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질문카드를 활용한 탐구중심 과학영역 운영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선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quiry-based science center utilizing question cards on young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effects does an inquiry-based science center utilizing question cards have on children’s scientific processing skills? 2. What effects does an inquiry-based science center utilizing question cards have on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Forty-six 5 year old children were selected from C public kindergarten and S public kindergarten in Suwon (experimental group: 23, comparative group: 23). For the study, two scientific measurements were used.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Test applied in this study was adapted by Lee, Gyeongmin(2000) based on the rating scale for the scientific process skill by D. Martin(1997). The Scientific Attitude Test has be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ee, Gyeongmin (2000) based on the assessment criteria for the scientific attitude by Yoo, Gyeongsook (1999).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pre-test 2) experimental processing and 3) post-test.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for 12 weeks. During the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an inquiry-based science center utilizing question cards after theme-oriented scientific activities. For the comparative group, in contrast, the science center only provided general scientific materials after theme-oriented scientific activities. SPSS 12.0 (ANCOVA) was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from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such as observing, classifying, measuring, and communicating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is results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ng of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However, in predicting criteria, no critical difference was shown. The inquiry-based science center utilizing question card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with higher scores in the scientific attitudes such as curiosity, spontaneity & active participation, honesty, objectiveness, openness, critical ability, suspending judgment, cooperation and perseverance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ating of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The inquiry-based science center utilizing question card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perating an inquiry-based science center utilizing question cards has more positive effect on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than simply running a theme-oriented science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y that operating an inquiry based science center utilizing question card provides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본 연구의 목적은 질문카드를 활용한 탐구중심 과학영역 운영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질문카드를 활용한 탐구중심 과학영역 운영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질문카드를 활용한 탐구중심 과학영역 운영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C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23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인근에 위치한 S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23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검사 도구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의 측정을 위해 이경민(2000)이 번안한 D. Martin(1997)의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과학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유경숙(1999)의 과학적 태도 검사를 보완·수정하여 이경민(2000)이 재조직한 검사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하였고, 실험처치는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기간 동안 실험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과학활동을 한 후, 질문카드를 활용한 탐구중심 과학영역을 운영하였고, 비교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동일한 과학활동을 한 후, 그 자료를 과학영역에 비치하여 과학영역을 운영하였다.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2.0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카드를 활용한 탐구중심 과학영역 운영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하위 요소인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측하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질문카드를 활용한 탐구중심 과학영역 운영이 예측하기를 제외한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질문카드를 활용한 탐구중심 과학영역 운영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자진성과 적극성, 솔직성, 객관성, 개방성, 비판성, 판단 유보, 협동성, 끈기성 점수가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질문카드를 활용한 탐구중심 과학영역 운영이 유아들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질문카드를 활용한 탐구중심 과학영역 운영이 생활주제 중심의 일반적인 과학영역 운영보다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질문카드를 활용한 탐구중심 과학영역 운영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 일본의 지역대학과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생존전략 : 코치대학교와 유스하라정을 중심으로

