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티고네의 인륜성과 보편 지향성

        신은화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4 No.-

        이 글은 안티고네가 구현한 인륜성과 그것의 보편적인 가치 지향성에 대해 논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삼는다. 이를 위해 우리는 인륜성에 관한 깊이 있는 철학적 해명으로서 헤 겔의 개념을 주목하고 그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참고함으로써 안티고네와 크레온의 비극을 조명해볼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필자가 집중해보고 싶은 문제는 신의 법과 인간의 법, 가족 과 국가, 여성과 남성 간의 대립 구도가 갖는 의미와 한계에 관한 질문이다. 먼저 우리는 안티고네의 행위가 여성으로서의 의무를 이행하는 일이면서 동시에 ‘인간으로서의 보편적 인 도리’를 다하는 일임을 논할 것이다. 그것의 핵심적인 근거는 사자의 장례가 가족의 의 무이자 여성의 소관이라는 헤겔의 설명에 대한 재고를 통해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우리는 크레온의 ‘독단성과 임의성’에 대해 논하고 그의 명령이 담고 있는 반인륜성에 대 해서도 다루어볼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반역자의 시신 매장 금지’라는 크레온의 명령이 신법에 대한 인법의 침해로 해석될 수 있는지를 조심스럽게 질문해보겠다. 그 외에도 우리 는 안티고네의 죽음이 갖는 의미를 짚어보고 그것이 부당한 권력을 향한 일종의 ‘저항’으 로 해석될 수 있음을 밝힐 것이다. 끝으로 안티고네의 인륜적 주장을 여성의 목소리로만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어떤 다른 방식의 접근과 해석이 가능한지를 생각해볼 것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필자는 가부장제 하에서 여성이 겪는 아이러니와 그러한 굴레에도 불구 하고 안티고네가 이뤄낸 ‘정치적 참여’를 주목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고대 그리스 사회에 서 안티고네가 여성으로서 보편적인 가치에 대한 신념을 드러낸 독자적인 인물임을 확인 할 것이다. This thesis focuses on discussing Antigone’s ethic and its universality. For this purpose, we focus on Hegel s concept as an philosophical explanation of ethic and critically refer to his views to understand the tragedy of Antigone and Creon. In this analysis, this thesis concentrates on the question of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confrontation between divine law and human law, between family and state, and between woman and man. First of all, we confirm that Antigone s actions are to fulfill her obligations as a woman and to do universal duty of a human being . Its reason is revealed by rethinking that the funeral of the dead is the duty of family and of women. We also discuss Creon s dictatorship and arbitrariness and discuss the anti-humanity of his command. In this regard, this thesis carefully asks whether Creon s order to prohibit the burial of the body of the traitor can be interpreted as an infringement of the divine law. In addition, we think the meaning of Antigone's death and discuss that it can be interpreted as a kind of resistance to unjust power. Finally,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at other approaches and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beyond understanding Antigone s humanistic claims only as a voice of a woman. On this problem,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the irony of women under patriarchy and the political participation that Antigone has achieved. This helps us see what a character such as Antigone means in the Greek classical society and how it connects with us.

      • KCI등재

        야마다 에이미(山田詠美)의 문학과 연애소설 고찰 - 『베드타임 아이즈(ベッドタイムアイズ)』와 『현자의 사랑(賢者の愛)』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와 젠더 중심으로 -

