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에서 일본의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 현황과 방향

        신주백(辛珠柏) 한일민족문제학회 2014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7 No.-

        強制動員の全體像を類型化すると人、物資、財政、企業、輸送、歴史和解に区分することができる。現在、韓国での研究では、人材動員、特に、勞務動員と日本軍「慰安婦」研究に重点を置いています。研究が行われている過程で、兵士労務動員および満州移民と関連付けられている新しい強制動員事例が発見され、ひと動員のカテゴリーの中でどのように位置づけなければならないの課題が残っている。強制動員の歴史に関する研究は帝國史と東アジア史の中で位置づけなければならず、分断の克服と地域協力の枠組みを作っていくの一部である必要がある。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본정부의 전후처리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응(1947-2004) : 피해자의 對日過去淸算運動과 관련하여

        신주백 백산학회 2007 白山學報 Vol.- No.77

        This paper examines how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coped with the past squaring movwment from 1945 to 2004; Koreans, who had sustained first-hand injuries under Japanese imperialism until August 1945, have demanded reparation and official apology from Japan since then.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has been largely prescribed by the U.S. East Asian strategy, Japan’s principle of postwar settlement, and the past squaring movwment both in and outside the country. Even following the Korea-Japan Agreement, the Korean government mostly avoided contact with the victims and reserved their demands. The government’s tendency to dodge their demands or to address them passively persisted throughout the 1970s. Only a propos the issue of atomic bomb did the Korean government attempt a policy compromise. However, beginning in the late-1980s, a period marked by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and high economic growth, in the demise of the Cold War, Japan-Korea relations with respect to the history debate began to shift. In particular, the issue of Japan’s “military comfort women” increasingly aggravated the sharp conflict between the two governments. The Korean government’s new response did not deny the Korea-Japan Agreement but merely placed further pressure on the Japanese government on humanitarian grounds. Moreover, Kim Dae-jung’s administration, rather than limit the history debate to a national issue, began to recogniz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KCI등재

        사학과의 편제와 사람, 그리고교재(1945.8~1950년대)

        신주백 한국근현대사학회 201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67 No.-

        This paper tracks the settlement of department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s’various parts into each departments in Korean universities from Korean Liberationto 1950’. By studying the history department I considered the process andcharacteristics through which history came to be established as a discipline withinthe departmental system. Aftet the Korean Liberation, colleges in Korea accepted the US college’seducational system instead of faculty and lecture system(講座制) of the Kyung-SungEmpire University’s inheritance. Different department meant an object of schooling,method of education, and main language are different. Humanities & Social sciences’departmentizing by Korean started to settle in 1950’s. It symbolized a branchor department system in universities settled down in Korea. Moreover, bordersbetween subjects became more distinct. In universities, history was a part of the department of history. The departmentof history in colonial period, was filled with ‘Oriental Special Discourse’ and ‘ThreeSub-department System(3分科體制)’ from Kyung-Sung Empire University andJapanese Universities. The professors who studied in Japanese colleges led thecomposition and content of study of history. However, department of history didnot establish the independent schooling content of the study of history. Thesignificant movement actually started in mid 1960’s when people overcome thespecial oriental discourse.

