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기관인증브랜드가 의료기관 브랜드의 신뢰도,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제의료기관인증브랜드를 중심으로

        신은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치료에 목적을 두던 과거와 달리, 보다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어 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의료기관들은 의료서비스의 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정보의 비대칭성’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소비자에게 ‘환자 중심의 표준화된 서비스’ 제공을 약속하는 의료기관인증브랜드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객관적 정보로 의료 서비스 수준을 확인하며, 균일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신뢰감을 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하여 의료기관인증브랜드가 의료기관브랜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JCI 인증을 받은 의료기관 이용자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JCI를 받은 의료기관의 지각된 품질, 지각된 위험감소, 지각된 서비스품질은 의료기관브랜드의 신뢰도, 태도 및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제의료기관인증브랜드의 인지도와 공신력이 높을수록 그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의료기관은 의료기관인증브랜드를 획득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지각할 수 있도록 전략적인 마케팅 계획 수립 및 활동 등으로 각각 기관의 신뢰도와 태도를 신장시켜 구매의도까지 높이기 위해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경영을 실천해야 한다. 또한, 더 나아가 교육과 홍보 등을 통해서 해당 인증브랜드의 인지도와 공신력을 높일 수 있도록 관리한다면,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의 요구를 만족시킬만한 성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current trend of medical customers desires to have an access to a higher quality medical care in contrast to the past where it simply focused on treatment processe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market demand, the medical institutions endeavor to minimiz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he medical consumes and providers with heightened interest in certified medical institution brands.The certified medical institution brands validate medical service quality through objective information, and promises consistent and credible ‘patient-centered standardized servic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effects in the theory that certified medical institution brands will affect on other medical institutions bran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01 patients from JCI certified institutions. The research found that perceived quality, risk reduction, and service quality of JCI certified institu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trust,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a medical institution brand. Also, it showed that the affect increased in proportion to heightened brand awareness and public confidence of certified national medical institution brands. Followed by these researches, medical institutions shall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hat may be perceived by customers rather than simply acquiring a certified medical institution brand. With increased brand recognition and public confidence through education and publicity, both demands of consumers and providers may be successfully achieved.

      •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교육 효과 평가 : 어린이 단체급식시설의 어린이, 학부모, 조리종사자 대상

