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독일 설화 속 원조자의 형상과 의미 -신령과 난쟁이의 거리에 얽힌 세계관적 편차

        신동흔 ( Dong Hun Shin )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7 No.-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독일 설화에 등장하는 원조자의 양상과 거기 얽힌 세계관적 의미를 비교 고찰하였다. 양국 설화에서 신령과 난쟁이는 서사적 위치와 기능이 대응되는 주요 원조자로서 수많은 설화에 등장해서 주인공의 문제 해결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신령과 난쟁이는 현실세계의 권역 밖에 있는 비일상적 존재로서 그들과 만나는 일은 ‘다른 세계와의 만남’으로서 의의를 지니며, 그들의 도움을 받는 일은 ‘다른 세계에 깃든 큰 힘’과 접속되는 일을 표상한다. 이는 양국 설화에 공통되는 기본적인 서사적 화두가 된다. 이때 ‘다른 세계’는 흔히 ‘자연’으로 의미화되거니와, 신령과 난쟁이의 원조에 얽힌 서사는 ‘자연’으로 표상된 ‘세계’에 대한 대응의 문제를 원형적으로 함축한다고 할 수 있다.자아와 세계의 관계에 얽힌 서사는 한독 설화에서 구체적 양상이 꽤 다르다. 한국 설화가 세계/자연의 힘을 본원적이고 집중화된 형태로 문제삼는다면 독일 설화는 좀더 실제적이며 다양화된 차원에서 다루는 쪽이다. 한국 설화의 신령이 순일하고 절대적인 존재로서 접속 자체가 문제시되는 것과 달리 독일 설화 속의 난쟁이는 중립적이고 양향적이어서 접속보다 ‘대처’가 문제시된다는 사실도 큰 차이가 된다. 전체적으로 한국 설화에 비해 독일 설화가 더 현실적이고 상대주의적인 관점을 나타내 보이는 형국이다.원조자에 얽힌 세계관적 편차를 살핌에 있어 심리적 맥락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 설화에서 신령은 ‘지극정성’으로 표현되는 내면적 신념과 의지의 표상으로서 성격을 지닌다. 신령과의 접속이 이루어진 상황은 그러한 내면의 힘과 외부세계의 힘이 접속되어 합치된 상황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이는 독일 설화의 난쟁이에 얽힌 서사에서 보기 힘든 특징이다. 독일 설화 속의 난쟁이는 자아와 분리된 외부적 존재로서 ‘대상’의 성격이 뚜렷하다. 전체적으로 한국 설화가 정신적이고 본원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데 비해 독일 설화가 물리적이고 현실적인 측면을 중시한다는 사실은 동서양의 세계관적 편차로까지 해석될 만한 흥미로운 차이라고 할 만하다. In diesem Aufsatz wird eine vergleichende Analyse der Tendenzen der Helferfigur in Koreanischer und Deutscher Marchenliteratur und die damit verwobenen kulturspezifischen Grunduberzeugungen durchgefuhrt. Den Mittelpunkt dieser Auseinandersetzung bilden die reprasentativen Helferfiguren aus der Literatur der beiden Lander, namlich der Shin-Lyung“(신령; der heilige Geist) und der Zwerg“. Diese sind Helferfiguren mit großer Kraft und spielen eine konstitutive Rolle in der Losung der Konflikte des Protagonisten. Was bei dieser Analyse zu erst ins Auge gefasst wird, ist die Analogie der Bedeutungsdimensionen der zwei Figuren. Sie unterscheiden sich zwar erheblich in ihrer außeren Erscheinung, weisen aber ein par wesentliche Gemeinsamkeiten auf. Beide befinden sich jenseits unserer alltaglichen Welt. Folglich ist der Kontakt des Protagonisten mit diesen Figuren, ein Kontakt mit einer fremden Welt. Die große Kraft des Shin-Lyungs und des Zwergs symbolisiert die Kraft, die der anderen Welt innewohnt. Es ist wahrlich nicht einfach Kontakt mit dieser Welt herzustellen. Der Shin-Lyung zeigt sich nur selten in unserer Welt und der Zwerg ist wegen seiner Erscheinungsform leicht zu ubersehen. Die Verbindung mit der Kraft der Helferfiguren, setzt eine besondere Konzentration und ein außergewohnliches Interesse des Protagonisten voraus. Das Wesen der Kraft, welche durch die Helferfiguren verkorpert wird, ist die Natur. Wie der Shin-Lyung kann auch der Zwerg, der oft als Inhaber vom Wald, Boden oder Brunnen beschrieben wird, als eine Art Reprasentant der Natur gesehen werden. Allerdings ist die symbolische Bedeutungsdimension des Berges oder des Waldes nicht auf Elemente der Natur zu beschranken. Diese Orte konnen stets auch als die Gesellschaft“ oder die Anderen“ interpretiert werden. Dies lasst folgern, dass der Shin-Lyung und der Zwerg Figuren sind, deren Bedeutung auf die große Macht, die der Welt innewohnt“ erweitert werden kann. Die Geschichte, die mit den Helferfiguren verwoben ist, ist eine Geschichte uber die Relation zwischen dem Subjekt und seiner Umgebung. Die konkreten Tendenzen dieser Relation weisen in der Koreanischen und Deutschen Marchenliteratur erhebliche Unterschiede auf, die auf die Unterschiede in den kulturspezifischen Grunduberzeugungen zuruckzufuhren sind. Der Shin-Lyung aus den Koreanischen Marchen erscheint oft alleine und die Konfrontation mit ihm ist außerst selten. Der Zwerg aus Deutschen Marchen hingegen erscheint oft als Gruppe und die Konfrontation mit ihnen ist leichter und variabler. Wenn koreanische Marchen die Kraft der Welt in einer konzentrierten und fundamentalen Form darzustellen versuchen, wird dasselbe in deutschen Marchen in variablerer und handfesterer Form verbildlicht. Interessanterweise ist die Kraft des Shin-Lyungs aus den Koreanischen Marchen absolut, so dass die Verbindung mit ihm meistens zu der automatischen Losung aller Probleme und Konflikte fuhrt. Der Zwerg aus den Deutschen Marchen hingegen ist in dieser Hinsicht neutraler, vielfaltiger und polarisierender. Dies macht die individuelle Entscheidung des Protagonisten zum Katalysator der Konfliktlosung. Die archetypische Form der Reaktion des Protagonisten gegenuber den Helferfiguren in Koreanischen Marchen ist die einseitige Unterwerfung und Akzeptanz. Im Deutschen Marchen hingegen wird die Interaktion selbst, die vom Handschlag bis zur Bandigung reicht, umfassender und in variabler Form thematisiert, was auf eine realistische, subjektive und individuelle Ansicht hindeutet. Was bei der Betrachtung der Unterschiede in den kulturspezifischen Grunduberzeugungen besonders beachte werden muss, ist die psychologische Symbolik der Helferfiguren. In Koreanischen Marchen ist der Shin-Lyung die Verkorperung des inneren Glaubens und Willens, die oft als große Sorgfalt“ ausgedruckt wird. Der Moment der Verbindung mit dem Shin-Lyung bedeutet die Verschmelzung der inneren und außeren Krafte. Dies ist eine Eigentumlichkeit von Koreanischen Marchen, die in Deutschen Marchen nicht leicht zu finden ist. Der Zwerg aus den Deutschen Marchen ist eine externe Instanz, die als Objekt betrachtet wird und angewendet werden muss. Dies deutet auf die Ansicht der Deutschen Marchen hin, die im Vergleich zu Koreanischen Marchen, welche sich auf die internen und psychologischen Momente konzentrieren, tendenziell realistisch und materialistisch ausgerichtet ist. Es ist ein interessanter Unterschied, der als unmittelbare Konsequenz der Unterschiede in den kulturspezifischen Weltanschauungen interpretiert werden kann.

