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ioelectrochemical system에서 CO₂의 환원을 통한 products 생산

        송효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new technologies for the supply of secure, clean, sustainable energy. A bioelectrochemical system (BES) is a new technology that can capture and utilize CO2. BES is a technology that reduces CO2 to high value-added chemicals and biofuels (such as alcohol, organic acids, and methane) through the supply of electric energy. This study also carried out experiments to produce valuable products such as methane and acetate by reducing CO2 in BES. In mixed culture, methane and volatile fatty acids production and current were measured, and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was conduct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different types of reactors and mediators to increase methane production efficiency in pure culture. Also, new type of reactor was designed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methane. CO2 was converted to methane and acetate by mixed culture using a single-chamber reactor (SR). The amounts of production of acetate, isovaleric acid, and butyric acid were 10.5, 0.25 and 0.02 g L-1, respectively, for 137 days. Maximum methane production rate was 298.5 L m-2 day-1. The microbial communities before and after the electricity supply were compared. Because of the abundance of acetate producing bacteria, acetate has accumulated in the reactor. CO2 was converted to methane by pure culture through a H-type reactor (HR). To compare the activity with the mediator, 0.1 mM (final concentration) of neutral red (NR), 0.1 mM of methyl viologen (MV), 0.5 mM of MV was added. (respectively H-NR, H-MV1, H-MV2) It took about 8.5, 12.6 and 15 days (respectively H-NR, H-MV1, HR) to produce the same amount of methane (230 ml). Thus, methane generation efficiency is higher in the reactor containing the mediator, and NR is better as a mediator than MV. A multi-electrode reactor (MER) was designed to produce large quantities of methane. The working volume of MER is 5 L. And three cathode electrodes were used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s. In addition, the gas phase was pumped back into the catholyte through a sparger to increase the mass transfer of CO2. As a result, 2.6 L of methane was generated for about 17 days, and it took 1.4 days to produce 230 ml methan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ggested the application of mediators and reactor types for better performance of methane and volatile fatty acids production in bioelectrochemical system. 최근 안전하고 깨끗하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공급을 위한 신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 온실가스인 CO2를 포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bioelectrochemical system (BE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BES는 전기에너지 공급을 통해 CO2를 고부가가치 화학물질 및 바이오연료(알코올, 유기산, 메탄 등)으로 환원하는 기술이다. CO2의 무한한 기질 가용성으로 인해 BES를 통해 생산된 에너지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로의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electron donor로써 수소 대신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며, 태양열 및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생산된 잉여 전기에너지를 바이오 연료로 전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BES를 이용하여 CO2를 환원하여 메탄과 acetate 등의 가치 있는 생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혼합배양을 통해 메탄과 유기산 생산과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순수배양을 통해 메탄 생산의 효율을 높이고자 반응기 타입과 mediator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대량의 메탄을 생산하기 위한 반응기를 설계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Single-chamber reactor (SR)를 통한 혼합배양으로 CO2를 메탄과 acetate로 전환하였다. 137일간 acetate, isovaleric acid, butyric acid는 각각 10.5, 0.25, 0.02 g L-1 생산되었으며, 메탄은 최대 298.5 L m-2 day-1의 속도로 생산되었다. 반응기 시작일과 137일째에 미생물 군집을 비교하였으며, acetate 생산 미생물의 우점화로 인해 반응기 내에 acetate가 축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H-type reactor(HR)에서 Methanothermobacter thermautotrophicus의 순수배양을 통한 메탄 생산 실험이 진행되었다. Mediator를 통한 메탄 생산의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neutral red 0.1 mM (최종 농도), methyl viologen (MV) 0.1 mM, 0.5 mM을 각각 H-NR, H-MV1, H-MV2에 첨가하여 mediator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기(HR)와 비교하였다. 같은 양의 메탄(230 ml)을 생성하기까지 H-NR, H-MV1, HR은 각각 8.5일, 12.6일, 15일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메탄 생성 효율은 mediator를 넣은 반응기가 더 높았으며, mediator의 역할로는 MV보다 NR가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ulti-electrode reactor (MER)은 대량의 메탄을 생산하기 위한 반응기로 약 17일 동안 2.6 L의 메탄을 생성하였으며, 230 ml의 메탄을 생산하는데 1.4일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BES에서 메탄과 유기산 생산의 보다 나은 성능을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高麗時代 疫疾에 대한 硏究 : 12·13世紀를 中心으로