        신은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린이 단체급식시설의 어린이·학부모·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환경호르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환경호르몬 저감화를 위한 대상자별 맞춤형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어린이 단체급식시설의 어린이·학부모·조리종사자에게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환경호르몬에 인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경호르몬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교육 전 후에 설문지를 통하여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국 6개 특, 광역시(서울, 인천, 대전, 광주, 대구, 부산)에 다니는 어린이, 학부모,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였으며, 교육 전 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이며 교육 전과 후의 응답한 설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의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지식변화에서 교육 전 보다 후에 정답 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동변화에서는 유의적이지는 않았으나 정답 율이 증가되고 오답 율이 감소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어린이의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지식의 변화를 평가함에 있어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행동의 변화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변화에서 인식·지식·행동의 세 가지 항목 모두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인식 및 행동변화의 평균점수가 높아지고, 지식변화의 정답 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직업 유무에 따라서 직업이 있는 학부모가 환경호르몬의 인식변화에 있어 더 높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동변화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직업이 없는 학부모가 더 높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교육(강의) 평가에서는 학부모의 대부분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리종사자의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변화에서도 인식·지식·행동의 세 가지 항목 모두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인식 및 행동변화의 평균점수가 높아지고, 지식변화의 정답 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리종사자의 지역 간의 인식변화 차이에서 교육 전에는 지역 간의 차이를 나타냈지만 교육 후에는 지역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보여주어 환경호르몬 교육이 조리종사자의 지역 간의 인식변화의 차이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무경력이 10년 이상인 조리종사자들이 본인이 인지하는 식품위생 인식 및 지식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실제 인식 및 지식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종사자의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교육(강의) 평가에서도 조리종사자 대부분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교육 전 후 학부모와 조리종사자 집단 간의 인식 및 행동변화의 차이에서 교육 전에는 학부모와 조리종사자 집단 간의 차이를 나타냈지만 교육 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교육이 학부모와 조리종사자의 인식 및 행동변화의 차이를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받는 조리종사자가 학부모에 비해 인식 및 행동변화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부모와 조리종사자의 플라스틱 식기와 랩에 대한 교육 전 후 변화에서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정답 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육 후에도 오답의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학부모와 조리종사자의 플라스틱 식기와 랩에 대한 반복적인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 단체급식시설의 어린이·학부모·조리종사자의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인식·지식·행동변화를 긍정적으로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올바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교육이 확대되어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환경호르몬 인식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The story was aimed at evaluating changes of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by providing precise information with a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an education on children, parents and foodservice employees who have vague worries about Endocrine Disrupter in children foodservice facility with customized materials to understand their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to help them have a rightful point of view and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The study conduced an education for children, parents and foodservice employees in 6 large cities(Seoul, Incheon, Daejeon, Gwangju, Daegu, Busan) in Korea and a survey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It was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about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and the study compared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children's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Behavioral change was not significant but there was positive result tha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creased and that of wrong answers decreased. In evaluation of changes of knowledge about children's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the older the children were the more effective the education was. In evaluation of behavioral change, the younger they were the more effective the education was. Second, in parents'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in three sub categories,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the average score of changes of awareness and behavior increased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knowledge change increased. Depending on parents’ occupation, parents with occupation was more highly evaluated in awareness change of Endocrine Disrupter, and those without occupation was more highly evaluated in behavioral change. Moreover, in evaluation of education(lecture) about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most of the parents’ evaluation was positive. Third, in foodservice employees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in three sub categories,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the average score of changes of awareness and behavior increased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knowledge change increased. In difference of awareness depending on region, there was regional difference before the education but was no difference after the education proving the effect of Endocrine Disrupter education to reduce the awareness difference depending on region. foodservice employees who had more than 10 years of career recognized their awareness and knowledge of food hygiene was high, but in fact their actual awareness and knowledge was the lowest. In evaluation of the education(lecture) about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most of the cooks’ evaluation was positive. Forth, in difference of awareness and behavior of parents and foodservice employee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bout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there was a difference by group before the education but there was not after the education proving the effect of the education to reduce the group difference. Moreover, foodservice employees who received the education regularly earned more points for changes of awareness and behavior. Fifth, in changes of parents and cook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bout plastic dishes and wrap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but the percentage of wrong answers was still high even after the education which required repeated educations about plastic dishes and wraps for parents and foodservice employees. Therefore, the study expects to be used as foundation for a regular and continuous education about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to provide precise information about awareness of Endocrine Disrupter as well as improve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Endocrine Disrupter in children, parents and foodservice employees in children foodservice facility.

