign labour workers’ learning steps in the church. Third, this study explained the involvement of religious and national and class factors in the Foreign labour workers’ learning. So we need to move away from the simple and segmented perspective that the foreign labour workers are just belong to low class or certain religion group or a certain country community. Instead it is more appropriate for us to see them as min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