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고문헌 및 고지도에 나타난 울릉도 지명과 독도 - 『竹島圖說』ㆍ『竹島雜誌』를 중심으로

        송휘영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2 일본사상 Vol.- No.42

        본고의 과제는 일본 고문헌 및 고지도에서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명을 고찰하여 현재의 지명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가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지명은 장소를 다른 곳과 구별할 수 있게 하며, 그 지리적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지역 경관의 변화 내용을 담고 있는 기호화된 텍스트이다. 본고에서 검토된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치에몽이 그린 「죽도도(竹島圖)」는 후속으로 제작되는 가나모리의 「죽도도(竹島圖)」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 「죽도도」에서는 울릉도의 세부장소에 그 특징적인 것은 담고 있으나 ‘명칭’은 부여하고 있지 않다. 즉 하치에몽과 가나모리의 「죽도도」는 1600년대 오야·무라카와의 지리적 정보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 다시 말해 이 계통의 지도는 하치에몽에 의해 독자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홋카이도(北海道) 탐험가였던 마츠우라(松浦武四郞)가 그 이후 제작한 「죽도대개도(竹島大概圖)」(1854)와 「죽도지도(竹島之圖)」(1871)는 하치에몽의 지리적 정보와 오야·무라카와의 지리적 정보가 함께 반영되어 있다. 즉 17세기에 도해한 양가의 ‘지명’을 함께 담고 있다. 지리지 편찬자로서 명성이 높았던 마츠우라는 가나모리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서 오야·무라카와의 지리적 정보를 함께 담고 있다. 셋째, 이들 4종의 <울릉도전도>를 보면 내륙의 상세한 장소에 대한 ‘지명’의 부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것은 ‘죽도도해’를 했던 당사자의 항행의 필요와 자원채취(수산자원 및 임산자원)의 필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울릉도 해안의 바위섬과 해변, 하천, 계곡, 암벽 등에 대해서는 상세한 정보를 제시하는 반면 울릉도 내륙의 나리분지 등의 정보는 담아내고 있지 않다. 그러나 마츠우라(松浦武四郞)가 3차례에 걸쳐 편찬한 죽도잡지(竹島雜誌)는 모두 도쿄(東京)에서 발행한 것으로 당시 메이지정부의 영토 확장 및 대륙진출의 모색 등 사회적 요구로부터 집필되었으며, 이후 울릉도에 관한 지리적 정보가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geographical names of Ulleungdo and Dokdo appeared in ancient Japanese documents and maps, and to examine how they relate to the current geographical names. Geographical names make it possible to distinguish a place from other places, and the means of convey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s well, which is a symbolic text containing changes in the local landscape. The items reviewed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akeshimazu(竹島圖)” drawn by Hachiemon influenced to Kanamori’s “Takeshimazu” that was subsequently produced. However, in this Hachiemon’s 「Takeshimazu」 described the characteristic specified places of Ulleungdo, but no ‘name’ was given. That is, Hachiemon and Kanamori’s 「Takeshimazu」 does not reflect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Oya and Murakawa in the 1600s. In other words, the maps of this line appear to have been independently produced by Hachiemon. Second, 「Takeshima-taigai-zu(竹島大概圖)」(1854) and 「Takeshima-no-zu(竹島之圖)」(1871) produced by Matsuura Takeshiro(松浦武四郞) a Hokkaido explorer reflecte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both of the maps published by Hachiemon and Oya=Murakawa. In other words, it contains the ‘place names’ of both family’s Jukdo Voyage in the 17th century. Based on the information of Kanamori Matsuura, who had a high reputation as a geography compiler, it contains geographical information of Oya and Murakawa together. Third, if you look at these four types of ‘Ulleungdo Jeondo-Whole Map’, no ‘place name’ is given to detailed places of inland at all. This seems to reflect the need for navigation and resource collection (aquatic resources and forest resources) of the party who carried out the ‘Takeshima tokai’. Therefore, the maps described detailed information on rocky islands, beaches, rivers, valleys, and rock walls along the coast of Ulleungdo but does not include any information about on the Nari Basin the inland Ulleungdo. However, the Takeshima-zasshi, compiled three times by Matsuura Takeshiro, were all published in Tokyo, and were written in response to the social demands of the Meiji government at the time, such as the search for territorial expansion and advancement into the continent, which played a role of spread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n Ulleungdo nationwid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울릉도쟁계」 관련 사료의 재해석

