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자 중학생의 사회성 기술과 인터넷게임 과몰입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신지연(Shin Jiyeon),이동형(Lee Dongh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중학생의 사회성기술과 인터넷게임 과몰입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의 4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성 기술, 거부민감성, 인터넷게임 과몰입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게임 과몰입을 측정하기 위해 인터넷게임 중독척도와 더불어 과몰입의 행동적 지표인 게임이용도(하루평균게임접속횟수, 일회접속게임지속시간, 하루평균게임시간)를 추가로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총 455명의 유효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 고학년 남학생들의 거부민감성과 인터넷게임 과몰입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 기술, 인터넷게임 과몰입, 거부민감성 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성 기술과 인터넷게임 과몰입의 관계를 거부민감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중독경향뿐 아니라 하루평균게임시간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남자 중학생들의 인터넷게임 과몰입의 원인을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예방교육 및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하는 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s(SSs) and internet gaming overindulgence(IGO) among middle school boys in the South Korea. Participants were 455 7th through 9th grade boys sampled from 4 middle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area. They completed a survey containing self-report measures of SSs, internet gaming addiction symptoms, and RS. The IGO was measured by behavioral indexes such as the frequency of daily gaming activity, the latency of each gaming activity and the average time spent in gaming per day, as well as gaming addiction symptoms. Results indicated that upper-grade middle school boys had a higher degree of internet gaming addiction symptoms, a longer gaming time spent, and a higher rejection sensitivity. There were significant bivariate correlations among SSs, RS and IGO. Furth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Ss and IGO as measured by both addiction symptoms and the average time spent in gaming per da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for understanding contributing factors to IGO and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 and prevention programs for middle school boys who are at risk of IGO.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ovided.

      • KCI등재

        북한문단의 자유시운율론 : 1957~1961년 사이의 논의를 중심으로

        신지연(Shin Jiyeon)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1

        이 논문은 북한에서 전개된 자유시의 운율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특별히 이 테마에 주목하는 이유는, 시라는 장르를 향한 근대적 시선 '일반'과 북한 문학예술 이념의 '특수성'이 지닌 관계의 일단을 포착할 수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 때문이다. 북한에서는 1957~61년 사이 자유시의 운율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비교적 선명하게 세 단계로 구분되며, 전체적으로 '점진전 진전'이라 부를만한 양상을 띤다. 먼저 조선작가동맹 기관지 『조선문학』를 통해 학적 성격의 검토가 이루어진다. 논의의 중심에 있던 윤세평과 박종식은 각각 '운율 계승'과 자유시의 형식을 동시에 문제 삼으며 '내재율'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을 도출한다. 지면을 『문학신문』으로 옮긴 두 번째 단계의 논의에서는 엄호석과 현종호에 의해 운율의 '본질'을 대하는 관점의 차이가 예각화 된다. 엄호석은 '내재율'이 드러내는 감정의 운동을, 현종호는 물질적으로 확인 가능한 반복 규칙을 운율의 본질로 내세운다. 한편 이 문제를 두고 시인들과 문예이론가들 사이에 논쟁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논의는 세 번째 단계로 접어든다. 이 단계에서는 자유시의 운율을 대하는 각각의 관점을 정당화할 수 있는 과학적 체계화 및 철학적 근거 마련이 시도된다. '자유시'와 '운율'을 함께 응시하는 작업이 이처럼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는 생각 외로 흔치 않다. 이데올로기에 민감한 북한문단이 지닌 특수성이 아마 이를 가능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했으리라 추측된다. 그러나 그 계기가 어떤 것이었든, '자유시의 운율'에 대한 가장 끈질긴 탐색중 하나가 북한문학계를 통해 제출되었다는 것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로 받아들여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discourse on the rhythm of free verse, i. e. 'Naejaeryul(inner rhythm)' in North Korea's literary field, especially at 1957~1961. The process of this discourse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re was the discussion on the tradition of the Korean style's rhythm and the form of the modern free verse. It was leaded by Yun Se-pyeong and Park Jong-sik. In the second stage, there was the argument on the essence of the rhythm in modern poetry. Eom Ho-seok asserted that 'Naejaeryu(inner rhythm)' free of regulation was most important because it could show the emotion and the feeling. On the other hand, Hyeon Jong-ho insisted that the regulation and the repetition of sounds was essential for poetic rhythm. In the third stage, this problem was treated more elaborately by Ryu Chang-seon and Han Myeong-cheon. A literary critic, Ryu Chang-seon tried to solve this problems by a systematic and logical approach. A poet, Han Myeong-cheon tried to find a philosophical ground for 'Naejaeryul'.