        신선혜 배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본의 지역대학과 지역사회의 생존전략에 대한 것으로 일본전역에서도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15년 이상 선행되고 있는 코치현의 코치대학교와 유스하라정을 대상으로 한다. 우선, 코치대학교는 지역화를 목표로 조직을 개편하고, 지역과 관련된 학과를 신설하며, 산·학·관이 연계하여 지역의 산업인재를 양성하는 등 지역과 밀착된 ‘대학만들기’를 해 왔다. 더하여 코치대학교에서는 지자체와 연계하여 내부공동체 시스템을 구축하였는데 이 시스템은 특임교원을 지역에 직접 파견하는 것으로, 배치된 지역에 상주하면서 지역사회의 과제해결을 위해 활동을 한다. 또한 지역의 커뮤니티를 중핵으로 중간역할을 하면서 대학의 기능을 강화하는 지(知)와 지(地)의 거점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한편, 지자체마다 지역대학에 대한 요구가 다르기 때문에, 유스하라정 사례를 통하여 지역대학과의 연계 실태를 파악하였다. 유스라하정은 중산간지역의 불리한 조건 속에서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여 ‘지역만들기’를 해 왔다. 그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거점대학인 코치대학교뿐만 아니라, 지역대학, 중앙의 동경대학, 그리고 국제교류를 하고 있던 한국의 대학과도 연계하여 지적, 인적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왔다. 또한, 지역 인재의 확보 및 육성을 위한 ‘유스하라사람만들기’의 일환으로 코치대학교와 연계협정을 맺고 출장강의를 통하여 평생교육의 장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으로 최근, 코치대학교에서는 ‘지역협동학부’를 신설하였는데, 모집 대상은 고교졸업생을 비롯하여 일반인, 회사원, 지역의 지도자 등으로 평생교육자이고 지역사회에서 일할 인재를 뽑고 있다. 이렇게 지역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하여 본 생존전략은, 오늘날 인구감소·고령화 문제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한국의 지방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함에 있어 시사점이 크다는 점을 강조하는 바이다. This case study covers the survival strategy of a local university and regional society in Japan. Specifically, it covers that between Yusuhara-cho and Kochi University located in Kochi prefecture that have experienced a decrease and aging of the population for more than fifteen years. As the first measure, Kochi University has committed to “Universtiy Making” closely related with the region by restructuring its organization, establishing new departments related with the region, and educating workforce for the local industry through industry, university, and government-wide cooperation. Moreover, Kochi University established the Kochi University Inside Community System by affiliating with the local autonomous entity. This system directly dispatches a University Block Coordinator to the community to stay there and do various tasks. Also, the position serves as a “pipe” medium to strengthen the “Center of Community” function of the university, while also prioritizing the local community. Meanwhile, as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has different requests from a local university, we examine the affiliation of local university through the case study of Yusuhara-cho. Yusuhara-cho has committed to “community making” in response to continuous decrease and aging of the population, despite its geographical disadvantage as a mountainous area. In thie process, it actively utilized intellectual and human resources through affiliation with Kochi University-designated university in the regional community-, other local universities, University of Tokyo and other universities in Korea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lso,.in its “making Yusuhara people” program for acquiring and developing local human resource, it signed a professor exchange program with Kochi University to provide education dedicated to senior citizens. As a result of this interaction, Kochi University recently established its “faculty of regional cooperation”, which admits high school graduates, employees of firms, local leaders and many other types of people to work in the regional community as lifelong learners. Such survival strategy of affiliation between local university and regional community has indeed many implications in searching methods of symbiosis between those in Korea also suffering decrease and aging of population.

      • 자기효능감 근원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신선혜 서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주어진 상황을 다루는 데 필요한 행동 과정들을 조직하고 수행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 과업 수행에서 발휘될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은 학습에서 내적 동기를 유발하는 중대한 요소로 작용한다. 교사가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 아동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보다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학습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게 된다. 적극적인 학습 태도는 학습을 지속시켜 주고,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강화시켜 수행을 성취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나친 경쟁과 줄 세우기식 교육 문화가 만연한 현대 사회에서 아동은 많은 좌절을 경험한다. 