        송휘영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7 독도연구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discussions on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concerning ‘Ulleungdo Jaenggye’=Takeshima-Ikken which raised by Ahn Yongbok's cross the sea to Japan(so forth kidnapping) in 17th century, and visualize some disputes about the historical materials. First, this paper describe the situation of kidnapping of Ahn Yongbok and Park Eodun in 1693, secondly discuss about the official letter which had been insisted by Ahn Yongbok received from Japan government. Thirdly, this paper review the recognition of Japanese who have lived in Matsue Bun and Dottori Bun on Dokdo around 1696 when Japan announced ‘Order of Prohibition Sail to Takeshima’ and the Japanese sailing to Ulleungdo. Many researches from Korea described Ahn Yongbok and the group were kidnapped by force in threat with sword and gun but he was mentally cheated in drunken state by Japanese fishers in reality. Also there was no official letter to Ahn Yong-bok during his detention in Dottori Bun from Japan government and no trip to Edo Bafuku as well. Japanese historical materials confirm that Japanese sail to Ulleungdo sea area was limited until 1695 and the recognition of Japanese prior to ‘Order of Prohibition Sail to Takeshima’ revealed Ulleungdo and Dokdo area was out of Japan boundary and belonged to Choseon boundary. The historical materials concerning ‘Ulleungdo Jaenggye’ still disputed between two countries in many points of view. I suggest more realistic and objective research activity about the ‘Ulleungdo Jaenggye’ on the basis of historical materials is necessary. 본고의 목적은 17세기말 안용복의 도일(납치) 사건으로 촉발된 「울릉도쟁계」(=죽도일건)와 관련하여 한일 간의 쟁점을 정리하고, 「울릉도쟁계」 관련 사료의 재해석을 통해 몇 가지 쟁점의 실체를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1693년 안용복과 박어둔의 납치 정황을 검토하고, 둘째, 안용복이 서계를 받았는가 하는 점과 셋째, 「죽도도해금지령」(1696) 전후 일본인의 울릉도 도해 정황과 마츠에번 및 돗토리번의 독도 인식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의 연구에서 안용복 일행이 총검에 위협당해 납치된 것으로 하고 있으나, 사실은 일본인의 술잔치에 꾀임을 당해 끌려갔다. 또한 안용복이 받았다는 서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당시 돗토리번에 억류되어 있었던 안용복이 막부 장군이 사는 에도로 가지도 않았다. 당시의 일본 사료를 보면 일본인의 울릉도 도해는 1695년까지 확인되며 「죽도도해금지령」 이전 마츠에번과 돗토리번의 울릉도·독도 인식은 그들의 판도 외 즉 조선의 판도로 보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울릉도쟁계」 관련 사료는 아직 많은 부분에서 한일 간에 상호 일방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 앞으로 양측의 사료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울릉도쟁계」의 실체를 밝혀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하겠다.

      • KCI등재

        일본 시마네현 독도정책의 동향과 방향

        송휘영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5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6 No.2