        신은화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일본학 Vol.58 No.-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female subject's sexuality and gender consciousness are revealed in Yamada Eimi's love novels, and examines the issues of sexuality and gender. Unlike the sense of victimization of the past, her love novels communicated issues throughout society in various ways, such as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sexuality experienced by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women, and the sexuality and gender consciousness of women subjects excluded from patriarchy. Her novels have represented controversial topics such as female sexuality, body, race (black), homosexuality, and infidelity through women's internal and physical experiences. In particular, her early works boldly and explicitly portrayed sexuality in an area that had been taboo so far, and expressed that women were also subjects and actors pursuing sexual desire. As such, she pursued the recapture of women's sexuality, which had long been emphasized only on the reproductive function as the sex that gives birth rather than independent sexual desire from a woman's point of view. Yamada Eimi's literature can be said to have basically started from this critical mind. What is noteworthy is that while existing feminist literature tried to understand and solve male-centered sexual culture, social institutions, and contradictions with a structure of confrontation between men and women, Yamada Eimi recognizes them as human problems. She draws the world of sexuality is different from existing feminist literature in that it is a world in which mutual diversity is recognized through coexistence with men, rather than a world composed of antipathy and rejection of men, starting from the dismantling of conventional institutions and values. it is differentiated in this study.

      • KCI등재

        과학기술과 착취: 자본주도형 기술 개발의 한계

        신은화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6 No.-

        This article attempts to deal with the problem that science and technology function as a mechanism to oppress and exploit humans rather than to release humans from labor. To explore this subjec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y of labor value and the theory of 'technology value'. In addition, it is also important to refer to Marx's critical view of the 'capitalist' use of technology. Above all, Marx' concepts of relative surplus value and special surplus value, and his analysis of organic composition of capital are still valid in explaining that development of technology tightens control over workers and intensity of labor, and worsens instability of employment. Reflection of the limitations of capitalist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also important for realization of its usefulness. Industry 4.0 in Germany therefore deserves to be noticed as a good example because it shows a different way from extreme capitalist exploitation. The model suggests also some points that shouldn't be overlooked, when we try to actualize the tremendous slogan of the current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real innovation and progress in human life. In this matter,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e possibility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at doesn't oppose workers' interests. 이 논문은 과학기술이 인간 삶의 편리함과 윤택함에 기여하기 보다는 오히려 인간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수단으로 전락하는 문제를 다룬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노동가치론과 '기술가치론'의 상이한 주장들을 검토하면서 노동과 기술의 문제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필자는 기술의 ‘자본주의적’ 사용에 대한 마르크스의 비판적 관점을 적극 참고하면서, 특히 마르크스의 상대적 잉여가치 및 특별잉여가치 개념, 자본의 유기적 구성의 고도화에 관한 분석에 주목할 것이다. 그의 견해는 오늘날 기술의 발전이 노동자에 대한 통제 및 업무강도 강화, 고용불안 심화로 초래되는 문제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여전히 유효함을 확인받고 있다. 필자는 자본주도형 기술 개발의 한계를 성찰하는 것이 기술 그 자체의 본래적 이점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보며, 기술이 우리 생활에 ‘실질적인’ 풍요로움과 안락함을 가져오도록 하는 데 중요한 몇 가지 사항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핵심적인 것은 노동자를 착취하는 수단이 되지 않고 노동자의 이해관계와 대치되지 않는 기술의 사용가능성일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필자는 기술의 자본주의적 사용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의 극단적인 추구와는 다른 방향성을 나타내는 독일의 Industrie 4.0의 전개과정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혐오와 지배

