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두뇌중심주의와 기능주의의 딜레마

        신상규(Sangkyu Shin)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2

        본 논문은 심성이나 인지적 과정을 두뇌의 과정으로만 이해하는 신데카르트주의적 두뇌 중심주의에 반하여, 인지에 있어서 신체나 환경의 본질적 역할을 강조하는 ‘체화된 인지’ 연구의 핵심적 주장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그 아래에 포섭될 수 있는 여러 이론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장 관계를 다룬다. 특히 체화된 인지에 대한 샤피로의 주장과 확장된 인지에 대한 클락의 주장을 중점적으로 비교하며, 블록이 제기한 기능주의의 딜레마를 통하여 이 두 이론 사이의 긴장을 조명한다. 샤피로의 체화된 인지가 쇼비니즘적 기능주의의 길을 택했다면 클락의 확장된 인지는 자유로운 기능주의의 길로 가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entral tenet of ‘embodied cognition’ approaches to the mind which emphasize the essential roles that the body and the environment play in cognitive processes. Those approaches can be best understoo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neo-Cartesian conception of the mind, which views the mental and cognitive processes as the same with, or as being realized by the brain processes. However, we can also observe potential tensions among the ‘embodied cognition’ approaches. This paper highlights a tension between Shapiro’s view of embodied cognition and Clark’s view of extended cognition by reconsidering them against Block’s dilemma of functionalism. Shapiro’s view may be regarded as a chauvinistic form of functionalism, whereas Clark’s view is a very liberal form of functionalism.

      • KCI등재

        확장된 마음과 동등성 원리

        신상규(Sangkyu Shin) 한국분석철학회 2011 철학적 분석 Vol.0 No.23

        확장된 마음 논제를 공격하는 많은 비판자들은, 클락이나 찰머스가 말하는 동등성의 원리를 두뇌 외적과정과 두뇌 내적과정 사이의 실질적인 유사성을 요구하는 매우 강한 원리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들의 비판은 주로 내적 과정과 외적 과정 사이의 차이를 지적하는 데 치중하고 있다. 이 논문은 확장된 논제의 정당화나 유지를 위하여 과연 동등성 원칙에 의존할 필요가 있는가를 검토하고, 올바른 형태의 확장된 마음 논제가 가야 할 방향이 어디인지를 모색한다. 결론적으로, 강한 의미의 동등성 원칙에 호소하는 것은 불필요한 부담만을 야기하며, 확장된 마음이 필요로 하는 동등성이란 매우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의 느슨한 기능적 동등성에 불과함을 주장할 것이다. The main criticisms raised against the thesis of extended mind understand the principle of parity ascertained by Clark and Chalmers as requiring the very substantial similarity between intra-cranial processes and extra-cranial processes. Thus, those criticisms focus on submitting various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thesis of extended mind really needs to resort to the principle parity for its defense, and tries to find a more plausible version of the thesis without the principle. This paper concludes that what is needed for the extended mind is just a sort of functional similarity understood in a very loose sense.

      • KCI등재

        표시와 기능

        신상규(Sangkyu Shin) 한국분석철학회 2006 철학적 분석 Vol.0 No.14

        이 논문의 목적은 지향성의 자연화에 대한 드레츠키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드레츠키의 이론에 따르면, 지향적 내용은 표상과 그것이 표상하는 대상이나 사태 사이에 성립하는 공변적 관계에 기초한 정보적 내용을 통하여 해명될 수 있다. 그런데 드레츠키는 이러한 공변적 표시이론만으로는 지향성이 갖는 규범적 특성을 해명할 수 없다고 보고, 기능 개념이라는 목적론적 요소를 통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주된 내용은 드레츠키의 그런 시도가 만족스럽지 못함을 보이고 그 원인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드레츠키의 이론이 여러 형태로 등장하는 표상적 의미의 불확정성 문제에 대해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함을 예증할 것이다. 필자는 그러한 결과가, 결국엔 드레츠키가 도입한 기능개념의 무능력함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드레츠키의 기능개념은 단지 진리조건과 의미조건의 괴리에 대한 최소한의 가능성만을 확보해 줄 뿐이며, 의미조건을 결정함에 있어서 별다른 적극적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드레츠키에 있어서 공변 관계는 표상이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일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의미조건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리고 그런 한에 있어서 드레츠키의 이론은 표상적 의미의 확정성을 만족스럽게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공변적 표시관계는 표상적 내용을 결정하는 데에 충분하지도 않으며 필요하지도 않다. 드레츠키의 난점을 극복하는 길은 의미나 내용의 결정에 있어서 공변관계가 필수적이라는 생각을 버리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Dretske's informational semantics. Two central notions in Dretske's theory are 'indication' and 'function'. According to Dretske, the representational content of a mental state can be reduced to the information which is fixed by a co-variational indication relation between the representing state and the state represented. A critical problem with this approach is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misrepresentation, if not impossible. Dretske has introduced 'function'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misrepresentation. I try to show that the notion of function in his intended sense is not playing any interesting role in fixing the semantic content of mental representations. What matters in fixing mental content on his account is still the indication relation. My criticism of Dretske's theory is that indication may not be an essential element of representational relations. It is neither necessary nor sufficient for a representational relation to obtain. I argue that Dretske's indicational semantics is not adequate to solve various indeterminacy problems. To deal with these problems successfully, he needs a stronger notion of function which does not depend on reliable co-variation any more.

