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합창교육을 통한 초등학교 아동의 음악성 발달 연구

        신은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Chorus is one of the most conventional performing activities in the field of musical art. Chorus itself gives satisfaction and pleasure through choral rhythm. Human beings can dissolve their tensions and complication which lie in the minds of them contribute to mental health through chorus.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s to develop children’s basic capabilities to express their own feelings or emotion in free way, by learning how to comprehend the fundamental components of music, how to sing a song, how to play the musical instruments, how to create music or how to appreciate. The purpose of chorus education is equal to music purpose. For sing a song express child’s feelings or emotion in free way. It’s ultimate goal lies in helping children to attain self-realization through chorus education. Chorus education aim not merely extending learner’s creative power of expression and development of musical talent through varied music activities experience but also forming an aesthetic and desired sense of value on chor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estify whether the continuous chorus education, which have an effect on development of musical talent. As a basic material which proves the effect of the chorus activities on development of musical talent, this study is to be the foundation that suggests the way to vitalize and importance chorus education. The study targeted the 25 choir members, the 3th, 4th,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120 general students, who belonged to two elementary schools in jeon-ju and jeong-up, total targeted members is 145. For the musical talent test used Korea Music Aptitude Test by Kyung-sil Hyun. Questionnaire for surveying their musical experiences used. Collected data were computerized by using statistics SPSS. T-statistics is used to compare the means of two group’s musical talen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get data of their musical interests, family environments, and musical experiences. Moreover one way ANOVA and bivariat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obtained. The following KMAT result were obtained. Fist, among all the students, the chorus group scored more highly in the rhythm, melody, and the total score than general student group did, By the significant probability test, all of the tests were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score of rhythm .000, melody.000, and the total .000, which are respectively greater than .05. Secondly, population by grades score, the musical talent score of the male students was highly in the rhythm, melody, and the total score than general student group did, all of the tests were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are respectively greater than .05. Thirdly, population by grades score, except 5th’s melody the musical talent score of the female students was highly in the rhythm, melody, and the total score than general student group did. But all of the tests were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are respectively greater than .05. Questionnaire for surveying result were obtained. First, those who have learned the continuous chorus education is more talented than those who have not. Secondly, those who have learned the continuous chorus education before the grade 3th is more talented than those who have not. Thirdly, there is statisticall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interest