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도시철도 열차운행속도와 레일마모 상관관계 분석

        신정환(Jeong Hwan Shin),김태준(Tae Jun Kim),박용걸(Yong Gul Park),최일윤(Il Yoon Choi)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도시철도 곡선 궤도에서 승차감 향상 및 열차 탈선 방지를 위하여 적절한 캔트부설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표정속도 향상, 반향곡선에서의 승차감 향상, 소음저감 및 ATO 운전에 따른 속도저하 등의 이유로 현장에 설치된 실제 캔트는 균형 캔트와 다르게 부설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차 실제 주행 속도에 따른 캔트 과부족이 레일 마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레일 마모 진행과 캔트 과부족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On the curved track of urban railway, appropriate cant according to curve radius and design speed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ride quality and prevent train derailment. But, the actual cant installed in the field is different from the balanced cant by reason of scheduled speed improvement, ride quality improvement at the reversed curve, noise reduction and speed down by ATO.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impact of cant excess or deficiency which would be varied by the train running speed on rail wea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gress of rail wear and the amount of cant excess or deficiency was analyzed.

      • KCI등재

        `두 개의 스페인`에 나타난 지중해 정신 연구-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스페인 기행』을 중심으로-

        신정환 ( Shin Jeong-hwan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17 지중해지역연구 Vol.19 No.1

        Spain, which was the frontier of the world, appears in world history through Mediterranean civilization. The Mediterranean Sea is the sea of openness that opened the doors of Spain and the sea of meeting with others. Spain, which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Mediterranean civilization, has had a tradition of coexistence of contradictory elements. Two of the many Greeks who had stepped on the Spanish soil after Hercules were El Greco and Kazantzakis. Like El Greco, Cretan born Kazankzakis sought liberty and craved salvation as a typical Mediterranean writer. He traveled to Spain four times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left a travel writ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what Spain is and how it relates to the universal Mediterranean and, moreover, to the writer`s own identity. Kazantzakis says Spain has two faces. However, the history of Spain has shown the coexistence of two opposing elements, 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Don Quixote and Sancho Panza. It was influenced by Mediterranean culture, a sea of openness and communication. With the beginning of the Atlantic era, Spain built an empire in which the sun never set and culturally a Golden Age began with brilliant art and literature. But the collapse of Spain was foreseen. This is because Spain has lost the Mediterranean spirit of coexistence and harmony and is on the road of isolation. In the Mediterranean civilization, Christians and Muslims have coexisted in repeated conflicts and reconciliations. But Spain denies the roots of the Arabs that are imprinted on them. What Kazantzakis witnessed through his travels to Spain is a dark figure that denies the Other. The vitality of the cultural renaissa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is about to disappear. Here, Kazantzakis confirms a deep spiritual bond with El Greco. Like El Greco, who captures the essence behind the phenomenon, Kazantzakis also sees the essence of Spain, where two elements are at odds with each other. But his journey is also a reflection of his life seeking freedom and salvation. Through his travels to Spain, he finds himself and his homeland. Finally, he returns to himself like Odysseus who returns to Ithaca through the Mediterranean sea.