      •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충남·세종시 지역을 중심으로

        신은진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area of social welfare services expands and diversifies, social workers are suffering from job stress due to the process of performing tasks with clients with complex problems in the field and heavy tasks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leads to turnover intention or turnover, which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overall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ways to ultimately lower turnover intention by examining the level of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work institution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From August 7th to September 6th, 2021, 250 subjects were selected and distributed to workers in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general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senior welfare centers, and 204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16 copies with poor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e-way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ob stress of the survey subjects by sub-factors, the overall average of job stress was 2.95 points out of 5, in the order of 2.80 points for job demand, 3.17 points for job autonomy, 2.98 points for compensation inadequacy, 2.80 points for work culture, 2.76 points for relationship conflict. All were high except for relationship conflic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job stres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work institution characteristics, senior social workers (agent) had the highest level of job stress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icating that middle managers felt the most severe job stress in the organiz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job stres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 institutions, social workers working at institutions with 21 to less than 30 employees were the most stressed,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worker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job stres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institution, the difference by the final education, which is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final education was a university,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was higher than that of graduate school or higher. Finall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factors and influence of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only education was significant among demographic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sub-factors such as job insecurity, compensation inadequate, and workplace cul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job insecurity, inadequate compensation, and workplace culture,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deriv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was the on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showed higher age than the high expectations for new social workers, which leads to turnover intention disappointed by the lack of authority or control over jobs. As an alternative to thi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institution and the sense of accomplishment for work by expan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new social workers. Second, in this study,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job insecurity was found to be a factor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Various factors such as excessive work, low treatment, and pressure on expertise indicate anxiety about the job, which will require various efforts by institutions to provide an appropriate level of work intensity and compensation. Third, since this study was confirmed to have an inappropriate effect on compensation among the sub-areas of job stress, various psychological and economic compensation systems should be devised, such as preparing measures to improve the treatment of social workers. This is a difficult part to change into the capabilities of the individual head of the institution, and measures to improve laws and systems should be prepar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s soon as possible. Fourth, in this study,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workplace culture was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It also appears in cases where the supervisor receives unfair and authoritative work instructions or forces informal participation in dinners or drinking culture unrelated to the doctor. This situation can increase job stress and cause job turnover. Therefore, through desirable leadership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the boss to take the initiative first to create a vertical or unauthoritative workplace culture. 사회복지서비스의 영역이 확대되고 다양화되면서 사회복지사는 현장에서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와의 과업수행, 조직안에서의 과중한 업무 등으로 직무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이는 이직의도 또는 이직으로 이어져 사회복지조직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충남·세종시 지역사회이용시설인 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근무기관특성 그리고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2021년 8월 7일부터 9월 6일까지 세종·충남 사회복지 이용시설 중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종합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임의 표집 방법으로 대상자를 250명 선정하여 배포하였고 22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응답이 부실한 16부를 제외하고 204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고 연령은 40대가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자격증 유형은 1급이 절반이 넘게 많았다. 근무기간은 3년미만이 절반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직급(직위)는 과장(팀장)이상이 가장 많았고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를 하위요인별로 분석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전체평균은 5점만점에 2.95점으로 직무요구 2.80점, 직무자율성결여 3.17점, 보상부적절 2.98점, 조직체계 2.88점, 직장문화 2.80점, 직무불안정 2.76점, 관계갈등 2.42점 순으로 나타났다. 관계갈등을 제외하고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근무기관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근무와 관련된 요인으로 선임사회복지사(대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중간관리자가 조직안에서 가장 심한 직무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근무기관 특성에 관하여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근무기관 종사자수가 21명에서 30명미만의 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가 가장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종사자의 수가 많아지면 그만큼 직무스트레스를 받을 빈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근무기관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최종학력에 의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이 대학교인 경우의 이직의도 수준이 대학원이상의 경우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사회학적특성, 기관특성 중에서는 유일하게 학력만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직무불안정, 보상부적절, 직장문화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직무불안정과 보상부적절, 비합리적 집단주의 직장문화는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가 인구사회학적 특성중 유일하게 연령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신입사회복지사가 많이 분포된 저연령층은 직무에 대한 높은 기대감에 비해 수준에 맞지 않는 직무, 업무에 대한 권한이나 통제권 미흡으로 실망하여 이직의도로 연결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신입사회복지사에게 교육의 기회확대 등을 통한 기관에 대한 소속감과 일에 대한 성취감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에 직무불안정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과도한 업무와 이에 비해 낮은 처우, 전문성에 대한 압박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직무에 대한 불안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적정 수준의 업무강도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교육참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기관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들 중 보상부적절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사회복지사의 처우를 개선할 방안을 마련하고 조직 구성원들의 공정한 승진기회 확대, 사회적인 인정 등 다양한 심리적·경제적 보상체계가 강구되어야 한다. 이는 기관장 개인의 역량으로 변화시키기 어려운 부분으로 하루빨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주도하에 법과 제도의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에 권위적 직장문화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상사에게 부당하고 권위적인 업무지시를 받거나 의사와는 상관없는 회식자리나 술 문화등의 비공식적인 참여를 강요하는 경우로도 나타난다. 이런 상황은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이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리더십의 교육을 통해 직장상사가 먼저 솔선수범하여 수직적이거나 권위적이지 않은 직장문화를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 학교문법 부사 연구 : 접속부사와 부사형 어미 '-게'를 중심으로

