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洪武正韻譯訓≫의 俗音 표기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신용권 영남중국어문학회 2016 중국어문학 Vol.0 No.71

        After the invention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King Sejong ordered a group of scholars, including Sin Suk-ju(申叔舟), to translate the Hongmujeongun (洪武正韻) into Korean.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the Hongmujeongun was completed in 1455, this book is Hongmujeongunyeokhun (洪武正韻譯訓). In this book, the pronunciation devices in the Hongmujeongun were replaced by the Korean alphabet. And, in addition to the readings defined in the Hongmujeongun, i.e, the Jeongeum(正音, standard sound), the contemporary Mandarin readings were included under the name of Sokeum(俗音, popular sound).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following problems about the Sokeum of Hongmujeongunyeokhun. First, I will analyze a difference between Jeongeum and Sokeum in this book and be concerned with several problems about transcription. Secondly, I will scrutinize Chinese phonetic changes reflected in the fifteenth century published book. Finally, I am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readings reflected in this books in connection with the motivation of publication.

      • KCI등재후보

        ≪老乞大≫에 나타난 後置詞에 대하여

        愼鏞權 영남중국어문학회 2003 중국어문학 Vol.0 No.42

        所謂後置詞一般是指附着于名詞, 動詞, 短語等後, 表達某種語法功能的詞. 這可能是元代起, 漢語受蒙古語影響的産物. 元代以後開始消亡, 至淸末已基本不見于現代漢語. 《老乞大》是朝鮮時代以來韓國廣泛使用的漢語敎科書. 早期《老乞大》版本中出現的後置詞흔豊富, 在以後的諸版本中發生了一定程度的變化, 不同版本中對應的後置詞的差異反映了元代以後後置詞的發展情況. 本文通過對《老乞大》諸版本的有關內容進行比較硏究, 以揭示後置詞的發展情況, 從而解釋《老乞大》旱期版本中後置詞豊富的原因, 對元代漢語的一側面管窺一斑. 本文對《老乞大》中後置詞的使用情況分別進行描寫. 總而言之, 《老乞大》刊本中的後置詞有如下的特點. 第一, 《老乞大》刊本中出現幾個典型的後置詞: 行/上(上頭), 呵/時, 根前/根底. 裏. 這些後置詞增加了一些新功能, 如動作的對象, 動作的基點, 目的地, 原因等. 第二, 這些後置詞在不同版本裏的使用情況不一致, 《舊刊》, 《飜譯》的後置詞在《新釋》, 《重刊》中有了變化, 有三種情況: 第一, 後置詞保有, 但同時加上了前置詞 ; 第二, 後置詞消失, 改爲使用前置詞 ; 第三, 後置詞消失, 前置詞也未出現, 而改爲其他方式. 可見, 《新釋》, 《重刊》中後置詞已不再單獨使用. 後置詞單獨使用的語言特點兩本書中已經不存在, 更符合漢語的習慣. 第三, 《舊刊》, 《飜譯》以使用後置詞爲主, 《新釋》, 《重刊》則以使用前置詞爲主表達語法意義. 《飜譯》的後置詞用法與元以前不同, 與《新釋》, 《重刊》兩本也不同, 其後置詞的用法和功能흔可能是受蒙古語的影響所致. 元代漢語的後置詞極有可能是語言接觸的過程中産生的. 使用後置詞來表示某種語法功能是阿爾泰語的一個重要特點. 阿爾泰語的後置詞흔發達, 能表達多種語法意義. 元代的蒙古語裏後置詞已經存在, 蒙古語裏的和元代漢語的後置詞類似. 某一民族征服了其他民族, 兩民族各自使用的語言可能在語音, 語調和詞匯方面産生一定的相互影響. 考慮到元代的社會政治情況, 可知元代漢語裏確實發生了一定的變化. 因此, 《老乞大》的後置詞表現出的多種功能也흔可能是漢語與蒙古語相接觸的産物. 《舊刊》, 《飜譯》兩本裏後置詞現象比較明顯. 《新釋》, 《重刊》兩本裏這種現象則明顯地弱化, 這就證明 《新釋》, 《重刊》時期的漢語已擺脫蒙古語的影響, 恢復了原來的狀態. 有學者不同意本文的觀點, 卽認爲《老乞大》後置詞的多種功能是漢語本身變化而來的. 但, 本文關注漢語與蒙古語相接觸, 相影響的事實, 希望今後能有更多學者關注這方面的硏究.