      • KCI등재

        탈식민주의 생태비평과 라틴아메리카 문학

        신정환(SHIN, Jeong-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7

        제국주의는 단순히 피식민지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지배에 그치지 않고 문화, 사회, 그리고 환경에 이르는 피식민지 세계의 전반적인 기형화를 야기한다. 이 글은 제국주의가 동반하는 생태계 파괴에 주목하여 탈식민주의와 생태비평의 관계를 천착해 보고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이 라틴아메리카 문학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생태비평은 문학과 물리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문학 작품을 분석한다. 그런데 서구 중심으로 전개된 근대사에서 정작 가장 많은 침묵을 강요당하고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존재는 바로 자연이며 자연에 대한 통제와 착취는 세계화 시대에 들어와 더욱 가열되고 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이 탄생하게 된다. 라틴아메리카는 근대가 개막한 이래 제국주의의 폭력을 감내해 왔던 대표적인 지역으로 그 자체가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의 살아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사회 및 자연 생태계 파괴를 야기한 생태학적 제국주의를 인식하는 작품들이 등장한 것은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이다. 특히 파블로 네루다와 니콜라스 기옌은 식민주의와 환경 파괴가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면서 생태문학을 구현한 대표적인 시인이라 할 수 있다. 두 시인은 우선 라틴아메리카의 모든 비극이 유럽의 신대륙 ‘발견’에서 비롯되었다고 인식한다. 이후 아메리카의 자연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함께 제국주의 침략자에 맞서 투쟁하지만 끝내 패배하고 기나긴 침묵을 강요당한다. 제2세대 탈식민주의라 할 수 있는 하위주체 연구는 침묵을 강요당한 주변부의 기억을 찾아내고 그 목소리를 대변한다. 그런데 기옌과 네루다는 그 하위주체에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의 사람뿐 아니라 자연을 포함시키고 이들의 잊힌 기억을 살려냄으로써 자연스럽게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들의 작품에서 주인공이 되는 자연은 인간의 투쟁이 무언의 형태로 새겨진 역사적 기록으로서, 단지 묘사되는 것으로 만족치 않고 이해되기를 바란다. 시인은 이들의 대변인을 자임하면서 무관심과 억압에 의해 묻혀버린 인간과 대지의 역사를 환기해 주는 것이다. The imperialism means not only political, economical and military domination on its colonial territory but also the all-round deformation of the social, cultural and natural environment of colonial world and its people. In regard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ccompanied by imperialism,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give a general survey of the relation between postcolonialism and ecocriticism and to analyze how postcolonial ecocriticism is embodied in Latin American literature. Latin America is, we might say, an emblematic region that has suffered european imperialism, a living text in itself of postcolonial ecocriticism. It was in the middle of twentieth century that Latin American literary works appeared which recognized ecological imperialism. Pablo Neruda and Nicola?s Guille?n are representative poets of ecocritical literature, among others, with the poetic figuration of the system where colonialism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re intermingled. These two poets share the recognition that all the tragedies of Latin America began with its "discovery" by Columbus. Since then, Latin American nature fought with the natives against white invaders but found herself defeated and forced into silence. The Subaltern Theory as postcolonialism of second generation looks for the subaltern memories and speaks for them. Neruda and Guille?n include the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nature among the subaltern beings and try to restore their forgotten memories. The Nature as historical documents carving the human struggle in a tacit form wants not only to be described but also to be understood. These two poets wake us the buried history of men and nature by indifference and suppression and set themselves up as their spokesman. 제국주의는 단순히 피식민지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지배에 그치지 않고 문화, 사회, 그리고 환경에 이르는 피식민지 세계의 전반적인 기형화를 야기한다. 이 글은 제국주의가 동반하는 생태계 파괴에 주목하여 탈식민주의와 생태비평의 관계를 천착해 보고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이 라틴아메리카 문학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생태비평은 문학과 물리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문학 작품을 분석한다. 그런데 서구 중심으로 전개된 근대사에서 정작 가장 많은 침묵을 강요당하고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존재는 바로 자연이며 자연에 대한 통제와 착취는 세계화 시대에 들어와 더욱 가열되고 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이 탄생하게 된다. 라틴아메리카는 근대가 개막한 이래 제국주의의 폭력을 감내해 왔던 대표적인 지역으로 그 자체가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의 살아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사회 및 자연 생태계 파괴를 야기한 생태학적 제국주의를 인식하는 작품들이 등장한 것은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이다. 특히 파블로 네루다와 니콜라스 기옌은 식민주의와 환경 파괴가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면서 생태문학을 구현한 대표적인 시인이라 할 수 있다. 두 시인은 우선 라틴아메리카의 모든 비극이 유럽의 신대륙 ‘발견’에서 비롯되었다고 인식한다. 이후 아메리카의 자연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함께 제국주의 침략자에 맞서 투쟁하지만 끝내 패배하고 기나긴 침묵을 강요당한다. 제2세대 탈식민주의라 할 수 있는 하위주체 연구는 침묵을 강요당한 주변부의 기억을 찾아내고 그 목소리를 대변한다. 그런데 기옌과 네루다는 그 하위주체에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의 사람뿐 아니라 자연을 포함시키고 이들의 잊힌 기억을 살려냄으로써 자연스럽게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들의 작품에서 주인공이 되는 자연은 인간의 투쟁이 무언의 형태로 새겨진 역사적 기록으로서, 단지 묘사되는 것으로 만족치 않고 이해되기를 바란다. 시인은 이들의 대변인을 자임하면서 무관심과 억압에 의해 묻혀버린 인간과 대지의 역사를 환기해 주는 것이다. The imperialism means not only political, economical and military domination on its colonial territory but also the all-round deformation of the social, cultural and natural environment of colonial world and its people. In regard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ccompanied by imperialism,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give a general survey of the relation between postcolonialism and ecocriticism and to analyze how postcolonial ecocriticism is embodied in Latin American literature. Latin America is, we might say, an emblematic region that has suffered european imperialism, a living text in itself of postcolonial ecocriticism. It was in the middle of twentieth century that Latin American literary works appeared which recognized ecological imperialism. Pablo Neruda and Nicola?s Guille?n are representative poets of ecocritical literature, among others, with the poetic figuration of the system where colonialism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re intermingled. These two poets share the recognition that all the tragedies of Latin America began with its "discovery" by Columbus. Since then, Latin American nature fought with the natives against white invaders but found herself defeated and forced into silence. The Subaltern Theory as postcolonialism of second generation looks for the subaltern memories and speaks for them. Neruda and Guille?n include the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nature among the subaltern beings and try to restore their forgotten memories. The Nature as historical documents carving the human struggle in a tacit form wants not only to be described but also to be understood. These two poets wake us the buried history of men and nature by indifference and suppression and set themselves up as their spokesman.

