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여성의 골관절염과 골밀도간의 관련성 분석 -구리시민 건강.영양진단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신승수,이순영,민병현,서일,Sheen, Seung-Soo,Lee, Soon-Young,Min, Byung-Hyun,Suh, Il 대한예방의학회 1997 예방의학회지 Vol.30 No.4

        백인여성들을 대상으로 골관절염과 골다공증 발생사이에 역상관 현상이 존재함을 관찰하고 보고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해 두 질환간 관련성이 존재하지 않나 추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관련성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골관절염에 이환된 여성의 골밀도가 이환되지 않은 여성의 골밀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을 것"이란 가설을 세우고 구리시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건강 영양진단 조사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표본인구는 미리 설정된 조사구를 이용한 다단계 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1997년 8윌 18일부터 9월 10일까지의 조사기간 동안, 총 1,656명의 대상자가 선정되었으며 이중 867명이 조사에 응하여 수진율은 52.4%였다. 이 중 여성의 수는 519명이었다. 519명의 여성중 골밀도 측정, 방사선촬영, 신체계측을 모두 시행받은 42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 평균 골밀도는 $0.493g/cm^2$, 평균 연령은 43.0세, 평균 신체비만지수는 $23.9kg/m^2$였다. 폐경을 맞이한 사람의 수는 106명,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사람의 수는 19명이었다. 골관절염을 진단할 수 있었던 경우는 고관절염 0례, 슬관절염 64례, 손관절염 2례가 있었다. 2. 단변량 분석 결과: 슬관절염 이환 여부에 따른 평균 골밀도 비교 결과, 비이환군에 비해 이환군의 평균골밀도가 유의하게 낮았다(0.4269 대 $0.5057g/cm^2$). 그러나, 고관절염 및 손관절염 이환자는 수가 적어 이환여부에 따른 골밀도 비교분석을 실시하지 못했다. 폐경 여부에 따른 평균 골밀도 비교 결과, 폐경전군과 폐경군, 자궁적출군 사이에 평균 골밀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0.5204대 0.4206대 $0.4881g/cm^2$). 또한, 당뇨 이환 여부에 따른 평균 골밀도 비교 결과, 당뇨군과 내당력부전군, 정상군 사이에 평균 골밀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0.4297대 0.4874대 $0.5057g/cm^2$). 이외에 연령, 총임신회수, 신체비만지수, 체지방이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다변량 분석 결과: 다른 변수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골관절염과 골밀도간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해 단변량 분석에서 골밀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던 변수들을 포함한 다중회귀분석 방정식을 만들어 검정하였다. 그 결과, 슬관절염 이환 여부는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과 폐경은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었다. 당뇨, 총임신회수, 신체비만지수, 체지방은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대상자를 폐경 여부에 따라 층화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폐경군에서는 연령이, 자궁적출군에서는 연령 및 슬관절염 이환이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백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존의 다수 연구 결과들을 지지하는 내용이 아니다. 우리나라 여성에서 왜 이런 결과가 발생하였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생물학적 개연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앞으로 단면조사연구가 아닌 시계열적인 연구를 통해 본 연구 결과를 다시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Previous studies, reporting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osteoarthritis and osteoporosis suggest the existence of possible pathophysiologic mechanisms between them. To examinine the hypothesis that 'bone mineral densities of women with osteoarthriti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omen without osteoarthritis in Korea', subjects from the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in Kuri city were sampled. Samples were selected through multi-stage sampling frame using established clusters in Kuri city. From August 18 to September 10,1997,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total number of selected sample population (1,656 people), response .ate was 52.4 percent (348 men and 519 women). 420 women who took BMD measurement, radiologic exam, and anthropometric exam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Mean BMD was $0.493g/cm^2$, mean age was 43.0, mean BMI was $23.9kg/m^2$. The number of women who experienced menopause was 106, hysterectomy was 19. There were 0 case of osteoarthritis of hip, 64 cases of osteoarthritis of knee, and 2 cases of osteoarthritis of hand. 2. Univariate analysis results: Mean BMD of women with the osteoarthritis of kne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women without the osteoarthritis of knee(0.4269 vs. $0.5057g/cm^2$). But, there were too few cases of osteoarthritis of hip and hand, so comparative studies of BMD in osteoarthritis of hip and hand could not be conduc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MD among pre-menopause group(0.5204), post-menopause group(0.4206), and hysterectomy group(0.4881).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MD among diabetes group(0.4297), impaired glucose tolerance group(0.4874), and normal group(0.5057). Furthermore, age, parity, BMI, bioimpeda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BMD. 3.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o examin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arthritis and BMD while controlling the other variables' effects which were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e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But, it was found that osteoarthritis of knee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to BMD anymore. While age and menopause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BMD. Diabetes, parity, BMI, and bioimpedance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MD. After stratifica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menopau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done to each strata. Consequently, age in post-menopause group, age and osteoarthritis of knee in hysterectomy group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BMD. Th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many results of other previous studies done with white men and women. further studies of biological plausibility to Korean women are recommended. Also it is suggested that longitudinal study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arthritis and BMD will be valuable.