and the musical talent. Fourthly, there is statisticall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environment and the musical talent. Fifthly, there is statisticall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experience beside the music lesson in a school and the musical talent. As a conclusion, the study exhibits that continuous chorus education ha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musical talent. also the earlier one learns music, the more one becomes talented for music. The writer hope that more children have the opportunities to learned chorus education. because chorus is very easy and funny. therefore learning time is very important. parent and teacher must be development that musical talent for child. Variety sing to their child, the encouragement during children’s music activity, and music lessen has more affection should make the harmonic musical environment which the child can have variety musical experience. 합창교육은 감상을 통해 얻어지는 소극적인 음악경험이 아닌 신체적으로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함으로 음악적 경험과 음악성 발달에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합창교육이 음악성 발달에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연구해 보았다. 일반학생과 합창단원의 음악성 차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합창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학생간의 음악성과 개인의 음악에 대한 흥미, 가정환경, 개인의 음악적 경험과 음악성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창 교육을 받은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음악성이 높았다. 이 연구는 꾸준히 합창교육을 받은 합창단원과 그렇지 않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음악적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합창단원과 일반학생 간 리듬, 가락, 총 점수에서 차이가 났고 학년 별, 성별에서도 차이가 났다. 대상의 제한점은 있으나 합창교육을 통한 음악성 발달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둘째, 합창 교육을 일찍 시작 할수록 음악성 발달에 차이가 있다. 음악적성 검사와 활동시기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시기와 연관이 있다.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개인차가 있듯이 음악교육 특히 합창교육의 시기와 음악성 발달에는 차이가 있는데, 3학년 전에 시작한 아동이 3학년 후에 시작한 아이들 보다 음악적성 점수가 높았다. 이는 고든의 발달적 적성 이론에 따라 2.3학년까지 음악적성이 발달하다가 만9세 이후 점수가 고착화된다는 이론에 부합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개인의 음악에 대한 흥미는 음악성에 영향을 미친다. 음악교육의 시작은 부모나 교사일 수도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아이들의 흥미와 연관이 있다. 아이들에게 ‘음악을 어떻게 시작 했는가’라는 질문에서 본인의 의지에 의해서 시작한 아이들은 흔들림 없이 음악교육을 지속한 반면 부모에 의해서라도 답한 합창단원 4명은 이른 학년에 음악의 흥미를 잃었다. 흥미가 있는 아이들은 음악에 대한 호응도나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였다. 넷째, 개인의 음악에 대한 흥미, 가정환경, 개인의 음악적 경험은 상호간에 밀접한 상관을 갖는다. 아동이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부모님의 즐거워하는 아동은 학교의 음악시간이 기다려지고 노래하거나 춤을 추는 것을 좋아하며 연주회에 연1회는 가족과 친구와 함께 간다고 한다. 음악을 단순이 듣는 것 보다는 직접체험하게 해주는 것이 아이들에게는 직접적인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동의 음악성 발달은 유전적인 요인 외에 부모님의 학력, 가정의 수입, 악기구비나 음반구비, 선호하는 음악기기 등과 같은 물리적인 환경보다는 아동에게 부모의 사랑이 담긴 다양한 음악을 자연스럽게 경험하도록 하고, 아동이 음악활동을 할 때 아낌없이 격려를 해주며, 음악교육을 받도록 하는 등과 같은 사회적 환경이 더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경제가 나빠지고 사회적 환경이 악화될수록 쉽게 포기하는 것이 예체능 과목이라고 한다. 그러나 요즘은 돈을 들이지 않고도 음악을 접하고 다양하게 체험 할 수 있다. 조금만 여유를 가지고 주변을 돌아본다면 학교 합창단, 성가대등 아이들의 자아를 맘껏 표현할 장을 만나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가드너가 말하듯 음악적 지능은 모든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나지만, 성장하면서 어떠한 음악적 경험을 하고 훈련을 받았는지에 따라 다르게 발달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들의 음악성 발달의 시기를 결정할 수 있고 좋은 교사를 발견해 줄 수 있으며 아이들의 흥미를 잃어버리지 않게 격려를 끊임없이 줄 수 있는 중요한 나침반이다. 현재 교육은 평생교육이다. 누구나 쉽게 접하고 자신을 표현하고 자아실현을 통한 자신감을 쌓을 수 있는 합창교육을 통한 음악성 발달은 아동시기 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었을 때도 쉽게 또래 집단과의 사회성을 기르는데 꼭 필요한 음악적 활동이다.

