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원 신입생 핵심역량 지표 개발 연구

        신태섭(Shin, Tae Seob),김가현(Kim, Gahyun),강태훈(Kang, Tae Hoon),박주형(Park, Juhyoung),정제영(Chung, Jae Young),오은혜(Oh, Eun Hye),권민재(Kwon, Min Jae) 한국공학교육학회 2021 공학교육연구 Vol.2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dicator of core competency of freshmen of an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ST). Through the document analysis and the expert survey, core competency indicators that include 5 core competencies and 15 sub-competencies (a total of 48 items) were developed. Then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by experts in measurement and statistics and secondary education. Also, by using students’ responses, reliability was tested with Cronbach’s alpha and construct validity were tes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core competency indicator is reliable and valid in measuring core competencies of freshmen students in an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Discussions were provided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 admission processes.

      • KCI등재

        조별 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신태섭(Shin, Tae Seob) 한국공학교육학회 2018 공학교육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for peer evaluation in group projects based on social interdependence theory. A mixed method involving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was used in this study. In the qualitative study, both the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ir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Data from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analyzed based on 5 element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critical incidents’ were extracted from students’ own voices that would serve as specific rating criteria in the scale. Once the ‘critical incident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scale, validation from 3 independent experts was conducted. In the quantitative study, correlations with relevant variabl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criteria-referenced validity. Findings suggest that the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for peer evaluation in group projects can be used in various team-based learning contexts.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 창의교육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신태섭(Tae Seob Shin),Huang Xin,김지언(Jieon K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21 교육방법연구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예비교사의 창의교육 핵심역량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선행연구검토 및 예비교사 양성 전문가들의 의견에 기반하여 핵심개념 분석 역량, 학생참여형 수업 디자인 역량, 창의적 교수법 역량, 과정중심평가 역량으로 설정하고 측정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 도구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또한, 서울 소재의 E여자대학교 소속 사범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신뢰도 검증(n=430)과 구인 및 준거관련 타당도 검증(n=119)을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예비교사 창의교육 검사 도구는 4개의 하위 요인과 요인별 3개의 측정문항으로 신뢰성 있고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y in creative teach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onsultations with professor in the college of education, 4 core competencies in creative teaching that is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were identified and self-report items to measure those competencies were developed. Content validity was tested by college of education faculty members and in-service teachers specialized in creative teaching. Using the dataset collected from pre-service teachers, reliability test(n=430), confirmatory factor analyses(n=119) were conducted. Results suggest that the instrument is reliable and valid. Discussions were provided in terms of its implications i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협동학습경험이 지각된 교사지원과 내재적 학습동기를 매개로 중학새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신태섭(Tae Seob Shin),박용한(Yong Han Par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2010년 중학교 3학년 자료를 사용하여 중학생들의 협동학습경험이 지각된 교사지원과 내재적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한 결과, 협동학습경험, 지각된 교사지원, 내재적 학습동기, 학업성취 간의 모든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자세히 살펴보며, 학생의 협동학습경험은 지각된 교사지원을 매개로 내재적 동기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동학습경험은 지각된 교사지원을 매개로 내재적 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후 이것이 다시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협동학습경험은 내재적 동기를 직접 매개함으로써 학업서취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른 변인을 통제하였을 때 협동학습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약하지만 부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협동학습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햇는 학생들의 교사를 지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학생들의 내재적 학습동기를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how its effects were mediated by perceived teacher support and intrinsic motivation, using the KDEI "Analysis i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A Study on the Middle Schools" 2010 dat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perceived teacher support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on achievement was negative while the mediating effects through perceived teacher support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positiv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 support and students1 intrinsic motivation play an important role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and academic achie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finding we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통섭 역량 모형 및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신태섭 ( Tae Seob Shin ),이현응 ( Hyun Eung Lee ),곽윤정 ( Yun Jung Kwak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3