        본고에서는 독도의 소속을 주장하는 일본 시마네현의 독도정책의 동향과 기조를 분석하고 향후의 전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 밝혀진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죽도문제연구회 제1기와 제2기의 경우, 독도의 역사적 권원을 찾아내는 연구가 중심이던 것이 제3기 이후에는 국제법적 측면과 독도 교육과 홍보의 대대적 강화라는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둘째, 일본 국내에서도 독도교육을 선구적으로 실시해오고 있는 시마네현은 교육자회의(교사협의체)와 연계하는 등 지도안의 작성과 수정을 통해 독도가 일본영토라는 당 위성을 쉽게 인식시키고자 하는 대책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시마네현의 홍보자료는 자신들의 역사와 생활 속에서 독도와 어떻게 관련해왔는지를 강조함으로써 독도가 자신들의 향토라는 것을 널리 홍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넷째, 그러면서도 매년 「죽도주권 강화를 위한 요망서」를 전달한다든지 「죽도·북방영토 반환요구운동 현민대회」의 개최 등을 통해 정부에 대해 강력한 압력을 전달하는 식으로 시마네현의 독도정책은 추진되고 있다.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으로서, 연구와 정책과 교육·홍보가 상호 긴밀히 연계하여 기능하기 위해서는 대구경북지역 독도연구기관과 경상북도 독도정책과 그리고 관할 교육청이 서로머리를 맞대고 독도 영유권 공고화를 위한 구체적 작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analyze present circumstance and working of Shimaneken in Japan on Dokdo policy and prospect the trend. Major points of the change were described below. First, the first and second period of Takeshima Study Group activity focused on search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Dokdo but the third period moves to the emphasis on international law, education, and the publicize. Second, the pioneering position of Japan to lead Dokdo education by Shimaneken was cooperated with Teacher’s Association(Union) to realize the learning and teaching program for Dokdo territory issue by drawing teaching materials and the amendment. Third, publication materials such as 100 Q&A of Takeshima Issue and, Living in Oki described Japanese living in relation with Dokdo historically waking up the recognition of Japanese throughout the nation. Forth, Shimaneken expand the activity concerning Dokdo policy by submit 「Petition for Takeshima Sovereignty」 or holding 「Prefecture Campaign for Takeshima·North Islands Territory」 to press central Japan government. These activities are managed by 「Takeshima Study Group」 which belonged to prefecture department of general affairs of the bureau to proceed those campaigns. The activities by the prefecture should be reviewed by Korean government for diplomatic response and the regional government of Gyengsangbuk-do concerning Dokdo management. To make it more effective for Dokdo sovereignty and strengthen the activity, practical and close cooperation among research institutions, Dokdo related office such as Gyeongsangbuk-do, and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 KCI등재

        『장생죽도기(長生竹島記)』와 독도 영유권

        송휘영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9 일본사상 Vol.0 No.36

        이 연구의 목적은 에도후기에 전문으로 기록된 『장생죽도기(長生竹島記)』(1801)를 통해 독도 영유권과 관련된 논의를 살펴보고 사료가 갖는 가치와 한계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이 사료는 죽도도해 및 안용복 사건 당시를 겪었던 이타야(板屋何兵衛)라는 어부로부터 츠바키 (椿儀佐衛門)라는 사람이 전해들은 것을 제3자인 야다 다카마사(矢田高当)가 110년 뒤에 기록한 전문(伝文)이다. 