      • p16^(ink4a) as an Adjunct Test for Cervical Neoplasia in Patients with Abnormal Liquid-Based Cytology(ThinPrep^(??)) : 비정상 액상세포진(ThinPrep^(??))을 보이는 환자에서 자궁경부 종양 진단의 보조적 검사로서 P16^(ink4a) 면역세포화학검사의 역할

        신은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High-risk HPV-DNA testing is considered as a very good adjunct test for the diagnosis of cervical neoplasia. But the HPV-DNA testing is expensive and not easily available in test in all clinical place,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Thus we investigated the role of p16^(ink4a) immunostaining as another adjunct test for diagnosis of cervical neoplasia in patients with abnormal liquid-based cytology. A total of 87 cases(Normal: 3 cases, ASCUS: 24 cases, LSIL: 30 cases, HSIL: 30 cases) were entered into this study. We performed p16^(ink4a) immunostaining on ThinPrep^(??) slides and also in the cervical tissue biopsies of the same patients. Then we compared the results of p16^(ink4a) immunostaining of ThinPrep^(??) slides with those of the cervical tissue biopsies. In addition, high-risk HPV-DNA was detected using Hybrid Capture Assay System II. The p16^(ink4a) protein was expressed positively on ThinPrep^(??) slides in 0.0%, 66.7%, 70.0%, and 96.7% of normal, ASCUS, LSIL and HSIL group, respectively. And the p16^(ink4a) protein was expressed in cervical tissue biopsies in 0.0%, 37.2%, 75.0%, 97.1%, and 100% of normal, CIN I, CIN II, CIN III and squamous cell carcinoma group, respectively. Immunoreactivity of p16^(ink4a)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grades of cervical neoplasia.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he immunoreactivity of p16^(ink4a) and diagnosis was higher in high grade lesions(HSIL in ThinPrep^(??) and CIN II/III/SCC in tissue biopsy) than in low grade lesions(ASCUS/LSIL in ThinPrep^(??) and squamous metaplasia/CIN I in biopsy).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diagnostic accuracy of HPV-DNA test and p16^(ink4a) immunostaining for cervical neoplasia in low grade lesion.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PPV) of p16^(ink4a) for diagnosis of high grade lesion was 62.1% (23/37).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p16^(ink4a) was 60.5%, 12.5% and 11.8%, respectively. The PPV of HC2 for a diagnosis of high grade lesion was 71.8% (28/39),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HC2 was 73.7%, 31.3% and 33.3%, respectively. By the McNemar's test, no difference in diagnostic accuracy between p16^(ink4a) immunostaining test and HC2 testing was note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p16^(ink4a) immunostaining might be used as an adjunct test to liquid-based cytology like as HPV-DNA test for the diagnosis of cervical neoplasia, because it shows similar diagnostic accuracy as compared with HPV-DNA test using HC2 assay. 목적: 비정상 ThinPrep^(??)을 보이는 환자에서 고위험 HPV DNA을 검출하고, ThinPrep^(??)에서 p16^(ink4a) 단백 발현 양상을 확인한 후, 이들과 자궁경부 조직진단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p16^(ink4a) 단백 발현 검사가 HPV DNA 검사처럼 자궁경부종양의 진단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는 보조적 검사로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84명의 환자에서 시행한 ThinPrep^(??)(정상: 3 cases, ASCUS: 24 cases, LSIL: 30 cases, HSIL: 30 cases) 슬라이드와 같은 환자의 자궁경부 종양조직 슬라이드에서 각각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여 p16^(ink4a) 단백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hybrid capture II system을 이용하여 고위험 HPV DNA를 검출하였다. 진단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는 Kruskal-Wallis 검정법을 이용하였으며 저등급병변(ASCUS/LSIL)에서의 p16^(ink4a) 면역 화학 검사와 hybrid capture II system사이의 진단의 정확도의 비교는 McNemar's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ThinPrep^(??) 슬라이드에서 p16^(ink4a) 단백 발현 결과는 정상:0.0% ASCUS: 66.7%, LSIL:70.0%, HSIL:96.7%의 발현 빈도를 보였다. 한편 각각의 자궁경부 종양조직 슬라이드에서 p16^(ink4a) 단백 발현 결과는 정상(상피화생): 0.0%, CIN I:37.2%, CIN II:75.0%, CIN III:97.1%, SCC:100%를 보였다. 따라서 ThinPrep^(??) 및 조직 진단의 등급(grade)이 높을수록 p16^(ink4a) 단백 발현 빈도 및 발현 강도는 증가함을 보여 p16^(ink4a) 단백 발현과 자궁경부 종양의 grade 사이에는 높은 일치도를 보여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ThinPrep^(??)에서 저등급 병변을 보인 환자중 조직생검에서 고등급 병변(CIN II/II/SCC)을 진단하기 위해 p16^(ink4a) 단백 면역 화학 검사를 추가한 경우와 HPV 검사를 추가한 경우의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바, 각각의 자궁경부 조직의 진단 정확도는 민감도: 87.5% vs 68.8%, 특이도: 39.5% vs 26.3%, 양성 예측도: 37.8% vs 28.8%, 음성 예측도: 88.2% vs 66.7%를 보였으며, HPV 검사와 p16^(ink4a) 단백 면역 화학 검사사이의 진단의 정확도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비정상 ThinPrep^(??)