      • KCI등재

        서사무가 속의 울음에 깃든 공감과 치유의 미학

        신동흔(Shin, Donghun) 한국무속학회 2016 한국무속학 Vol.0 No.32

        이 논문에서는 서사무가 속의 울음과 눈물에 얽힌 의미를 공감과 치유를 축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의 서사무가에는 주인공이 서럽게 눈물을 쏟아내는 장면이 무척 많이 나온다. 이는 신화가 본질적으로 공감과 치유를 지향하는 문학양식이라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여러 서사무가 가운데 〈원천강본풀이〉와 〈바리데기〉, 〈세경본풀이〉 등을 통해 울음의 성격을 단면적으로 살펴본 결과 그것이 굿의 본질적 기능과 깊은 연관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사무가 속의 울음은 마음 깊은 곳의 슬픔과 원한을 토로하고 풀어내는 표출의 울음이고, 존재와 존재를 밑바닥에서 이어주는 화해의 울음이며, 고통과 절망을 딛고 다시 일어나 나아가도록 하는 갱신의 울음이다. 그것은 신화적 신성 체험의 한 부분을 이루는 가운데 굿이 추구하는 풀이와 치유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서사무가 속의 울음이 지니는 문학적․의례적 기능과 관련하여 함경도 망묵굿 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작품론적 분석을 통해 그 의미맥락을 집중 분석하였다. 첫날밤을 치르지도 못한 채 남편을 잃고서 하염없이 통곡하는 청정각시는 ‘세상에서 가장 슬픈 사람’으로서 그녀가 쏟아내는 울음은 세상 사람들의 수많은 고통과 한을 대리 표출하는 역할을 한다. 사별과 같은 큰 아픔과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이야기속의 청정각시와 정서적으로 일체가 되어 함께 울음을 우는 가운데 가슴속 슬픔을 표출하고 또 해소하게 된다. 이야기는 슬픔의 극점에 청정각시의 죽음을 배치하는바 그 죽음은 사별의 고통을 이겨내고 거듭나기 위한 ‘의례적 죽음’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그 자신 청정각시가 되어 죽음을 체험하는 가운데 그로부터 벗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고통의 극한에서 극복의 길을 찾는 역설적인 치유의 미학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crying in Korean shamanistic epics in the context of sympathy and healing. There are a lot of scenes in which the main character sadly burst into tears in Korean shamanistic epics. As a result of research through important materials, the crying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essential function of shamanistic ritual (gut). It is crying of expression that gives vent to one’s deep sadness and grudge, crying for reconciliation that connects one being with another being at the bottom and crying for resuscitation that makes one to stand up again, stepping on one’s pain and despair. That maximizes the healing effect pursued by Gut forming a part of a mythic sacred experience. Shamanistic epic in the Hamgyeong-do, “Dorang-seonbi Cheongjeong-gaksi” is a work in which the mythic meaning of crying is dramatically embodied. Cheongjeong-gaksi, who vacantly wailed, losing her husband on her wedding night is ‘the saddest person in the world,’ and her crying has a meaning of replacing the pain and resentment of the people in the world. The people that face the pain of bereavement cry sadly, becoming united with Cheongjeong-gaksi and express naturally and get rid of sadness in the heart. The story assigns Cheongjeong-gaksi’s death at the summit of sorrow, which is a ‘ritual death’ for free from the pain of bereavement. This is paradoxical aesthetics of healing that finds a way of overcoming an extreme pain. The expression of sorrow through narrative shamanistic songs is structured and continuous. It has typicality and universality that can move everyone’s mind. Crying is like spring water of healing which we can dig up from ourselves at any time. This applies to modern people as well as those who have engaged in shamanistic ritual.