따라서 사료가 가지는 증거력은 높게 평가받을 수 없다 하더라도 죽도도해(竹島渡海) 당시의 상황, 안용복의 도일 행적과 관련된 정황을 아주 상세하게 담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고에서 밝혀진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생죽도기』의 기록을 보면 안용복 사건의 자세한 정황을 담고 있으며, 막부의 명에 의해 돗토리에서 양양으로 추방당한 안용복 일행이 귀국 도중 오키섬에 들렀을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또한 안용복의 2차도일에서 목표로 했던 후쿠우라(福浦)와 오차가 2리(8km) 밖에벗어나지 않고 있는데 당시 항해술이 상당히 정확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1693년 안용복 납치사건에서 총포의 위협에 의한 것이 아닌 술잔치로 일본 배로 유인하여 납치해 갔다는 당시의 정황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이처럼 17세기에 있었던 「죽도도해」의 정황과 두 번에 걸친 안용복 납치 및 도일 사건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어 기존 사료를 보완한다는 측면에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장생죽도기』는 전해들은 바를 전해듣고 기록한 전문(傳文)이다. 「전문증거 금지의 원칙」에 의하면 전문증거의 성격을 지닌 『장생죽도기』는 영유권 주장의 증거력을 갖지 못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전문의 형식을 지닌 『장생죽도기』는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사료로서는 증거력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면에서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안용복 사건’ 당시 안용복의 행적을 추적하고 「울릉도쟁계」의 과정을 밝히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많이 담고 있어, 기존 사료를 보완하는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ussion on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review the historic value and limitation of the material through Choseitakeshimaki(長生竹島記)(1801) which described in the message during the Edo era. This historic material is a transferred message recorded 110 years later by third party Yada Takamasa(矢田高当), who was told by a fisherman named Itaya(板屋何兵衛) from Tsubaki(椿儀佐衛門) who had suffered the Jukdo Island crossing the sea and the Ahn Yong-bok incident. Therefore, even if the evidence of the material is not highly evaluated, it is Ahn important data that contains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akashima-Tokai(竹島渡海) and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visiting Japan activities of Ahn Yong-bok in very detai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rds of Choseitakeshimaki show the detailed circumstances of the Ahn Yong-bok case, And it suggests that Ahn Yong-bok, who was expelled from Tottori to Yangyang by the order of the Shogunate, may have visited Oki Island during his return home. Also, Ahn Yong-bok’s second visit Japan was only two ri(8 km) distance mismatching from Fukuura(福浦) as destination, which can be seen that the navigation was quite accurate at the time. Second, in the kidnapping of Ahn Yong-bok in 1693, it can be confirmed that he was kidnapped by a Japanese ship as a drink feast, not by a threat of gunfire. Third, it shows the historical fact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akashima-Tokai in the 17th century and the kidnapping of Ahn Yong-bok and visit Japan incident twice, and it can be said that it has historical value in terms of supplementing the existing materials. Fourth, Choseitakeshimaki is record from a transferred message hear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vidence for the transferred message, Choseitakeshimaki which has the character of transferred message as evidence, does not have the evidence of territorial claim. In conclusion, Choseitakeshimaki, which has a transferred form,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have enough evidence as a historical material for claiming Dokdo’s sovereignty. However, it contains a lot of information necessary to track the movements of Ahn Yong-bok and to reveal the process of ‘Ulleungdo Jaenggye’ at the time of ‘An Yong-bok incident’,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valuable as a supplementary material.