을 보이는 환자에서 p16^(ink4a) 단백 면역 화학 검사는 HPV 검사와 비교할 때, 진단의 정확도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비정상세포진을 보이는 환자 군에서 HPV 검사를 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p16^(ink4a) 단백 면역 화학 검사가 자궁경부종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유용한 보조적 검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기업내 무형식학습의 구성요소, 결과, 학습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신은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bout the relations among informal learning, the result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transfer, and investigate the model positively.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researcher defined and consisted main variables and hypothesized the structural relations. For example, informal learning consisted with 4 sub-variables(exploring learning opportunities, utilizing out-resources, learning with others and reflection), and the results of informal learning consisted with 3 sub-variables(declarative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social relations and supports). And 3 main variables(informal learning, the result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transfer) had some different roles in SEM. Informal learning was a independent variable which influenced on the result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transfer directly and indirectly. The results had a mediated roles. In other words, informal learning made some effects on motivation for learning transfer through the results. To investigate these structural relations, researcher us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For collecting quantitative data, survey was implemented targeting 400 employees in Korean companies and 371 final data excluding 20 insincere and missing value on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for qualitative data, 6 employees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 Testing SEM,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SEM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2.0 English Version and AMOS 18.0 English version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And in the case of qualitative data, content analysis, categorizing, and visualizing were conducted according to 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taining relations among informal learning, the result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transfer was validated. According to SEM analysis, fit indexes were all satisfied the standards of them and the path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And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also support the informal learning and it impacts in real situations in companies. Second, 3 sub-variables of informal learning(exploring learning opportunities, utilizing out-resources and reflection) had some positive impacts on procedural knowledge, social relations and supports, and motivation of learning transfer. But learning with others was not. Third, position in company and meta cognition performed the role of moderator which moderating the relations among informal learning, the result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transfer. Especially, higher meta cognition and position in company, more significant path coefficients. Forth,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showed that the elements of informal learning(exploring learning opportunities, utilizing out-resources, learning with others, and reflection) existed in real situations of companies and supplied lots of cases.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ings: First, 4 sub-variables of informal learning(exploring learning opportunities, utilizing out-resources, learning with others and reflection) could be utilized a framework to understanding how to happen and how to measure informal learning. Second, in order to enforce motivation for learning transfer or learning transfer itself, supports and systems for acquisition of knowledge through informal learning need to be designed and implemented. Third, to link informal learning to performance on the job, strategies and polices for activating social relations and supports were necessary. Informal learning was a new and cultivating area in HRD. But a lot of learning happened informally and employees used this learning for acquisition and sharing knowledge, and transferring these knowledge to their job. Therefore, researchers need to focused on informal learning and it's impacts o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 this point, it was expected that this study might be a cornerstone of following studies.