        송효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first record of occurrence on the epidemic disease in Korea was find the period of King On-Jo(溫祚王) in Paek-Jea(百濟). Also, we can find over 20times records in Koryo(高麗). In particular, many records of occurrence on the epidemic disease were concentrated in 12·13centuries. Thus, it examined what the social circumstances and climatic factors that could possibly affected the epidemic disease and how the people or government coped with this situation from 12century to 13century. Socially, many influential family seizured from the peasant's lands illegally or legally in this period. As a result, they moved from their own residential place and wandered. Especially, the people much suffered in the period of King Ko-Jong(高宗) faced with the invasion of Mongolia(蒙古) under the military governmnet. Climatically, relatively mild climate abruptly turned to cold unstable climate in 12century. Moreover, drought, cold-weather damage in summer, mild winter and famine continued almost every year. These were acted to made people painful. When the epidemic disease occurred, the people or government took some actions to eliminate it. It is distributed institutional operations, religious solutions and medical developments. First, the government remit offenders and exempt taxes in the place which suffered from the epidemic disease. In the King Ye-Jong(睿宗), the government set free the criminals and established Ku-Jea-Do-Gam(救濟都監) for cure. Besides these, Hye-Min-Kuk(惠民局) also set up as a public drugstore. Second, the government or people depended on temple of buddhism, shamanism and gave worship to shrine as the religious actions. In fact, the government ordered to establish the temple of buddhism and gave worship to shrine in the period of King Ye-Jong. On the other hand, only the people depended on the religious method to cure that by themselves in the period of King Ko-Jong. Many medicines and doctors came from Soong(宋) in the period of King Ye-Jong. However, medical books of A-Eui-Chwal-Yo-Bang(御醫撮要方) and Hyang-Yak-Ku-Kuep-Bang(鄕藥救急方) published in the period of Ko-Jong. Actually Hyang-Yak-Ku-Kuep-Bang means increasing of interests about own medicine in Koryo. There were some characters related in actions to cure the epidemic disease. The period of Ye-Jong was more stable society than that of Ko-Jong ; accordingly, the actions by the government were also more aggressive in the view of the institutional and religious methods. Relatively, there were medical development in the period of King Ko-Jong. It influenced on the medical development to Jo-Sun(朝鮮).