        신은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학교문법에서 취급하고 있는 ‘그-’계 접속부사와 부사형 어미 ‘-게’의 범주 재설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접속부사의 품사 재설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접속부사는 수식의 기능을 주로 하는 부사 원래의 기능보다는 접속의 기능을 주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접속사라는 품사를 새로이 설정하여 접속부사를 접속사의 범주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품사 설정 기준인 형태, 기능, 의미면에서 살펴 볼 때, 접속부사는 부사의 하위 부류임에도 불구하고 부사와는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접속부사에 속하는 ‘-그’계 접속부사들은 접속사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3장에서는 접속사를 설정하고 난 후의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계 접속사는 대용언인 ‘그러하다, 그리하다’의 활용형과 형태가 같아서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대용언의 활용형이 언중들의 사용빈도에 따라 ‘그-’계 접속사로 고착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래서 ‘그-’계 접속사와 용언의 활용형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여 여러 예문을 통하여 접속사로 사용되는 경우와 용언의 활용형으로의 고착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규명하였다. 4장에서는 부사형 어미 ‘-게’를 부사화 접미사로 취급해야 하는 다양한 근거를 살펴보았다. 부사형 어미 ‘-게’와 부사화 접미사 ‘-이, -히’의 활용빈도를 비교해볼 때, ‘-게’가 ‘-이, -히’ 이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시적으로 고찰해 볼 때, ‘-이’의 부사 생성의 역할이 ‘-게’로 옮겨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5장에서는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며 이 논문의 의의와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aims to reestablish the category 'g-' series conjunctive adverbs and adverbial endings '-ge' in school grammar. In chapter 2, I discussed the need to reestablish a part of speech for conjunctive adverbs. Conjunctive adverbs function as a connection rather than as modification which the adverb usually performs. Therefore we need to reestablish a part of speech regarding the conjunction, including the conjunctive adverbs among a category of conjunction. In spite of the conjunctive adverb as a subordinate adverb on phase of shapes, functions, meanings, conjunctive adverbs are discriminating with an adverb. Thus, it is appropriate to include 'g-' series conjunctive adverbs among a conjunction. In chapter 3, I discussed the matter after settling this issue of the conjunction. It's difficult to classify 'g-' series conjunction and pro-verb 'gruhada, grihada' because their shapes are same. This thesis estimated pro-verb has fixed 'g-' series conjunction inevitably by user. I suggest that there ought to be a standard to distinguish ‘g-' series conjunction and pro-verb conjugation. With this in mind, I investigated the processing of fixation regarding pro-verb conjugation and the case of conjunction change with several examples. In chapter 4, I studied the various frameworks of the adverbial ending '-ge' as adverbializing suffix. '-ge' is used more than '-i, -hi' on frequency, and how we might better deal with them. I conclude that the function of adverb creation move '-i' to '-ge' through diachronic research. In chapter 5, I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e thesis and its proofs, along with any future in-depth further research on this subject matter.