      • 한국의 지역축제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 연구

        신은경 경성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문화의 정체성과 대표성을 상실한 지역축제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통해 축제프로그램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인을 분석해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실증적인 요소를 도출해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의 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실증연구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사례분석에 활용된 지역축제는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문화관광축제 중 성공적인 지역축제로서 브랜드인지도를 높인 보령머드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김제지평선축제, 진주남강유등축제 등 4개의 대표 축제이다. 먼저 조사의 예비단계로 4개의 축제를 분석하여 각 축제의 프로그램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인의 변수를 추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중복된 변수의 삭제과정을 거쳐 총 54개의 변수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조사의 단계로 2013년 8월16일부터 9월30일까지 축제전문가 33명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각 항목의 적합성, 2차 조사는 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3차 조사는 2차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다른 전문가 의견을 참고하여 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최종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조사과정을 통해 파악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 지역축제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의 주제와 대표성을 반영해야 한다. 지역축제가 성공을 하려면 지역의 특성과 연계된 고유성으로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독특한 주제가 있어야 한다. 지역축제의 대표성을 가장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은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나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정체성을 잘 드러내야 한다. 둘째, 특화된 축제 소재의 개발이 뒤따라야 한다. 지역축제는 지역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져야 하므로 해당 지역성(locality)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축제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해당 지역의 창의적인 소재의 발굴을 위해서는 지역의 역사, 자연, 산업 등 지역의 특성이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 셋째, 축제 핵심장소가 구분되어야 한다. 축제참가자들은 핵심장소를 통해 축제를 인식하게 되고 세부적으로 프로그램을 기억하게 된다. 따라서 축제 핵심장소는 축제참가자들의 접근성이 편리하고, 그 지역의 지역성과 문화를 잘 느낄 수 있는 곳으로 배치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축제참가자의 체험적 요소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 축제참가자들은 새로운 경험을 통하여 흥미를 느끼고 이러한 흥미는 축제참가자의 만족도와 연결되며 그 결과로서 축제 재방문율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단순한 볼거리에서 벗어나 즐기고, 참여하고, 체험 할 수 있는 차별화된 축제프로그램으로 새롭고 참신한 체험행사의 비중을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축제평가체계를 개선해야 한다. 지역축제의 상당수가 축제를 마치면서 축제평가의 과정을 거친다. 전문조사연구기관에 의뢰하거나 대부분 내부평가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상황을 잘 판단 할 수 있는 축제전문평가단을 선발하여 모니터링 사업을 실시하고, 정확한 평가를 위해 적합한 평가지표와 지침서를 개발하고, 평가기준을 세분화해야 한다. 또한 축제의 중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축제운영 노하우를 명시적으로 지식자원화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 프로그램 구성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항목의 중요도를 세밀하게 분석해 봄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축제를 위한 축제프로그램 구성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된 우선순위 항목을 토대로 지역축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지역축제의 기획, 실행, 평가의 전 과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신은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만 5세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의 자아존중감은 어떠한가? 1-1. 아버지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라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가? 1-2. 어머니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개인변인(성별, 출생순서, 부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에 따라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 3.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유치원 3곳(사립)과 어린이집 5곳(시립, 민간, 직장)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46명, 그리고 그들의 아버지, 어머니 각각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Hudson(1997)이 개발하고 고현경(2010)이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한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아동인성검사(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의 하위척도 중 하나인 ‘자아탄력성 척도’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을 위해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른 자아탄력성을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을 위해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아버지 및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개인변인인 연령, 교육수준, 직업,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른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연령과 가정내 월수입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의 학력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아버지의 학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학력이 대학원 졸업인 아버지가 전문대 졸업이하인 아버지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유아의 개인변인인 성별, 출생순위, 부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에 따른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성별, 출생순위는 유아의 자아탄력성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평일 및 주말에 유아가 부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 특히. 어머니와 함께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유아는 높은 자아탄력성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부모의 자아존중감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모두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및 전체적 자아탄력성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각각 상ㆍ중ㆍ하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 수준에 따른 남아와 여아의 자아탄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자아존중감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및 부모가 자신이 갖고 있는 부정적인 측면을 극복·보완하고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가질 수 있도록 부모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이다.