        신은화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Disgust is caused by human being incompleteness and also its denial.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disgust is concerned with the understanding of humans. Thinking critically about disgust, we can solve the problems of disgust and reflect on our limitations. I will refer to Nussbaum’s view which finds out in “projective disgust” an antipathy to human fault and a wish for completeness. This article is interested in the fact that disgust is not only a rejective feeling of a person but also a collective emotion which is connected with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and power exercise. Specificall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oint that disgust is mobilized to maintain a domina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This is associated with the inner characteristics of disgust because disgust in itself contains a one-sided perspective, exclusiveness, hierarchy, and domination. This article aims to reveal a collusion between disgust and domination. For the purpose we will pay attention to two basic inclinations which are immanent in disgust; purity and exclusion, while relying on Nussbaum’s view of disgust. In accordance with this analysis, this article will specificity treat disgust which can be summarized as an ideological function of emotion and its violent tendency. Then, we can ensure that disgust threats the equal and dignitary worth of human beings and hinders the diversity and rationality of a liberal society. In addition, it will be emphasized that disgust should not be used as an ideology which discriminates and suppresses a specific group in a society. 혐오는 인간의 불완전함으로 인해 발생하며 동시에 그런 불완전함을 부정하려는 마음이다. 그래서 혐오에 대한 이해는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와 맞닿아 있다. 우리는 혐오 감정을 비판적으로 바라봄으로써 그 감정으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 우리 자신의 한계성을 성찰해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필자는 “투사적 혐오”에서 인간적 결함의 거부 및 완벽성에 대한 욕구를 읽어낸 누스바움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참고하고 있다. 이 글의 주된 관심은 혐오가 개인적 차원의 거부감에 그치지 않고 인간들 간의 대립 관계 및 권력 행사에 긴밀히 연관되는 집단적 감정이라는 점에 맞춰져 있다. 특히 이 글은 혐오가 인간들 간의 지배-피지배 관계를 확립・유지시키는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점을 주목한다. 이러한 현상은 혐오의 내적 속성과 무관하지 않다. 즉 혐오 감정은 이미 그 자체 내에 일방성, 배타성, 위계화, 지배 논리 등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핵심적으로 혐오와 지배의 유착관계를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누스바움의 혐오 분석에 근거하여 혐오의 일반적 속성 및 순수와 배제의 논리에 주목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혐오의 이데올로기적 기능 및 폭력성을 중심으로 그것의 지배적 속성을 논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글은 혐오가 인간의 평등하고 존엄한 가치, 자유주의 사회의 다양성과 합리성에 유해한 감정임을 확인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이 글의 혐오 비판이 인간적 불완전함에 대한 겸허한 인정과 성찰로 이어질 때 진정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물론 이것은 인간적 한계를 이유로 혐오의 문제점을 무력하게 수용한다는 의미의 인정이 아니며, 더 나은 가치와 인간다움을 향한 부단한 노력을 전제하는 성찰을 가리킨다.

      • KCI등재

        야마다 에이미(山田詠美)의 「바다 쪽 아이(海の方の子)」 고찰 ― 소외와 자아성찰을 중심으로 ―

        신은화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6

        본고에서는 야마다 에이미의 학원물인 『만년의 어린이』에 수록된 1989년 작품「바다 쪽 아이」의 작품을 통해본 소외의 공포와 타자를 통한 자아성찰을 중심으로 작품을 고찰해 보았다.「바다 쪽 아이」의 작품은 현재의 내가 유년시절의 체험을 회상하며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서 미성숙한 주인공이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정신적 충격과 갈등, 그로인해 세상을 보는 시각이 변해가는 인격형성을 그린 성장소설이다. 이 작품은 9살 소녀를 통해 인간의 배척심리와 그 배척을 극복해 가는 과정의 아이들의 소외, 학교현장에서 일어나는 심각한 이지메문제와 생활고의 문제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바다 쪽 아이」의 작품은 잦은 전학으로 인해 이지메를 겪은 구미코의 자기방어적인 행동과 장애와 빈곤한 환경에 처해져 있는 데츠오를 중심으로, 1980년대 당시 다양한 사회 현상들 중 큰 이슈가 되었던 문제점들을 심도 있게 묘사하고 있다. 즉 「바다 쪽 아이」의 작품은 이지메 문제와 빈곤한 아이들에 대한 시선과 교육이, 단순히 학교 내에서 해결해야 될 문제가 아닌 일본 사회 전반의 성숙한 의식에 그 해결책이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따라서 작품 내에 등장하는 두 명의 아이들의 내면세계와 이들 간의 이야기는 단순히 그러한 문제를 안고 있는 아이들만의 문제가 아닌, 나이와 성별, 빈부격차 등의 차이를 초월한 일본사회 전반의 성숙된 의식을 일깨우려 하였던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Amy Yamada’s「바다 쪽 아이 Child on sea side(海の方の子 Umi-no-hou-no-ko)」written in 1989 and published in『만년의 어린이 Forever child(晩年の子供 Bannen-no-kodomo)』containing stories about school life, with the focus on fear of alienation and self-examination through other people. The work of「바다 쪽 아이 Child on sea side」is about a teenager growing up and describes personality building process. The presently adult main character recalls her youth experiences where the then immature teenager grew up to be an adult through her relationships with others amid emotional shocks, conflicts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her view of the world. The work presents a 9-year-old girl and keeps a keen eye on human’s mentality of ostracism and alienation of children trying to overcome such exclusion, along with the serious problems of ostracism in school and hardships of life. In the work, Kumiko has been ostracized by her peers as she had to change schools often, so she shows self-defensive behavior; and Tetsuo is living in a poor condition. With these two main characters, the work describes in depth some of the diverse social problems in the 1980s, which received public attention. That is, the work emphasized that the problem of ostracism, people’s recognition and education for children living in poverty are not solely the ones that have to be resolved within schools; but the Japanese society as a whole should develop a mature awareness on them to find a solution. In this sense, the inner problems of the two main characters of the work and their stories are not simply the problem of children having a similar problem. Those are efforts to awaken a mature awareness in the whole Japanese society beyond age, gender, rich-poor gap, etc.