      • 무용전공자에서 예비체육교사로 성장하기

        송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ivation of dance majors taking P.E. course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bout the choice of their departments and the teaching profession, their knowledge of courses in teach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vision. It's basically meant to grasp the reality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at. Clandinin & Connelly(2000)'s five-stage narrative inquiry process was adopted to serve the purpo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selected graduate students who were taking courses in physical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become P.E.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motivation of their choice of major, the preservice P.E.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chose their major due to their own talent and interest in P.E. and the accuracy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his subject. Concerning the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hey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learning P.E. teaching methods and hoped to get a stable occupation. The two motivations were evenly common. Taking courses in teaching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m to look back on themselves, to understand not only themselves but learners and to foster their own qualifications and competencies as preservice teachers. In terms of knowledge of the content area of P.E. courses, they viewed P.E. as a scientific and systematic discipline, as an integrative discipline link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philosophy, epidemiology, psychology, physiology and pedagogy, and as part of living culture and amusement. Concerning knowledge of P.E. teaching, they acquired the knowledge by taking courses in education, from the teaching methods of their professors, and by observing P.E. instruc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cquired knowledge in an integrated manner by taking both courses in teaching and major courses, and they seemed to have mapped out their vision in detail. But their student teaching experience rather resulted in demotivating themselves in association with their major choice.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reservice P.E. teachers who took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ot to understand the teaching profession and found it interesting to learn about major courses, but they becam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practical P.E. education because of their negative experience during student teaching. According to the objects of preservice P.E. teacher educ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ot only practical education but the preparation of actual P.E. skills are mandatory becausa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ubject. As the students received no practical education, they faced difficulties during four-week student teaching. Although student teaching should provide an opportunity for dance majors to confirm their own possibility as preservice P.E. teachers, it rather resulted in demotivating the students and making them have fear for the teaching profession. Diverse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dance majors to foster their professionalism as P.E. teachers, which is actually required at school, so that they could gain significant experience in student teaching. Seco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current curriculum is designed to educate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offer quality education for either of them, and the curriculum didn't comply with the intent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graduate school. The dance majors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to have the teaching profession, but the curriculum ended up demotivating them. The kind of curriculum that can nurture full-fledged, qualified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prepared.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efforts: First, more diverse groups of subjects should be selected. In this study, preservice P.E.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were selected to analyze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future, not only dance majors but those who majored in similar departments such as industrial sports, health guidance or special physical education and have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to look in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Second, elite athletes who have been retired or who have dropped out due to injuries are likely to decide to go on to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at the experience of receiving preservice P.E. teacher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eans for athletes who receive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ether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foster thei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should carefully be studied. 본 연구는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에 진학한 무용전공자들의 교과 및 교직 선택 동기, 교직과목 지식, 교과교육학 지식, 내적비전을 알아보고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중등 예비교사교육의 실제를 이해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Clandinin&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의 5단계 절차를 따랐으며, 연구목적에 부합하여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체육교육전공 대학원생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들의 전공 선택 동기는 무용영역에서 체육영역으로의 저변 확대와 체육활동에 대한 소질과 흥미, 체육의 측정 및 평가의 명확성에 대한 신뢰로 나타났고, 교직 선택 동기는 체육교수법에 대한 학습 필요성 인식과 안정적인 직업에 대한 선망이었다. 또한, 교육대학원 교직과목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이를 학습자에 대한 이해로 확대하며 예비교사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성장시켰다. 체육교과내용 영역에 대한 지식은 첫째,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으로서의 체육, 둘째, 체육을 중심으로 철학, 역학, 심리학, 생리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으로 연결되어있는 통합적인 학문, 셋째, 일상적인 생활문화 및 놀이로서의 체육으로 이해하며 지식을 형성하였다. 체육교과교수 영역의 지식은 첫째, 교육학을 통해 형성한 지식과 시사점의 활용 둘째, 교수자의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체육현장관찰 수업 및 담당교수의 교수방법을 통해 형성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직과목과 전공과목의 지식을 통합적인 차원으로 형성해 나갔고, 내적비전 형성이 구체적으로 완성되어가는 듯 보였으나, 교육실습 경험을 통하여 전공 선택 동기가 저하되고 정체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직에 대한 이해와 전공과목을 알아가는 흥미를 느끼고 있었으나 교육실습의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해 체육실기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목적에 따른 예비체육교사교육을 목표로 한다면, 체육교육은 과목의 특성이 이론과 더불어 실기능력에 대한 준비도 필수가 되어야 한다. 실기교육의 부재는 4주간의 교육실습현장을 경험하며 실기에 대한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무용전공자들이 예비체육교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기회의 장으로 교육실습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교직동기가 저하되며 교사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되었다. 이처럼 유의미한 교육실습경험이 될 수 있도록 체육실기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여 무용전공자들이 실제 학교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육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의 현직교사교육과 예비교사교육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현재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교육하기 위한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기에 양자 모두에게 질 높은 교육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대학원 진학 목적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교직에 대한 동기를 가지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에 입학한 무용전공자들에게 교직에 대한 동기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예비교사에게는 교사로서 준비되어야할 자질과 실제학습현장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을 통하여 예비교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을 세분화하고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의 교육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로 그 대상을 한정지었으나, 무용전공자와 같이 산업스포츠학과, 건강지도학과, 특수체육학과 등의 유사관련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이들의 교육경험을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엘리트 운동선수로 은퇴를 하거나 부상을 당하는 등의 중도 탈락을 경험한 선수들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들에게 교육대학원의 예비체육교사교육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사로의 전문성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송효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전후, 좌우 창의성 점수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부평구 소재의 S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을 2012년 9월 2주부터 2012년 10월 4주까지 약 7주간에 걸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창의적 체험활동을 실시하였다. 창의성과 창의적 성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는 SPSS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다양한 행동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행동의 변화를 관찰하고 소감문을 분석하는 등 정성적 분석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창의성 점수를 비교 검증한 결과 5% 수준에서 창의성과 4개의 하위 영역, 창의적 성향과 3개의 하위 영역 모두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더라도 사전검사에 비해서 실험집단의 창의성 점수가 비교집단의 창의성 점수보다 더 높게 나온 것은 프로그램이 창의성 향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창의성 점수를 검증한 결과, 창의성과 4개의 하위 영역, 창의적 성향과 3개의 하위 영역 모두 5% 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따라서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학생들의 행동 관찰, 프로그램 종료 후 작성한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 중 유창성에, 또 창의적 성향의 하위 영역인 호기심, 민감성, 집착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감과 발표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를 토대로 후속되어져야 할 연구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므로 창의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의 대상을 초등학교 3학년에 제한을 두어 실시하였는데 다른 학년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져야 한다. 셋째, 창의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된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을 일선 학교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널리 보급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페놀 수지 기반 프리폴리머를 사용한 폴리우레탄 폼의 열적 물성 향상 연구

