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시기‘경성(京城)’의 문화지정학적 위상에 관한 연구

        신승모,오태영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0 서울학연구 Vol.- No.38

        Seoul was located at the center of Joseon before the modern age, and it was positioned amid dynamics with each region such as Pyeongyang(平壤), Buyeo (夫餘) and Gyeongju(慶州), etc. However, as the colonial Joseon is included as a region of imperial Japan since the modern age, Keijo(京城), which was the center of colonial Joseon, was also positioned as a regional city of Japan. At the time, the space sense and boundary awareness on a region exceeding a national unit called Joseon should be accompanied so that the central Keijo is recognized as a region. The period that the space sense and boundary awareness rapidly increased in the modern Korea was since 1930s that the expansion of imperial Japan to the East Asia really started, and amid a process that each country of the East Asia is geopolitically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foreign expansion of imperial Japan since the Manchurian Incident(滿洲事變), the space sense and boundary awareness became to be located under the imperial order. Especially, Keijo was a regional city of the Empire having Tokyo as the center as well as had dual phases as the center leading improvement and modernization in relations with other regions inside Joseon. In a process that Japan tried to form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大東亞共榮圈), Keijo was also recognized and represented inside a world system exceeding the Empire instead of a region of imperial Japan. The response of each subject surrounding a cultural geopolitical phase of Keijo showed various shapes while being linked to the East Asia situation. In short, while the modern city called Keijo experiences a duplicated phase called the center, a region and a colony, it functioned as a place of cultural geopolitical competition that the desire of a subject is projected and continuously relocated in a layer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le Joseon people and Japan people interacts.

      • KCI등재

        戦後世代に歴史を伝えることと人間の存在論 - 鄭閏熙の『青春の軌跡』論 -

        신승모 일본어문학회 2023 일본어문학 Vol.101 No.-

        Jung, Yoon-Hee, a second-generation zainichi writer, is not necessarily well-known in South Korea, with only a few of his works translated and introduced. He is an established writer who has steadily published novels and essays over the years. In 2022, he published his first full-length novel, Trajectory of Youth, which is to be commemorated by himself. It contains his sincere thoughts for the future-oriented relationship of coexistence between the younger generation of Koreans residing in Japan and the Japanese. Therefore, in this article, while reading this work carefully, I will discuss the “strategy” for conveying a history to the postwar generation and the ontology of the characters that can be read from the contents. In short, Trajectory of Youth can be interpreted as a literary representation of not only the youth of Japan, but also the quest for human existence, while gently encouraging the younger generation to warmly cheer up future-oriented symbiotic relationships. I believe that the examination in this paper is a necessary task in order to foresee a “correct” future in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in East Asia, and in the current world situation where the exclusionism is spreading day by day.

      • KCI등재

        스포츠 내셔널리즘과 재일코리안 선수들의 대응

        신승모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학 Vol.53 No.-

        Noting the friendly correlation between modern and modern sports and nationalism, HQ examined in what circumstances the “anti Korean” remarks surrounding the sports world were formed and formed to gain the authority of sports nationalism. It reviewed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Net Right” and the J League, the culture of supporters, the World Cup, and the national competition.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sports nationalism and the exclusion of both Korea and Japan, the two countries highlighted the meaning of the response by looking at the activities of Zainichi Korean sports players and citizenship after the third generation. After the third generation, Zainichi Korean sports players have demonstrated their existence and skills by changing their nationality for their career, despite being attacked by the two countries.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of Zainichi Korean were forced to choos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third generation showed Zainichi Korean sports players developing their careers and careers by having a flexible plural identity. Rather than being bound by the yoke of the nation's national anthem, their activities across the border while flexibly utilizing their presence as Japan are a history of “present progress” beyond the sports world. 본고는 근현대 스포츠와 내셔널리즘의 친화적 상관관계에 주목하면서 스포츠계를 둘러싼 일본 내 ‘혐한(嫌韓)’ 언설이 어떠한 환경에서 배태, 형성되어 스포츠 내셔널리즘의 권위를 획득해 갔는지를 살폈다. 주로 축구를 중심으로 일본의 프로리그인 J리그와 서포터 문화, 월드컵을 비롯한 국가 대항전을 둘러싼 소동, ‘넷우익(Net右翼)’의 등장배경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이 같은 스포츠 내셔널리즘의 확대와 한일 양국의 배외주의에 대해 3세대 이후 재일코리안 스포츠 선수들이 국적과 시민권을 넘나들며 활약하는 모습과 그들의 복수 아이덴티티를 이충성, 정대세 선수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피면서 그 대응방식의 의미를 부각시켰다. 한일 양국의 배외주의의 협공을 받으면서도 3세대 이후 재일코리안 스포츠 선수들은 자신의 선수 커리어를 위하여 국적을 바꿔가며 스타디움을 무대로 자신의 존재와 실력을 입증해왔다. 윗세대인 1, 2세대 재일코리안이 한국 혹은 북한 가운데 하나만을 선택하도록 강요받거나 조국지향이 강했던 것에 비해, 이들 3세대 이후 재일코리안 스포츠 선수들은 어느 한쪽, 즉 한 국가에 귀속, 구속되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유연한 복수 아이덴티티를 지니면서 자신의 진로와 커리어를 개척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국민국가의 굴레에 구속되기 보다는 재일로서의 자기 존재를 유연하게 활용하면서 국경을 넘어 활약해온 이들의 활동은 스포츠계를 넘어 새롭고 다양한 재일의 존재방식을 만들어 나가고 있는 ‘현재진행형’의 역사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전후 ‘재일’외국인의 문학상 수상과 ‘다문화사회’의 향방