      • KCI등재

        '노동의 영성'에 관한 시몬 베유의 통찰

        신은화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3 인간연구 Vol.- No.50

        The main task of this thesis was to examine Simone Weil’s view on the spirituality of labor. To this end, the spiritual meaning of labor in Weil’s thoughts was examined according to four main points: the expansion of world understanding through labor, the faithful acceptance of suffering from labor, the pursuit of true dignity, and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e that respects labor. First, Weil explained that labor is inseparably related to cognitive and thinking activities, and that it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Second, Weil also noted that the pain of labor deeply imprints the providence and beauty of all things in the human mind. Third, according to Weil, a unified understanding of labor and thinking and encouraging the spiritual activity of working people are ways to truly respect their dignity. Fourth, Weil proposed “a culture of labor” based on the spirituality of labor to overcome the misfortunes caused by capitalism, imperialism, fascism, and Nazi aggression. In summary, Weil revealed the spiritual meaning of labor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thought, as well as the mental characteristics inherent in labor. In particular, Weil’s interpretation of the spiritual value of labor in relation to the Christian faith is a very special and original philosophical attempt at a definition of labor. We can draw a picture of a new society based on labor by referring to Weil’s view of the spirituality of labor. Faced with the reality where problems such as the disgust of labor, discrimination, and contempt for workers are intensifying, Weil’s view of the spirituality of labor is realistic and useful advice that modern society should actively consider. 이 논문은 시몬 베유의 ‘노동의 영성’에 관한 견해를 살펴보는 것을 주된 과제로 삼는다. 이를 위해 논자는 베유에게 있어서 노동의 영성적 의미를 크게 네 가지 주안점, 즉 노동을 통한 세계 이해의 확장, 고통의 신앙적 수용, 진정한 존엄성의 추구, 노동을 존중하는 문화의 확립을 중심으로 검토할 것이다. 먼저, 베유는 노동이 인식 및 사유 활동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세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킨다고 본다. 또한 베유는 노동의 고통이 만물의 섭리와 아름다움을 인간의 내면에 깊이 각인시킴을 주목한다. 그리고 베유에 따르면, 노동과 사유 활동을 통일적으로 이해하고 노동하는 사람들의 정신적 활동을 장려하는 것이 그들의 존엄성을 진정으로 존중하는 길이다. 이와 더불어 베유는 자본주의로 인한 폐해, 제국주의 및 파시즘의 준동, 나치의 침략 전쟁 등으로 인한 불행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노동의 영성’에 토대를 둔 ‘노동자 문화’를 제안한다. 요약하자면, 베유는 노동에 내재하는 정신적 특성, 노동과 사유의 불가분적 관계를 주목함으로써 노동의 영성적 의미를 밝혀낸다. 특히 베유가 노동의 정신적 가치를 그리스도교 신앙과 연관시켜 해석해낸 것은 철학적으로 매우 특별하고 독창적인 시도라 할 수 있다. 우리는 노동과 사유의 결합, 노동의 영성에 관한 베유의 견해를 참고하면서, 노동을 근간으로 삼는 새로운 사회상을 그려볼 수 있다. 노동의 혐오, 노동자에 대한 차별과 멸시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할 때, 노동의 영성에 관한 베유의 사유는 현대 사회가 적극 고려할 만한 현실적이고 유익한 조언이 될 것이다.

