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신태웅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basic physical fitness on young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 and social behaviors.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effects have physical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basic physical fitness on young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 2. What effects have physical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basic physical fitness on young children's social behavio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0 children aged 5 in two kindergarten classes located in Daejeon.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experimental group 20 (male: 10, female: 10) and control group 20 (male: 10, female: 10). Verification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physical self-concept scan tool and sociality scan tool.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s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sing SPSS. Windows 21.0 program. The t test was used to analyse variation of the mean values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basic physical fitness on young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 the overall physical self-concep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for the sub-areas of physical self-concept such as physical appearance, physical fitness, health and competence, the scores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for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for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basic physical fitness on young children's social behaviors, sociality measuring poi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for the sub-areas of social behaviors such as social cooperativity, understandability of others, autonomy and ​​peer interaction, the score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for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summary, it is concluded that physical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physical fitness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 and social behaviors. 본 연구는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O유치원의 2학급으로 만5세 40명의 유아들을 실험집단 20명(남: 10명, 여: 10명), 통제집단 20명(남: 10명, 여: 10명)으로 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신체적 자아개념 검사도구와 사회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Window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신체적 자아개념 점수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서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자아개념의 하위 영역인 외모, 체력, 건강, 유능감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성 측정 점수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성의 하위 영역인 협동성, 타인 이해성, 자율성, 또래 간 상호작용의 영역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비영리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한국자동차경주협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태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취합해 분석해보고 비영리조직인 한국자동차경주협회의 구성원들을 통해서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통합/정리해 그 결과를 F1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활용하여 그에 따른 성과를 지역발전의 초석으로삼아 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비영리 조직구성원들의 경력개발에 관한 교육프로그램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통해 경력개발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했다.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설문지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5개 자동차경주대회 심판원에게 총 15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151부(99.3%)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결과에 대해서는 인구통계학적특성과 개인적 특성분포를 검토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하였으며, 설문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또한, 위의 요인분석을 토대로 추출된 요인들을 변수로 하여 앞서 제시된 가설들을 검정하기 위해 분산분석(ANOVA) 및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징으로 남성이 74.2%로 여성에 비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별로는 30대 미만이 67.55%로 높았으며, 학력수준은 대학원이상의 학력이 45.03%로 고학력을 가진 심판원들이 많았다. 직위는 요원이 전체 응답자중 54.03%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개인적 특성분포를 보면 5회이하의 경주참여횟수를 가진 응답자가 39.07%, 31회 이상의 경주참여횟수를 가진 응답자는 31.79%로 5회 이상과 31회 이하의 중간에서 경력을 쌓아가고 있는 심판원들이 많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요인분석에서는 요인 추출 방법으로 주성분분석(component analysis)을 사용했으며 고유값(Eigenvalue)이 1.0 이상인 5개의 요인을 Varimax 회전방식에 의한 직교회전을 13차례의 반복계산을 실시하여 요인적재값(factor loading)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각, 각의 요인들은 효과적인 보상구조 (FAC1), 목표지향성 (FAC2), 직무만족 (FAC3),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FAC4), 조직몰입 (FAC5)으로 명명했으며, 신뢰도 분석 결과 조직몰입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의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값이 0.79 이상으로 척도구성의 신뢰성은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분산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 목표지향성, 직무만족, 교육프로그램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위 변수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만족하는 정도가 높았다. 연령별로는 효과적인 보상구조와 조직몰입에서는 30대 미만이 높은 만족을 보이고 30대 이상이 가장 낮은 만족을 나타내고 있으나 목표지향성과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위와는 반대로 30대iii -이상이 높은 만족을 나타내며 30대 이하가 가장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다.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에서 목표지향성은 기타의 학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교육프로그램 만족도에 있어서는 전문대 이하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전문대 이하와 기타의 학력이 3.750으로 동일하게 만족하는 정도가 높았다. 직위에 따라서는 효과적인 보상구조와 조직몰입에 있어서는 요원이 높은 만족을 나타내고 있으며 목표지향성과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부위원장이 만족하는 정도가 가장 높았다. 경주 참여횟수에 따라 효과적인 보상구조에서는 0-5회 참가자가, 목표지향성에 있어서는 21-30회 참가자가,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31회 이상 참가자가 높은 만족을 나타내고 있다. 근무부서에 따라서는 효과적인 보상구조에서는 기술, 목표지향성에 있어서는 기록,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안전과 관제, 교육프로그램 만족도에 있어서는 안전이 가장 높은 만족을 나타내고 있다. 근무부서에 따른 변수에 있어서 피트의 경우 효과적인 보상구조, 목표지향성, 직무만족, 교육프로그램만족도 등 전 부분에 있어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넷째, 경로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교육프로그램 만족도는 효과적인 보상구조를 통해 조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 선행연구자들의 연구결과에서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도는 조직몰입에 -0.121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목표지향성 역시 조직몰입에 -0.164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또한 직무만족에 -0.063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으며, 다만 효과적인 보상구조가 직접적으로 0.333의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설검증의 결과에 따라, <연구가설 2-1> “교육 프로그램이 충실할수록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된다. 교육프로그램은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가설 2-4> “조직 내의 효과적인 보상구조는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도 채택된다. 한편, <연구가설 2-2>와 관련하여, 교육프로그램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기각된다. 또한 <연구가설2-3>과 관련하여, 직무만족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역시 기각된다. 