      • KCI등재

        한국과 독일 민담 속 자녀서사의 비교 고찰- 부모의 그릇된 애증에 대한 대처를 중심으로 -

        신동흔 ( Shin Dong-hu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1 No.-

        이 논문에서는 4편의 한국과 독일 민담을 통해 부모의 그릇된 애증에 노출된 자녀의 서사를 단면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과 독일 민담을 서로 짝짓는 형태로 비교고찰을 행하였거니와, 설화를 나란히 펼쳐놓고서 같고 다른 점을 짚어보는 방식을 벗어나 이야기 심층의 서사를 치유의 관점에서 연계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초점을 자녀에 맞추어 그 스스로의 문제 해결 가능성을 찾아보는 형태의 논의였다. 한국의 <여우누이>는 어느 날 여우의 본색을 드러내 가축을 잡아먹고 부모형제를 노리는 무서운 딸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 ‘여우딸’을 본래부터 여우였던 존재가 아니라 부모의 편애와 과보호에 의해 여우가 된 존재로 새롭게 해석했다. 편애에 길들여진 삶이 타자의 ‘간’을 빼앗는 삶으로 이어졌고, 결국 부정과 징치의 대상이 된 상황이다. 세상에는 이러한 여우누이의 서사를 자기서사로 지닌 많은 자녀들이 있거니와 치료를 필요로 하는 병적 서사가 된다. 문제는 그것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하는 점인데 독일 민담 <열두 오빠>에서 그 유력한 답을 찾을 수 있다. 이 이야기 속의 딸은 아버지의 편애를 받는 존재였으나 그 혜택을 과감히 버리고서 상처에 신음하는 오빠들에게 손을 내밀며, 7년에 걸친 기나긴 ‘몸 바꿈’의 고행을 감수함으로써 까마귀로 변한 오빠들을 사람으로 되돌린다. 서사의 분기점에서 여우누이의 길 대신 ‘천사’의 길을 선택함으로써 존재의 변환에 성공한 상황이다. 이 갸륵한 딸의 서사는 편애와 과보호에 길들여져 있는 자녀들이 지향해야 할 서사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여우누이의 서사가 이 천사누이의 서사로 바뀔 때 세상은 그만큼 건강해진다고 할 수 있다. 독일 민담 <샘물가의 거위지기 소녀>와 한국 민담 <내 복에 산다>는 부모의 미움에 직면하여 집을 떠나게 된 두 딸이 펼쳐내는 서사를 전하고 있다. 직면한 문제 상황이 매우 유사하지만 그에 대한 두 딸의 대처 방식이 확연히 다른 것이 특징이다. 거위소녀가 스스로 낡은 가죽을 뒤집어쓴 채어둠 속에서 슬피 운 것과 달리 내 복에 사는 딸은 벌어진 일에 연연하지 않고 스스로를 믿고서 당당히 움직여 큰 성공을 이루어낸다. 이 두 개의 서사는 ‘마음먹기’에 따라 삶의 길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현실 속에 부모의 미움에 포획된 채로 신음하고 있는 수많은 자녀들이 있거니와 그러한 거위소녀의 서사가 내 복에 사는 딸의 진취적이고 얽매임 없는 서사로 바뀔 때 문제의 근원적 해결과 치유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세계설화 가운데는 이와 같은 방식의 비교 고찰을 유효하게 수행할 만한 자료들이 무척 많다. 이 방면 작업을 통해 고전적 이야기가 지니는 치유적 힘과 교육적 가치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In diesem Aufsatz werden vier Beispiele der koreanischen und deutschen Marchenerzahlung untersucht um die Geschichte derje nigen Kinder-Figuren zu analysieren, die im Laufe ihrer jeweilige n Begebenheiten der fehlgeleiteten Liebe oder dem Hass ihrer Elt ern ausgesetzt sind. Dies erfolgt durch die Abgleichung der korea nischen und deutschen Marchen aus dem Blickpunkt der Heilung inharenten Konflikte. Das koreanische Marchen “Yeo-woo Nooi(여우누이/Fuchs-Sch wester)“ handelt von einer Tochter, die ihr wahres Wesen enthull t. In Form eines Fuchses totet sie Tiere und greift ihre Geschwist er und Eltern an. In diesem Aufsatz wird diese Figur als ein Wese n neu interpretiert, was durch die unangemessene Bevorzugung u nd Uberbehutung der Eltern kreiert wurde. Das Leben der Schwes ter, welches im Privileg anfing, fuhrt zum Leben als ein Ungeheue r, was die Anderen ihrer Leber beraubt. Schlieslich wurde sie zum Subjekt der Ungerechtigkeit und Bestrafung. Scheinbar droht heut zutage vielen von unseren Kindern solch ein Leben. Die Geschicht e der Fuchs-Tochter(bzw. -Schwester) ist die Geschichte einer K rankheit, die einer dringenden Behandlung bedarf. Freilich bleibt di e Frage, wie solch ein Krankheitszustand zu bewaltigen ware. Das deutsche Marchen “Die zwolf Bruder“ bietet hierzu eine Antwort. Die Tochter in diesem Marchen hat zwar auch privilegierte Anfan ge, weis aber diese aufzugeben und im Augenblick der Not, ihre Bruder ihre Hilfe anzubieten. Durch eine siebenjahrige, korperliche und geistige Transformation schafft sie es, ihre Bruder, die zu Kr ahe verwandelt wurden, wieder in menschliche Form zuruckzuvwa ndeln. Im Moment der Entscheidung schlagt sie anstatt dem Weg zum Fuchs den Weg zum “Engel“ ein. So gelingt es ihr, ihr Schic ksal und Wesen zu verwandeln. Die Geschichte dieser guten Toch ter kann als symbolische Darstellung des Weges gesehen werden, den unsere privilegierten und uberbehuteten Kinder einschlagen so llten. Das deutsche Marchen “Die Gansehirtin am Brunnen“ und das koreanische Marchen “Nae Bok-eh Sanda(내 복에 산다/Ich lebe vo n meinem Gluck)“ erzahlen die Geschichte von zwei Tochtern, die mit dem Hass ihrer Eltern konfrontiert werden und auf Grund des sen ihr Heim verlassen mussen. Der Gegenstand der Konfrontatio n ist zwar beiden Marchen gemeinsam, allerdings weist der Umga ng der Figuren mit ihrer jeweiligen Situation grose Unterschiede auf. Im Gegensatz zum Gansemadchen, was sich ins dunkle verkri echt und ihr eigenes Schicksal beklagt, Schreitet die Tochter, die von ihrem eigenen Gluck lebt, selbstbewusst voran und erlangt a m Ende grosen Erfolg. Diese zwei Geschichten zeigen, wie sehr di e psychische Einstellung das Leben in verschiedene Wege einschl agen lasst. Auch auserhalb der Literatur gibt es viele Tochter und Sohne, die im Hass ihrer Eltern gefangen sind. In dem Moment, w o solch ein Leben des Gansemadchens in das progressive Leben d er von ihrem eigenen Gluck lebenden Tochter umschlagt und sich frei entfaltet, wird die fundamentale Heilung und die Erlosung von den Konflikten moglich. Weltweit sind in Marchenerzahlungen zahlreiche Hinweise auf s olche Moglichkeiten der Heilung zu finden. Dieser Umstand lasst e rwarten, dass die weitere Ausarbeitung des Moments der Heilung ein neues Kapitel fur die vergleichende Analyse von Marchenerza hlungen eroffnen wird.