      • KCI등재

        의식은 지향성에 우선적인가?

        신상규(Sangkyu Shin) 한국분석철학회 2008 철학적 분석 Vol.0 No.18

        써얼에 따르면 심성적인 것의 가장 중추적인 특성은 의식이다. 써얼은 심성의 무의식적 심성상태의 지향적 특성이 의식적인 접근 가능성을 통해서만 해명될 수 있다는 이른바 연결원리를 통하여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연결원리에 대한 서얼의 논증이 잘못된 가정에 근거하고 있음을 보임으로서 이러한 주장을 반박하는 것이다. 써얼의 논증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심성의 양태적 모습이 삼인칭의 행동적 혹은 신경생리적 술어를 통해서는 완전하게 규정될 수 없다는 전제이다. 필자는 생물학적 기능에 호소하는 밀리칸 식의 입장이 의식적 접근 가능성에 호소하지 않으면서도 생물체의 심성상태가 갖는 양태적 모습을 삼인칭적으로 결정해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Searle contends that the most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mental is consciousness. Searle tries to support this claim through the connection principle to the effect that all unconscious intentional states are in principle accessible to consciousness. According to Searle, the aspectual shape of the mental cannot be exhaustively or completely characterized solely in terms of third-person, behavioral, or neueophysiological predicates. Thus even unconscious intentional states have the aspectual shapes only if they have the causal capacity to produce conscious states and processes where those aspectual shapes are manifest. I argue that the position like that of Millikan, which is based on the biological notion of function, can successfully characterize the aspectual shapes of the intentional states in terms of third-person predicates without resorting to the accessibility of consciousness.

      • KCI등재

        계산은 관찰자 의존적 속성인가?

        신상규(Sangkyu Shin)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20

        본 논문은 인지적 계산주의에 대한 써얼의 두 가지 비판을 검토한다. 써얼의 비판 중의 하나는 의미론이 구문론에 내재하지 않음을 주장하는 중국어방 논변이며, 다른 하나는 『마음의 재발견』에서 제시된 ‘구문론은 물리학(물리적 속성)에 내재적이지 않다’는 논변이다. 본 논문은 그의 비판이 계산주의에 대한 결정적 논박일 수 없음을 주장한다. 써얼 논변의 문제는 구문론이 의미론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규정되고, 의미론적 층위가 구문론에 임의적으로 할당(해석)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데 있다. 나는 구문론만을 통해서가 아니라 의미론에 의해 제어되는 보다 충만한 계산개념이 있을 수 있으며, 그것이 마음의 본성을 해명함에 있어서 계산주의가 채택할 수 있는 보다 올바른 모습의 계산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이때의 구문론은 제한적 의미에서 모종의 자율성을 갖기는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의미론에 의해 그 구문적 특징이 속박되거나 규제받는 구문론이다. 만일 본래적 지향성이란 것이 가능하다면, 본래적 지향성의 의미론에 의해 제어되는 구문적 과정은 관찰자의 해석에 의존하지 않는 관찰자 독립적인 계산적 속성을 가질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earl's two criticisms against cognitive computationalism. One is the chinese room argument, which aims to establish that semantics is not intrinsic to syntax, and the other, suggested in The Rediscovery of the Mind, contends that syntax is not intrinsic to physics. I argue that both criticisms fail to refute computationalism. The problem of Searls's criticisms is that they are founded on the wrong assumptions that syntax can be specified independent from semantics and that meaning can be arbitrarily assigned to syntactic symbols. I believe that there could be a thicker notion of computation as being constrained by semantics, and argue that it is what computationalists need for the purpose of elucidating the mind in terms of computation. The syntax in this scheme enjoys a limited kind of autonomy, but the syntactical features of symbols are ultimately subject to semantic constraints. If such a thing as original(intrinsic) intentionality is possible, the syntactic processes being constrained by the semantics of original intentionality would have observer-independent computational properties which no longer require an interpretation by external observers.

      • KCI우수등재

        인공지능은 자율적 도덕행위자일 수 있는가?