이상의 경로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논문이 애초에 확인하고자한 한국자동차경주협회의 경력개발노력이 조직구성원들의 협회에 대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만 협회의 경력개발프로그램을 교육프로그램과 효과적인 보상구조로 범주화한 경력관리로 구분할 때 효과적인 보상구조는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반면, 교육프로그램은 전체적인 경력관리의 효과성에 일차적으로 기여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기여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영리조직의 조직 관리자가 조직몰입에 관한 여러 가지지식을 활용하여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을 상황 적합적으로 조정하고 나아가 조직발전을 도모하는데 유용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주리라 믿는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factors to exert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by the members of Korea Automobile Racing Association as a nonprofit organiz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for the successful hosting of F1 Grand Prix in order to have the outcome to utilize in establishing foundation for local development. This study begins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program for career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members of nonprofit organization under the premise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has relevan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For empirical analysis, survey technique is used where the total of 152 questionnaires was distributed to umpires( Officials ) of 5 automobile races and 151 copies out of the 152 were collected (99.3%). With the collected survey resul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s carried out to examine distribution of demographica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ve appropriateness and reliability of survey question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re administered. Also, with the results from factor analysis, ANOVA and path analysis are carried out to verify the proposed hypotheses. Detailed results of analysis are as of the following. Firstly, in terms of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males occupy a greater percentage of 74.2% than females. In terms of age group, those aged less than 30 are of the highest percentage at 67.55%.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those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are of the highest percentage at 45.03%. As for distribu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races by 5 times or less are of 39.07% and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races by 31 times or more are 31.79%.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re are not many umpires who are building up career in the level between race participation by 5 times or more and 31 times or less. Secondly, for factor analysis, component analysis is used as the method of extracting factors. On 5 factors with the eigenvalue of 1.0 or higher, varimax rotation is repeated 13 times to calculate factor loading. Each of these factors is named effective compensation structure (FAC 1), goal orientation (FAC 2), job satisfaction (FAC 3), satisfaction on training program (FAC 4), and organization commitment (FAC 5). The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shows that, with the exception of organization commitment, Cronbach's alpha value of all other factors is 0.79 or higher,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problem in reliability of scale composition. Thirdly, the result of ANOVA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oal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n training program per gender. Degree of satisfaction is higher among males than females in terms of the above variables. Per age group, high level of satisfaction is displayed by people aged less than 30 in terms of effective compensation structure and organization commitment. Level of satisfaction is the lowest among people aged 30 or higher. In terms of goal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reverse result is found, such as high level of satisfaction among people aged 30 or higher and the lowest among people aged less than 30. Of variables to displa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er educational background, goal orientation is found to be high among people with other educational levels, while satisfaction on training program is the highest amo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echnical college or lower.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the high level of 3.750 is displayed both by people with the background of college education or lower and the people with other educational levels. In terms of job position, high level of satisfaction is displayed by staffs for the variables of effective compensation structure and organization commitment, while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is displayed by vice chairpersons for the variables of goal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Per race participation count, people with 0~5 times of participation display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variable of effective compensation structure, while those with 21~30 times and with 31 times or more display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terms of goal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division of work, people in technical division( Scrutineers ), recording division( Timekeepers ), safety and control division and safety division display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variables of effective compensation structure, goal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n training program respectively. Pit observers display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for entire variables of effective compensation structure, goal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n training program. Fourthly, the result of path analysis shows that level of satisfaction on training program exerts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through effective compensation structure. While many previous studies argue that job satisfaction exerts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this study shows that impact exerted by job satisfaction is -0.063, which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Only effective compensation structure directly exer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f 0.33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ypotheses testing, <Hypothesis 2-1> substantial training program exerts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by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ill be adopted. It is confirmed that training program, although not direct, exerted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by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lso, <Hypothesis 2-4> effective compensation structure in an organization will exert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by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s also adopted. On the other hand, <Hypothesis 2-2> is rejected because the training program is found not to exer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Hypothesis 2-3> is also rejected because job satisfaction is found not to exer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by members of the organiz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as of the above, it is confirmed that the effort for career development made by Korea Automobile Racing Association exerts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by the members of the association. However, when classifying career development program of Korea Automobile Racing Association as career management categorized into training program and effective compensation structure, it is confirmed that training program indirectly influences it by primarily making contributions towards effectiveness of overall career management, while effective compensation structure exerts direct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by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Hopefull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evidence for the managers of nonprofit organizations to utilize knowledge on organization commitment, therefore to adjust organization commitment by the member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based on contingency consideration.