잦은 실패는 아동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약화시켜 학습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아동이 위축되지 않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수행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자기효능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효능감의 네 가지 근원과 관련된 뇌 기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사가 자기효능감 형성의 근원들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자기효능감의 근원에 대한 뇌과학적인 연구는 자기효능감을 형성하는 근원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 자기효능감의 근원과 관련된 뇌 기제는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첫째, 성공실패 경험은 아동이 겪은 인상적 경험을 성공적인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 해마와 관련이 있다. 아무리 사소한 경험일지라도 그 경험이 인상적인 감성과 더불어 해마를 자극한다면 그 기억은 대뇌피질 속에 보다 잘 기억되게 된다. 이러한 기억의 결과는 이후의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둘째,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여 얻게 되는 대리학습은 거울뉴런과 관계가 있다. 아동이 의미 있는 타인의 성공을 관찰하여 대리학습을 하게 되면, 실제 수행할 때와 같은 뇌 부위가 활성화 된다. 아동이 역할모델을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놓여있다고 판단할 때 공감능력이 향상되어 거울뉴런을 더욱 활성화 시킨다. 셋째, 언어적 설득은 신경연결망의 정교화와 관련이 있다. 외부의 언어 자극이 반복적으로 주어지면 시냅스 간의 연결을 강화시켜, 신경세포들이 보다 정교한 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넷째, 정서적 각성은 정서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과 관련이 있다. 아동이 정서적으로 위협을 받게 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이 과잉 분비되어 대뇌피질이 균일하게 활성화될 수 없다. 대뇌피질이 균일하게 활성화되지 못하면 고차원적인 사고가 불가능하여 학습능력을 저하시키고 자기효능감 역시 약화된다. 자기효능감의 근원을 뇌과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현해 나가도록 돕는다. 자기효능감의 근원에 대한 뇌 과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습단계에서 성공적인 수행을 가능하게 해 주는 학습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성취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학습의 전·중·후 단계에서 체계적인 학습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는 아동이 선호하는 학습양식과 아동 각각의 인지특성을 고려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둘째, 아동에게 의미 있는 타인의 긍정적 모델링이 필요하다. 아동이 유의미하고 유용하다고 느끼는 역할모델의 모델링을 통하여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고, 자기효능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아동에게 따뜻한 격려와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시해야 한다. 아동이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그에 알맞은 감성을 담아 격려해 주어야 한다. 또한 분석을 통하여 수행을 잘 설명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넷째, 안정된 교실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수업 중 발생하는 아동의 정서는 학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정서적으로 안정된 학습 분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아동은 새로운 학습 상황에서도 적극적으로 전략을 세우는 사고력과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자기효능감의 근원을 뇌과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 근거를 과학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자기효능감의 근원을 촉진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방안들을 이끌어내어 학습에 대한 아동의 내재적 동기를 높이고 자신감을 고양시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교육 환경이 확산되기를 바란다.

      • 자녀교육관의 차이에 따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교육인식

        신선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예비부모와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자녀 즉,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교육관을 알아보고 그들이 생각하는 조기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에 관해 조사한 후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자녀교육관에 따른 조기교육인식에 대해 비교 연구 함으로써 앞으로의 예비부모의 가치관 형성을 포함한 모든 부모의 자녀 교육관 정립과 조기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교육관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조기교육에 대한 견해는 어떠한가? 셋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교육관에 따른 조기교육에 대한 견해의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교육에 대해 바라는 방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결혼을 하지 않은 미혼 남녀와 결혼은 하였지만 자녀가 없는 예비부모,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5,6,7세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교육관을 조사하기 위해 이원영(1983)의 어머니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계성 연구에서 자녀교육관 척도로 사용되었던 질문지를 기초로 삼은 김은경(2008)의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에 따른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연구에서 재구성되어 자녀교육관 척도로 사용된 질문지 총 20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조기교육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는 김승영(2003), 김재옥(2004), 박미란(2006), 이규련(2008), 김아름(2011)의 각 연구에서 사용된 조기교육 인식에 대한 질문지들을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에서는 14문항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Duncan 검증, 교차분석, 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자녀교육관에 대해 알아본 결과, 예비부모의 연령, 학력,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조기교육에 대한 견해를 알아본 결과,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모두 조기교육에 대해 ‘바람직하지 못하다’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셋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교육관에 따른 조기교육에 대한 견해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전체적인 자녀교육관과 자녀교육관의 하위영역들은 조기교육에 대한 견해에 대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교육에 대해 바라는 방향은 어떠한가에 대해 알아본 결과, 우선 관심정도에서는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모두 ‘어느 정도 관심 있다.’