        신승모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일본학 Vol.44 No.-

        In recent years, socalled “transnational literature” or “crossborder literature” has been drawing attention in Japanese literature circles, and literary awards famous for foreign literary Japanese literature have also been selected. This phenomenon is a phenomenon in Japan that embodies “multicultural” in the sense that it presents “culture” and “language”, which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the sharing base of literature, as a diversity rather than a single attribute It seems that it is positively evaluated as a literary word. And such evaluation has aspects related to the social atmosphere since the 2000s when “multicultural” appears as a topic of Japanese society seriously. Although the literary awards system after the war has expressed and expressed the new public domain of contemporary Japanese literature while “subsuming” Japanese literature of foreign national origin writers, This paper concretely concluded the contents and problems of that fact while discussing Choisil's “Jiny's Puzzle” who received the GUNZO Fresh Literary Prize in 2016. 근래 이른바 ‘트랜스내셔널 문학’ 또는 ‘월경(越境)문학’이 일본문학계에서 주목을 받으면서 외국출신 작가의 일본어 문학이 유명한 문학상에도 선정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일본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문학의 공유기반이라고 여겨지는 ‘문화’와 ‘언어’를 단일한 속성이 아니라 다양성으로 제시한다는 의미에서 ‘다문화’를 체현하는 일본어 문학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이 같은 평가는 ‘다문화’가 본격적으로 일본사회의 화두로 등장하게 된 2000년대 이후의 사회분위기와 연동하는 측면이 있다. 전후의 문학상 제도는 외국적 출신 작가의 일본어 문학을 ‘포섭’하면서 현대 일본문학의 새로운 공공권을 구상하고 표상해온 셈인데, 본고는 그 내실의 내역과 문제점 등을 2016년도 군조(群像)신인문학상을 수상한 최실의 「지니의 퍼즐」을 논의하면서 구체적으로 개진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후’ 일본사회와 식민자 2세 문학의 등장 ―가지야마 도시유키(梶山季之) 문학을 중심으로―

        신승모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2 일본학 Vol.34 No.-

        1945年8月の日本の敗戦後、「引揚げ」という体験を経て朝鮮から日本へ帰還した在朝日本人の中には、1950年代から日本文壇に登壇して作品を発表する作家たちが存在する。梶山季之、小林勝、後藤明生、五木寛之など、「引揚げ」当時、主に10代半ばの学生であった彼らは、日本の敗戦時まで登壇しなかった植民者二世であり、1950年代から60、70年代に渡って日本文壇で頭角を現わした。彼らには帝国-植民地期にすでに登壇して既成作家として活動していた既存の在朝日本人作家たちとは異なる創作のモチーフと文学的原点が存在したことと思われる。1930年を前後して植民地朝鮮で生れた彼ら作家にとって「朝鮮」は幼少年時代の「原郷」であると同時に、強烈な「傷痕(trauma)」でもあった。自分の国家が過去に朝鮮に対して何を行なってきたかを、成人となった戦後の日本で事後的に悟って感じる罪障意識と、朝鮮での多様な個人的体験とが絡み合いながら、彼らは自分の統合できぬ矛盾と葛藤を文学的表現と創作活動を通じて戦後の日本社会に知らせ、吐露しようとしたことと思われる。本稿では彼ら植民者二世出身の文学が1950年代から登場することとなる脈絡とその時点の意味を、同時代の日本社会と文学界における情況を参照しながら捉えてみた。それからこれに基づいてケーススタディーとして作家の梶山季之の場合を、彼の「朝鮮」素材の作品と広島で被爆された人々の戦後生活を描いた作品を中心に議論した。