      • KCI등재
      • KCI등재

        《古今韻會擧要》와 다른 韻書의 관계에 대하여

        신용권 한국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文學 Vol.114 No.-

        Juyao(full name Gujinyunhuijuyao(古今韻會擧要)) is a rhyme book(韻書) written in the thirteenth century. This book designed the 36 Zimu(字母) and Zimuyun(字母韻) systems a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rhyme books. This systems reflect the actual tongue of those days. The characteristics of Juyao would be ma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yao and other Chinese rhyme books. This paper is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Juyao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book and other Chinese rhyme books. I will also study the influence of other Chinese rhyme books on the Juyao. Jiyun(集韻), Wuyinjiyun(五音集韻), Libuyunlüe(禮部韻略), Mengguziyun (蒙古字韻), Qiyinyun(七音韻), Gujinyunhui(古今韻會) were closely related with Juyao. These books served as the basis of the compilation of Juyao. In the compilation of Juyao, the compiler made a number of changes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rhyme books: design of the 36 Zimu and Zimuyun systems, reflection of actual pronunciations, rearrangement of the characters, deletion or addition of some characters, etc. We can conclud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uyao and other Chinese rhyme books is an important clue for demon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Juyao and leading to the revaluation of this book. 中古音에서 近代音으로 이행하는 과도 단계에 특정한 지역에서 통용되던 공통어를 반영하는 《古今韻會擧要》(1297년, 이하 《擧要》)는 내용과 형식에서 이전에 간행된 韻書의 영향을 받아 편찬되어 이후의 韻書에 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擧要》는 中古에서 近代에 이르는 시기에 간행된 중국의 여러 韻書들이 어떠한 영향 관계 속에서 성립되었는지 연구하는 데 핵심적인 韻書 이다. 이러한 이유로 《擧要》가 가지고 있는 자료적 가치와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擧要》와 영향을 주고받은 다른 韻書들과의 관계를 심도 있게 고찰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擧要》의 형식과 그 반영하는 내용이 기존의 다른 韻書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았는지 밝히기 위하여 《集韻》, 《禮部韻略》, 《改倂五音集韻》, 《蒙古字韻》 등 주요 韻書 및 기타 관련 자료 들과 《擧要》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中古와 近代 시기의 주요 韻書 및 자료와 《擧要》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擧要》의 자료적 가치와 성격을 온전히 평가하고 中國語 音韻史와 韻書史에서 《擧要》가 차지하는 위치를 명확하게 보여주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近代漢語 구개음화 연구 (Ⅱ) ― 변화의 양상과 원인을 중심으로

        신용권 한국중국언어학회 2010 중국언어연구 Vol.0 No.33

        本文著重探討了近代時期北方漢語顎化現象的發生原因、 表現形式及演變過程。 本文為了研究近代漢語顎化現象的發生原因及演變過程中所表現出的各種現象, 對於下列幾項問題進行了較有深度的探討。 首先, 細緻分析了反映顎化現象的各種資料, 並以此為基礎, 指出在17世紀以前的北方漢語中就已經較有系統地存在顎化現象的事實。 其次, 通過考查相關資料中所出現的顎化現象, 探討了顎化現象的演變方式及演變過程中所出現的各種問題。 再次, 為了探明近代北方漢語顎化現象的發生原因, 較有深度地考查了顎化現象的語音環境、 近代北方漢語語音系統中的內在原因、 滿漢對譯過程中出現的問題、 與周邊語言中發生的顎化現象的相關性問題。本文的研究目的為全面理解近代漢語顎化現象的表現形式及發生原因, 並對此作出科學合理的說明。 另外, 希望通過這一研究, 形成一个新的契機, 不僅對近代漢語顎化現象進行研究,同時也對韓國與中國資料中所記錄的漢語音韻變化、 漢語語音系統、 相關語言中的有關音韻現象等, 進行更加細緻、 更有深度的探討。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