      • 천식환자의 CSF1R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과의 연관성 : Association Analysis of colony-stimulating factor 1 receptor (CSF1R) Gene Polymorphisms with Asthma

        신은경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염색체 5q33-q35에 위치하는 CSF1R 유전자는 천식유발에 주요 분자이며, 염색체 5q33-q35의 유전자 marker는 여러 소수 민족내의 아토피와 천식과 연관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CSF1R는 target cells의 survival, proliferation과 differentiation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성 반응을 유도한다. 이러한 기작은 선천성 면역에 관여하여 암과 같은 여러 질병의 발병학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는 대조군 303명과 천식환자 498명을 대상으로 CSF1R 유전자의 28개의 단일염기변이에 대해 상세히 조사하고, SNPs과 천식이나 아토피와 연관된 여러 요소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CSF1R 유전자의 mRNA와 단백질의 발현은 서로 다른 SNP Subtype을 가진 집단 간의 peripheral blood cells 내에서 real-time PCR과 Flow cytometr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8개의 단일염기변이 중 intron에 위치한 단일염기변이(+11680G>T, +20511C>T and +28801C>G)는 천식의 위험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P=0.005, 0.001 and 0.003). Multiple comparisons 분석 결과 CSF1R +20511C>T (P=0.02) 만이 의미 있는 값을 보였고 천식 환자군에서 CSF1R +20511C>T의 T대립유전자의 빈도수는 정상대조군 보다 높았다. 열성 모델 분석 결과 천식 환자군에서 CSF1R +22693T>C의 C대립유전자의 빈도수는 정상대조군 보다 높았다. Mucosa의 염증세포와 상피세포에서 CSF1R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대조군 보다 천식 환자군에서 CSF1R의 발현이 더 높았다. 천식환자의 peripheral blood cells로부터 분리한 Neutrophils에서 CSF1R mRNA level을 측정한 결과 +22693 T 대립유전자를 가질 때 보다 +22693 C 대립유전자를 가질 때 CSF1R의 mRNA 발현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low cytometry 측정하여 CSF1R의 단백질 발현 양을 비교한 결과 +20511 C 대립유전자를 가질 때 보다 +20511 T 대립유전자를 가질 때 monocytes내 CSF1R의 발현이 더 높았으며, 또한 +22693 C 대립유전자를 가질 때 보다 22693 T 대립유전자를 가질 때 Neutrophil내 CSF1R의 발현이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위 자료을 통해 CSF1R +20511C>T의 T대립유전자와 CSF1R +22693T>C의 C 대립유전자는 천식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으나, 천식의 발병학적으로 어떠한 role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는 것이 우리에게 남은 과제이다. Background: The colony stimulating factor 1 receptor, formerly McDonough feline sarcoma viral (v-fms) oncogene homolog(CSF1R) gene on chromosome 5q33-q35, has known to be a key molecules contributing to development of asthma. Genetic markers on chromosome 5q33-q35 are linked to the asthma and atopy in several ethnic populations. CSF1R signaling leads to a variety of cellular responses including suviva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arget cell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nate immunity,tissue development and function, and the pathogenesis of some diseases including atherosclerosis and cancer. Methods: Through direct DNA sequencing of CSF1R gene on chromosome 5q33-q35, we identified 39 polymorphisms, and genotyped for these SNPs in 303 normal subjects and 498 asthmatics.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SNPs and various parameters related to asthma or atopy. Expression of CSF1R protein and mRNA were measured using flow-cytometry and real-time PCR in the peripheral blood cells from these subjects with different SNP subtypes. Results: Among the twenty eight polymorphisms tested, three intronic polymorphism (+11680G>T, +20511C>T and +28801C>G) we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asthma (P=0.005, 0.001 and 0.003, respectively). After correcting for multiple comparisons, however, the difference remained significant only in CSF1R +20511C>T (P = 0.02). The frequencies of the T alleles at CSF1R +20511C>T in the asthmatic group was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control group (36.7% vs. 49.5%, OR=1.55). In the analysis of recessive model, the frequency of the C allele at CSF1R +22693T>C in the asthmatic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normal controls group (25.8% vs. 16.4%, OR = 1.99 and P = 0.0006). The difference remained significant after correcting for multiple comparisons (P = 0.01). In the mucosa inflammation cells, we found that CSF1R protein expression higher in the BA than that in NC. In the asthmatics neutrophils, CSF1R mRNA levels who having +22693 rare allele were higher than those having +22693 common allele. Using flow-cytometry, we identified that peripheral blood cells possessing +22693 C alleles and 20511 T alleles presented higher CSF1R expression than that having +22693 T alleles and +20511 C alleles.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T alleles at CSF1R +20511C>T and the C alleles at CSF1R +22693T>C have a susceptibl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sthma, however it remained to be further evaluated to know the exact role in asthma pathogenesis.