      • KCI등재

        중국 뉴노멀 시대 도래와 대 중앙아시아 경제전략 변화

        신지연 ( Shin Jiye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4

        중앙아시아 주요 5개국(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이하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1991년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러시아와의 역사적 유대관계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경제교류를 이어가 러시아에 대한 경제의존에서 쉽게 탈피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중앙아시아 경제를 떠받쳐온 에너지 산업이 몰락한데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최대 교역국인 러시아 경제가 리세션에 빠진 상태다. 석유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는 러시아는 저유가와 자국 내경기 침체에 따른 루블화 폭락으로 경제상황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주변국들의 경제 발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중국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무역, 투자, 교육, 문화 등 다방면에서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오고 있었으며, 특히 무역구조의 상호보완성이 높아 양자의 경제발전과 함께 교역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1990년 후반에 이르러서는 중국 경제의 팽창과 중앙아시아 진출 확대로 중앙아시아 국가의 대 중국 경제의존도가 더욱 심화되었고, 현재 중국이 중앙아시아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력이 이미 러시아를 추월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중국은 이제 무역, 투자 모든 면에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중요한 협력파트너가 되어있으며, 이후 중국은 안정적 협력 파트너, 나아가 경제영역을 넘어 정치, 안보 영역까지 그 협력관계가 확대되길 기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은 국력신장과 일대일로 추진에 힘입어 일대(一帶)에 포함되는 이들 국가들에 대해 보다 공세적이고 포괄적인 경제협력관계를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국가 경제정책에 대한 연구는 에너지 협력 차원에서 본 변화, 일대일로의 추진과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설립을 위한 초석 마련, 중앙아시아 각 국가와의 무역과 투자방향 등의 측면이 다수를 이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정책 변화의 근본요인으로 상호 경제적 의존성이 깊어진 가운데 단행한 중국내 경제발전 모델의 수정에서 찾고자 한다. 즉, 현재 중국은 신창타이(新常態)시대 도래와 함께 기존 투자와 수요 중심의 경제성장 방식에서 소비와 공급 중심의 방식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경제성장 구조개혁의 연장선상에 대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경제정책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에도 중국의 성장위주 경제발전의 문제점 해결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중국 국내 경제정책의 방향과 일대일로 추진전략과의 연관성을 부정하기 어렵다. 실제로 중국과 일대일로 핵심 지역인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많은 경제협력 사례들이 중국의 경제개혁 정책과도 부합하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중국의 중앙아시아 국가에 대한 경제 전략은 중국내 경제개혁 정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중국의 중앙아시아에 대한 경제협력의 변천사와 중점 협력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고, 양국의 경제협력 심화에 따른 경제의존도를 분석해본다. 이를 통해 경제의존도 심화에 따른 중국내 경제정책변화가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진출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다. 마지막으로 중국 국내 경제개혁 내용과 함께 향후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경제정책의 향방에 대해 논의해 보도록 하겠다. Central Asia major 5 countries(Kazakhstan, Kirgizstan, Tadzhikistan, Uzbekistan, Turkmenistan: and less `Central Asian countries`) did not readily escape from the economic dependence on Russia by continuing their persistent economic exchanges based on their historic ties with Russia after becoming independent of Soviet Union(Russia) in 1991. Still recently, the energy industry which has supported Central Asia economy collapsed, as well as Russia, the largest trading partner of central Asia countries has been in the economic recession. Keeping number two in the world on the standard of the amount of oil production, Russia has an direct influence on neighbor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with its economy aggravated because of the fall of Russian rouble according to low oil price and its domestic economic recession. Meanwhile, as the emerging Central Asian countries have depended on Chinese economy more since the later of 1990, there is also the assessment that the economic tripple effect China has currently had on Central Asia has already overtaken Russia. China has already been an important cooperative partner with central Asian countries in every respect such as trade and investment, and from now it is expected that China will have been an economic partner futhermore, that the partnership will extend to the aspects of politics and national security. Particularly, it is expected China will suggest more aggressive and comprehensive economic cooperative relationship to these countries included in the whole area on recent the strength of extension of national power and one-to-one thrust. The existing study on Central Asian countries` economical policies against China consists of many aspects like the changes considered in the dimension of energy diplomacy, one-to-one thrust, the arrangement of foundation for establishment of the new Silk Road Economic Belt, the trial to find their industrial cooperative measures with China caused by the industrial diversification movement in each of Central Asian countries. However, in this study, in the midst of their deepened economic interdependence, I intend to find, the basic cause of the change of Central Asian countries` economic policies against China, in the executed modification of China`s economic development model. That is to say, currently, with the arrival of the new normal era, China seeks to switch from the existing way toward investment and demand to the way toward consumption and supply. In an extension of this economic development structure reform in China, lies the change of Central Asian countries` economic policies against China. As a matter of fact, the cases of the economic cooperation of Central Asia with China measure up to China`s economic reform policies. Therefore, from now on, we will be able to see that China`s economic strategy against Central Asian countries is closely connected to the economic reform policies. Hence, through this study, first of all, I will examine the economic cooperative structure and situation, and the cooperative elements of China with central Asia, next, I will analyse the main factors which brought such changes of policies to China-particularly, the deepened dependence of central Asia on China. Finally, with the contents of China`s economic reform, I will intend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economic policies of China against central Asia.