      • 배터리 포메이션 장비용 단일 전력단 양방향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 설계

        신태웅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기차와 ESS 수요가 상승함에 따라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의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전기차의 경우 2030년까지 3,392GWh까지 수요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바탕으로 배터리 수요를 따라가기 위해 공급이 상승할 예정이며 이에 맞추어 배터리 생산 공장의 증설 및 확대가 예상되는 바이다. 국내 3사(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은 이러한 수요를 반영하여 생산 공장 증설을 위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2025년까지 70GWh이상 공장 증설을 할 예정이며 GM과 배터리 합작 공장 역시 2023년까지 35GWh이상 생산 능력을 키울 예정이다. 이때 전기차 1.5만대 분의 배터리 용량이 1GWh라고 계산될 때 상당한 양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배터리 공장 증설이 된다면 배터리 공장 설비 및 구축을 위한 장비 수요가 발생하는 것도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부분이 재생에너지에 대해서도 계속해서 언급되고 있다. 관련 노력 중 하나가 AC 배전 시스템에서 DC 배전 시스템으로 변경하여 전력비용을 낮추려고 하는 것이다. DC 배전과 관련된 시스템은 배터리 활성화 공정 단계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배터리 생산 공정에서 배터리 셀을 조립한 후 2차 전지가 배터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활성화 단계를 거치는데 이 중 포메이션 장비를 통해 배터리 셀의 충전/방전 테스트를 거쳐 배터리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셀 방전 시에 전력 회생이 가능하도록 상시 양방향 컨버터를 적용해서 전력 비용 저감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터리 생산 공정 증대와 DC 배전에 적합한 절연형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선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앞서 선행적으로 제작한 2-Stage인 양방향 DAB컨버터를 제작한 경험에 기반하여 2-Stage 회로에서 1-Stage로 변경하여 축소화를 진행하였다. 제안하는 컨버터는 스위칭 주파수 70kHz, 입력 380V, 출력 5V인 Active-clamp forward converter를 설계 및 제작하여 PI 전류 제어 양방향 동작 실험을 통해 얻은 파형 데이터를 토대로 동작의 안정성과 토폴로지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The scale of the lithium-ion battery market is on the rise as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and ESS has recently risen. In particular,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is expected to rise to 3,392 GWh by 2030. Based on this, supply will rise to keep up with battery demand, and accordingly, expansion and expansion of battery production plants are expected. Three South Korean companies (Samsung SDI, LG Energy Solution, and SK Innovation) are making investments to expand their production plants by reflecting these demands. In the case of LG Energy Solution, the plant will be expanded to more than 70 GWh by 2025, and GM and its battery joint plant will also increase production capacity to more than 35 GWh by 2023. At this time, it can be thought of as a significant amount when battery capacity of 1.5 million electric vehicles is calculated as 1GWh. If the battery plant is expanded like this, it is natural that demand for equipment for battery plant facilities and construction will occur. At the same time, renewable energy continues to be mentioned. One of the related efforts is to change from an AC power distribution system to a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to lower power costs. Systems related to DC distribu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battery activation process phase. After assembling the battery cell in the battery production process, it goes through the activation stage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can act as a battery, and it stabilizes the battery through charging/discharging tests of the battery cell through bi-directional formation equipment. The purpose of reducing power costs can be achieved by applying a two-way converter at all times to enable power recovery during cell discharge. Therefo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select an insulate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suitable for this battery production process augmentation and DC distribution. Based on our experience in producing a bi-directional DAB converter with a pre-built 2-Stage prior to this work, we proceed with the reduction by changing it from a 2-Stage circuit to 1-Stage. The proposed converter designs/manufactures an Active-clamp Forward Converter with switching frequencies of 70 kHz, input 380 V, and output of 5 V, validating the stability of the behavior and validity of the topology based on waveform data obtained through PI current-controlled bi-directional action experiments.

