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지기 일본어문학에 나타난 ‘만주’ 조선인상 – ‘만주’를 바라보는 동시대 시선의 제상(諸相) -

        신승모 ( Shin Seung-mo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8 한국문학연구 Vol.0 No.34

        본고는 만주의 조선인을 형상한 일본어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식민지기 일본어문학이 그려내는 만주 조선인상의 각 국면과 그 문학사적 배경을 검토했다. 만주를 배경으로 하는 한일 양국의 문학작품은 그 문학사적 배경을 달리 한다. 역사적인 배경과 이민의 형태에 따라 양국의 문학작품 사이에서도 그 서사 유형과 발표 시기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본문단과 문학자들이 만주로 눈을 돌려 관심을 갖고, 본격적으로 만주관련 작품을 양산하게 된 것은 1932년의 만주국 건국 이후에 일본정부가 본격적으로 실시한 일본인의 만주이민정책과 연통하고 있다. 그런데, 그 중에서도 만주 ‘조선인’의 문제를 그려낸 소수의 일본어작품이 존재한다. 만주의 조선인에 관심을 갖고 이들의 현실과 생활을 그려낸 일본어작품을 살펴보면, 그 안에는 작가나름의 특정한 창작동기와 함께, 일본을 중앙으로 하여 만선(滿鮮)을 하나의 영토로 바라보는 제국의 시선이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식민지기 일본어문학을 통해 만주의 조선인을 바라보는 동시대 시선의 제상(諸相)과 이들 작품이 서사를 획득하게 되는 과정을 계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같은 본고의 논의를 전개하는데 있어 유효한 텍스트가 이토 에이노스케(伊藤永之介)의 「만보산(萬寶山)」(1931), 장혁주의 『개간(開墾)』(1943), 유아사 가쓰에의 『압록강(鴨綠江)』(1944)이다. 이토 에이노스케의 「만보산」은 만보산사건을 묘사하는 일본인 작가가 그 조선인 표상을 ‘내지’ 일본인 문제의 연장선상에서 생각하는 제국의 시선을 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성을 담고 있고,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이 점이 간과되어왔다. 장혁주의 『개간』은 만보산사건이라는 같은 소재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당시 일본문단에서 활약하던 조선인 작가가 형상한 만주의 조선인상이라는 점에서 만주를 바라보는 제국의 시선이 장학주에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보여주고 있어, 이에 대한 검토는 지금까지의 한국 학계에서의 연구를 보완해 그 전체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가 주목한 것은 만주의 조선인 농민을 생각하는 장혁주의 작가적 진정성과 만주에 대한 제국의 입장을 견지해야 하는 ‘작위성’이 『개간』 안에서 임계하고 길항하는 양상이다. 다음으로 장혁주의 『개간』과 비슷한 시기에 일본인 작가가 만주의 조선인을 그린 소설로서 유아사 가쓰에의 장편 『압록강』이 있다. 이 작품에서 조선인의 만주이주의 문제는 일본 측이 요구하는 시점을 통해 묘사되고 있고, 제국의 만주에 대한 입장과 긴밀히 부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유아사 가쓰에의 ‘오만’이 『압록강』을 통해 왜곡된 조선인상을 그려내는 양상을 파악하면서 식민지기 만주 조선인을 그린 일본어문학이 도달한 종착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고가 이 세 작품을 주로 다루고 같이 검토하는 내적 유기성은 이들 세 작품이 만주 조선인을 형상한 일본어작품의 계보를 문학사적 흐름의 각 국면에서 드러내면서, 문학과 시국이 임계하고 길항하는 방식을 제위상에서 보여주는 데 있다. This study examined some of the literary works written in Japanese during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ole over Korea wherein Manchuria Joseon Koreans had been typified through literary work in certain ways, by looking into all the related aspects of the Koreans portrayed and the background of such portrayal in the ligh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literary works by Korean authors using Manchuria as a backdrop and the ones by Japanese authors offer different background when viewed from literary history. The differences become more obvious in the form of narrative and the time of publication, a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type of emigration to Manchuria are examined. It was not until 1932 when Imperial Japan founded the Manchu and started to implement a full-scale immigration policies of relocating some of its population to the region that the Japanese literary world and Japanese writers began to turn to Manchuria for literary creation utilizing the country as a subject of interest. Examination of the Japanese works in that period which had described the life and reality of Joseon Koreans in Manchuria offers a confirmation that each of the writers had some inherent motive for taking advantage of the subject. Specifically, the main materials of this article, such as Ito Einosuke's Mount Manbo(萬寶山)(1931), Jang Hyeok-Ju's Cultivation(開墾)(1943) and Yuasa Katsue's The Yalu(鴨綠江)(1944), not only reveal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Colonial Period Japanese literary version of Manchuria Joseon Koreans as well as the manifestation of literature and state affairs of the time collaborating and colliding with each other. Ito Einosuke's Mount Manbo, in particular, is the very first novel written in Japanese by a Japanese writer of the people from Joseon Korea who had to relocate to Manchuria. This pioneering work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previously conducted to address the problems found in the author's typification of the Joseon Koreans. Re-examination of the materials, therefore, is a worthwhile endeavor. On the other hand, Jang Hyeok-Ju's Cultivation is the portrayal of the Korean immigrants in Manchuria, written by a Korean writer who was operating in the Japanese literary circle at the time. Considering this special circumstance of the author, review of the book is likely to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picture of the Koreans, as it will add important insights to the existing research by Korean scholars. Lastly, Yuasa Katsue's The Yalu is an exemplary work by an author from the later Colonial period who had compromised to encompass the Japanese government's pressure for creating a distorted image of Joseon Koreans. Understanding the full capacity of the people as described by the Japanese writer will provide a novel look into the publications during the final stage of the Imperialistic Japan.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사 가쓰에(湯淺克衛) 문학에서의 "조선시장"과 재조일본인 2세의 정체성

