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용자 참여 방식의 초등학교 실내공간 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신선영 ( Shin¸ Sun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학교 실내공간의 색채는 교육적 생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학교 실내공간 색채디자인 적용 방식은 건축적 설계의 편의성과 시공의 경제적 이윤을 위한 일편적 방식이 적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세대인 어린이들이 생활하는 서울 창동초등학교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교육활동을 위한 환경색채에 대한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색채디자인 연구에 있어 사용자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워크샾을 통하여 실질적 사용자 참여에 대한 색채 결과를 디자인에 적용하여 향후 색채연구의 기초자료로 역할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 과정의 내용을 정리하면 1단계로 답사를 통하여 학교의 현재 공간의 색채 환경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의 디자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2단계로 학교 실내공간 사용자를 대상으로 교육 색채에 대한 강의 및 디자인 참여 워크샵을 실시하여 세부적인 참여의견을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3단계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한 색채디자인 컨셉과 방향을 도출하여 공간별 내용을 정리하였다. 4단계로 참여 내용과 색채 디자인 이론 및 분석을 기반으로 여러 유형을 디자인하여 관계자 협의를 통한 의견 조율을 통하여 최종안을 선정하였다. 5단계로 색채디자인 최종안에 대한 색채 코드 및 샘플을 기초로 도장 공사를 실시하고 만족도 및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교실에 적용된 색채는 주조색으로 S 0520-R90B는 벽체와 기둥에 적용하였으며, 또한 보조색으로 S 0520-R90B는 게시판 영역에 적용되었고, S 0530-R90B는 창문 선반 하부에 적용되어 공간 구분의 기능을 적용하였다. 복도에 적용된 색채는 층별 구분을 위하여 두 가지 형식으로 적용되었는데 주조색은 S 0520-R90B와 S 0530-R90B, 0520-B30G, S 1030-B30G, S 1050-B30G, S 0560-Y, S 0520-G50Y, S 0540-G50Y, S 1060-G50Y이 적용되었다. 또한 계단실에는 각 층별로 1층에는 Y 계열인 S 0520-Y와 S 0540-Y, S 0560-Y를 그래픽 형식의 강조색으로 적용하였으며, 2층에는 BG 계열의 S 0520-B30G, S 1030-B30G, S 1050-B30G를 적용하였고, 3층에는 GY 계열의 S 0520-G50Y, S 0540-G50Y, S 1060-G50Y를 적용하였다. 또한 4층에는 YR 계열의 S 0520-Y40R, S 0550-Y40R, S 0570-Y40R을 적용하여 전체적인 계단실 색채가 층별로 다른 인지 효과를 창출하게 하였다. (결론)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실내공간의 색채디자인에 있어 참여 워크샵 과정은 매우 의미가 있으며, 긍정적인 결과에 도달한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사용 시 심리적으로 중요한 역할과 긍정적 결과에 도달하므로 향후 지속적인 참여를 통한 교육공간 색채디자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Background and Purpose) Although the color of the school interior space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educational life, the existing color design application method of the school interior space has been applied to the convenience of architectural design and the one-sided method for economic profit of construction.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conducted a design study on environmental colors for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interior space of Changdong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ere children, who are very important generations in education, live.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a database for future color research by applying the color results of actual user participation to design through wor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In the first step, the study set up a design plan such a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color environment of the current space of the school through exploration. In the second stage, lectures on educational colors and workshops for design participation were conducted for the users of the indoor space of the school, and detailed opinions were drawn and arranged. In the third stage, the color design concept and direction based on the user’s requirements were derived and the contents by space were arranged. In the fourth stage, the final draft was selected through coordination of opinions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participants by designing various types based on the participation contents, color design theory and analysis. (Result) The color applied to the classroom was the casting color, and S0520-R90B was applied to the wall and column. Moreover, S0520-R90B was applied to the bulletin board area as the auxiliary color, and S0530-R90B wa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window shelf. The color applied to the corridor was applied in two types for the classification of each floor. The cast colors were S 0520-R90B and S0530-R90B, In addition, the first floor of each staircase was applied with Y series S0520-Y, S 0540-Y, S0560-Y as graphical emphasis colors. On the second floor, BG series S0520-B30G, S1030-B30G, were applied. On the third floor, GY series S0520-G50Y, S0540-G was applied. 50Y, S1060-G50Y were applied. In addition, the fourth floor was applied with YR series of S0520-Y40R, S0550-Y40R,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different cognitive effects by floor. (Conclusion) Through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draw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workshop in color design of interi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is very meaningful and that it reaches positive results. As it reaches psychologically important role and positive result when using i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color design of educational space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인공지능 서비스 영향평가 추진방안에 대한 연구

        신선영,Shin, Sunyoung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promotion of AI service impact assessment based on the definition of impact assessment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AI service impact assessment cases. Th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case of impact evaluation promoted in various fields at home and abroad and the case of impact evaluation at home and abroad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As a step-by-step implementation plan, in the first stage, quantitative indicators such as AI level survey-based economic effects are developed, and in the second stage, information culture such as safety and reliabi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described in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al, economic, information protection, and people's daily lives are prepared. In the third stage, discussion on detailed metrics and methods will be expanded and impact assessment results will be evaluated. This study requires analysis through various participants such as policy designers,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developers, and civic groups in the future.