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조기교육에 대한 시작 연령에 대해서는 예비부모,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모두 만 5세 이상부터 시작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꼭 필요한 조기교육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창의성 교육과 제 2 외국어 교육을 선호하였으며, 조기교육 선택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서 두 집단 모두 자녀의 적성이나 소질과 자녀의 발달의 적절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조기교육의 비용면에 대해서는 예비부모는 11만원에서 15만원사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는 6만원에서 10만원 사이를 적정한 비용으로 보았고, 조기교육을 담당하는 지도교사에 대한 자격으로는 두 집단 모두 유아교육 또는 아동학을 전공하고 조기교육과 관련된 자격증 소지자를, 조기교육이 이루어지는 시간과 장소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1주일에 2번씩 센터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선호하였다. 조기교육이 나아가야 할 시스템적인 면에서는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모두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규 교육시간에 이루어져야 한다.’에 내용적인 면에서도 ‘창의성 교육 내용이 들어갈 수 있도록’에 조기교육에 대한 문제점에서는 두 집단 모두 ‘소질과 적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분별한 교육을 실행하고 있다.’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자녀가 조기교육을 받고자 한다면 시킬 의향에 있어서도 두 집단이 ‘자녀의 의사에 맡긴다.’에, 조기교육을 원하지 않은 경우 대처 방안에 있어서 ‘그만두게 한다.’에, 앞으로 조기교육이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두 집단 모두 창의성이나 사회성 등의 인성개발에 관한 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높은 응답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교육관이 예전의 성인 중심적인 자녀교육관과는 다르게 자녀의 의견을 수용하려하는 태도를 보이며 자녀들의 생각을 지지하려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연구가 계속되어 전국의 성인들의 자녀교육관에 대해 정립되어지는데 힘써야 하며 조기교육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보다는 나의 자녀와 잘 맞는지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봄으로써 자녀가 진정한 즐거움 안에서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겠다.

      • 암기 전략과 의미망 전략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신선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휘 학습 전략 중 암기 전략과 의미망 전략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장?단기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어휘 학습 전략에 따른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어휘 학습 전략의 활용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휘 학습에서 암기 전략과 의미망 전략 중 어떠한 전략이 학습자의 단기 어휘 습득에 효과적인가? 둘째, 어휘 학습에서 암기 전략과 의미망 전략 중 어떠한 전략이 학습자의 장기 어휘 습득에 효과적인가? 셋째, 어휘 학습 전략에 따른 어휘 습득 효과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가? 넷째, 암기 전략과 의미망 전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울시 소재 Y 초등학교 5학년 중 사전 어휘 검사를 통해 동질성이 입증된 세 학급을 선정하여 두 개의 실험 집단에는 텍스트 읽기 활동 후 각각 암기 전략과 의미망 전략으로 어휘 학습을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에는 어휘 학습 과정을 생략한 읽기 활동만을 실시하였다. 어휘 학습은 6주 동안 주당 2차시 실시하였고, 매주 1차시에는 세 학급 모두 텍스트 읽기 활동을 하였으며, 2차시에는 실험 집단만을 대상으로 암기 전략과 의미망 전략을 활용하여 어휘 학습 활동을 하였다. 실험 수업 후, 어휘 학습 전략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즉각 어휘 검사, 지연 어휘검사 및 설문 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어휘 습득 결과에 대해 세 집단의 어휘 검사 향상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실험 집단을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나누어 수준별 집단에 따른 어휘 검사 향상 점수도 비교 분석하였다. 이 외에도 어휘 학습 전략에 따른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설문 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망 전략이 암기 전략보다 학습자의 단기 어휘 습득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 수업 후 다음 날 즉각 어휘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의미망 집단이 암기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하였다. 둘째, 의미망 전략이 암기 전략보다 학습자의 장기 어휘 습득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 수업이 끝나고 5주 후 지연 어휘 검사를 실시한 결과 생산적 기억 유지 측정을 위한 어휘 회상 검사에서 의미망 집단이 암기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하였다. 하지만 수용적 기억 유지 측정을 위한 어휘 재인 검사에서는 의미망 집단의 향상 점수가 크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실험 집단을 능력별로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나누어 어휘 학습 전략에 따른 어휘 습득 효과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다른지 비교 분석한 결과, 의미망 집단의 상위 집단과 중위 집단 학습자가 유의미한 향상을 하였다. 하위 집단의 경우 의미망 집단의 학습자의 향상 점수가 크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넷째, 실험 수업 후에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암기 전략과 의미망 전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실험 집단의 81%의 학습자가 어휘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느꼈으며 61%의 학습자가 영어 낱말 공부에 대한 부담이 줄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85%의 학습자가 어휘 학습 전략이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어휘 학습 전략과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어휘 학습 전략의 효과에 대해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이 초등영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망 전략을 활용한 어휘 수업은 초등영어 학습자의 장?