      • KCI등재

        1910년 전후 군주제에서 민주공화정체로 정치이념의 전환 - 공화론과 대동론을 중심으로 -

        신주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3

        This article traces the intellectual process that the social knowledge of Republic and Solidarity(大同) pass through 1910 and settle down as a democratic republic. The study of Korean national movement history is very lacking in the aspect of ideological history. Struggles and group research flows are still mainstream. Even person studies are so. However, the fact that thought-history research is weak indicate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context. The motivation to write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making up for the limitations caused by the lack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ought. The article traced how the perception of the political system changed in 1910, before and after the time when Korea became a Japanese colony. The focus of the follow-up was on the internal process of democratic republican settlement, a very unique example of Korea. Therefore, we paid attention to the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of Republic, Solidarity(大同) and democracy. Even before 1910, Solidarity(大同) as a form of government and equality as a form of government was unable to deny the monarchy. After Joseon became Japan's colonial state, it joined with the Republic, which is the power of the people, through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the democracy, and met the Solidarity(大同) as equality and institutionalized it as the democratic republic 이 논문은 공화와 大同의 사회적 지식이 1910년을 거치며 민주공화제로 안착하는 知的과정을 수용사와 다른 맥락에서 추적한 글이다. 한국의 민족운동사 연구는 사상사 측면에서의 해명이 매우 부족하다. 투쟁과 단체 중심의 연구 흐름이 여전히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인물연구조차 그러하다. 하지만 사상사 연구가 취약하다는 현실은 內的인 맥락에 대한 파악이 부족하다는 의미이다. 이 논문은 사상사 연구의 부족으로 야기되고 있는 한계를 만회하는데 기여하고자 작성되었다. 논문은 1910년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된 시기를 전후로 정치제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추적하였다. 추적의 초점은 매우 독특한 한국만의 사례인 민주공화제가 정착하게 된 내적 과정에 맞추었다. 그래서 공화, 대동, 민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1910년 이전까지만 해도 정부형태로서의 공화와 평균적 평등으로서의 大同이 서로 비슷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음에도 군주제를 부인하지 못하고 竝立하였다.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된 이후는 국민주권, 곧 민주를 매개로 여러 사람의 권력인 공화와 접목하고, 평등으로서 대동과 만나며 민주공화제로 제도화하였다. 1919년에 정립된 민주공화주의는 근대적 대동주의이자, 유교적 민본주의를 극복한 한국적 민주주의의 이념이자 정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고등교육체계와 문,사,철의 제도화, 그리고 식민지 공공성

        신주백 한국교육사학회 2012 한국교육사학 Vol.34 No.4

        この論文は、植民地朝鮮で``文史哲の對象として朝鮮``を硏究するための制度的基盤を朝鮮總督府の高等敎育政策と關連させて見て、文史哲制度の具體的な姿を京城帝國大學法文學部と延禧專門學校文科を中心で說明しました。植民地朝鮮での高等敎育システムは差別的で位階的だった。二重の高等敎育システムの中で制度化した日本式の人文學編制は延禧專門學校でもほぼそのまま再現された。そんな中でも、內容的な特徵があった。植民地期の高等敎育システムと人文學の編制は、日本が自分の理解を優先する``公``の領域, すなわち官制的公共性を作って朝鮮人を``共``の領域に引き入むとか、排除する差別的公共性を指向した代表的な事例です。朝鮮人社會の知識人たちは、私立專門學校等に陣地を構築して官制的公共性に競合する``共``を追求することで、公平と正義を意味する``共``を志向した。延禧專門學校文科は人文學の分野での競合する公共性を追求することができる陣地だった。植民地公共性は解放後も政策的公共性の中で再現されて續く中、主體の自覺に基づいて消えたのもある。 이 글에서는 식민지 조선에서 ``문·사·철의 대상으로서 조선``을 연구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선총독부의 고등교육정책과 연관시켜 살펴보고, 문·사·철 제도의 구체적인 모습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와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식민지 조선에서의 고등교육체계는 차별적이고 위계적이었다. 이중적 고등교육체계 속에서 제도화한 일본식 인문학편제는 연희전문학교에서도 거의 그대로 재현되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제국 일본이 지향한 문·사·철과 연희전문학교를 비롯해 조선인이 지향한 문·사·철에는 내용적인 차별성이 있었다. 식민지기 고등교육체계와 인문학의 편제는 일본이 자신의 이해를 우선하는 ``公``의 영역 곧, 관제적 공공성을 만들어 조선인을 ``共``의 영역으로 끌어들이거나 배제하는 차별적 공공성을 지향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조선인 사회의 지식인들은 사립 전문학교 등지에 진지를 구축하고 관제적 공공성에 경합하는 ``共``을 추구함으로써 공평과 공정을 의미하는 ``公``을 지향하였다. 연희전문학교 문과는 인문학 분야에서의 경합하는 공공성을 추구할 수 있는 진지였다. 식민지 공공성은 해방 이후에도 정책적 공공성 속에서 재현되어 이어지는 가운데 주체들의 자각에 따라 사라진 것도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