      • SCOPUSKCI등재

        패혈증에서 혈중 스테로이드의 의의 및 기타 혈중 지표와의 연관성

        이규성 ( Keu Sung Lee ),백승희 ( Seung Hee Baik ),이형노 ( Hyoung No Lee ),박주헌 ( Joo Hun Park ),오윤정 ( Yoon Jung Oh ),신승수 ( Seung Soo Sheen ),최영화 ( Young Hwa Choi ),박광주 ( Kwang Joo Park ),황성철 ( Sung Chul Hwang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1 No.4

        연구배경: 패혈증에서 혈중 스테로이드 농도는 유의한 예후인자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스테로이드의 절대적 및 상대적 결핍 현상이 알려지고 있으며, 이는 스테로이드 보충 치료의 지표로도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패혈증 환자에서 혈중 스테로이드 농도, 24시간 뇨 스테로이드 양 및 상대적 부신결핍의 임상적 의의와 기타 패혈증의 혈중 지표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패혈증 환자 26예를 대상으로 초기 혈중 스테로이드와 ACTH, ADH, lactate 등의 농도를 측정하고 24시간 뇨 유리 코티졸 양을 측정하였으며, rapid ACTH stimulation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패혈증 환자들에서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기저 무작위 혈청 코티졸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중증패혈증 환자들에서 24시간 뇨 유리 코티졸은 경증패혈증 환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혈청 코티졸 농도는 ADH, lactate농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24시간 뇨 유리 코티졸은 혈청 코티졸, lactate 농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대적 부신결핍의 정도는 혈청 코티졸, ADH, lactate 농도와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패혈증 환자들에서 혈청 코티졸 농도 및 24시간 뇨 유리 코티졸은 유의한 예후평가인자로서 나타났으며, 기타 예후 인자들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상대적 부신 결핍의 정도도 유의한 중증도의 지표로 나타났다. Background: Corticosteroids are known to be significant prognostic parameters in sepsis. Recently, an absolute and relative insufficiency of the corticosteroids system has often been reported to often develop particularly in severe sepsis. Degree of such an adrenal insufficiency not only has prognostic implications but also can be used to guide corticosteroids replacement therapy. The 24-hour urinary cortisol levels as well as serum cortisol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o assess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arameters of sepsis, and also evaluated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relative adrenal insufficiency. Methods: 26 consecutive patients with sepsis were enrolled. The basal random serum cortisol, ACTH, ADH, lactate levels and 24-hour urinary free cortisol amount were measured. The rapid ACTH (250㎍) stimulation test was also performed. Results: Basal serum cortisol levels were higher in the non-survivors than in the survivors. The 24-hour urinary free cortisol levels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ith severe sepsis than in those without. The serum cortisol level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serum ADH and lactate levels. The 24-hour urinary free cortisol level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serum cortisol and lactate levels. The fractional changes in the cortisol levels after the rapid ACTH stimulation tests correlated with the serum cortisol, ADH, and lactate levels. Conclusion: Both the serum cortisol and 24-hour urinary cortiso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in sepsis, and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other parameters. The relative adrenal insufficiency might also be an important clinical parameter. (Tuberc Respir Dis 2006; 61: 356-365)

      • KCI등재후보

        소아연령의 신경계 중환자에서 PRISM Ⅲ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박정서(Jung Seo Park),김성환(Sung Hwan Kim),신승수(Seung Soo Sheen),정성미(Seong Mi Jeong),이영주(Young Joo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2