단기 어휘 습득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상위 수준과 중위 수준 학습자는 의미망 전략의 학습 효과가 크다는 점을 현장 교사가 인지하고 학습자 수준에 따른 폭넓은 어휘 학습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의미망 전략을 활용할 경우 하위 수준 학습자의 어휘 습득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다른 어휘 학습 전략을 함께 절충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셋째, 어휘 학습 전략의 활용을 통해 초등영어 학습자가 어휘 실력 향상에 대한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 초등영어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어휘 학습 전략을 적용하여 어휘 습득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morization and semantic mapping strategies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and to understand the efficiency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s a teaching method.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1) Between memorization and semantic mapping strategies, which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is effective for learners’ short-term recall in vocabulary acquisition? 2) Between memorization and semantic mapping strategies, which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is effective for learners’ long-term recall and recognition in vocabulary acquisition? 3) Does the degree of effectivenes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vary according to learners’ level? 4) What are students’ perceptions of memorization and semantic mapping strategies?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a six-week experiment was performed involving students in the 5th grade of Y Elementary School in Seou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1 were taught how to use the memorization strategy while experimental group 2 were taught how to use semantic mapping strategy after reading texts. The control group were required to read texts without carrying out any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ocabulary tests, which were conducted three times to ensure that the instrument yielded valid results reflecting students’ improvement of vocabulary ability. Satisfaction surveys and individual learner interviews were also carried out with the students. This was to further verify the validity of the quantitative results, as well as the efficiency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Here are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First, students who were taught through semantic mapping strategy had better results for short-term recall in vocabulary learning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to use the memorization strategy. As a result of word meaning recall test immediately after instruc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s. This result reveals that semantic mapping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memorization strategy for short-term retention. Second, students who were taught through semantic mapping strategy had better results for long-term recall in vocabulary learning compared to the students that were taught to use the memorization strategy. As a result of delayed word meaning recall test after 5 weeks, there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s. This result reveals that semantic mapping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memorization strategy for long-term retention. Third, the degree of effectivenes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varied from each student. This was dependent on learners’ level. While all three learner levels; high, middle and low in the semantic strategy group showed better improvements than students that were taught to use the memorization strategy, there was a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high and middle level students in semantic mapping group. Furthermore, the form of instruction us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perception. After the experiment, most stu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 on the survey for students' interest for vocabulary learning. Respondents recognized that their English vocabulary ability improved throug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Survey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y have more confidence in vocabulary learning. However the efficacy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the type of strategies and the learners’ level. From these research findings, there are important pedagogical implications. First, semantic mapping strateg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vocabulary acquisition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Second, teachers should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use semantic mapping strategy according to students’ level. In particular, there was positive effect for high and middle level students in semantic mapping group. Third, students can have more confidence to improve their vocabulary ability. Finall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apply and examine various kind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particularly discovering ways of how to assist low level students improve their vocabulary ability.