      • 서울시 아파트단지의 주거환경 유형별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신은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영역(안전성, 편리성, 쾌적성)별 세부평가지표를 이용하여 서울시 아파트 단지의 주거환경을 평가하고,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와 비교함으로써 주거환경에 따라 주거만족을 결정짓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거환경 평가결과를 토대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서울시 아파트 단지를 4개의 지역(편리성 불량지역, 편리성·안전성 양호지역, 편리성 우수지역, 쾌적성 우수지역)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지역유형별 주거만족도 조사를 통해 주거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평가와 주거만족도는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주거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주거환경평가 세부지표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지역유형별 주거만족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 전체는 모형의 설명력이 낮아(=0.265) 주거만족도와 주거환경요소간의 관련성을 찾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지역유형별로 살펴보면, 편리성 불량지역에서는 교육시설 근접성, 연령, 주택매매가격, 녹지율 등이, 편리성·안전성 양호지역에서는 지하철역 근접성, 월평균 소득, 경찰서(파출소) 근접성, 가로등 설치밀도, 공공시설 근접성 등이, 편리성 우수지역에서는 폭6m미만 도로율, 가로등 설치밀도, 주택매매가격, 의료기관 접근성, 수변 접근성 등이, 쾌적성 우수지역에서는 자가주택비율, 현 주택 거주기간, 자가용 통근비율, 혐오시설 근접성, 출퇴근 소요시간 등이 주거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주거환경에 따른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각각의 주거환경 구성요인들이 주거만족도에 대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거만족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이 지역 특성 및 거주자 특성에 따라 일부지역에서는 주거만족도에 부(-)의 영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공간의 위치와 위상에 따라 거주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요인이 달라졌으며, 거주민들은 해당 지역에서 부족하다고 느끼는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safety, convenience and amenity, and to find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residential environment of apartment complex in Seoul. For this purpose, apartment complex was clustered with 4-groups(Convenience deteriorated area, Amenities deteriorated area, Convenience good area, Amenities good area) based up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And it shows that physical environment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were not matched through the survey about residential satisfaction for each area type. The determinants as residential satisfaction by residential environment types were analyzed through the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is that the decision factors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re showed differently by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eco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doesn't have the fixed direction abou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It shows that the factors which is expected to have the positive influence can act as the negative influence in some area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Finally,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he position, the factors which the residents react sensitively were changed. And the residents react sensitively to the lacking factors at a site.

      • 연령구성과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가장놀이 유형 분석

        신은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social pretend play according to age composition, age and gender. A mixed-aged group of 40 children from an kindergarten in Daegu, was allocated. Those children were grouped by gender and age. Basically, boys were grouped with boys and girls with girls, an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age groups: five to five, six to six and five to six. The play scenes of hospital play and market play among social pretend plays were observed in the teachers' room and full-time class of the education center. To measure the types of social pretend play, I utilized the time sampling method which records them every fifteen seconds, based on Howes(1980)' Peer Pla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ith SPSS program. I conducted Repeated Measures ANOVA was as conducted within variable being the age composition and between variable being age and gender, to see if there was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s of social pretend play according to age composition, age and gender.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the types of social pretend play between age composition and age. Thir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s of social pretend pla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of age composition and gender. Fo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s of social pretend pla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of age and sex, the interaction of age composition and age and sex. The younger-aged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pretend play in the mixed-aged group than in the same-aged group. In addition, a higher level of social pretend play was shown in the older-aged children, and girls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pretend play than boy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me factors related to age composition, age and gender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composing a group in a youth education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구성과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가장놀이 유형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보육시설의 혼합연령구성 학급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아는 남아끼리 여아는 여아끼리 하여, 5세-5세, 6세-6세, 5세-6세로 쌍을 구성하였고 보육시설의 교사실 또는 종일반 교실에서 사회적 가장놀이 중 병원놀이와 시장놀이를 하는 장면을 관찰하였다. 사회적 가장놀이의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 Howes(1980)의 또래놀이척도(Peer Play Scale)를 기준으로 하여 유아들이 놀이하는 동안 15초에 한 번 기록하는 시간표집법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구성과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사회적 가장놀이 유형의 차이는 놀이의 유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령구성과 연령의 상호작용에 따른 사회적 가장놀이 유형의 차이에서도 놀이의 유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연령구성과 성별의 상호작용에 따른 사회적 가장놀이 유형의 차이에서도 놀이의 유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연령과 성별의 상호작용, 연령구성과 연령과 성별의 상호작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나이 어린 유아는 혼합연령구성 집단에서 단일연령구성 집단보다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가장놀이를 하였으며, 유아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또 남아보다 여아가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가장놀이를 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 집단을 구성할 때 연령구성과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요인들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 분노표출아동의 상담사례 : 종합적 분노조절프로그램의 적용