      • KCI등재

        글로벌 이주 시대의 재외 한인타운의 재구성과 민족간 관계 연구

        신지연(Jiyeon Shin),이영민(Youngmin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1

        본 연구는 뉴욕 플러싱 한인타운의 한인과 조선족 이주자에 의해 재구성되는 민족경관과 민족간 관계를 분석하여, 다양한 행위 주체에 의해 형성되는 이주자 엔클레이브의 문화지리적 특성과 정체성의 경합을 둘러싼 민족간 관계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트랜스이주자들의 유입으로 한인타운의 혼종적 경관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그리고 조선족 이주자의 혼성 적 이고 유연적인 정체성이 이주자 집단 간의 관계를 어떻게 재구성하는지에 주목하였다 70년대 이후 지속되고 있는 한인 트랜스이주자의 유입으로 인해 뉴욕의 한인타운은 공간적으로 분화ㆍ확산되고 있으며, 각각의 한인타운은 이주자의 성격에 따라 독특한 장소성을 지니게 된다. 조선족 이주자들의 한인타운 유입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 들은 한인타운과 차이나타운의 경계지점 들에서 자신들의 경관을 확대해가면서 이 곳을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인큐베이터 로 바꾸어가고 있다 경 계 상의 존재로서, 경계의 양쪽을 넘나드는 존재로서 이들은 유연적 정체성을 구사하며 사잇공간을 확대시켜 가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o-spatiality of ethnic landscapes (re)constructed by Korean-Chinese as well as Korean immigrants so as to delve into the transformation of ethnic enclave and relations by the influx of various groups of immigrants. Particular focus goes on the dynamics of hybrid landscapes and flexible identity in and around an ethnic enclave of Koreatown caused by the new immigrants performing transmigr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ransnationalism. As Korean transmigrants coming more and more into New York area in recent decades, several Koreatowns are widely diffused and differentiated into various particular local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grants settlers in. Korean-Chinese transmigrants are increasingly coming into the Flushing Koreatown which is located side by side with Chinatown and other ethnic communities, and taking advantages of the Koreatown as a kind of incubator for their successful settling down. They occupy the spaces of betweenness of Koreatown and Chinatown, and thus practice flexible identities to retain and compromise both Korean and Chinese cultures.