      • KCI등재

        코로나 위기에 대한 신화적·인문학적 성찰 : 〈손님굿〉 신화 속 질병신의 속성과 인간의 대응을 중심으로

        신동흔(Shin, Dong H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3 No.-

        이 논문은 한국 구전신화 〈손님굿〉에 대한 의미해석을 바탕으로 코로나 위기에 대한 신화적이고 인문학적인 성찰을 진행한 것이다. 〈손님굿〉에 형상화된 질병신의 속성이 코로나 바이러스와 통하고, 질병신에 대한 인물들의 대응과 그에 따른 결과가 코로나 상황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준다는데 주목한 논의였다. 신화 특유의 원형적이고 철학적인 사유를 매개로하여 문명적 위기에 대한 거시적이고 본원적인 해법을 찾아보고자 했다. 〈손님굿〉은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을 괴롭힌 감염병 천연두에 대한 신화다. 신화는 질병을 일으키는 존재를 악귀가 아닌 영험한 손님 신으로 취급하며, 최대한의 정성과 존중으로써 질병 문제를 풀어내고자 한다. 질병의 발생을 거대한 생명적 체계의 일환으로 보는 가운데, 섭리에 순응함으로써 출구를 찾아내는 태도를 나타낸다. 인간 스스로를 세상의 미력한 존재로 인식하여 겸손을 유지하는 것은 질병신을 응대하는 기본 방식이 된다. 노고할미와 영순생 등은 그와 같은 대응을 통해 위기상황을 잘 감당하고 전화위복의 복락을 만들어낸다. 노고할미와 영순생의 맞은편에는 자기중심적 오만으로써 질병을 경시하고 함부로 대하는 인물들이 놓인다. 범람한 욕심으로 질병신을 범하려고한 뱃사공과 자만과 술수로 질병신을 냉대하고 농락하려 든 김장자가 그들이다. 그 결과는 참혹한 죽음이고 패가망신이었다. 세상의 정점에 있던 김장자는 하나뿐인 자식을 잃고 밑바닥으로 전락한다. 이들의 행태는 오늘날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일각의 대응과 놀라운 의미적 일치를 나타낸다. 뱃사공은 ‘코로나 파티’를 벌인 젊은이들의 모습과 통하며, 김장자는 섣부른 교만과 허튼 미봉책으로 상황을 악화시킨 세계의 여러 지도자와 정확히 일치한다. 신화에서 노고할미와 김장자의 자리가 역전되었듯이, 현실세계에서도 그러한 역전이 펼쳐지고 있는 중이라고 보았다. 〈손님굿〉 신화에서 특별히 주목할 것은 질병과 인간의 생명적 동질성과 순환적 공존에 대한 사유다. 천연두로 희생된 아이가 새로운 손님신이되는 내용은 인간과 질병의 생명적 연관성을 잘 보여준다. 질병신들은 인간처럼 움직이며, 사람들은 질병신을 또 다른 자기나 이웃으로 여기고서 긴밀히 교감하며 소통한다. 질병신을 위한 굿과 놀이에서 사람들이 다함께 즐기면서 하나가 되는 것은 질병과 인간의 상호적 교감과 치유 과정에 해당한다. 거시적인 생명적 존엄성과 공존성을 기본 가치로 삼는 그 행위는 현재의 코로나 위기에서 인류가 찾아서 발현해야 할 인문적 비전을 보여준다. 코로나 위기에서 우리가 완수해야 할 중대한 인문적 과제는 심리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초극의 힘을 발휘하는 일이다. 공격이 아닌 협력, 불신이 아닌 믿음, 배타적 욕망이 아닌 공생의 윤리로써 상황을 헤쳐내야 한다. 그 초극의 힘을 어떻게 발현할 것인가에 대해서 신화는 우리에게 소중한 깨우침을 전하고 있다. 문명 이전 시절로부터 이어져온 문학적·철학적 사유로부터 문명적 위기를 극복하는 길을 찾는 지혜가 필요하다. This Essay is a mythological and humanistic reflection on the COVID-19 crisis based on an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oral myth Sonnim-gut (ritual for the smallpox god). It was noted that the nature of the disease god in the myth is similar to COVID-19, and the responses of the characters of the disease scene give meaningful implications to the COVID-19 crisis. Through the philosophical thinking contained in the myth, I tried to find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crisis in our civilization. Sonnim-gut is a myth about smallpox, an infectious disease that has plagued human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myth treats diseases as a spiritual guest god, not a demon. It then tries to solve the problem with the utmost sincerity and respect. While seeing the occurrence of diseases as a function of a huge life system, people try to comply with providence. They consider themselves to be weak and maintain humility as their basic attitude toward sickness. Some characters in the myth use such an attitude to create reversal success and happiness. Opposite the characters, there are people who neglect diseases with a self-centered attitude. They are the boatman who tried to invade a disease goddess with overflowing desire, and the rich man who tried to joke around the disease gods with pride and trickery. The result was a terrible death and disgrace. The rich man at the top of the world loses his child and falls to the bottom. Their behavior remarkably matches some of the responses to COVID-19 today. The boatman connects with the appearance of young people having a “corona party,” while the rich match with the world’s leaders who have exacerbated the situation with pride. If that method is not qualitatively changed, it can lead to decisive decline. Of particular note the Sonnim-gut is thought of as the vital cycle between diseases and humans. In the story, a child who is sacrificed by smallpox becomes a new disease god, which shows the vital link between humans and diseases. The disease gods act like humans, and people regard the disease gods as neighbors and communicate closely. In rituals and plays for the diseased gods, the gods and people mingle and enjoy, which is a mutual healing process between humans and diseases. The vital dignity and coexistence contained therein become the human values that humanity must realize in today’s COVID-19 crisis. Humanity’s task in the COVID-19 crisis is to demonstrate the power of overcoming without psychologically collapsing. We must overcome the situation with cooperation not an attack, faith not disbelief, and symbiotic ethics not exclusive desire. Mythology gives us valuable enlightenment on how to realize the power. We need wisdom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crisis of civilization from the literary philosophical thinking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pre-civilization days.