      • KCI등재

        근대 울릉도 사회경제 구조의 변천과 독도 인식

        송휘영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0 일본사상 Vol.0 No.3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recognition of Dokdo on the annexed islands of Ulleungdo through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socio-economic structure of the modern Ulleungdo from the 「Ulleungdo Exploring Order(1882)」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ollowing were reviewed in this article. First, the Japanese who infiltrated Ulleungdo again in line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s migrant fishing village policy were mainly aimed at cutting logging in the early days, but gradually changed into the form of obtaining income sources through the collection of fishery resources as the abalone, sea lion, and squid catching were spread in the 1900s. Second, the momentum for Japanese immigration to Ulleungdo began after the Fishery Agreement between Japan and Choseon in 1889 and the Sino-Japan War in 1895, and the Meiji government's policy of immigration and fishing for the advancement of the continent was the background. In addition, the Japanese population on Ulleungdo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Sado-style squid fishing on Ulleungdo in 1903. The introduction of squid fishing was a source of income to replace conventional wood income, which led to the Japanese migrant fishing village settlement and the Japanese population on Ulleungdo was rapidly increased around 1910. Third, the vested interests of Ulleungd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such area as management, administration, education, police, commerce, and fish processing, etc., were established by Japanese economic fishing activities, and it is also a modern history of Ulleungdo to show typical cases of colonial rule and exploitation. Dokdo was on route to serve as a target for these voyages. According to their recognition of Dokdo, the name of Dokdo, which was called Riankodo, was officially named at the time, but the name of Dokdo as Matsushima, which was called from the Sannin region, was used as it was. Fourth, as migrant fishing villages settled in Ulleungdo, the residents of Sannin region mainly accounted for more than 70 percent of Japanese residents, and a direct route called Ulleungdo-Okisushima-Sakaiminato was opened as a route to Japan. Dokdo was on route to serve as a target for these voyages. According to their recognition of Dokdo, the name of Dokdo, which was called Riankodo, was officially named at the time, but the name of Dokdo as Matsushima, which was called from the Sannin region, was used as it was. This means that the fishermen of Sannin coastal area have used Songdo(Matsushima) more customarily than the new name Riankodo even in modern times. And Dokdo(Songdo) is a place where many abalones are catched, so many people come from Ulleungdo, the main island, and they usually stay for 4 ~ 5 days and return to the main island (Ulleungdo). In other words, it is said that the Dokdo fishery was carried out with Ulleungdo as its base, and that the fishing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rom Ulleungdo, which is much closer and safer than Ulleungdo than Oki Island (157km) at that time. 본 연구의 목적은 「울릉도개척령(1882)」 이후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근대기 울릉도 사회경제 구조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통해 울릉도의 부속섬 독도에 대한 인식 및 인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글을 통해 검토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제국주의의 이주어촌정책과 맞물려 다시 울릉도로 잠입한 일본인들은 초기에는 주로 벌목의 채벌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으나, 1900년대로 접어들면서 점차로 전복채취, 강치어렵, 오징어잡이 등이 보급되면서 수산자원의 채취를 통해 소득원을 얻는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울릉도 경제의 성장과 더불어 인구 증가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울릉도에 일본인 이주가 본격화되는 계기는 1889년 조일통어장정과 1895년 청일전쟁 이후부터이며, 이는 메이지 정부의 대륙진출을 위한 이주어촌 정책이 배후에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울릉도의 일본인 인구가 비약적으로 늘어나는 것은 1903년 울릉도에 사도식(佐渡式) 오징어어업을 도입하면서부터였다. 오징어어업의 도입은 종래의 목재 소득을 대체하는 소득원이었고 이로 인해 울릉도의 일본인 이주어촌은 정착단계에 접어들었고 1910년을 전후하여 울릉도의 인구가 다시 급속히 늘어났다. 셋째, 어업활동이라는 경제행위를 매개로 관리와 행정, 교육, 경찰, 상업, 가공업 등 일제강점기 울릉도의 기득권층은 일본인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식민지 지배와 수탈이라는 전형적인 사례를 보여주는 것이 울릉도의 근대사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의 울릉도의 산업구조를 있게 한 긍정적인 부분과 울릉도의 임산자원 황폐화 및 어족자원의 수탈이라는 부정적인 부분을 함께 지니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넷째, 울릉도에 이주어촌이 정착하면서 주로 산음지방 출신자들이 일본인 거주자들의 7할 이상이나 차지하였고, 일본으로의 항로로 ‘울릉도-오키섬-사카이미나토’ 라는 직항로가 개설되었다. 그 도정에 있는 독도는 이들 항해의 표적 역할을 하였다. 이들의 독도 인지를 보면, 당시 새롭게 유입된 량코섬(リャンコ島)이라는 호칭을 공식명칭으로 하면서도 산음지방에서 예전부터 부르던 독도의 명칭 송도(松島)가 그대로 사용되고 었었다. 이는 산음 연해지방 어민들이 근대에 들어와서도 새로운 명칭 량코섬보다는 송도를 관습적으로 써왔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리고 독도(송도)는 전복이 많이 나는 곳이어서 본도인 울릉도에서 출어하는 사람이 많았으며, 이들은 주로 4~5일간 체류하다가 본섬(울릉도)으로 돌아오는 식의 출어를 하였다. 즉 본도인 울릉도를 거점으로 하여 독도로의 출어활동을 하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당시 독도로의 출어가 오키섬(157.5km)보다 훨씬 지근거리이고 안전한 울릉도를 기점으로 하여 어로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고문서에 나타난 일본의 독도 인식