        신은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이 가진 감정 중 분노는 누구나 겪는 빈번한 감정적인 경험이고 보편적이다. 분노는 부정적인 감정이지만 제 기능을 한다. 분노는 개인이 역경에 처했을 때 신체적, 심리적 에너지를 활성화 시켜 우리의 욕구나 권리가 침해당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분노는 생존을 위해 필요한 중요한 기능을 하는데 위험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분노는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리고 분노는 관계적 행동을 조절하고 자기방어 및 통제와 관련 있는 내적 생리적, 심리적 과정을 조직화하고 조절해 주는 등 다양한 적응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분노의 표현 방식 중 공격적인 태도와 행동은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게까지 신체적, 심리적으로 손상을 가져온다. 이는 육체적인 손상뿐만 아니라 과도한 긴장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일상생활에서의 적응을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특히 초등학생 고학년의 경우 갈등을 흔히 경험하는 시기인데 분노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공격적인 행동을 보여 교사와 교우관계에서 문제를 일으켜 사회화 기능을 떨어뜨린다. 결국 학교생활의 부적응으로 인해 아동 개인의 정서적인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분노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다루어야 할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공격적인 분노 표현 방식으로 인해 교사와 또래관계에서 불편감을 갖고 있고 부적응적인 행동을 보이는 초등학교 4학년 남학생 L군을 대상으로 종합적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사례연구 하였다. L군은 화가 났을 때 화가 난 감정을 이성적으로 주체하지 못하고 욕설을 퍼붓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였으며 화가 났을 때 보이는 과격한 언어와 행동으로 인해 또래관계를 동등하게 만들지 못하고 사회적 관계에 있어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군에게 종합적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6회기로 구성하였다. 1~5회기는 분노의 개념을 이해하고 분노감정을 체험적으로 알아차리고 이로 인해 겪는 불편함을 자각하도록 구성하였고 6~10회기는 화가 나는 상황에서 행동을 멈추고 분노의 유발과정에서 분노의 원인을 파악하고 자동적 사고와 인지적 오류를 수정하는 방법을 익혀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11~13회기에서는 분노의 표현 방법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공격적 행동, 소극적 행동, 주장 행동의 개념을 이해하여 주장 행동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방법을 구체화하여 설명하였고, 14~16회기는 지금까지 익힌 방법적인 측면을 가정이나 학교에서 흔히 발생 가능한 화가 나는 상황을 모의 상황으로 설정하여 실제적으로 화가 나는 과정에서부터 화를 표현하는 과정을 파악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구성한 프로그램을 분노유발경험이 높고 공격적 행동을 하는 L군과 비슷한 성향을 가진 J군에게 분노표현검사지를 실시하여 분노폭발 점수가 높음을 확인하고 2명의 아동에게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고 부모의 동의를 받아 종합적 분노프로그램을 실시하게 되었다. 특히 교우관계와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고 공격적 행동이 두드러지고 프로그램 참여를 적극 희망한 L군을 연구의 대상으로 정하고 같은 반 또래인 J군을 보조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종합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매회 40분간 주 2회씩 8주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전후와 종료 6주 후에 분노표현검사와 한국인성평정척도 및 교우관계 질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분노유발상황에서의 분노유발경험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시켰고 그 효과는 6주 후까지 지속되었다. 둘째, 종합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분노조절 능력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고 그 효과는 6주 후까지 지속되었다. 셋째, 종합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교우관계에서의 어려움이 감소시키고 정서적 기능의 향상을 가져왔다. 또한 종합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에서 아동은 교우관계와 가족관계에서 스트레스 상황이 줄었다고 하며 자신의 변화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집단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집단이 아닌 한 명을 관찰대상으로 하여 적용한 질적 연구이며 둘째, 집단에서 관찰하기 힘들었던 프로그램 적용대상의 화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접근이라는 점이며 셋째, 일선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지침서와 아동들이 사용할 수 있는 워크북을 활용하여 소수의 대상자에게도 적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용서의 병렬매개효과

        신은진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용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불안정 애착, 정서지능, 용서,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위계적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랩(bootstrap)을 통해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용서의 병렬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불안정 애착과 정서지능, 용서,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계수를 살펴본 결과 측정변수 간 상관이 모두 유의미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용서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은 불안정 애착과 정서지능, 용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용서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드러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정서지능과 용서에 초점을 맞춘 상담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제안하고 본 연구의 의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