      • 초등학교 혼합 수업의 과정중심평가 설계전략 개발

        신선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학교 교육에서 온·오프라인 학습 환경의 장점을 결합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염병의 확산으로 인해 등교 개학이 연기되면서 전국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에서 온라인 수업이 전격적으로 도입되었다.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 방식이 일부 교사들이 진행하는 특별한 수업 방식이 아닌, 면대면 교실 수업과 더불어 일반적인 수업 방식으로 활용되게 된 것이다. 특히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여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의 장점과 교사와 학생, 또는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면대면 수업의 장점을 혼합한 형태의 수업 방식인 ‘혼합 수업(blended instruction)’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고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혼합 수업(blended instruction)의 강점에도 불구하고 특히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경우 학생들의 자율성이 강화되기 때문에 중도탈락(dropout)이나 소극적 참여인 잠복(lurking)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온라인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오프라인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일종의 교수전략으로서 평가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교사의 적절한 평가 전략이 온라인 오프라인 혼합 수업을 개선할 수 있다. 온라인 오프라인 수업에서 학생의 수행 과정을 면밀히 파악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중심평가’를 실천할 필요가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과 함께 강조되는 과정중심평가는 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이다. 과정중심평가 관련 선행연구는 주로 교실 상황에서의 평가 전략을 다루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다양한 교과를 가르치는 한 명의 교사가 여러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면밀하게 살피고 평가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온라인 오프라인 혼합 수업 상황에서 학생의 학습 기록과 교사의 평가 및 피드백 전략을 종합한 과정중심평가 설계전략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 온라인 오프라인 혼합 수업 맥락에서 과정중심평가 설계전략은 무엇인가? 둘째, 과정중심평가 설계전략이 적용된 수업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일종의 개발연구로서 형성적 연구 방법론에 따라 진행되었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초기 설계전략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도출한 전략을 연구 참여자인 초등학교 6학년 1학급(교수자 1인, 학습자 26인)에 초기 실행을 통해 적용한 뒤 교사와 학생 의견을 조사하였다. 추가로 전략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초기 설계전략에 대해 교육공학 및 교육평가 전문가 4인과 초등학교 교사 3인에게 두 차례 걸쳐 전문가 타당화를 거쳤다. 이러한 과정을 종합하여 도출된 설계전략을 연구 참여 학급에 적용하여 수업 관찰 및 심층 면담을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의 반응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내적, 외적 타당화 과정을 통해 초등학교 온라인 오프라인 혼합 수업의 과정중심평가 최종설계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1) 학습 과정 기록을 위한 온라인 오프라인 학습 환경 조성, 2) 혼합 수업과 평가를 위한 최적의 기술 활용, 3) 온라인, 오프라인 환경을 고려하여 평가와 피드백이 반복되는 수업 설계, 4)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5) 평가 기준의 명확한 안내, 6) 교사의 관찰평가와 다양한 평가 도구 활용, 7) 학습자 자기 성찰과 동료피드백의 활용, 8) 맞춤형 피드백 제공, 9) 온라인 대시보드를 활용한 피드백 제공, 10) 온라인-오프라인 연계 피드백 제공, 11) 준거참조 형태의 평가 결과 제시, 12) 수업과 평가의 개선의 총 12개의 일반 설계전략과 38개의 상세지침을 개발하였다. 설계전략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첫째, 혼합 학습을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을 각 환경의 특징에 맞게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둘째, 혼합 수업에서 평가 설계를 통한 교수 실재감이 학생들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습자의 학습 부담 및 교사의 업무 부담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평가 전략을 종합하고 경험적으로 적용하여 온라인 오프라인 혼합 수업에서 과정중심평가 설계전략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학교 맥락에서 온라인 오프라인 혼합 학습 환경이 과정중심평가와 관련하여 가지는 장점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Blended learning, which combines the advantages of online and face-to-face instruction in classroom, is actively used to enhance educational effects. Recently,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led to the online opening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As a result, classes using online platforms are emerging as alternatives and partners for offline classes. It is time that ‘blended learning’, a form of teaching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online learning with the advantages of face-to-face classes becoming important in the education. However, despite the strength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using technology, learning in online classes has been left to students' autonomy, so problems such as dropout and hiding have been raised in education. Therefore, teachers should look closely at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provide feedback so that students can continue learning online and offli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process-based assessment' that closely identifies students' performance and gives feedback in blended learning classes. The process-based assessment focuses on the process of producing results as well as learning outcomes. In the literature, process-based assessment mostly deals with evaluation strategies in offline classroom situations.