      • KCI우수등재

        표준문법에서의 ‘담화론’의 내용 정립에 관하여

        신지연 ( Shin Jiyeon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8

        이 연구는 한국어 표준문법 수립을 위한 국립국어원 발주 프로젝트의 결과물인 <한국어 표준 문법(2018)>에 ‘담화론’이 주요 하위 영역으로 포함된 것을 계기로 표준문법으로서의 ‘담화론’의 내용 구성을 점검한 논의이다. 중등학교 교과서와 문법 총론서의 ‘담화론’은 화용론에서 출발하여 텍스트언어학적 내용과의 혼재를 보이다가 점차 텍스트언어학적 내용으로 체계를 잡아가는 경향성을 보인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화용론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언어 단위로서의 담화의 여러 측면을 일관되게 살피고 있다는 점에서 내용상 체계적이다. 중등학교 교과서에 담화론이 다루는 내용 또한 그와 비슷하게 정연해진 것도 학문문법에서의 논의가 어느 정도 무르익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화용론과 텍스트언어학적 논의들이 혼재한 담화론 논의들이 보인다. 화용론과 텍스트언어학은 분명히 언어를 상황과 맥락 속에서 고려한다는 점에서 접점을 가지는 연구이지만, 화용론이 의미 해석 방법론의 하나라면 텍스트언어학이나 담화 분석은 문장보다 큰 언어 단위인 담화의 특성을 살피는 대상론이어서 양자는 매우 상이한 성격을 갖는다. 2장에서는 ‘담화론’ 정립을 위해 여러 언어 단위에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방법론으로서의 화용론의 특성을 여러 면에서 검토하였다. 화용론은 담화보다 작은 언어 단위인 어휘나 문장 단위의 해석과 관련되는 경우도 많아 담화론과 구별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화용론적 관심과 텍스트언어학적 관심이 어떤 면에서 공통되고 어떤 면에서 상이한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새로운 표준문법을 제시한 <한국어 표준 문법>에서의 ‘담화론’이 화용론의 내용을 섞지 않고 언어 단위로서의 담화의 개념과 특성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였지만 부분적으로 텍스트언어학적 혹은 담화 분석적 개념을 잘못 채용한 부분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This study is a discussion to examine the content composition of 'discourse theory' as a standard grammar with the publication of < Korean Standard Grammar >, a result of the project orde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o establish a new standard Korean grammar. Until now, a mixture of pragmatics and text linguistics discussions in discourse theory has been regarded as a problem. However, the 'discourse theory'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and grammar introductions started from pragmatics and showed a tendency to gradually adopt text linguistic content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discourse theory as a linguistic unit study that has not yet taken off the mixed aspect exists. < Korean Standard Grammar > is judged to be systematic in content in that it does not focus on pragmatics but consistently examines various aspects of discourse as a unit of language. The reason that the contents covered by discourse theory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also have a similar content structure is probably due to the discussion in academic grammar has matured to some extent. Pragmatics and textual linguistics are studies that have a point of contact in that they consider language in situations and contexts. However, if pragmatics is one of the methodologies for interpretation of meaning, text linguistics and discourse analysis are objectivism tha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which is a larger linguistic unit than a sentence. Both are linguistic subfields of different nature. Chapter 2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ragmatics as a universal methodology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linguistic units to establish discourse theory. Since pragmatics is often involved in the interpretation of vocabulary and sentence units, which are smaller linguistic units than discourse, it is clarified that it must be distinguished from discourse theory. discussed. In Chapter 3, the 'discourse theory' in the < Korean Standard Grammar >, which presented a new standard grammar, showed development in that it focused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as a unit of language without mixing the contents of pragmatic theory.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part where the concept of discourse analysis was incorrectly employed.