      •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관계분석 :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중심으로

        신태웅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을 파악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의 수준, 변수들 간의 차이,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청소년지도자가 지각하는 안전의식은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안전교육,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있다면 각, 각, 매개하는지 또는 복합적으로 매개하 는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약 25개 청소년시설에 종사하는 487명의 청소년지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상자의 기초통계치를 분석하였고, 주축요인추출을 위해 Varimax를 실시하였으며, 요인의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KMO & Bartlett’s 검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을 위해 도구의 Cronbach's α값을 확인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변수의 차이 검증을 위해 t-test, ANOVA를 사용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독립변수간의 다중공선성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로서 안전관련 경험이 높을수록 안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에게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청소년지도자에게서 안전행동의 중요성이 더욱더 강조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로 살펴볼 때 청소년시설에 종사하는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에 따라 체계적인 안전행동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안전의식,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β=.196)보다 안전교육(β=.386)이 안전행동에 더 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 안전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밝힌 결과라 할 수 있다. 결국,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에 따라 개인 또는 단체 등의 안전교육을 맞춤형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실시하여야 그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소방안전과 재난안전의식이 안전점검하기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안전교육이 사전 예방을 위한 안전점검의 중요성도 강조해야 하지만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중 소방안전과 재난안전의식을 가질 수 있는 안전교육을 강조해야 함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넷째, 안전의식은 안전교육을 통해서만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안전의식이 높을수록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게 되고, 안전교육이 결국 안전행동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다섯째, 안전행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직무스트레스를 경로로 하는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직무스트레스 때문에 안전행동이 낮아진다는 주장과 상반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안전교육과 직무스트레스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도 안전의식이 안전교육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교육을 통해서만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을 받는 것이 안전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밝힌 연구의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 주관적 규범, 객관적 규범간의 관계를 밝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결국,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을 통해서 객관적 규범을 습득한 후 이를 토대로 주관적 규범이 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함을 밝히게 되었다. 둘째,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 및 단체의 안전교육을 밝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지도자의 평소 생활에서의 안전 행동이나 안전의식이 실제적 안전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지만, 개인 및 단체의 맞춤형 안전교육을 통해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맞춤형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업무상 직무스트레스를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밝힘으로서 안전행동을 높일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바탕이 되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가 없어 타 분야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청소년지도자의 환경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을 밝혀둔다. 둘째, 안전행동의 측정도구는 NCS 청소년지도 분야의 국가직무능력(NCS) 능력단위를 토대로 사용하였다. 청소년지도 분야에서 유일하게 안전행동과 관련된 측정도구이지만 학문적인 근거를 토대로 개발된 측정지표가 아닌 현장의 직무를 토대로 개발되었다. 이 때문에 이론적 근거와 타당도 신뢰도 등에서 한계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셋째, 청소년지도자의 분석 표본수가 418명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고, 전국의 대표성 있는 집단의 청소년지도자가 아닌 수도권 중심의 청소년지도자를 중심으로 표본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주제어: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and relations of youth leaders’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487 youth leaders from 25 centers including youth training center, youth culture house, youth counselling center answered the survey. KMO & Bartlett’s test was done for the sampling adequacy and the resulting value for Cronbach’s alpha for the most of the survey items was above 0.8.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22.0 AND Amos 22.0. Multicollinearity test for independent variables by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eid out and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was analyzed with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summary is as follows. First, the more safety-related experiences they have had as a youth leader, the more frequently they presented safety behavior. This result shows that it is better that youth leaders need to be exposed to safety-related experiences more. Second,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edu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behaviour. Safety education being m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behavior (β=.386) than safety consciousness (β=.196), the study proved the significance of safety education. Third, fire safety awareness and disaster safety awareness resulted in safety check behaviors. Fourth, safety consciousness affected safety behavior only with the aid of safety education. The more conscious of the safety the youth leaders were, the more importance and value they gave to safety education, which eventually led them to more safety behavior. Fifth, job stress did not affect safety behavior. Safety consciousness being a meaningful factor for safety behavior, job stress was not the case. This result disproves the argument that job stress reduces safety behavior. Sixth, even with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taken consideration together, only through safety education did safety consciousness affect safety behavior. The meaningfu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elp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behaviors and norms of youth leaders. It is recommended that youth leaders be aware of objective rules at first and then internalize them as subjective norms. Second,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customized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ird, this study help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behaviors and job stress of youth leaders. Keywords :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Job stress, Safety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