        송휘영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0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고문서를 통해 에도·메이지 시대 일본의 독도 인식이 과연 어떠하였으며 그들은 독도를 자신들의 판도로 간주하였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역사 사료 속에서 일본의 독도 인지는 한국에 비해 200년 이상 이후의 일이고 그것도 울릉도 도해를 하기 위한 표식(목표물)으로 이용하는 정도였다. 독도의 판도를 생각하는 그들의 인식은 ①『은주시 청합기』에서 일본의 서북한계를 오키섬으로 한정하고 있는 점, 다시 말해 독도(송도)를 일본의 판도외 즉 조선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사실, ②「울릉도쟁계」의 최대 전환점이 되는 1695년 12월 24일 에도 막부의 조회에 대한 돗토리번의 「7개조답변서」에서 ‘죽도(울릉도)와 송도(독도)는 돗토 번에 속하는 섬이 아니다’고 명언한 사실, ③「조선국교제시말내 탐서」에서 ‘죽도(울릉도)와 송도(독도)가 조선국 부속이 되어있는 시말’을 조사하여 보고하게 한 점, ④1877년 3월 29일 발령한 「태정관지령」에서 ‘죽도(울릉도)외일도(독도)는 일본과 관계없므로 명심할 것’이라고 천명한 점 등 일본의 관찬기 록 그 어디에도 독도를 일본의 판도 밖으로 보고 있다. 즉 조선의 판도로 보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Japanese recognition on Dokdo through Japanese old document of Edo-Meiji era and examine if Japanese recognized Dokdo as her territory. Japanese recognition on Dokdo was 200 years later than Korea in historic materials and Japanese recognition was mentioned as a seaway mile-stone to reach Ulleungdo The Japanese recognition on Dokdo boundary was ① Insyushichogaki (隱州洲視聽合記) described Japanese north-west territory border limits to Oki island, which explain the fact Matsushima=Dokdo was out of Japanese border and recognized Dokdo as Choseon(Korea) territory. ② The ‘7 articles in answer’ in Ulleungdo Jaenggye(鬱陵島爭界) document which established by Dottori provincial government and answered to Edo Bahuku in December 24, 1695 as a turning point described ‘Takeshuma=Ulleungdo and Matsushima=Dokdo do not belong to Dottori-han government’, ③ Chosenkoku-kosaishimatsu-naitansyo(朝鮮國交際始末內探書) (Inspection re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with Choseon) ordered to examine how ‘Takeshuma=Ulleungdo and Matsushima=Dokdo annexed to Choseon’, ④ ‘Dajyokan-shirei(太政官指令)’(Order of Prime Minister) dated on March 29, 1877 manifested and declared ‘Takeshuma=Ulleungdo and one island =Matsushima=Dokdo do not have any relation with Japan and keep in mind’, which obviously revealed no Japanese territory in official old document of Japanese government. So, Dokdo belong to Korea in reality in the Japanese old documents.

      • KCI등재

        죽도판도소속고(竹島版圖所屬考)

        송휘영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9 독도연구 Vol.- No.26

        This document is attached to Article 14 of the Japanese diplomatic document (Japanese diplomatic document), "Article 10: Prohibition of Prohibition of Visit to Ulleungdo, Chosun" (Appendix 2) . This data is the data from 1881 to 1883 unauthorized entry into Ulleungdo, and it is the data which can see the whole time until the Japanese who were doing the cutting were caught by the Chosun government official and withdrawn. Japan was banned from harvesting Japanese on Ulleungdo by the protests of Korea, and in 1883, the Japanese were forced to return to Japan on Ulleungdo. In the process, <Appendix 2> attached to this report was made to report to the Kitakazawa secretary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t that time on the matter of Jukdo (Ulleungdo). 이 문서는 일본외교문서(日本外交文書) 제14권 「사항10: 조선국 울릉도에 방인 도항금지의 건(朝鮮国蔚陵島ヘ邦人渡航禁止ノ件)」에 <부속문서2>로 첨부된 것이다. 이 자료는 1881년에서 1883년까지 무단으로 울릉도로 들어와 벌목 등을 하던 일본인들이 조선의 관원에 의해 적발이 되어 철수하기까지의 전모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일본은 조선의 항의에 의해 울릉도에서 일본인의 벌채 등을 금지시키게 되었고, 1883년에는 울릉도에서 일본인을 강제로 귀국시키는 등 일본의 울릉도 도항금지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 첨부된 <부속문서2>는 그러한 과정에서 당시 외무성 서기관이었던 기타자와(北澤正誠)에게 죽도(울릉도)에 관한 사항을 조사해서 보고하도록 한 것이다.