      • KCI등재

        〈세경본풀이〉 서사와 삼세경 신직의 상관성 재론

        신동흔(Shin, Dong-Hun)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1

        이 논문에서는 제주도 무속신화 〈세경본풀이〉에서 서사와 신직이 갖는 신화적 연관성을 새롭게 살펴보았다. 신화에 등장하는 자청비와 문도령, 정수남의 관계를 보면, 문도령은 자청비보다 ‘위에 있는 존재’이고 정수남은 자청비보다 ‘아래에 있는 존재’에 해당한다. 중요한 것은 그들이 사람 사이의 관계를 넘어선 보다 원형적인 상징성을 내포다는 사실이다. 신화에서 문도령과 자청비, 정수남은 각기 신성(神性)과 인성(人性), 수성(獸性)을 함축한 인물로 그려져 있으며, 각기 하늘[天]과 사람[人], 땅[地]을 표상하는 존재로서 속성을 드러내고 있다. 신과 짐승, 또는 하늘과 땅 사이에서 양자를 매개하고 감당하는 역할을 하는 인간존재를 표상하는 인물이 이 신화의 핵심 주인공 자청비이다. 신화에서 자청비는 처음에 정수남으로 표상되는 ‘짐승/땅’을 부정하고 문도령으로 표상되는 ‘신/하늘’을 추구한다. 하지만 그는 정수남을 죽였다가 살리는 과정을 거치면서 ‘짐승/땅’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여 그를 끌어안게 된다. 이어진 서사에서 자청비는 하늘에 올라 문도령과 결합하고 죽은 문도령을 되살려내는바, 이는 인간이 하늘과 소통하고 죽은 하늘을 살려내는 과정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자청비는 땅을 살리고 또 하늘을 살릴 수 있는 존재가 됨으로써 농경신 중세경이 될 수 있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시각이다. 문도령과 정수남은 각기 자청비와 짝을 이루어서 상세경과 하세경이 되는바, 이들은 위 아래로 절연된 것이 아니라 자청비를 매개로 하여 나란히 연결된 상태에서 농경신 신직을 수행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자청비가 농경신이 됨에 있어 한 가지 이해하기 어려운 사항은 그가 무임(無姙)의 존재로서 생산신이 된다고 하는 사실이다. 이에 대해 이 논문에서는 자청비가 자기한테 속한 자식을 가지는 대신에 하늘과 땅 사이의 수많은 농작물을 일종의 자식으로 삼아 거기 사랑과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렇게 그는 세상에 다산(多産)을 전해주는 신이 되었던 것이다. This thesis sheds a new light on the mythic correlation between the epic and deity in Segyeong-Bonpuri, a shamanic myth of Jeju island. Prototypical mythic symbolism is implied in the relations among Moondoryeong, Jacheongbi and Cheongsoonam, who are the main characters in this myth. These three characters in the myth are pictured as the characters connoting divinity, humanity and animality, and they reveal the attributes of the beings that symbolize heaven, man and earth. respectively. Jacheongbi, the core heroine of the myth becomes a being that can handle god and animal or heaven and earth altogether. In the myth, Jacheongbi rejected “animal/earth” which Cheongsoonam symbolizes, but pursued god/heaven which Moondoryeong symbolizes. She, however, rediscovered and appreciated the value of “animal/earth” in the process of her killing and reviving Cheongsoonam. The subsequent epic of her reunion with and revival of Moondoryeong presumably represents the process where man manages the world in association with heaven. Heaven and earth are the original factors that can make the farming possible. It seems that Jacheongbi could become a goddess having control over farming by exercising her power to restore a ruined earth and a dead heaven. Jacheongbi is a being of infertility unsuitable for a deity of fertility, but it is not an obstacle to the qualification for an agricultural goddess. It can be said that Jacheongbi adopted a myriad of crops between the heaven and earth instead of producing the offspring of her own and breathed love and vitality into them.

      • KCI등재

        구전신화 속 세계창조 서사의 시원적 생태론과 그 의미 : 함경도 망묵굿 <산천굿>을 중심으로

        신동흔(Shin, Dong-Hun)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8