      • KCI등재

        영화 <우리학교>에 나타난 조선학교 학생들의 일상과 언어

        신승모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9 일본학 Vol.49 No.-

        Noting director Kim Myungjoon's documentary film <Our School>(2006), the school discussed the daily lives of Chosǒn school students in the movie, the aspects of the use of bilingualism, and the diversity of cultural identity. <Our school> contains the life and growth of the students who spent three years at the Chosu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Hokkaido, making it a good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Chosǒn schools and their daily lives, thoughts and culture. While interpreting the epic and major scenes of the movie, paying attention to the director's intention to direct the film. In particular, the dual language usage and ‘management of identity’ were highlighted and discussed as their diverse and flexible way of being. In line with the Chosǒn School's education policy, which is now shifting to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ymbiotic education, the students were able to use life as a focal point to show diversity in the Japanese society in which each person decides and manages his or her own way of existence. This phenomenon is understood as a kind of resilient and existential “warfare” to allow Chosǒn school students to live flexibly in the Japanese society, which has always been exposed to institutional oppression and daily violence in the Japanese society as a national minority. 본고는 김명준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우리학교>(2006)에 주목하여 영화에 담긴 조선학교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이중언어 사용의 양상, 문화정체성의 다양성을 논의하였다. <우리학교>는 김명준 감독이 3년간 홋카이도 조선초중고급학교에 머물면서 취재한 학생들의 생활과 성장과정을 담고 있어서 조선학교의 실상과 학생들의 일상, 사고, 문화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본고는 영화 연출자(감독)의 연출의도에 유의하면서 영화의 서사와 주요 장면을 해석했다. 특히 조선학교 학생들에게서 볼 수 있는 이중언어 사용과 ‘정체성의 관리’ 양상을 부각시키고, 이를 그들의 다양하고도 유연한 존재방식으로서 논의하였다. 현재 다민족・다문화 공생교육으로 전환해가는 조선학교의 교육방침과도 맞물리면서, 학생들은 학교에서의 생활을 구심점으로 삼아 일본사회 속에서 각자가 자신의 존재방식을 결정하고 유연하게 관리해가는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현상은 민족적 소수자로서 항시 일본사회의 제도적 억압과 일상적 폭력에 노출되어 오면서도 조선학교 학생들이 이미 영주의 땅이 된 일본사회에서 유연하게 살아가기 위한 일종의 탄력적이면서 존재론적인 ‘전술’로서 이해된다.

      • KCI등재

        식민자 2세 여성의 문학과 정신사 —모리사키 가즈에(森崎和江)를 중심으로—

        신승모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日本硏究 Vol.0 No.79

        Among the second generation colonizers who spent their youth in the colonized Joseon, there are some people who made their debut as authors in the Japanese society after the Japan's surrender. There have been a little by little presentation of individual studies in the academic circle with the focus on male authors, but compare to such a trend,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in both Korea and Japan regarding the colonial experience of women and their activities in Japan after the WWII. Therefore, this article has paid attention to the literature expression and post-war activities of Morisaki Kazue, a woman writer from the second generation colonizer and contemplated on what was to be expressed through her works. In addition, it also has discussed on existential implication contained in her spiritual history formulated from residing in Japan and Korea. In conclusion, the colonial experience and memories as well as the process to formulate their identities have been sought around the works of Morisaki Kazue, followed by review on her poetry works and post-war activities to review the contents of her spirit history and view on life of Morisaki Kazue. Based on the foregoing review, under the contemporary view point and context, the discussion is made on the possibility of bridging the distinction and succession of memories on historic experience to the post-war generations of Japan that has not experienced any experience of lives in colonial and war situations.

      • KCI등재

        재일조선인 2세 작가 고사명의 문학표현과 정신사 ―생명에 대한 관점의 전환을 중심으로―

        신승모 대한일어일문학회 2021 일어일문학 Vol.90 No.-

        본고는 재일조선인 2세 작가인 고사명의 저술과 활동을 살피면서, 현재 위기의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문학적 치유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고사명은 가족(아들)의 죽음(자살)이라는 고통과 상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찾고, 생명의 소중함을 호소하는 메시지를 담은 저작과 강연활동을 꾸준히 해온 표현자이다. 본고는 고사명이 가족의 죽음 이후, 극한적 고뇌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가마쿠라시대 일본 정토진종의 개조로 알려진 신란(親鸞)의 언행록 『단니쇼(歎異抄)』와 같은 불교철학을 깊이 연구했고, 이를 바탕으로 생명과 삶의 궁극적인 의미를 철학적, 사상적으로 해명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의 정신사를 구명하였다. 그 정신사는 인간의 상냥함과 생명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는데, 이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오스트리아의 정신의학자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 이론과의 유사성도 살피면서 생명과 삶에 대한 동서양의 정신사가 만나고 상통하는 하나의 궁극적인 접점과 귀결을 확인하였다. 인간의 존재론적 차원에서 삶의 보편성과 생명의 소중함을 짚고 있는 고사명의 정신사는 현재 혼란과 불안이 가중된 위기의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의 정신적 절망감을 타개하고 스스로 인생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실마리와 모범사례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