        신상규(Sangkyu Shin)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2

        ‘도덕 행위자(moral agent)’의 개념은 전통적으로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는 자유의지를 가진 인격적 존재에 한정되어 적용되었다. 그런데 도덕적 함축을 갖는 다양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자율적 AI의 등장은 이러한 행위자 개념의 수정을 요구하는 것처럼 보인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일정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AI에 대해서 인격성을 전제하지 않는 기능적인 의미의 도덕 행위자 자격이 부여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런 한에 있어서, AI에게도 그 행위자성에 걸맞은 책임 혹은 책무성의 귀속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예상되는 여러 가능한 반론들을 살펴보고 거기에 응답함으로써, AI를 자율적 행위자로 여길 수 있는 여러 근거들을 제시하는 동시에, AI에게 귀속 가능한 책임 혹은 책무성의 개념을 발전시키고자 시도한다. The concept of ‘moral agent’ had traditionally been applied to a person with free will who can take responsibility for his actions. However, the emergence of autonomous AI that can perform diverse actions with moral implications seems to require a modification of the concept. In this paper, I argue that AI that satisfies certain requirements can be granted some kind of functional moral agency (agenthood) that does not presume personhood. In such a case, it becomes possible to ascribe responsibility or accountability to AI, corresponding to its ability to act autonomously. To support these claims, I try to reply to many possible objections and to provides various reasons to regard AI as an autonomous agent. I also try to develop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or accountability that can be attributed to AI.

      • KCI등재

        인간향상과 인간본성, 그리고 인간 존엄성 - 후쿠야마의 논증 비판

        신상규(Sangkyu Shin) 한국분석철학회 2013 철학적 분석 Vol.0 No.27

        프란시스 후쿠야마는 그의 책 ??포스트휴먼 미래??에서 인간의 권리나 정의, 도덕과 같은 근원적 원칙의 근거가 되는 실질적인 인간 본성의 개념을 발전시키려 시도한다. 후쿠아먀가 생명공학적 인간향상에 대해 반대하는 근원적인 이유는 그것이 이러한 인간 본성을 변화시켜 인간성과 그에 따른 인간 존엄성을 훼손시킬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본성 개념에 입각한 그의 논의를 분석하고, 그가 자신의 결론을 입증하는데 성공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앨런 부캐넌은 인간 본성의 개념이 윤리적 담론에 결부되는 다섯 가지의 방식을 구분하고 있다. 이 논문은 후쿠야마의 논증의 각 단계에서 어떤 인간 본성의 개념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밝히고, 그 중의 어느 것도 인간 향상의 반대 논증에서 효과적이지 않음을 논증한다. In his book Our Posthuman Nature, Francis Fukuyama tries to develop a conception of human nature which is central to a substantive conception of human rights and human moral status. His worry for human enhancement by applying scientific technology, especially the new biotechnology, is that it may threaten to alter human nature so that the conditions for our moral status and human dignity shall be compromi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is argument and evaluate whether he succeeds in making his case. Allen Buchanan distinguishes 5 different ways in which the notion of human nature is involved in the ethical discourses. This paper elucidates which notion of human nature is being used at each stage of Fukuyama’s argumentation, and argues that none of which is effective to argue against human enhancement.

      • KCI등재

        섹스로봇과 상징적 재현의 문제

        신상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21 탈경계인문학 Vol.14 No.1

        Recently, there has been a debate about Real Doll in Korea. It seems that there has never been such a hot discussion in Korea regarding adult products. The above criticisms on real dolls are objections that can be applied to sex robots that will appear in the future. This paper examines those objections in relation to sex robots, and tries to assess the limit of the individual's sexual freedom that can be socially recognize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reasons for favor or disagreement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sex robots, centering on Kathleen Richardson's view, and evaluates its justification. The most important issue implied by Richardson's criticism is the symbolism of sex robots. It is criticized that sex robots are a symbol that promotes distorted perception of sex by sexually objectifying women, and that ignores the norm of gender-related consent norm of sex. This paper focuses on criticism of sex robots based on symbolism in particular, and considers how to circumvent such criticism. 최근 우리나라에서 리얼돌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성인용품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 이처럼 뜨거운 논의가 진행된 적은 없었던 듯하다. 리얼돌에 대한 위와 같은 지적들은 앞으로 등장할 섹스로봇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반론들이다. 본 논문은 섹스로봇과 관련지어 위와 같은 반론들을 검토하고, 섹스돌을 사회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방안의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먼저 캐슬린 리처드슨(Kathleen Richardson)의 견해를 중심으로 섹스로봇의 도입과 관련된 찬성이나 반대의 이유를 살펴보고 그 정당성을 평가한다. 리처드슨의 비판이 함축하는 가장 중요한 논점은 섹스로봇이 갖는 상징성이다. 섹스로봇은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여 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조장하며, 성과 관련된 동의 규범을 무시하는 상징이라는 비판이 그것이다. 본 논문은 특히 상징성에 입각한 섹스로봇에 대한 비판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이러한 비판을 우회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고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