        이 논문에서는 최근 새롭게 보고된 최복녀본과 이찬엽 <산천굿>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구전신화의 세계창조 서사를 새롭게 살폈다. 인간과 자연의 본원적 동질성과 공존성에 주목하는 생태론적 관점의 논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창세신화 자료로 인식돼온 <창세가>와 <초감제> 계열 무가는 인간중심적 사유를 두드러지게 현시한다. 인간을 신과 통하는 고귀한 존재로 본다는 점에서 주체성을 지니지만, 동식물을 포함한 자연만물을 주체가 아닌 대상으로 보는 편향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인간과 달리 동물과 식물에 대한 기원 서사가 없다는 것은 하나의 중대한 신화적 공백이 된다. 일월 조정과 인세차지 경쟁 등 일련의 서사가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서술되며, 여타의 자연물의 생명적 존재성은 약화되어 있다. <산천굿>은 자연의 입장에서 세계를 사유하고 표현하는 특별한 신화다. 이러한 특징은 신자료에 담겨 있는 ‘선간구경’ 대목의 창세서사에 원형적으로 집약돼 있다. 이 신화 속의 선간(仙間)은 인간을 포함한 자연만물의 본원으로서, 플라톤의 이데아에 준하는 곳이다. 선간에는 해와 달, 불과 물, 각종 동식물과 광물 등 세상 만물의 시원적 본체가 깃들어 있다. 지상의 자연만물은 그것을 현상적으로 발현한 짝으로 표현된다. <산천굿> 창조서사는 인간을 중심에 두지 않으며, 자연만물의 수평적이고 순환적인 생명적 어울림을 현시한다. 그 사유방식은 명백히 생태적이다. 신화 속에서 인간은 그 생태적인 생명체계 속에 녹아들지 못하고 그것을 훼손한다. 자기중심적인 오만과 욕심에 따른 과오였다. 이에 대해 자연적 신령은 인간을 ‘한낱 미물 짐승’으로 질타하면서 죽을병이라는 재앙을 내린다. 그 재앙은 인간이 모든 오만을 내려놓고 최대한의 겸손과 정성으로 자연산천에 귀의함으로써 풀릴 수 있었다. ‘산천굿’으로 표현되는 그 행위의 핵심은 자연생명의 생태적 순환성 회복에 있다. <산천굿> 창조서사의 세계관을 매개로, 기존 창세신화 자료 속에 숨어있는 시원적인 생태적 사유를 짚어낼 수 있다. 꽃 피우기 화소는 선간의 생명적 본체를 지상적으로 발현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꽃 꺾기와 나무 자르기로 표현되는 문명적 공격과 그에 따른 단절 이전의 태초 세계는 생명적 일원성을 지녔던 것으로 이해된다. 신화의 이면에는 그 본원적인 생태적 생명성 회복에 대한 지향이 담겨 있다. 이러한 신화적 사유는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생명적 문제에 대하여 근본적인 원인과 해법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s the world-creation narrative in Korean oral myths, based on the recently reported Sancheon-gut text. The following discussion reflects an ec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In Korea s major creation myths, human-centered thinking stands out. It is subjective, in that it sees humans as equal to God. However, it is also biased, in regarding natural beings, such as animals and plants, as objects. The fact that there is no Korean creation story to explain the origin of animals or plants is an important mythical void. Compared to humans, natural beings are portrayed as remarkably insignificant. Sancheon-gut is a myth that conceives of and expresses the world from the standpoint of nature. In this myth, heaven is the origin of all nature, including humans; it is a place that corresponds to Plato s Idea. The fundamental forms of everything on earth exist in heaven, including the sun and moon, fire and water, and various animals and plants. In this world, natural beings are understood to be pairs that embody the phenomenal. The creation story of the Sancheon-gut does not place humans at the center, but reveals that all nature exists in a horizontal cycle of vitality. This way of thinking is obviously ecological. In this myth, humans do not melt into the ecological life system and damage it. This is seen as an error, caused by self-centered arrogance and greed. In response, the natural spirit scolds humans for being “useless little beast[s]” and causing a plague of death. The disaster could have been resolved if humans had abandoned their arrogance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system of nature. In essence, this action aims to restore the ecological cycle of natural life. Given the creation of the Sancheon-gut, it is possible to identify ecological thoughts, hidden within existing creation myths. It is understood that the original world, before the civilizational break (expressed by picking flowers and cutting trees) had a unitary and coexistent vitality. In the abyss of those myths, the intention to restore ecological vitality is hidden. These mythical though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vital problems facing humanity today.