        최근 다양한 전문분야를 섭렵하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는 통섭형 인재의 양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통섭형 인재의 개발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통섭 역량 모형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통섭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문헌 고찰을 통해 통섭 역량 및 통섭 역량의 구성요인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고, 각 구성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와의 심층면접(FGI)을 통해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새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기업에 취직하거나 대학원에 진학한 대학교 졸업생의 통섭 역량을 평가한 자료를 상사나 동료로부터 수집하여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방적 지식 습득과 통합적 아이디어 생성, 유연한 문제 해결의 세 하위요인을 측정하는 15개의 문항이 본 연구에서 도출되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서 본 검사도구의 타당도가 지속적으로 검증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인적자원의 통섭 역량을 측정하고 개발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he researchers proposed a theoretical model of consilience competency that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in the workplace. Second, based on the model, the researchers developed and validated an instrument that was designed to measure consilience competency. To accomplish this goal, the literature on consilience was reviewed and the construct was operationalized. Then three sub-constructs of consilience competency were identified and a pool of 36 items was created.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HR experts were conducted and an instrument that consisted of 15 items was developed to measure open knowledge acquisition, integrative idea generation, and flexible problem solv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 dataset that was collected from college graduates working in organizations.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ilience competency scale was reliable and valid. If the factor structure of this scale is consistently found to be valid in subsequent studies, it can be used to develop human resources in diverse fields.

      • KCI등재

        중국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 사회정서역량 간의 관계 연구

        ( Yang Yue ),신태섭 ( Tae Seob Sh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에 기반하여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중국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산동성 쯔보시 중학교 3학년 434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간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교사의 자율성 지지보다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및 사회정서역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될수록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많을수록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수준이 높아졌다. 특히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보다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켜 사회정서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때 역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보다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를 더 충족시키고 사회정서역량에 보다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교사뿐만 아니라 부모의 역할이 필수적이고, 특히 중국에서 부모의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인식 개선과 부모 교육 확대의 필요를 시사한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Data of 434 students in Zibo city in Shandong Province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met, the higher level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Second, the more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e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the higher level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y had. In particular, parental autonomy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had a more direct impact on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Lastly, parents' autonomy support stimulated middle school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more than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has a greater influence on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ole of parents as well as teachers is essential, suggesting the need to raise awareness of parent education in China and to expand and implement parent education at national level.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대한 메타분석

        ( Xin Huang ),신태섭 ( Tae Seob Shin ),최윤정 ( Youn-jeng Choi ),추지윤 ( Ji Yun Chu ),신민경 ( Min Kyoung Shin ),김예원 ( Ye Won Kim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7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가해경험 관련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효과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논문 175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교폭력 가해경험 관련 보호요인 중 개인특성 변인이 가장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학교환경, 가정환경의 효과크기가 그 뒤를 이었다. 개인특성하위요인 중에서는 자아탄력성, 가정환경 변인에서는 긍정적인 부모-자녀 관계, 학교환경 변인에서는 학급응집력이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조절효과를 검증한 분석에서 학교급에 따른 학교환경 변인군에서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생의 관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학교폭력 가해경험 관련 위험요인의 효과크기는 학교환경, 지역사회, 개인특성, 가정환경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환경 하위요인 중 가해·피해경험, 지역사회 변인 중 유해환경, 개인특성 변인 중 폭력허용도, 가정환경 변인 중 부모-자녀 폭력과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에 따라 중학생은 가정과 학교 변인 군, 초등학생은 지역사회 변인군에서 큰 관련성을 보였다. 본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감소·예방하는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meta-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size of protective and risk factors related to violence experiences at school. Results show that the individual level appeared to have the largest effect size among the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experiences, followed by the school and family level. Specifically, we found the greatest effect size with resilience at the individual level, the positive parent-child relationship at the family level, and class cohesiveness at the school level. As for the risk factors, the school-level variable appeared to have the largest effect size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experiences, followed by the community, individual and family level factors. Specifically, we found the greatest effect size with violence acceptability among the individual level factors, parent-child violence among the family level factors, previou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bullying among the school level factors, and harmful environment among the community level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reduce and prevent adolesc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were recommended for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교사-학생 관계, 자존감 및 학업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Huang Xin ),신태섭 ( Shin Tae Seob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 교사-학생 관계, 자존감 및 학업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성별 간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년의 중학교 1학년 2,54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교사-학생관계는 자존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부정적 부모양육태도가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는 학업무기력에 정적 영향, 교사-학생 관계와 자존감은 학업무기력에 부정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학업무기력 관계에서 자존감이 완전매개가 나타났으며,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및 교사-학생 관계와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결과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에서 학업무기력까지 이르는 경로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에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on the academic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 by gender. Data from 2,541 seventh-graders who participated in the“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obtain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set up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howed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while a negative parenting attitude showed negative effects. Second, a negative parenting attitude showe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helplessnes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hile self-esteem showed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helplessness. Thir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ffected academic helplessness by completely mediating self-esteem, while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ffecte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academic helplessness by partially mediating the self-esteem.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cademic helplessness by gender.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