        송효정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낮은 밀도, 높은 기계적 물성, 낮은 열전도도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단열재로 사용되고 있는 경질 폴리우레탄 폼은 낮은 열 안정성 및 높은 난연성으로 인하여 단열재로서 요구되는 높은 열적 물성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열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높은 내열성 및 난연성을 갖는 페놀 폼의 원료인 페놀 수지를 사용하여 말단에 NCO를 갖는 프리폴리머를 합성한 후 폴리우레탄 폼과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과의 열적 물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페놀 수지와 MDI의 반응으로 합성한 프리폴리머는 MDI에 비해 많은 양의 벤젠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높은 온도에서의 잔류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TGA를 통한 열분석에서 더 높은 열분해 온도를 보였으며 이로 인해 프리폴리머의 내열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리폴리머를 이용하여 발포한 폼의 경우 기존 MDI만을 사용하여 발포한 폼에 비해 벤젠 구조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하여 열분해 온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열분석 이후의 차르 층 역시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페놀 수지를 이용하여 합성한 폼의 경우 내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난연성의 측정에서 페놀 수지 기반 프리폴리머로 합성한 폼은 생성된 차르 층으로 인해 불꽃의 전파가 억제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로 인해 난연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프리폴리머의 NCO%가 감소할수록 난연성은 감소하였는데 이는 폼의 기공이 NCO%가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난연성이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index를 130으로 합성한 폼의 경우 페놀 수지 기반 프리폴리머를 사용할 때 NCO%에 상관없이 난연성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합성한 폼은 index가 높을수록 더 큰 압축강도를 나타내었으며 NCO%가 감소할수록 압축강도 역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Rigid polyurethane foam used as an insulator in various fields due to low density, high mechanical properties, and low thermal conductivity, does not satisfy the high thermal properties required as an insulator due to low thermal stability and high flame retardancy. Therefore,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rigid polyurethane foam. After synthesizing a prepolymer having NCO at the terminal using phenol resin, which is a raw material for phenol foam with high heat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the thermal properties of polyurethane foam and polyisocyanurate foam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prepolymer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phenolic resin and MDI contained more benzene structure than MDI,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residual amount at high temperature. In addition, the thermal analysis through TGA showed a higher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which confirmed that the heat resistance of the prepolymer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foam foamed using the prepolymer, it was confirmed that the benzene structure was more than that of the foam foamed using only MDI, indicating that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increased. In addition, the tsar layer after thermal analysis also showed an increase. In the case of a foam synthesized using a phenol resin, it was possible to obtain a result that heat resistance could be increased. In addition, in the measurement of flame retardancy, the foam synthesized with the phenolic resin based prepolymer showed that flame retardancy was suppressed due to the generated char layer, which resulted in increased flame retardancy. At this time, as the NCO% of the prepolymer decreased, the flame retardancy decreased because the cell tended to increase as the NCO% increased. In the case of a foam synthesized with an index of 130 despite the lower flame retardancy, it was found that the flame retardancy was improved regardless of NCO% when using a phenol resin based prepolymer. The foam showed greater compressive strength as the index increased,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lso decreased as the NCO% decreased.