      • 초등영어교육에서 듣기 전략 훈련의 효과 연구

        신은경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듣기 전략을 영어 수업에 통합·적용하는 모형을 구안하고, 구체적인 훈련 내용 및 활동 방안을 모색하였다. 듣기 전략의 훈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2개반을 각각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선정한 후 실험반에는 영어 수업과 통합하여 듣기 전략 훈련을 실시하였고, 비교반에는 일반적인 영어 수업만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 전략 훈련을 실시한 실험반은 일반적인 영어수업을 실시한 비교반보다 듣기 능력 평가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얻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듣기 전략 훈련이 초등학생의 듣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듣기 능력 수준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듣기 전략 훈련이 중위집단에게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듣기 전략의 전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말하기 능력 평가에서도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높은 성적을 얻어 듣기 전략 훈련이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전이효과를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듣기 전략의 사용 빈도 검사에서는 듣기 전략 훈련 결과, 듣기 활동을 할 때 듣기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전략 훈련이 사용빈도를 점차 높이고, 이 결과 효과적인 듣기가 가능해짐으로 듣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듣기 능력 수준별로는 듣기 전략 훈련 이후 중위집단이 듣기 전략을 사용하는 빈도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전략 훈련이 중위집단에 가장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셋째,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 및 태도면에서는 실험반과 비교반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반의 사전, 사후 검사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듣기 전략이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 및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전략 사용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 반 이상의 학생들이 전략 훈련이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여 전략 훈련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고, 듣기학습에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전략은 집중 전략, 추측 전략, 계획 전략, 자기평가 전략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듣기 전략을 개별화하여 훈련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여야 하며 그것을 영어 수업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활동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 연수 기회를 통해 교사들에게 전략 훈련의 유용성과 의미를 인식시켜야 하며 영어 교재의 구성에 있어서도 전략 훈련을 병행할 수 있도록 이를 지도 절차 안에 포함시켜서, 적절한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영어 수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겠다. 셋째, 듣기 전략 이외에 다른 언어기능의 전략 훈련에 대한 연구도 후속 되어야 하고 언어의 통합 지도시에 효과적인 전략을 연구·개발하는 것도 가치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n effective way for improving the English listening abilit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listening strategy training. For this purpose, an integrative model was designed for listening strategy training and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also carried out to apply it to the fifth grade students. Two classes were chosen from the fif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These two classes were selected out of six classes by a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One class was determined to be the experimental group, to whom the integrative model for listening strategy training and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was applied. And the other was to be the comparison group, to whom the common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listening 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omparison group and ha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Thus listening strategy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chievement of listening ability. And listening strategy training was the most effective on the middle level group of listening ability for improving the English listening ability. In the speaking test, the experimental group got higher scores than the comparison group and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o listening strategy training had the positive transfer effects toward English speaking ability. Second, in analyzing the frequency of use in listening strateg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firmed to use listening strategy frequently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This means the listening strategy training had affected the frequency of listening strategy use, that enabled successful listening activities. Also, the middle level group of listening ability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 in survey for frequency of listening strategy use.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ison group in interest in and attitude to English learning. But the post te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pretest. Therefore listening strategy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interest in and attitude to English learning. In a post questionnaire for learners' thoughts about listening strategy training, more than 60% students answered that listening strategy training was helpful to the English learning. So they had positive attitude to listening strategy training. And students answered that the most helpful strategy was paying attention strategy and the next strategies were guessing strategy, planning strategy, self-evaluation strategy for helpful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lead to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listening strategy training program which is individualized should be studied and the methods that are applied to the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English teachers should realize the usefulness and significance of the listening strategy training and it should be included in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Third, strategies for other language skills and integrative skills besides listening strategy will be studied and developed furthermore.