        목적 : PRISM(Pediatric Risk of Mortality) Ⅲ score는 중환자의 사망률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객관적인 중증도 지표로 각종 비교분석에 이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신경계중환자를 대상으로 이지표의 유용성을 연구한 보고는 아직 없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중환자실에 입원한 소아연령의 신경계중환자를 대상으로 PRISM Ⅲ를 적용하고 사망여부를 추적 및 분석함으로써 본 지표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6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15세 이하 신경계 중환자 96명을 신경계감염증, 급성 뇌증, 간질중첩증 및 뇌혈관질환의 4개 진단군으로 구분하여 각 환자의 PRISM Ⅲ score 및 주요 임상지표를 측정하고 중환자실 퇴원당시의 사망여부를 추적 관찰하였다. 전체 환자에서 실제 사망률과 예측사망률의 적합여부를 Hosmer-Lameshow의 적합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사망군과 생존군에서 PRISM Ⅲ score의 차이를 Mann-Whitney 검정으로, 측정에서 사용된 각 임상지표들과의 연관성을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진단군에서 생존과 사망군 사이의 PRISM Ⅲ score를 Mann-Whitney검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는 총 96명이었고 이중 23명이 사망하여 전체 사망률은 23.9%였다. Hosmer-Lameshow의 적합도 검정상 X²(df=8)=6.0392, p=0.5352로 전체 환자군에서 실제사망률은 예측사망률과 적합하였다. 전체 생존군과 사망군을 비교하였을 때 PRISM Ⅲ score는 두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고(Mann-Whitney test, p=0.000), 개별 임상지표들 중 의식상태, 동공반사, 수축기혈압, 혈당, 산혈증, 혈중 나트륨, 혈중 creatinine 및 PT/PTT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 진단군중 신경계감염군과 급성뇌증군에서만 생존군과 사망군간에 PRISM Ⅲ score의 차이가 의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ann-Whitney test, p=0.009, p=0.000) 결론 : 분석결과 실제사망률은 사망률 모형에서 예측사망률과 적합하였고 PRISM Ⅲ score는 생존군과 사망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중 신경계감염군과 급성뇌증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므로 PRISM Ⅲ score는 신경계중환자 특히 신경계감염과 급성뇌증군에서 사망여부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Purpose : The Pediatric Risk of Mortality(PRISM) Ⅲ score was developed from the Physiologic Stability Index(PSI) to assess pediatric ICU mortality and provide an objective data as a severity index. Although the PRISM score has been applied to many comparisions and analyses in previous studies, there are few reports applied to pediatric intensive care patients in Korea.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ISM Ⅲ score as a severity index for expecting mortality and find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mortality, we applied this scoring scale to pediatric neurologic patients admitted to the ICU and analyzed the data statistically. Methods : Data collection was done by careful review of medical records and scored each clinical variable. The outcome at discharge was determined as non-survival, survival, and hopeless discharge. Determination of mortality in the hopeless discharge group was done within 48 hours after discharge by telephone interview. The study popula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CNS infection(26 patients), acute encephalopathy(31 patients), status epilepticus(35 patients) and cerebrovascular disorder(4 patients). The difference of the PRISM Ⅲ score between the survival group and non-survival group was compared by using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test in the entire study population and for each diagnostic group. To confirm the degree of fitness between the actual mortality and predicted mortality, the Hosmer-Lemeshow goodness-of-fit test,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All clinical variables used for scoring were compared for survivals and non-survivals by the Chi-square test. p values <0.05 were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 The PRISM Ⅲ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survival group than in the survival group. Predicted mortality from the PRISM Ⅲ score has fitted to actual morta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in each diagnostic groups, the PRISM Ⅲ score was higher in non-survivals of the acute encephalopathy and CNS infection groups,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he cerebrovascular disorders and status epilepticus groups. The important variables of the PRISM Ⅲ score associated with mortality were mental state, pupil reflex, systolic blood pressure, acidosis, blood sodium level, blood creatinine level, blood glucose level, and PT/PTT. Conclusion : The PRISM Ⅲ score is helpful in predicting mortality in pediatric intensive care neurologic patients, especially those in the acute encephalopathy or the CNS infection groups. However, this score was not useful in the status epilepticus group, and insignificant in cerebrovascular group. Due to the smallness of the study group, more massive and comprehensive studies are needed as a follow up to this study.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급성 폐손상 환자에서 Adaptive Support Ventilation 적용 시 호흡지표의 양상

        이규성 ( Keu Sung Lee ),정우영 ( Wou Young Chung ),정윤정 ( Yun Jung Jung ),박주헌 ( Joo Hun Park ),신승수 ( Seung Soo Sheen ),황성철 ( Sung Chul Hwang ),박광주 ( Kwang Joo Park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1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70 No.1