        신승모 ( Seung-mo Shin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翰林日本學 Vol.0 No.28

        유아사 가쓰에(1910∼1982)는 수원에서 자라 유소년시절을 보낸 재조(在朝)일본인 2세 출신 작가로서, ‘이민’과 ‘개척’이라는 소재를 자신의 문학 안에서 형상화하면서 그 누구보다도 조선을 다룬 소설을 많이 남긴 일본인 작가이다. ‘조선시장’은 수원을 무대로 하는 유아사의 거의 모든 작품에서 보이는 중요한 모티프인데, 주목할 것은 유아사 가쓰에의 작품에서 조선시장은 단순한 무대배경으로서 등장하는데 그치지 않고, 중요한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이자 서사 전개에 있어 전환점이 되는 등 거듭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공간으로 형상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유아사 문학에서 조선시장이라는 시공간이 수행하는 역할과 의미를 규명하였다. 특히 본고는 조선에서 나고 자란 재조일본인 2세들이 점점 ‘조선화’되어가는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과 조선시장이라는 시공간의 상관관계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그 자신 재조일본인 2세 출신인 유아사 가쓰에는 작품을 통해 조선이라는 장소에 동일화하고 기존의 1세대들과는 구별되는 2세대의 집단적 정체성을 형상화하고 표현하고 있는데, 그 속에서 조선시장은 점점 ‘조선화’되어 가는 재조일본인 2세들의 존재론적인 귀속의식이 긴밀히 연결되는 시공간으로서의 의미와 역할을 지니고 있는것이다. Katsue Yuasa(湯淺克衛, 1910∼1982) is a second-generation Japanese writer living in Korea who spent his childhood and adolescent years in Suwon, Gyeonggi Province. Yuasa as a Japanese writer dealt with and left behind more novels on Korea than anyone else by materializing the subjects, immigration and pioneer in his literary works. A “Joseon sijang,” or a Korean marketplace, is an important motif used by Yuasa as it appears in almost every work of his whose backdrop is often Suwon. What’s noteworthy is a Korean marketplace in Yuasa’s works doesn’t appear simply as a backdrop but plays an important role to materialize certain time and space; it is a place where important incidences take place or it becomes a turning point of an epic development. Thus, this study clarifies the role and meaning of a Joseon sijang as time and space in Yuasa’s literature. This study mainly discusses the process of their forming a sense of identity during which the second-generation Japanese who were born and raised in Korea become “Koreanized” and a correlation between a Joseon sijang and literary time and space. Through his works, writer Katsue Yuasa, the second-generation Japanese living in Korea, identifies his place with Joseon, the former name of Korea under Japanese rule, and materialized and expressed the collective identity of the second-generation who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former first-generation. Within in, a Korean marketplace holds a meaning and a role of time and space that closely connect the existential sense of belonging of the second-generation Japanese living in Korea becoming “Koreanized.”