      • KCI등재

        山田詠美の作品に現れる「教育観」考察 - 『ぼくは勉強ができない』を中心に -

        申銀花 한국일본학회 2016 日本學報 Vol.108 No.-

        야마다 에이미의 학교를 무대로 한 『나는 공부를 못해』의 작품에는 이지메나 차별문제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사회규범으로서 생각되어진 일반상식이 사실은 낡은 고정관념인 것을 주인공을 통해 부각시키고 있다. 이것은 시대의 변화에도 변하지 않는 그런 이질성을 배제하고 있는 교육제도와 가족제도에 대한 야마다 에이미의 저항이 매우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 필자는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교육관이 어떠한 특징과 의미를 가지는지 고찰했다. 특히 2003년 봄에 고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될 예정의 이 작품이 갑자기 다른 작품으로 교체 되어버린 경위와 이 작품의 교과서로서의 타당성 여부에 관해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야마다 에이미의 문학의 실체를 짚어보았다. The novel, I'm bad at studying (Bokuwa benkyoga dekinai), which is set in the YAMADA EIMI school, emphasizes that not only problems caused by bullying or discrimination, but also general common sense, all of which were considered as social norms until now are, in fact, old stereotypes, through the main character. This clearly shows YAMADA EIMI's resistance against the educational and family systems, excluding the unchangeable differences among generations.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education, shown in the author’s work. Especially, I considered the true nature of YAMADA EIMI's work by examining a case of work replacement that was supposed to be included in the high school textbook in the 2003 spring edition, and the validity of this work as part of the textbook.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전문대학교의 융복합형 관광학과 연구

        신은화 융복합지식학회 2019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7 No.4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commercial service of the 5G mobile communication, which will stimulate the convergence & integration between technologies and industries, start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since midnight on December 1, 2018. And Smart phone makers launched products for 5G mobile service in April 2019. We have first investigat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has come a step closer to our life, and the 'Mega Trend Analysis for the Future of the Tourism Industry' report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in 2018. We have also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tourism related departments based on the recruitment guidelines of 2018 academic year, which is published in the Korea Information Technology Promotion Agency's public data portal, and selected departments which are judged to be hybrid with "tourism" and other industries. Then, we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s that are available on the homepage of each university depart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verged & integrated tourism department that will nurture professional tourism talents requir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at will revitalize domestic tourism industry. 4차 산업혁명시대에 기술과 산업의 융복합화를 촉발시켜 나갈 대용량ㆍ초고속의 5세대 이동통신의 상용 서비스가 2018년 12월 1일자정부터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시작되었다. 이어서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제품을 2019년 4월에 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 걸음 더 우리 겉으로 다가 온 4차 산업혁명과 2018년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관광산업의 더 나은미래를 만들기 위한 메가트렌드 분석’ 보고서를 살펴보고, 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 공개된 2018학년도전문대학교 모집요강을 바탕으로 관광 관련 학과 현황을 조사하고 “관광”과 다른 산업분야의 융복합형으로 판단되는 학과를 선별해서 각 대학교 학과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는 교과내용을 분석하여 국내 관광산업을 활성화 시킬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전문관광 인재를 육성해 나갈 융복합형 관광학과의 모습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수치심과 인간다움의 이해 - 누스바움과 맹자의 수치심 개념을 중심으로