      • KCI등재

        무속신화를 통해 본 한국적 신 관념의 단면

        신동흔(Shin Dong-Hun)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이 연구에서는 무속신화에 담긴 한국의 신(神) 관념을 살피고자 하였다. 무속신화에 있어 신이란 어떤 존재이고 신성의 본질은 무엇인지를 단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신과 인간의 친연관계에 주목하여, 한국 신화에 있어 신과 인간이 서로 어떻게 통하는 존재인지를 살펴보았다. 한국 신화의 원형적인 신 관념은 창세신화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창세신화는 서로 혼합 상태에 있었던 하늘과 땀이 갈라지면서 인간세상이 열렸다고 하거니와, 인간세상이 본래 하늘과 땅의 신성과 연속된 세계임을 전하고 있다. 그리고 창세신화는 인간이 하늘로부터 지상에 내려와 성장한 존재라고 함으로써, 인간이 그 안에 하늘의 신성을 내재한 존재임을 부각하고 있다. 실제로 창세신화 속의 인간은 신과의 차별성보다는 동질성이 더 두드러진다. 신과 인간은 서로 자연스레 소통하면서 경쟁하며, 또는 결혼의 형태로 결합한다. 누가 인간이고 신인지의 구별이, 어디까지가 인간이고 어디부터가 신인지의 구별이 불투명하다. 이와 같은 신과 인간의 태생적 동질성과 소통 가능성은 한국적 신관의 원형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수많은 무속신화는 인간이 그 안에 신성을 지니고 있음을 전제하면서 서사를 전개한다. 대다수 무속신호는 인간이 신으로 좌정하게 된 내력을 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니와, 그 신성은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안에 있던 것이 자연스레 발현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인간이 존재의 근원에 가 닿을 때 신성이 발현된다는 것이 주요 신화에 깃든 관념이다. 하지만 모든 인간이 신성을 발현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인간이 지닌 신성이란 내면 깊숙이 깃들어 있는 것으로서, 인간은 그 신성이 가리어지고 억눌린 채로 반(反) 신성의 길을 갈 가능성이 상존한다. 어둡고 무겁게 뒤틀린 신성으로서의 ‘귀(鬼)’의 길로 나아갈 수도 있고, 신성이 소멸된 존재로서의 ‘물(物)’의 길로 나아갈 수도 있다. 저승할망이 된 동해용 궁따님애기는 전자의 예가 되며, 청지네와 말똥버섯이 된 은장애기 놋장애기 자매는 후자의 예가 된다. 한국 신화에 담긴 신과 인간의 동질성 관념은 다른 어떤 신화체계에서보다도 뚜렷하고 또 광범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것을 세상의 모든 존재에 대한 동질성 인식으로 확장해서 적용하는 데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한 예로, 한국 신화에 있어 인간과 동물의 관계는 동질성보다 이질성이 부각된 것으로 여겨지는 면이 있다. 신과 인간, 동물과 식물, 사물 등을 포괄하여 존재의 속성과 관계에 대한 인식체계를 보다 폭넓고 세심하게 살피는 것은 차후의 중요한 연구과제가 된다.