      • KCI등재

        바로크와 환상문학

        신정환(Shin, Jeong-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3

        바로크와 환상문학은 공히 17세기에 태동한 근대성의 산물인 동시에 그것에 대한 반응이다. 근대성과 관련된 바로크 미학과 환상문학의 비교 연구를 위해 중요한 연결 고리가 되는 것은 ‘의심'이다. 근대성이 야기한 세계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바로크 시대에는 모든 것이 의심의 대상이 된다. 환상문학 역시 이성이 지배하는 19세기 사회에서 현실에 불쑥 침입하는 초현실적 현상에 대한 당혹감과 의심에서 비롯된다. 애매모호한 세계 내에서 야기되는 불확실성의 느낌인 의심은 환상성이 발생하는 필수 조건인 것이다. 시대적 배경과 관련하여 환상문학은 바로크 미학과 동일한 발생 조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상과 실재의 괴리에서 빚어지는 불확실성과 불안감이 그것이다. 이는 환상문학이 서구 계몽주의에 대한 반발로 탄생한 낭만주의 시대의 장르라는 점과 밀접한 연관을 맺는다. 최초의 근대적 낭만주의로 간주되는 바로크와 낭만주의의 본류를 형성하는 환상문학은 공히 근대성에 대한 미학적 반응으로서 규범과 이성에 대한 일탈과 감성의 승리를 꾀하는 것이다. 바로크 문학과 환상문학에 공히 나타나는 의심의 양태를 살펴볼 때, 전자가 “진정한 현실이란 무엇인가?”라고 존재론적 물음이라면 후자는 “내가 속한 이 세계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라는 인식론적 물음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가 “우리의 마음이나 생각과 독립해 존재하는 어떤 실재가 있는가?” 묻는다면, 후자는 그 실재를 전제하고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따라서 바로크의 의심은 세계에 대한 의심이고 환상문학의 의심은 내 인식 차원에 대한 의심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환상문학은 이성이 정착된 세계의 질서를 흔들어보는 모반이자 근대적 낙관주의에 대한 풍자로 읽힐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근대성의 산물로서 현실을 보다 총체적으로 이해하려는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baroque and fantastic literature were fruits and reaction of the modernity conceived in 17th century. The important bond that connects the baroque and fantastic literature is doubt. The uncertainty of the world caused by the modernity put everything in doubt. The primary conditions of fantastic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are also doubt, hesitation, and uncanny feeling at the supernatural phenomena that intrude into a reality. We can say that the baroque and fantastic literature share sam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ambiguity and uncertainty caused by the breakup of reality and appearance. The relation between baroque and fantastic literature has to do with the fact that fantastic literature is a sub-genre of romanticism born to resist the enlightenment. The baroque considered as a f fst romanticism and fantastic literature are aesthetic reaction to modernity and declare the victory of emotion and transgression over reason and norm.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 of doubt of the baroque and fantastic literature, we might say that the former is a ontological one asking what is true reality and that the latter is a epistemological one asking how we can interpret that reality. In other words, the baroque asks whether there exists a reality independent of human perception while fantastic literature presupposes that reality and seeks how to perceive it. Accordingly, doubt of the baroque is on the reality itself and that of fantastic literature is on human perception. As a result, fantastic literature could be read as a revolt to shake the reason-established world and, at the same time, a parody of modern optimism. The baroque novel and fantastic novel, nevertheless, have a ultimate goal in common as a result of modernity: total understanding of reality. That has been a background and reason of being of modern novel.