        신은화 ( Shin Eun-hwa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8

        수치심은 우리 자신의 부족함에 대한 슬픔의 감정이기도 하지만, 그 부족함을 반성하고 고치도록 우리 자신을 이끄는 감정일 수도 있다. 본 논문은 수치심의 이러한 양가성을 흥미롭게 보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맹자와 누스바움의 수치심 개념을 적극 참조하고자 한다. 누스바움에 따르면, 수치심은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정상과 비정상의 이분법에 따라 사회의 특정한 사람들을 낙인찍는 데 활용되는 감정이다. 따라서 수치심은 매우 비합리적이고 신뢰하기 어려운 감정이라 볼 수 있다. 또한 누스바움에 따르면, 인간이 수치심을 느낀다는 것은 곧 자신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신처럼 완전해지기를 바라는 욕구를 반영하고 있다. 이와 달리 맹자는 수치심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밖에 없는 심성으로서 타인의 고통을 차마 지켜보기 힘들어하는 감정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인간은 수치심을 통해 자기 자신을 성찰하고 인간의 도리를 성실하게 지키고자 노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치심은 인간성을 반영하는 감정이자 동시에 인간다움을 성장시키는 데 중요한 추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감정이다. 누스바움과 맹자가 수치심에 대해 매우 다른 의견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누스바움이 지적한 ‘생산적인 수치심’은 맹자의 수치심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그 점에서 양쪽의 소통가능성이 발견될 수 있다. 누스바움은 생산적인 수치심이 긍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기 위해 도덕적인 가치를 지향함으로써 나르시시즘적 경향성을 차단하고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해 겸허하게 인정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필자는 맹자의 수치심 개념이 누스바움의 이러한 전제와 결코 충동하지 않으며, 바로 그점에서 두 철학자의 견해가 양립할 수 있는 공통지대가 발견된다고 본다. 우리는 먼저 누스바움과 맹자의 수치심 개념을 살펴본 후 양자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볼 것이다. 그런 후에 두 철학자가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점을 살펴보면서 그들 견해의 접목가능성을 논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수치심을 이해하는 것이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인간다움을 향한 우리의 내적 성장을 위해서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것이다. Shame is an emotion of sorrow for our own shortcomings, but it may be also an emotion that awakens ourselves to reflect on our mistakes. This article considers the contradictory aspects of shame to be an interesting theme and refers to Nussbaum’s and Mencius’ concept of shame. According to Nussbaum, shame is an emotion that is used to brand a certain group of people in a society to overcome anxiety about human imperfection. This kind of stigma is based on a dichotomy that arbitrarily determines normal and abnormal. Therefore, Nussbaum thinks that shame is very irrational and difficult to trust. She explains that shame reflects a human desire to become perfect like God without accepting imperfectness. Mencius, on the other hand, regards shame as an emotion that is one of four clues to four virtues. According to Mencius’s concept, shame is helpful for us to reflect on ourselves and to develop personality in harmony with human natur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in Mencius that sham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in the growth of humanity. Although Nussbaum and Mencius have very different opinions about shame, this article considers that Nussbaum’s concept of ‘productive shame’ is not much different from Mencius’s concept of shame, and at this point there may be found a compatibility between them. Nussbaum emphasizes a necessity for overcoming narcissistic tendencies by orienting moral values and an attitude of humbly acknowledging human imperfection so that productive shame could be positively realized. We may agree that Mencius’s concept of shame is not in an opposition to these conditions of Nussbaum, and this may be regarded as a common point of two different views. In this article, we will deal with Nussbaum’s and Mencius’ concept of shame, and subsequently compare them and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n, we will discus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their views by analyzing what the two philosophers have in common. In conclusion, we may see that the understanding of shame can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be helpful for our inner growth toward hum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