      • KCI등재

        재일조선인 문학과 ‘스파이 이야기’

        신승모(Shin, Seung Mo)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3 No.-

        본고에서는 김학영과 원수일의 작품을 중심으로 재일조선인 스파이 이야기가 갖는 정치적 · 문화적 함의를 살피면서 그 이면에서 약동하는 등장인물들의 내면을 논의하였다. 이는 두 작가의 작품이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의 두 가지 유형과 맥락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간’첩(‘間’諜)이라는 정치적 존재의 이면에서 영위되는 인간 개인의 욕망과 삶의 양태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문예잡지 『신쵸(新潮)』 1983년 7월호에 발표된 김학영의 「향수는 끝나고, 그리고 우리들은……(郷愁は終り、そしてわれらは──)」은 재일조선인의 ‘조국’에 대한 향수가 북한의 정치공작에 이용되고, 무참히 파국을 맞이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본고는 이 작품을 한 재일조선인의 애절한 향수와 사모곡이 남/북 두 체제의 적대적 공조에 의해 정치적으로 이용당하고 작위적으로 ‘간첩’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선명히 보여주고자 한 것으로 해석했다. 원수일의 「강남의 밤(江南の夜)」(『新日本文學』 1112호, 2000년 6월)은 이른바 ‘재일교포유학생간첩사건’을 작품의 플롯에 보조적으로 삽입시키면서, 정치와 개인의 욕망이 뒤얽혀 일어난 기묘한 착란 상태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 작품은 한 재일2세 남성 지식인의 가벼운 연애(성애) 편력담으로 읽히지만, 그것이 영위되는 동시대적 보조선상에는 언제나 정치적인 사건이나 배경이 얽혀있는 플롯을 보인다. 그 정치와 성애사이의 어디쯤에서 유동하는 한 재일조선인의 삶의 양태와 내면을 보여주면서 이 작품은 재일조선인 ‘스파이 이야기’의 한 가지 양상을 이색적인 방식으로 조명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고는 재일동포 간첩사건이 재일문학 속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인물 개인의 다양한 심리와 욕망은 그 안에서 어떻게 전개되는지 그 내면을 살펴보았다.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polit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Korean spy story in Japan, mainly on works by Kim Hak-young and Won Su-il, and discussed the inner aspects of characters behind the scenes behind it. The works of both writers well illustrate the two types and contexts of the Korean spy incidents in Japan, and they literally form the desires of individuals and the way they live, behind the political existence of spies. Kim Hak-young`"s “Nostalgia is over, and we are─”(1983) depicts the process where the nostalgia for Zainichi Chosenjins" “homeland” is utilized for political work in North Korea and it will catapult the disastrous catastrophe. Won Su-il`s “Night in Gangnam”(2000) shows a strange confusion state that occurred while involving politics and personal desires while supplementarily inserting the so-called “Spy incidents of Zainichi Chosenjin” to the plot of the work.

      • KCI등재

        재일조선인의 자기정체성 재구축과 민족교육의 공과

        신승모(Shin, Seung-mo)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8 아시아문화연구 Vol.47 No.-

        본 논문에서는 재일조선인이 ‘해방 민족’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을 민족교육과의 연계 속에서 어떻게 재구축해갔는지를 검토했다. 해방 전후부터 ‘귀국사업’이 시작된 1960년을 전후한 시기를 고찰의 대상으로 삼아 ‘제국 신민’에서 ‘외국인’으로, 그리고 다시 ‘공민’으로 변용해가는 자기정체성과 민족교육의 함수관계를 논의하면서 이 시기 민족교육의 ‘공과’를 다시금 조명하였다. 본 논문은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형성과 분화과정을 현재의 시점에서 되짚으면서 재평가하고, 이후의 민족교육의 사회문화적 변동을 이해하기 위한 아이덴티티론적 맥락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In this paper, I examined how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reconstructed the identity as “liberation nation” in collaboration with ethnic education. Identity and ethnic education that transforms from “empire subject” to “foreigner” and then “citizen” again, considering the period around 1960 when the “Homecoming Projects by Koreans in Japan” began,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While arguing the function relation with, I reviewed the “achievement and negligence” of ethnic education at this time. This paper reviews the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process of Korean ethnic education in Japan from the present time and presents the identity theory context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fluctuation of ethnic education since then Aimed 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