      • KCI등재

        사용자 참여의견을 적용한 초등학교 화장실 디자인 연구

        신선영 ( Shin Sun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2014년부터 현재까지 서울특별시 교육청인 관이 주도하는 우리학교 화장실 꾸미기 사업이 2014년부터 시행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사업의 성과가 매우 높은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또한 화장실 디자인 사업은 디자인 전문가 선정 및 실내건축설계, 사용자 참여디자인 과정인 워크샵을 통하여 실질적인 화장실 디자인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 참여 화장실 디자인 프로세스 진행과정과 이를 바탕으로 실현된 화장실 디자인 결과를 분석함으로서 초등학교 화장실이 환경적으로 친숙하고 친밀한 공간으로 인식되고 지속성 있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하려 한다. (연구방법) 디자인 연구 과정에 있어서 학교의 직접적인 사용자라 할 수 있는 학생, 선생님, 학교 관계자와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디자인 의견을 반영하는 참여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에 있어서는 워크샵에 의한 결과를 반영하여 화장실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8년 3월 25일부터 4월 3일까지 현장에 대한 답사를 통한 문제점과 내용을 파악하고, 4월 24일 부터 5월 11일까지 사용자 워크샵을 5회 실시하여 워크샵을 통하여 수렴된 자료를 분석 및 종합하고 화장실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결과) 화장실에 대한 접근성을 위하여 시각적 인지성을 높이기 위한 색채를 적용하였으며, 사용자인 초등학생용인 세면대 및 소변기, 양변기 등 기타 물품에 규격을 적용하여 시공하였다. 특히 안정성을 고려하여 바닥의 미끄럼 방지와 배수에 문제가 없는 타일을 선정하였으며, 전체적인 화장실 이용 조닝은 사용상 편의성을 고려하여 출입구에서 진입 시 일면 큐비클 칸막이의 대변 영역과 맞은 편의 소변 영역을 적용하였으며, 입구에 세면대 및 거울을 적용 공간과 분리하여 편리성을 극대화 하였다. (결론) 초등학교 화장실 공간은 아동 및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환경적, 물리적으로 중요한 공간이며, 신체적 발달과 함께 행태를 고려하여야 하고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정서적으로 편안함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적으로 필요한 물리적 상황을 조성하므로 정신적, 신체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화장실 디자인 과정에 대한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교 화장실 디자인 과정에 있어 사전 설문연구와 참여 워크샵 과정이 디자인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좋은 디자인 결과물을 제시한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고, 향후 지속적으로 참여방식의 화장실 디자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From 2014 to the present, the toilet decorating project of our school l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4, and the results of the project are very high. In addition, the toilet design business is applying practical toilet design through design specialist selection,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and workshop which is user participation desig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ess of the user-participating toilet design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toilet design realized based on it as a way for elementary school toilets to be perceived a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intimate spaces and serve as sustainable places. (method) In the design research proces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officials who can be the direct users of the school to reflect the design opinions. In the contents, the study examined the toilet design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workshop.The research period was from March 25, 2018 to April 3, 2018, and the problems and contents of the field were identified. From April 24 to May 11, the user workshop was conducted five tim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through the workshop and applied to the toilet design. (Result) To improve the visual awareness, colors were applie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the toilet, and the standard was applied to other items such as washstands, urinals, and toilet bow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stability, tiles that do not have any problems in slip prevention and drainage of the floor were selected. The overall toilet use zoning was applied to the feces area of one cubicle partition and the urine area opposite to the entrance when entering the entrance,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use. (Conclusion) The bathroom space of elementary school is an important environmental and physical space used by children and childre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behavior together with physical development and to convey psychologically stable and emotional comfort.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hysical situation that is environmentally necessary, so it sh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Through the results of the toilet design proces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participation workshop process have a very positive effect on the design and present good design results in the toilet design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study of the toilet design in the way of participation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

        경관심의 건축물 색채평가의 심의전문가 가치기준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경관심의 전문가 대상 설문연구를 중심으로 -