      • KCI등재

        스페인 황금세기의 문학과 예술후원 연구

        신정환(Shin Jeong 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7 외국문학연구 Vol.- No.65

        16~17세기에 걸친 스페인의 황금세기는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이 몰락하던 시기에 불멸의 문학과 예술이 탄생했던 모순의 시대이다. 당시의 빛나는 문학과 예술을 탄생시킨 주체가 예술후원자, 즉 메세나였다. 작가와 예술가들은 후원을 받는 대신 작품을 통해 메세나의 위엄과 명예를 고양하였고 더 나아가 지배 이데올로기와 체제를 찬양했다. 황금세기의 첫 메세나는 절대군주의 위엄을 드높이고 신앙을 고취하기 위해 예술을 후원했던 국왕과 가톨릭교회였다. 반면 펠리페 3세와 펠리페 4세 때에는 국사를 총신(寵臣)에게 맡기는 정치가 시작되면서 돈과 권력을 겸비한 유력 귀족들이 후원의 주된 주체로 등장한다. 한편 농촌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면서 도시문화가 시작되고 문학을 향유하는 익명의 대중이 후원의 또 다른 주체로 등장한다. 결론적으로, 스페인 황금세기의 문학과 예술후원은 교회와 왕실이 주가 되는 공적 후원, 펠리페 3세 이후 부와 권력을 지닌 귀족층이 주도하는 사적 후원 그리고 도시문화를 배경으로 탄생하는 일반 대중의 공공 후원 등으로 그 신분 주체가 하향 조정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자본주의 체제가 늦게 자리 잡은 스페인에서 북유럽처럼 시민계급이 시장을 통한 예술후원의 주체로 나서서면 더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그 결과, 황금세기 이후의 스페인은 문화적 활력을 잃어버리고 기나긴 침체기에 접어들게 된다. The Golden Age of Spain was an epoch of contradictions, in which immortal literature and art were born at the same time as the fall of an empire. It was the mécénats who created a luminous literature and art for their time. The first mécénats of the Golden Age were the King and the Catholic Church who supported the arts in order to elevate the majesty of the monarch and inspire their faith. On the one hand, in the days of Philip III and Philip IV, powerful aristocrats who combined money and power appeared as the main objects of patronage. On the other hand, with a huge influx of people in the cities from the rural areas, an urban culture was born and a broad anonymous mass who appreciated literature and theatre appeared as mécénats. In conclusion, the literary and artistic patronage of the Golden Age of Spain included the official support of the church and the royal family, private sponsorship led by aristocrats with wealth and power since Philip III, and the public support of the broad masses in the context of urban culture. We can see that the class of the mécénats was downgraded. It would take more time for the bourgeoisie to come on the scene as mécénats because of the delayed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Spain. In consequence, Spain lost her cultural vitality after the Golden Age and entered a long period of stagnation in literature and art.

      • KCI등재

        빠블로 네루다의 중심부 체험과 마드리드

        신정환(Shin Jeong-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6 외국문학연구 Vol.- No.22

        In 1920s, cultural life of Latin America depended exclusively on Europe, especially Paris and Madrid. Pablo Neruda stayed in Madrid for two years as a Chilean consul. This period constitutes the most meaningful time for Neruda in terms of his literature, ideology and personal history.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Neruda's life in Madrid affects the life of the poet from the periphery in the Core of Colony. Personally the period of Madrid was the happiest time for Neruda. It formed a friendship with the poet group, Generation of 27 who led an crucial role in the Spanish Literary circle at that time. Neruda finally joined the main stream of the Spanish Literature rediscovering the Golden Age Baroque poets, Góngora, Quevedo, Villamediana etc. through the association with the Generation of 27 poets. While Neruda was in the middle of "The Voyage In", as Edward Said calls, he did not fell into the major discourse of the Spanish literature. The Spanish Civil War gave Pablo Neruda the moment turning his concern from the major culture to the minority. Neruda's Madrid life as a peripheral elite implies that it was not submission to authority but harassing tactics to the very authority. In the case of Neruda, there are 3 main factors for him to maintain the healthy and creative literary vitality, not being a comprador writer assimilated into the central discourse in Madrid or being an exclusive insider haunted by the national fundamentalism. First of all, in the literature respect, Neruda came to rediscover the main stream of the Hispanic Literature from the Baroque Literature in the Golden Age. Second, in the private perspective, Neruda had gotten the strong friendship with the Generation of 27 poets who had the strong feeling of solidarity and brotherhood beyond their own nationality. Third, in the aspect of ideology, Neruda shared the kindred spirit with the fellow poets, most of whom had the socialistic ideology, and he believed his times' calling of Literature. In conclusion, Neruda's experience in Madrid can be depicted in every respect as the open space of freeing from any authority and cannon. Furthermore, it provided him with the great opportunity to enlarge his awareness and poetic search.