      • KCI등재

        일본의 독도에 대한 “17세기 영유권 확립설”의 허구성 -일본 외무성의 죽도 홍보 팸플릿의 포인트 3, 4 비판-

        송휘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4 No.-

        일본 외무성은 2008년 2월 이후 공식홈페이지와 홍보 팸플릿을 통해 「竹島-다케시마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10의 포인트」를 10개국어로 번역하여 홍보하고 있다. 여기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논조가 「무주지선점론」에서 이른바 「영유권 확립설」로 점차로 변화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포인트3’과 ‘포인트4’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접근하기 위해 일본 측 1차 사료의 원문을 면밀히 점검함으로써 일본 사료를 통해 본 독도의 일본 영유권 주장이 성립하는지 어떤지를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일본 정부의 주장은 사료적 근거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도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의도적으로 왜곡하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하겠다. 우선 세 차례에 걸친 죽도도해금지령의 발령은 울릉도・독도가 자국의 영역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고, 울릉도쟁계, 태정관지령 등 이후 일본정부의 공식 문서에서도 명확히 울릉도(죽도)와 독도(송도)는 일본의 판도(영토)가 아님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일본 외무성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언급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고 있다. 메이지 정부의 최고 행정기관이었던 태정관(太政官)이 내무성에 전달한 이 「태정관지령」에 의하면 “17시기 중엽까지 다케시마(독도) 영유권을 확립했다”고 하는 일본정부의 주장은 의도된 허구이며 거짓이 된다. 사람이 살 지 않는 땅이라 하여 「무주지선점」의 논리를 앞세워 러일전쟁이라는 전시적 상황에서 일본의 독도편입을 강행하였고, 마침내 「영유권 확립설」로 그 논리를 비약시키고 있지만 겐나(元和)년간에서 겐로쿠(元祿)에 이르기까지 70여년간 오야(大屋)・무라카와(村川)의 양가가 타국(조선) 영토에 타국(조선) 정부로부터 허가도 없이 울릉도 도해를 한 것은 누가 보아도 국경침범이었음이 분명하다. 이러한 불법적 죽도도해의 사실을 근거로 17세기 중엽에 울릉도 혹은 독도에 영유권이 확립되었다는 식의 주장은 일본 정부 스스로가 역사를 의도적으로 왜곡하겠다는 의사로 밖에 볼 수 없다. 1877년 일본 정부의 공식문서인 「태정관지령(太政官指令)」에 의해 일본이 독도를 확실히 조선 영토라고 인정하였으며 독도영유권을 포기하였다고 하는 역사적 사실이 엄연히 존재하는 한, 일본 외무성의 홈페이지에서 “적어도 17세기 중반에는 일본이 다케시마를 실효지배 하여 영유권을 확립하였으며, 1905년 각의 결정을 통하여 영유권을 재확인하였다”고 하는 일본의 주장은 성립될 수 없다. Japan MOFA started to propaganda ‘10 points to understand Takeshima Issue’ in 10 foreign languages at her official homepage and brochure from Feb. 2008. The trend of the claim on Dokdo sovereignty by Japan is changing from ‘terra nullius’ to ‘inherent territory claim’. So this analysis focused on the point 3 and point 4 of the insistences. To approach to the insistence of the Japan, this analysis examined the original historical materials by Japanese part in detail to find any foundations of Japanese assertions about the territorial issue.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assertion by the Japanese part had distorted the truth of the materials in spite of historical foundation of the facts about the history of Dokdo. First of all, the three time’s declaration of Prohibition of Takeshima Crossing the Sea by Japanese Bahuku government proved the recognition of Japan for non territorial issue on Ulleungdo-Dokdo islands and definitely revealed in the Japanese government’s official documents which explain non Japan territory after the dispute on Ulleungdo and by Dajokan Order. However, Web Takeshima Issue Research Center intentionally ignored the comment on this part. 「The Order of Dajokan(太政官)」 as the top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Meiji government to the Ministry of Domestic Affairs illustrated that the insistence of Japan who recognized the territorial sovereignty until 「affirmed the sovereignty on Takeshima islands in mid 17th century revealed false and wrong intentional recognition. Though Japan illegally annexed Dokdo just during the wartime between Russia and Japan under the rule of 「terra nullius」 logic and propaganda the logic, but the illegal 70 year’s crossing activity to Ulleungdo without permission of the other country government (Choseon) by Ohya(大屋)-Murakawa(村川) during Genna(元和) and Genroku(元祿) was obvious border invasion at any excuse. It is intention of Japanese government to distort the historical fact if Japan insists Dokdo or Ulleungdo sovereignty on the basis of illegal Takeshima activity in mid 17th century. Because there is obvious historical fact that Japan had admitted the Dokdo is Choseon territory and abandon the sovereignty on the islets in 1877 by Japanese official document of 「Dajokan Order(太政官指令)」 concretely, these day’s Japanese assertion on the territory issue by advertising on the homepage of Jap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s “at least confirmed sovereignty on the Takeshima(Dokdo) islets by acquiring practical domination in mid 17th century, and reaffirmed the territorial dominium by the decision of cabinet in 1905” is definite fabrication of the f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