      • KCI등재

        단절과 고립의 시대, 고전문학에서 찾는 연결과 소통의 길:고소설 작품서사와 여성의 자기서사를 중심으로

        신동흔(Shin, Dong-hun)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 No.53

        본 연구에서는 현시대의 두드러진 특성으로서의 단절과 고립, 우울과 분노에 대한 인문학적 대응의 일환으로 고전문학의 속성과 가치에 대해 논했다. 문학치료학의 서사 개념을 적용하는 가운데 고소설의 작품서사와 여성독자의 자기서사를 연결한 논의였다. 작품 안팎의 서사적 접속과 연결, 그리고 연대와 확장에 대해 특별히 주목했는데, 그것이 오늘날의 당면과제로서 서사적 단절 극복을 위한 유력한 통로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전통사회의 대다수 사람들, 특히 조선후기 가부장 사회의 여성들은 오늘날과 비할 수 없는 아득하고 엄중한 격리와 고립의 상황을 감당해야 했다. 평생에 걸친 자가격리라고 할 만한 상황에서 그들을 위로하면서 서사적 출구를 열어준 것은 문학문화의 첨병 구실을 한 소설이었다. 〈구운몽〉과 〈사씨남정기〉, 〈숙향전〉, 〈만복사저포기〉, 〈방한림전〉, 〈삼한습유〉 등 주요 고소설 작품들은 당대 여성들의 삶의 현실을 반영하는 한편으로, 현실 너머의 가능세계를 펼쳐 보이며 그것을 내면화하도록 했다. 주목할 바는 이들 작품이 펼쳐내는 소설적 상상이 단순한 도피적 공상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그것은 ‘무덤’과도 같은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는 가운데, 현실의 모순과 한계를 넘어서 독자들을 삶의 주체로 일으키는 구실을 했다. 그러한 의미는 작품서사에 내재한 것인 동시에 독자들의 자기서사의 작용에 의해 ‘구성된’ 것이었다. 그 일련의 과정은 미적 자기발견이자 초극적 자기실현을 위한 존재적 투쟁이었다고 볼 수 있다. 고소설 작품서사와 여성들의 자기서사의 연결과 접속은 의의가 개인적인 미적 경험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것은 공시적 확장성과 통시적 연결성을 발현하는 가운데 사회 변화의 동력으로 작용했다. 그 미적 에너지는 성별과 계층을 넘어선 심리적·서사적 연대를 이루어냈으며, 그것은 현실적 저항과 실천으로 이어져 억압과 구속을 깨뜨려 나가는 힘이 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권리는 지난날 전방위적으로 펼쳐졌던 ‘서사적 길 찾기’의 몸짓에 따른 결과였다고 할 수 있다. 현대의 서사적 고립과 단절을 넘어서 본원적 연결과 소통을 이루어내기 위하여 우리는 고전문학을 통해 펼쳐졌던 미적·존재적 투쟁을 새롭게 돌아보면서 현재적으로 의미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classical literature as part of finding a humanistic solution to the disconnection, isolation, depression and anger felt by modern people. While applying the concept “story-in-depth” of literary therapeutics, the “story-in-depth of text” of classical novels and the “story-in-depth of self” of female readers were linked.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existential expansion and social solidarity through narrative connections and connections inside and outside the works. This approach was considered a powerful pathway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disconnection as a current problem. Women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had to endure a more severe disconnection and isolation than modern people. It was a lifelong selfisolation situation. It was a classic novel that conveyed comfort to these women and opened a psychological outlet. Cnovels inclde Guunmong(九雲夢), Sassinamjeonggi(謝氏南征記), Manboksajeopogi(萬福寺樗蒲記), Banghanlim -jeon(方翰林傳), and Sukhyangjeon(淑香傳). While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lives of women of the day, they showed the possible world beyond reality and made it internal. The fictional imagination expressed by these works is not to be regarded as a mere escape fantasy. It has a function of surpassing the limits of reality and establishing people as subjects of life while vividly reflecting the real situation like a “tomb”. It was inherent in the text of the work, and it was “constructed” through readers’ subjective reading. The literary process was an existential struggle for self-discovery and self-real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narrative connection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female readers is not limited to personal private experiences. It served as a driving force for social change while expressing synchronic and diachronic connectivity. Its aesthetic energy has achieved psycho-logical solidarity that transcends gender and class. it also led to real resistance and practice, breaking social restrictions and repression. The freedom we have today result from the efforts of “finding narrative way” carried out in all directions in the past. To achieve the fundamental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beyond the modern isolation and disconnection, we need to reflect on the aesthetic and existential struggle that has progressed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and make it a new meaning.

      • KCI등재

        설화의 금기 화소에 담긴 세계인식의 층위

        신동흔(Shin Dong-Hun) 비교민속학회 2007 비교민속학 Vol.0 No.33

        This paper looked at the aspects from which taboos are formed in Korea's representative tales and examined their network of meanings. Prior research has understood taboos in tales as basically "prohibition or restraint," and this understanding has been set against the backdrop of human order and the different level of "divine order." Yet this paper viewed "prohibition" and "restraint" as only surface elements of taboo motifs, finding that the deeper meaning lay in their hinting at or revelation of the most secret providence that is bound up in the decisive moments of life, in the peaks on the road of life. Regarding the idea that taboos were established as boundaries according to the divine order, it was also shown that it was more appropriate to see them as junctions between "the road of humanity" and "yet another road of humanity" - junctions between the road that maintains the status quo and the road that seeks out a new life. Our conclusion is that the cognitive meaning of taboos is implicit at the point where the aims of these two roads clash fiercely, and it is through this that stories manifest their literary vitality. Among Korean tales, The Legend of Jangja Pond (Jangjamot jeonseol) and The Fairy and the Woodcutter(Seonnyeowa namukkun) in particular exhibit this aesthetic of taboos, splendidly showing literary tension. It is hoped that the future will see even more active discussion concerning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meaning in tales.

      • 직접분사식 디젤기관의 NOx 및 수트 배출 예측에 관한 연구

        신동흔(DongHeun Shin),성낙원(Nakwon Su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03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o estimate emission characteristics in D.I diesel engine, Zeldovich NOx formation model and Hiroyasu soot model were used for simplicity in this study. Predictions ofNOx and Soot emissions in Daewoo DEl2T engine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at air-fuel ratios of 19 and 25. The soot emission at air-fuel ratio of 19 was higher than that of 25 because the soot formation rate increases more than the soot oxidation rate does when injected fuel amount increases.<b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