      • KCI등재

        중국 일대일로 추진에 따른 PPP 관련 법제 연구

        신지연 ( Shin Jiyeon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4 No.3

        최근 베이징에서 개최된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에서 중국은 일대일로 참가국에게 향후 5년간 약 168조원의 투자를 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으며, 그 핵심 투자대상으로 인프라건설 분야를 지목했다. 중국은 최근 몇 년 동안 일대일로 정책과 함께 국내 도시화 계획 추진으로 국내외 인프라 건설사업의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이 같은 인프라 건설 사업에 있어서 중국정부는 PPP 방식을 통한 참여를 적극 촉구하고 있고, 현재는 전 세계 PPP사업 총액규모 기준 수주 1위 국가로 도약했다. 그러나 중국 PPP사업의 실제 상황을 살펴보면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지방정부의 계약경시, 정보공개 취약, 수익보장제도 미흡 등이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국영기업의 참여도가 높고, 반면 순수 민간자본은 공정경쟁과 이익보장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참여에 소극적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문제로 PPP 관련 통일된 국가 차원의 법률 부재와 핵심적 이익 보장에 대한 법적 강제력의 미흡이 지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입법 활동과 관련 정책 발표가 다수 있었지만 부처 간의 경쟁적 입법과 해석의 차이 등은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어 통일된 입법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향후 우리 기업의 중국 PPP시장 진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상황에서 PPP 방식의 이론적 연구는 다수 있지만 중국 특색의 PPP제도 이해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PPP 관련 가장 상위 법령인 <기반시설과 공공사업 특별허가 경영관리 판법>과PPP법제의 통일화를 위해 최근 입법예고 절차를 마친 <정부와 사회자본 합작법> 입법안의 비교분석을 통해 규제간, 그리고 주무부처간의 이해충돌과 해석차이로 인한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고 중국 현 PPP제도의 현황을 이해하고자 한다. The Chinese government clarified its plan to invest approximately 168 trillion won for the next five years into countries that participate i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n the Belt and Road Foru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recently held in Beijing and pointed out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ield for the key investment target. China has carried out the domestic urbanization plan with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continued an increment in the domestic and foreig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business in recent years. When it comes to the business, the Chinese government positively urges itself to participate in it through the PPP method. Recently, China has ranked first on obtaining order based on a scale of the sum total of the PPP business all over the world.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actual status of the business in China. For example, the local government’s negligence on a contract, the weakness of release of the information, a lack of revenue assurance systems, and others are problematic. Accordingly, relatively, state-run firms highly participate in it, whereas the private capitals feel defensive about the participation due to the uncertainty of a fair competition and profit assurance. It is pointed out that the most fundamental problems for this are the absence of laws at unified state levels regarding the PPP method and a lack of the legal force for the key profit assurance. To solve them, China has positively led legislative activities and announced the relevant policies as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but it actually intensifies the confusion due to the competitive legislation and discrepancy in interpretations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Hence, a lot of requirements for the unification legislations are consistently raised. There are a lot of expectations about the entry of Korean companies in the Chinese PPP market in the future, and many theor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by the PPP method.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PPP systems. For this, the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consultation paper about < Law of Cooperation for Government and Social Capital > that has recently completed the acceptance of opinions in order to unify the PPP systems and < Measures for the Administration of Concession for Infrastructure and Public Utilities > that are the most upper law related the Chinese PPP systems, examines major problems attributable to a conflict of interests and discrepancy in interpretations between competent authorities, and understands the current status of the Chinese PPP systems.

      • KCI등재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개입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고찰 : 2001년~2021년 국내 학술지 대상으로

        신지연(Shin, Jiyeon),박신영(Park, Sh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개입 프로그램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1년 1월부터 2021년 2월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문헌 중 KCI 등재 후보 이상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 ‘중독’, ‘과몰입’, ‘과의존’, ‘문제적 사용’,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치료’, ‘중재’, ‘프로그램’과 같은 용어들로 검색하고, 선정기준과 배제 기준을 바탕으로 최종 28편을 선별하여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개입 프로그램 연구 동향과 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질적 근거는 Ⅰ수준이 19편(67.9%), Ⅲ수준이 7편(25%), Ⅳ수준이 2편(7.1%)이었다. 연구 동향은 2011~2015년 사이의 논문이 11편(39.3%)으로 가장 많았고, 개입 유형은 인지행동치료와 자기관리가 각각 6편(21.5%)으로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를 평가하기 위해 인터넷중독 측정용 K-척도의 용어수정이 5편(17.9%)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 및 개입 형태는 중등 대상이 13편(46.4%), 기간은 4주~8주 프로그램이 14편(50%), 8회기 프로그램이 8편(28.6%)으로 가장 많았고, 효과의 지속을 알아보기 위한 추후 평가를 진행한 연구는 7편(25%)이었으며, 부모를 참여시킨 연구는 6편(21.4%)이었다. 셋째, 내용 및 결과는 연구 별로 각각 정리하여 제시하였는데, 대부분의 연구가 개입 후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였고,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게임조절동기 등의 긍정적인 요소는 증가하였으며, 우울, 불안, 스트레스, 게임사용 시간, 게임이용 장애 정도와 같은 부정적인 요소는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가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되어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개입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Internet Gaming Disorder(IGD) by systematically analyzing IGD intervention programs. Method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and program contents of intervention programs in IGD by selecting them through systematic review among the literature published from January 2001 to February 2021 targeting academic journals with KCI registered or candidate for KCI registration. Results First, the qualitative evidences were 19 theses (67.9%) level Ⅰ, 7 theses (25%) level Ⅲ, and 2 theses (7.1%) level Ⅳ. As for the study trend, 11 theses (39.3%) were the most research theses between 2011 and 2015,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self-management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intervention with 6 theses (21.5%). And 5 theses (17.9%) used the modified K-scale,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 for IGD. Second, characteristics of studies and form of intervention, 13 theses (46.4%) for middle school student, 14 theses (50%) for the 4- to 8-week program, and 8 theses (28.6%) for the 8-session program were the most common. Also, 7 theses (25%) were conducted further evaluation to determine the continuation of the effect, and 6 theses (21.4%) involving parents. Third, the contents and results were summarized and presented for each study. And most of the studies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and positive factors such as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game control motivation increased, and negative factors such as depression, anxiety, stress, game use time, and game use disorder decreased.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as a basic data for program development for intervention in Internet Gaming Disorder.