      •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연구

        신은경 부산외국어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the possibility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riginally a representative index for raising professionalism in teachers, as a index for raising professionalism in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is dissertation, I examined Shulman(1986, 1987) and other PCK researches to provide reasonable evidence, for providing PCK's definition, its components and standard of analysis for Korean teachers. ‘PCK Model for Korean teachers’ was set based on ‘PCK Model by Crossman(1990)’.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hree components of PCK which are subject matter, pedagogical, and situational knowledge affect PCK's modality of two native teachers and two non-native teachers. This study inquired whether PCK affects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 or not. Also, this study sought a method to raise Korean teacher's PCK, and practical PCK for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Two methods were used. One of them was Qualitative Analysis for Korean teacher's PCK. For this, I collected and analyzed wide range of materials; audio-recordings of course, teacher's questionnaire, Core(Content Representation) questionnaire, syllabi, learning materials, interview, phone call, and e-mail. The other one was Quantitative Analysis for learners’ achievements.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learners’ achievements, and learners' Pre and Post tests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tatistics. The result of study about Korean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CH 3) indicated that the contents that were taught by the native teachers and the non-native teachers were quite different; native teachers put focus on ‘using target grammar in communicative situations’, which is related to pragmatic knowledge including vocabulary knowledge and grammar knowledge. The non-native teachers, on the other hand, put focus on ‘making sentences using target grammar' using vocabulary knowledge and grammar knowledge. The native teachers carried and pursued their class in Korean language only. In intermediate level class, the use of learners’ mother tongue did not affected the quality of the class at all. The use of Korean of the non-native teachers in classroom setting had some connection with teachers' target language ability. There was a difference how Han teacher C and Ethnic Korean teacher D recognized Korean. The result of study about Korean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CH 4) was the following: The native teachers and the non-native teachers carried their class in PPP, but there we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m when they conducted activities. All the teachers checked leaner's advance learning, and corrected their misconception and difficult concept using teacher's know-how and repertory. However they made some mistakes sometimes. When the teachers evaluated the learner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native teachers and the non-native teachers. The native teachers let chinese learners, who had been studying focusing on tests, to solve different kinds of problems were effective, and they found it was effective for them. As for the result of the study about Korean teachers' situational knowledge(CH 5), the native teachers and the non-native teachers both said Chinese learners were passive and feel comfortable with studying focused on taking test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classes.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PCK of the Korean teachers affected the achievement of the learners(CH 6). The conclusion was the following: Adopting PCK for raising professionalism in Korean teachers was meaningful and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professionalism in teachers using PCK was confirmed. The native teachers PCK were good at using PCK in pedagogical knowledge and fairly good in subject matter knowledge. Though some of the non-native teachers made some errors, they were good at using PCK in subject matter knowledge. However there was a need for improvement in pedagogical knowledge. Also, situational knowledge did affect greatly on the classes of the native teachers and non-native teachers. There was a fundamental difference of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non-native teachers’ PCK and native teachers’ PCK. The factor of influence on native teachers’ PCK came out Korean linguistic knowledge, career and conviction. And the factor of influence on non-native teachers’ PCK was linguistic knowledge, career(including using textbook), learning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their mother tongue. This result matches the study of Medgyes(1992), and suggests to recognize of a fundamental difference as checking PCK of non-native teachers and native teachers, and have to search for the way of becoming professional teacher at their positions. There is a need for studying for teaching Korean and pedagogical knowledge in the future. And new teacher’s PCK study, career teacher’s PCK study, comparative study between new and career teachers’, and longitudinal Study based on various action research should be done. Also the results of such results should be used for training and reeducation program for Korea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