      • KCI등재

        20세기 중남미 문학의 탈영토화와 빠블로 네루다의 저항시

        신정환(Shin, Jeong-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8

        20세기 중남미 문학은 탈영토화 현상을 통해 중심부의 언어를 습득하는 동시에 독창적 언어를 창출하는데 성공했다. 문학의 국제성을 통해 20세기 초반 중남미 문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유럽 사조는 초현실주의와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내적으로는 경제공황에 뒤이은 노동운동과 군부독재로 인해 공산주의 이념이 확산되고, 외적으로는 스페인 내전에서 파시즘이 승리를 거두면서 1930년대를 지나면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중남미 대륙의 주도 담론으로 확고히 자리 잡게 된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맹위를 떨치던 1934년부터 1956년까지의 기간은 빠블로 네루다가 정치적으로나 문학적으로 왕성하게 활동하던 때로서 시인의 작품세계에 문학의 탈영토화 현상을 야기하는 기제가 된다. 사랑과 고독의 시인으로 출발한 빠블로 네루다는 스페인 내전에서 파시즘의 폭력을 목격한 후 시를 투쟁의 무기로 쓰게 된다. 그러나 네루다의 경향시는 대부분 서투른 작품이 되고 말았는데, 그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이유 때문에 근본적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가가 될 수 없었다고 본다. 첫째, 네루다는 인위적인 문학 유파를 믿지 않았으며, 현실을 왜곡시켜 버리는 리얼리즘은 더더욱 불신했다. 둘째, 네루다는 이론적으로 무장한 체계적 공산주의자가 아니라 미국 문화를 사랑한 부르주아였다. 스페인 파시즘을 체험한 그에게 공산주의는 단지 반파시즘의 수단이었다. 셋째, 네루다는 민족적 배타성과 한계성 모두를 지양하면서 계급과 민족을 모두 살려야 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 원칙에 충실하지 않았다. 넷째, 본질적으로 사랑과 고독의 시인은 작품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에서 지양되어야 하는 주관주의를 노출한다. 라틴아메리카 자연과의 만남은 네루다를 정통 사회주의 리얼리즘과는 다른 특유의 저항 작가로 만들어준다. 네루다의 아메리카 자연 체험은 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먼저 어린 시절의 떼무꼬가 시인에게 항상 되돌아가고 싶은 어머니 같은 존재였다면, 멕시코에서 체험한 아메리카의 자연은 뿌리를 보여주었고, 마추피추의 자연은 그에게 아메리카 전체를 보게 해 준다. 아메리카 자연은 뿌리 뽑힌 인간이 원초적 생명을 회복하는 통로가 되고 시공을 초월한 인간적 유대감을 가능케 한다. 또한 이는 시인의 작품이 교조적인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빠지는 것을 막고, 시적 주관성과 역사적 객관성 사이에서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결국 네루다는 공산주의자이고 시인이지만 공산주의 시인은 아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시인의 이데올로기와 시의 이데올로기를 혼동하지 않을 때 우리는 중심부 문학장의 탈영토화 현상과 주변부 문학장의 근본주의의 두 축 사이에서 창조적 긴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빠블로 네루다 문학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Latin American literature of 20th century has achieved a creation of the original language as well as acquisition of the language of the First World through the deterritorialization of the world literature. The most influential European trends in Latin America were surrealism and socialist realism. However, there were internally widespread communism from the labor movement and military dictatorship after the economic crisis(1929~1935), and externally victory of fascism in the Spanish Civil War(1936~1939). Consequently, socialist realism became the dominant discourse in the continent from the 1930s through the 1950s. This period was the most meaningful time for Pablo Neruda both writing and political activities, which brought about a deterritorialization of his literature. Pablo Neruda, starting as a poet of love and solitude,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oet of commitment while experiencing the fascist's violence during the Spanish Civil War. In spite of his writing on some socialist poems, he could not be a socialist realistic writer, however, because of the following four reasons: ① Neruda distrusted the artificial literary trends, above all things, the realism, he believed, that distorted reality. ② Neruda was not an orthodox communist with the systematic communist educational background but a bourgeois aspiring after the American culture. ③ Neruda's Americanism was not exactly in accord with socialist realism that had to reject exclusivism and limitation from nationalism. ④ Neruda's favorite literature themes such as 'Love' and 'Solitude', exposed an emotional subjectivism that the socialist realism must have sublated. An encounter with Latin American nature enabled Neruda an unique writer of commitment, different from an orthodox realist. Through his life, Neruda experienced three types of Latin American nature: The first one is the nature as his mother (in Temuco), the second is the nature as a root of Latin America (in Mexico) and the third is the nature as a totality of Latin America (in Machu Pichu). Latin American nature has been a pathway through which the man could revive a primitive soul who was uprooted his origin and recover the human solidarity transcending space and time. Latin American nature protected Neruda's works from indulging in dogmatic socialist realism and played a important role as a center of balance between a poetic subjectivism and a historical objectivism. In the last analysis, Neruda was a communist and a poet, but not a communist poet. When not confusing a poet's ideology with a poem's ideology, we can really understand the essence of Neruda's literature which has maintained the creative balance between the deterritorialization trends of central literature realm and the fundamentalism phenomena of local literature province.