        Background: Adaptive support ventilation (ASV), an automated closed-loop ventilation mode, adapts to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iratory system by continuous measurement and adjustment of the respiratory parameters. The adequacy of ASV was evaluated in the patients with acute lung injury (ALI). Methods: A total of 36 patients (19 normal lungs and 17 ALIs) were enrolled. The patients` breathing patterns and respiratory mechanics parameters were recorded under the passive ventilation using the ASV mode. Results: The ALI patients showed lower tidal volumes and higher respiratory rates (RR) compared to patients with normal lungs (7.1±0.9 mL/kg vs. 8.6±1.3 mL/kg IBW; 19.7±4.8 b/min vs. 14.6±4.6 b/min; p<0.05, respectively). The expiratory time constant (RCe) was lower in ALI patients than in those with normal lungs, and the expiratory time/RCe was maintained above 3 in both groups. In all patients, RR was correlated with RCe and peak inspiratory flow (rs=-0.40; rs=0.43; p<0.05, respectively). In ALI patien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RR and RCe (rs=-0.76, p<0.01), peak inspiratory flow and RR (rs=-0.53, p<0.05), and RCe and peak inspiratory flow (rs=-0.53, p<0.05). Conclusion: ASV was found to operate adequately according to the respiratory mechanical characteristics in the ALI patients. Discrepancies with the ARDS Network recommendations, such as a somewhat higher tidal volume, have yet to be addressed in further studi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IgA 신병증에서 혈청 면역글로불린 A 의 유용성

        김명성(Myeong Sung Kim),신규태(Gyu Tae Shin),임현이(Hyun Ee Yim),김승정(Seung Jung Kim),신승수(Seung Soo Sheen),마경애(Kyoung Ai Ma),조남한(Nam Han Cho),최영일(Young Il Choi),김흥수(Heung Soo Kim),김도헌(Do Hun Kim)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1

        배 경 : 면역글로불린 A (Immunoglobulin A, 이하 IgA) 신병증은 가장 흔한 사구체신염으로 알려져 있다. IgA 환자의 30- 50%에서 혈청 IgA 농도가 증가하지만 혈청 IgA 측정이 갖는 IgA 신병증 진단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잘 밝혀져 있지 않다. 방 법 : 1994년 6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신조직 검사를 시행한 전체환자 333명 중 혈청 IgA 농도를 측정한 270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혈청 IgA 농도의 정상치의 상한 값인 365 ㎎/dL를 초과하는 환자 수는 IgA 신병증 환자들에서는 80명 중에 32.5%인 26명이었으며, 나머지 환자들에서는 190명 중에 8.9%인 17명이 혈청 IgA치가 365 ㎎/dL를 초과하였다(p<0.001). 혈청 IgA 농도 증가에 따라 IgA 신병증 진단에 대한 민감도는 감소하며, 특이도는 증가하는 관계를 나타내었다. 혈청 IgA농도 1 ㎎/dL에 대해 IgA 신병증으로 진단 받을 위험도(Risk ratio)는 1.0025였다(p- value 0.0043). 또한 혈청 보체치가 저하되지 않은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이러한 위험도는 1.0079로 더욱 상승하였다. 그러나 혈청 IgA 농도와 신조직 면역형광 소견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혈청 IgA 농도 측정이 IgA 신병증 진단 추정에 유용함을 보여 주었고, 이러한 결과는 특히 신 조직 검사가 적합하지 않은 환자에서, 혈청 IgA 농도, 보체 등을 이용하여 IgA 신병증 진단을 추정하는데 임상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Background : Immunoglogulin A (IgA) nephropathy is the most common primary glomerular disease throughout the world. 30-50% of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IgAN) have high serum IgA concentrations. However, we do not know if the degree of elevation in IgA level increases the likelihood of having IgAN. Neither do we know if the IgA level has any association with pathological findings of IgAN. Methods :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gAN and the levels of serum IgA which has been a routine part of the study in all patients with glomerulonephritis in our institution for the last 4 years. We reviewed 270 patients in whom the pathological diagnosis and the results of their IgA levels were both available. Results : Of 80 patients who were IgA nephropathy, 26 patients (32.5%) had higher than normal cutoff value of serum IgA (385 ㎎/dL). In contrast, 8.9% of patients with other types of glomerulonephropathies showed the values above normal(p<0.0001). The risk ratio for an increase of one unit of the IgA level was 1.0025(logistic regression, p=0.0043), which was increased to 1.0079 when patients with low complement level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 data were also analyzed according to the immunofluorescence microscopic findings of IgAN, which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gA concentrations. Conclusion : The IgA level is a risk factor for IgAN throughout the whole range. However, it does not correlate with the IgA deposition in the renal tissue. We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ing the interpretation of IgA levels in patients with IgAN.