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y it is difficult for a single teacher in the classroom to scrutinize the learning process of severa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rocess-based assessment design strategy, which combines teacher's evaluation and feedback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online and offline blended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what is the process-based assessment design strategy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online offline blended classes?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n classes where the process-based assessment design strategies are applied?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as a kind of developmental research. The initial design strategy was deriv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Next, the strategy was applied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6th grade one class (one teacher and 26 students). Through initial implementation,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initial design strategy was validated twice by four education experts and three primary school teachers. The design strategy was finally applied to the research participating class to grasp the reaction of teacher and students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ubsequent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develop the final design strategy for the process-based assessment of blend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 A total of 12 general design strategies and 38 detailed guidance were developed. 1)Creating an online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for learning records; 2)Utilizing optimal technology for blended instruction and assessment; 3)Designing blended instruction with repeated evaluations and feedback; 4)Integrating curriculum-instruction-assessment; 5)Providing clear guidance on assessment criteria; 6)Using teacher observation and diverse evaluation instruments; 7)Using self reflection and peer feedback; 8)Providing customized feedback; 9)Providing feedback using online dashboard; 10)Providing online-offline linked feedback; 11)Presenting assessment results; 12)Improving next classes and assessmen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trategy, first, the 'Teaching Presence' through teacher's observation and feedback in blended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arning. Second, it was necessary to design online and offline class types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nvironment for blended learning. Third, it was necessary to revise the strategy in terms of the burden of learners and teachers' work. Design strategies that reflect these points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optimize the process-based assessment strategy in online offline blended learning by developing and applying strategies empirically.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the study identified the advantages of the online offlin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for process based assessment in elementary education.

      • 초등과학 수업을 위한 지식채널 ⓔ 활용방안

        신선혜 광주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과학교과와 관련된 웹자료를 분석해서 과학수업에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웹자료 중에서 지식채널 ⓔ 프로그램을 분석해 초등과학 교과와 관련있는 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지식채널 ⓔ 프로그램의 활용실태를 분석한다. 둘째, 지식채널 ⓔ 프로그램에서 방송된 내용 중 과학관련 내용을 분석한다. 셋째, 내용을 분석한 후 초등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토대로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식채널 ⓔ를 초등학교 교사들이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수업에 얼마나 활용하는지에 대해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고, 2005년 9월 5일부터 2008년 8월 25일까지 방영된 지식채널 ⓔ 프로그램을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로 시청한 후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의 네 영역으로 분류하고 초등과학 교과와의 관련성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3·4학년은 차기 1·2 학기 교과서, 실험관찰, 지도서로 분석하였고 5·6학년은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관성을 찾아 수업에 적용될 수 있는 학년, 학기, 단원, 교과서 쪽수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제시하였다. 먼저 지식채널 ⓔ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선호하는 지상파 채널이 아니고, 늦은 시각에 짧은 시간 방영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사 기간 동안 총 457편이 방송되었으며, 그 중에서 과학관련 주제는 물리6편 (7.3%), 화학 3편(3.7%), 생물 53편(64.6%), 지구과학 20편(24.4%)으로 총 82편(17.9%)이었다. 