      • KCI등재

        Language Ecology and Comparative Literature

        신정환(Shin, Jeong-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0 외국문학연구 Vol.- No.79

        근대에 탄생한 비교문학은 민족주의를 거부하고 괴테가 말하는 세계문학 정신을 반영한다. 그것은 중심도 기원도 없고, 타자에 대한 존중을 중심 윤리로 한다. 그런데 세계화 시대를 거치면서 비교문학의 정신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그 위협의 주된 실체는 단일언어주의에 기반을 둔 언어적 제국주의, 다시 말해 영어의 바벨탑 건축이라 할 수 있다. 영어 중심의 단일언어주의는 언어차별주의와 소수 언어의 소멸을 초래하면서 문화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현대 한국 사회는 영어중심주의의 폐해를 잘 보여주는 곳이다. 이는 역사적 기반이 취약한 한국어를 위기에 빠트리고 문화 생태계를 위협하면서 한국문학 쇠퇴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한국의 문학 시장에서 외국문학 번역물이 대다수를 차지한다는 사실은 한국문학의 위기를 보여준다. 한국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고 문화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먼저 문학의 비평정신을 회복해야 하고, 번역과 복원을 통해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간극을 극복해야 한다. 특히 바벨 이후 인간의 운명이 되었다고 하는 번역의 문제는 대단히 중요하다. 번역은 원본의 모사가 아니라 그 의미를 확장하는 창조적 엔진이 되면서 비교문학의 중요한 부분, 더 나아가 그것의 대체물이 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개념이 번역을 ‘언어적 환대’로 보는 시각이다. 언어적 환대를 통해 번역은 타자로 통하는 길이 되고 있고, 하나의 언어는 다른 언어들에 의해 더욱 풍요로워진다. 진정한 의미의 세계문학을 구현케 하는 번역은 비교문학에서 갈수록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다. 또한 비교문학은 다양한 가치의 공생을 가능케 하는 언어생태계 보존을 위해 꼭 필요한 학문이 될 것이다. Through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spirit of comparative literature is under serious threat. The main substance of the threat is the linguistic imperialism based on the English-centered monolingualism that has disturbed the cultural ecosystem. The linguistic toadyism in Korea also puts the Korean language into a crisis and causes the decline of Korean literature. To overcome the crisis of Korean literature and preserve the cultural ecosystem, we must restore, first of all, the spirit of criticism and re-establish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transl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s. In particular, transla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expands a meaning of the original. With linguistic hospitality, translation becomes a path to “the Other” and one language is enriched by foreign languages. In that sense, comparative literature is indispensable for language ecology that permits a coexistence of diverse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