      • SCOPUSKCI등재

        패혈증의 경과에 따른 혈중 스테로이드와 Nitric Oxide의 연관성

        이규성 ( Keu Sung Lee ),김영선 ( Young Sun Kim ),이형노 ( Hyoung No Lee ),박주헌 ( Joo Hun Park ),오윤정 ( Yoon Jung Oh ),신승수 ( Seung Soo Sheen ),최영화 ( Young Hwa Choi ),박광주 ( Kwang Joo Park ),황성철 ( Sung Chul Hwa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2 No.4

        연구배경: 패혈증에서 Nitric oxide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혈역학적 변화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데 이 두 인자는 서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환자에서 서로의 상관성이나 임상적 의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방법: 패혈증 환자 26예와 대조군 14예를 대상으로 혈중 총 NO와 혈중 코티졸 농도를 측정하였고 이어서 제 3, 5, 7병일에도 연속적으로 측정을 하였다. 결과: 패혈증 환자군에서 초기 혈중 코티졸 및 총 NO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경증 패혈증에 비하여 중증 패혈증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초기 혈중 총 NO의 농도는 APACHE II 점수, 정맥혈 lactate 농도와 상관성이 있었다. 패혈증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혈중 NO 농도는 제 1병일, 제 5병일, 제 7병일에 혈중 코티졸의 농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패혈증 환자들에서 혈중 NO와 코티졸 농도는 증가되어 있었으며, 경과에 따라 서로 유의한 상관성이 지속되었다. 상호작용기전에 대하여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The nitric oxide (NO) released by inducible NO synthase (iNO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sepsis. Corticosteroids also play a role in the hemodynamic and inflammatory reactions in sepsis. Both have been shown to have a relationship theoretically, but their correlation and clinical impacts have rarely been evaluated. Methods: 26 patients with sepsis and 14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initial random plasma total NO and the serum cortisol levels were measured. The same measurements were serially carried out on the 3rd, 5th, and 7th days. Results: The initial total plasma levels of NO and cortisol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ith sepsis than in the healthy controls. The total NO level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severe sepsis than in the those with mild sepsi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NO and cortisol level throughout the study. Conclusion: In patients with sepsis, the levels of plasma NO and cortisol were well correlated during the first week of sepsis, which suggests an interrelationship. However, the clinical and pathogenetic implications await further evaluation. (Tuberc Respir Dis 2007; 62: 308-313)

      • KCI등재

        리포이드 폐렴(Lipoid pneumonia)으로 오인된 폐에 발생한 림프절 외 변연부 B-세포 림프종 1예

        조진희 ( Jin Hee Cho ),양민재 ( Min Jae Yang ),유수경 ( Su Kyong Yu ),서경우 ( Kyoung Woo Soe ),김효철 ( Hugh Chul Kim ),신승수 ( Seung Soo Sheen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2

        기관에 발생한 림프절 외 변연부 B-세포 림프종(BALT lymphoma)은 폐에서 원발하는 비호지킨스 림프종의 70% 이상을 차지하지만 전체 림프종의 1% 미만을 차지할 만큼 드문 질환으로 흉부 단순 촬영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나 아직 확립된 치료법은 없는 상태이다. 저자들은 흉부 방사선 촬영 상 지속되는 폐침윤 소견을 주소로 내원 후 리포이드 폐렴으로 오인되어 진단과 치료가 늦어 골수 침범까지 진행된 폐에 발생한 림프절 외 변연부 B-세포 림프종을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BALT(bronchial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s are a distinct subgroup of low-grade B-cell extranodal non-Hodgkin`s lymphoma, which are classified as a marginal-zone lymphomas. The majority of the patients are asymptomatic or their pulmonary lesions is often discovered incidentally on a routine chest radiograph. A 50-year-old man was admitted for an the evaluation of cough, dyspnea and fever. His chest CT showed ground glass appearance with interlobular septal thickening in both lower lobes, right middle lobe and left lingular division. He had been initially diagnosed with lipoid pneumonia and was kept under observation. However, his chest lesion showed continuous progression and a video-associated thoracoscopy was performed His pulmonary lesion was confirmed histologically to be a BALT(bronchial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We report a case of a BALT lymphoma, which was initially misdiagnosed as lipoid pneumonia. (Tuberc Respir Dis 2007; 63: 194-199)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