지식채널 ⓔ 방송자료를 분석한 결과 생물영역과 지구과학영역의 제작편수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지식채널 ⓔ 프로그램의 활용방안을 분석한 결과 각 학년별로 활용도가 높은 단원은 3학년 '동물의 한살이' 4학년 '모습을 바꾸는 물' 5학년 '태양의 가족' 6학년 '우리 몸의 생김새' 단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3~6학년의 교과과정 속에서 동기유발 단계에서 19편이, 심화·정리 단계에서 51편이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5학년 교과내용 중 '현미경으로 잎 관찰하기' 수업에서 동기유발 자료로써 지식채널 ⓔ의 'Mission impossible'을 활용한 결과 실험반 학생들이 비교반 학생들에 비해 현미경 수업에 관한 흥미도가 더 높게 나왔고, '사람과 환경이 서로 미치는 영향' 수업의 심화·정리 단계에서는 지식채널 ⓔ의 '수리부엉이 농가습격'을 직접 적용해 본 결과 실험반 학생들이 환경을 보존하는 방법을 좀더 폭넓게 생각하는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지식채널 ⓔ 프로그램을 3~6 학년 과학교과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수업목표를 달성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nternet web sites that related to science instruction and make appropriate uses in classroom. There were various web sites to choose, and the Knowledge Channel ⓔ was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is research will abstract information that related to science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from the Knowledge Channel ⓔ, also it will give ideas how to use them in classroom. The questions that set up for this research are same as follow: 1. Analyze actually uses of the Knowledge Channel ⓔ ba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2. Analyze the broadcasted programs of Knowledge Channel ⓔ's scientific relation. 3. After all analysis, propose an plan to use of the Knowledge Channel ⓔ,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cientific curriculum and the Knowledge Channel ⓔ. For this research, there were surveys ab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find out how much information do teachers have about the Knowledge Channel ⓔ and how often do they use the Knowledge Channel ⓔ in the classroom. In addition, programs that broadcasted from September 5th, 2005 to August 25th, 2008 were selected and reviewed, and classified into Physics, Chemistry, Earth Science, and Biology, and arranged the rel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First, the recognition of the Knowledge Channel ⓔ was low, and the reasons for this outcome seems to be the hours broadcasting which is too late, also the Knowledge Channel ⓔ is not a preferable terrestrial broadcast channel. Second, during the research, there were 457 programs broadcasted; 6of them were related to Physics, 3 were related to Chemistry, 53 were about Biology, and 20 were about Earth Science. Analysis describes there were enough programs about Biology and Earth Science that may use in the class. As results of analysis plans for efficient use of the Knowledge Channel ⓔ, the most effective unit for 3rd grader was 'Life Cycle of Animals', for 4th grader was 'Transformed Water', for 5th grader was 'Family of Sun', and for 6th grader was 'Structure of Body'. In addition, 19 units of lessons were usable in motivation stage, and 51 of units were possibly applied in conclusion stage. In conclusion, as teachers use programs of the Knowledge Channel ⓔ as actively to 3rd to 6th graders, it definitely has positive effects to achieve goals of each lesson.

      • 작업치료사의 직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업능력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신선혜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직무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작업능력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작업치료사의 효율적인 직무스트레스, 작업능력 관리방안 마련을 통해 삶의 질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직무 환경을 의료기관과 의료기관 외로 나누어 직무 환경에 따른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작업능력, 및 삶의 질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2016년 12월 12일부터 2017년 2월 10일까지 우편, 직접방문,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총 300부를 배포하였으며 완성된 설문지를 239부를 회수하였다(회수율 79.7%). 그 중 유효한 설문지 227부만을 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직무환경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작업능력,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있었다. 둘째, 직무환경별 직무스트레스, 작업능력, 삶의 질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은 직무환경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무환경에 따른 작업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직무환경별 직무스트레스, 작업능력,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직무환경에 상관없이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능력과 삶의 질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는 결론을 입증하는 것에는 미흡하겠지만, 이 결과는 향후 작업치료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 삶의 질의 연구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주제어 : 작업치료사, 직무스트레스, 작업능력, 삶의 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