      • KCI등재

        한국을 떠나는 여성-청년들 : 경계를 넘는 초국가적 이동 주체

        신지연(Jiyeon Shi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6 No.3

        이 연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한국을 떠난 여성-청년들의 이주 배경 및 이동 과정에서의 몸 경험에 주목한다. ‘탈조선’ 담론은 2010년대 중반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이는 주로 ‘청년’이라는 집단으로 묶어 연구되어 왔다. 이 연구는 다양한 청년들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시도 중 하나로, 한국 사회의 페미니즘 재부상의 맥락 속 하나의 저항 양식으로서 여성-청년들의 이주를 이해하고자 한다. 여성-청년들은 기존의 청년 담론이 다뤘던 논의 외에도 일상적인 성차별, 특히 몸을 둘러싼 위험과 제약에 문제의식이 있었다. 이들은 이주 후 다른 공간적 경험을 하면서 젠더화된 규범에서 일정 부분 벗어나고, 타자와의 조우 속에서 관계 맺기에 변화를 겪기도 한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은 ‘동양인 여성’이라는 기호로 인해 새로운 종류의 차별을 경험하는데, 이에 대한 무시나 회피, 정정 요청 및 협상하기 등의 다양한 대응을 살필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여성-청년들이 인종주의에 기반을 둔 구별짓기를 하거나 ‘동양인 여성’이라는 기호를 활용하는 모순 역시 포착하였다. 이주 후 여성-청년들은 미디어를 중심으로 구축된 목적지에 대한 환상이 일정 부분 좌절되어도 이를 다시 해석하고 자신의 전략을 수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이들 대부분은 현실적인 제도의 문제를 우려하면서도 지속해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계획이 있었다. 여성-청년들은 이주 후 예상치 못한 난관과 딜레마에 봉착하면서도 한국에서 오히려 불가능하게 다가왔던 계층 상승이나 더 나은 삶이 글로벌 스케일에서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목적지에서 자기 삶을 재구성하고 있었다. This study, which employed in-depth interviews as its main methodology, focuses on the background of migration and body experiences behind the movement of female-youths who have left Korea. Although the discourse on ‘Tal-Joseon’, a Korean expression meaning fleeing Korea, has been researched since the mid-2010s, most of them mainly focused on ‘youth’ as a whole. On the contrary to tha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ose the voices of various young people, particularly with the aim of it being understanding the migration decision made by female youths as a form of resistance in the context of the re-emergence of feminism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to the discussions that pre-existing youth discourse dealt with, female youths were also conscious of problems regarding gender discrimination in daily life, with the risks and constraints surrounding their bodies as the most weighted subjects. After migration, as female-youths had different spatial experiences, they partly departed from gender-based norms, and went through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experienced a new kind of discrimination stemmed from the ‘Asian Woman’ categorization. Their responses varied in their encounters with it, with some of them ignoring or avoiding, and others attempting to make negotiation or correction. In analyzing these responses, contradictory actions of the female-youths were found, such as making racism-based distinctions themselves, or strategically taking advantage of the ‘Asian Woman’ image. After the migration, even if the pre-constructed, media-inspired fantasies about their destinations were mostly destructed, female-youths would respond by reinterpreting their situations and revising their strategies. For example, even though most of the female-youths were concerned about the realistic institutional issues, they would still continue to plan for their next trip. Female youths, while facing unexpected difficulties and dilemma after the migration, were nevertheless believing that upward mobility in social class and a better life were possible in somewhere outside Korea. The migrated female-youths, after all, were reconstructing their life as a whole at their destination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