        신선영 ( Sunyoung Shin ),이규백 ( Gyoobaek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연구배경 및 목적) 경관에서 건축물은 지역이나 도시를 구성하는 수평적, 수직적 조형요소이며 각 건축물별 입면은 경관 속에서 건축물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감성정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관심의 시 건축물에 대한 색채평가 항목 및 평가내용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경관심의에서 건축물 색채평가에 있어 색채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에 의한 심의가 제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사회적 분화에 따라 전문적 색채연구에 의한 제시와 검토를 통한 재적용이 필요한 상황이고, 향후 연구에서 색채평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심의전문가에 대한 평가 가치기준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평가 가치기준에 대한 설문 및 통계연구를 통하여 세부적인 내용을 연구하고자 하며 본 설문연구는 경관심의 건축물 색채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되는 자료로 향후 연구의 바탕 역할을 할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의 경관심의 건축물 색채평가에 참여한 심의전문가 29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설문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영역은 색채평가 심의 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색채교육 및 심의 경험수준과 색채평가 중요성과 인지수준, 색채평가 가이드라인 평가수준 등의 3가지 영역에서 각각의 문항을 개발하여 총 20문항의 설문을 진행하였고, 객관적 분석을 위하여 통계과정을 적용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3.0을 이용하여 t-검정을 실시하고 설문연구 전체에 대한 3영역 항목과 세부내용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였다. (결과) 심의위원의 색채교육 및 경험을 높이기 위한 색채교육 및 과정의 필요성이 매우 높으므로 교육 및 경험을 통하여 색채에 대한 관심과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결론과 건축물색채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색채평가 심의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는 것은 건축물 색채평가에 대한 세부적인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었다. 색채평가에 있어 체크리스트의 항목별 준수가 필요하며 평가 항목 및 내용을 개발하여 세부적인 평가를 통하여 심의에 대한 객관성과 만족도를 극대화하여야 하며, 건축물 색채 요소와 다른 평가조건 우선 심의 내용 설문을 통하여 색채가 우선시 되지 않고, 평가에 의한 결과가 경관에 적용되고, 도시 및 신개발 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건축물 색채평가가 우선되면서 세부적인 소규모 건축물에 대한 색채평가도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와 건축물에 대한 색채요소의 평가에서 영향력이 높은 색상, 명도, 채도, 색조에 대한 평가 반영은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경관심의 건축물 색채평가 심의에 있어 심의전문가들의 가치기준에 대한 설문 및 통계연구는 경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연구 결과이며, 경관에 있어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건축물의 색채요소는 정보적인 요소로 감성을 통하여 인간에게 안정과 활력이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은 세부적인 연구 결과는 점차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한 경관 개발이 진행되는 지금 경관심의 건축물 색채평가에 고려해야 할 중요한 내용이며, 보다 발전적 측면에서 많은 연구를 통하여 심의위원의 가치기준의 명확성과 객관성이 향상되어 생활에 적합한 경관이 조성되어야 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연구의 기준 자료로 역할을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landscapes, buildings are visually recognized by horizontal and vertical formative elements such as the front, mouth, side, and back of each building when constructing areas or cities, which provide emo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guidelines and checklist deliberations of the landscape review―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color of buildings―are systematically applied. It is necessary to reapply through social differentiation and professional color research. This survey provides a very important basis for evaluating the color of buildings in the landscape and will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Method) This study visited 29 deliberation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f the color of the building i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each item in three areas: color education and deliberation experience level, color evaluation level, S 23.0 was used to perform a t-test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three areas and details of the entire survey. (Result) The fact that the members of the deliberation committee have a high need for color education and courses to enhance their color education and experience, and that they should raise their interest and expertise in color through education and experience, whil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uilding colors, and the low satisfaction with color evaluation deliberations required a study to develop detailed checklists on building color evaluation. In color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comply with each item of checklist. It is necessary to maximize objectivity and satisfaction of deliberation through detailed evaluation by developing evaluation items and contents. As the color is not given priority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evaluation factors and other evaluation conditions, The evaluation of color elements for the color factor is highly influential,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reflect the evaluation of color, brightness, saturation and hue. (Conclusion) Surveys and statistical studies on the value standards of deliberation experts in the evaluation of landscape design are important research results in landscapes. The color elements of buildings that occupy a large area of landscape are important factors that stabilize and revitalize human beings through emotions. These detailed findings are important to consider in the evaluation of the color of the landscaped buildings as the landscape development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s progressing. Through more developmental studies, the clarity and objectivity of the deliberation committee members should be improved to create a landscape suitable for lif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andard for future research.

      • 조기 식도암에서 내시경점막하박리술 시행 후 항암방사선동시요법을 시행한 1예

        한규현,신선영,문준일,송가원,고원진,김원희,홍성표,조주영,Kyuhyun Han,Sunyoung Shin,Junil Moon,Gawon Song,Wonjin Koh,Wonhee Kim,Sungpyo Hong,Joo Young Cho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5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3 No.1

        62-year-old patient who had past history of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at September 2008, underwent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of esophagus for early esophageal cancer at mid esophagus during health screening service. Because there was a high risk of lymph node metastasis at biopsy results,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as added to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There was a metachronous cancer at mid-esophagus at March 2013. He underwent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photodynamic therapy. Concurrentchemoradiotherapy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i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