      • 연령에 따른 피부노화 인식과 항노화 관리 행위에 관한 연구 : -중국 산시성의 20〜50대 여성을 대상으로-

        송효정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국 여성의 피부 노화에 대한 인식과 항노화 관리 행위를 알아보고, 중국 여성들의 피부노화에 대한 인식과 정확한 항노화 관리 행위를 제고시키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왠쥬엔씽(问卷星wenjuanxing program)과 위쳇(WeChat)의 전용프로그램에서 전자 설문지를 제작하여, 중국 산시성에 거주하고 있는 20∼50대 여성들에게 연구목적과 설문내용을 읽고 동의한 자들로 무기명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21년 8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총 520부를 설문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25부를 제외하고 49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구체적 설문내용은 일반적인 특성 7문항, 피부노화에 대한 인식 19문항, 피부노화 증상 9문항, 피부노화에 따른 항노화 관리 행위 25문항으로 총 6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는 Cronbach‘s 의 계수, 기술 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 카이스케어 검정(X)을 실시하였다.

      • 중국 20˜3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이 뷰티케어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외모관심도의 매개효과 : - 중국 화베이 지역을 중심으로 -

        송효정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박사 사용)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현대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아름답게 가꾸기 위해 다양하고 전문적인 외모 관리를 하고 있다. 이에 여성의 변화에 주목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30대 여성 의 라이프스타일, 외모관심도, 뷰티케어관리행동 실태를 심층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화베이 지역에서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 성을 알아보고 라이프스타일, 외모관심도, 뷰티케어관리행동을 파악하고, 라이프 스타일이 뷰티케어관리행동을 미치는 영향에서 외모관심도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 화베이 지역 20∼30대 여성을 조사대상자로 선정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 하여 총 50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기술통계분석, t-test, 분산분 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회귀분석, sobel 테스트를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연령은 20대, 현 거주지는 대도시(베이징, 톈진), 최종학력은 4년제대학(재학)졸업, 결혼상태는 미혼, 직업은 직장인, 월 소득은 50 ∼100만원 미만, 월 평균 뷰티케어관리 비용은 20∼30만원 미만인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현 거주지에 따라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심도의 차이는, 현 거주지와 월 소득에 따른 외모관심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뷰티케어관리행 동의 차이는, 현 거주지에 따른 뷰티케어관리행동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외모관심도, 뷰티케어관리행동의 각 하위요인들과의 상관 관계는 모두 정(+)의 상관성을 보여, 라이프스타일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적 극적이며 뷰티케어관리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이프스타일이 외모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라이프스타일의 하위요 인 취미활동추구형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스타일이 뷰티케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라이프스타일의 하위요인인 취미활동추구형이 높을수록 뷰티케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메이크 업행동이 적극적이었으며, 과시소비추구형이 높을수록 뷰티케어관리행동, 피부관 리행동, 헤어관리행동, 네일관리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외모관심도가 뷰티케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외모관심도의 하 위요인에서 적극적 외모향상이 높을수록 뷰티케어관리행동의 하위요인 피부관리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지향이 높을수록 뷰티케어관리행동과 각 하 위요인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라이프스타일과 뷰티케어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외모관심도의 매개효 과를 검증한 결과, 취미활동추구형과 뷰티케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 행동, 메이크업행동과의 관계에서 외모관심도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 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라이프스타일과 외모관심도, 뷰티케어관리행동 간 의 상관성을 밝혀내었으며, 라이프스타일의 하위요인 중 취미활동추구형이 외모 관심도와 뷰티케어관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미활 동추구형 라이프스타일과 뷰티케어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외모관심도의 매개효 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중국 화베이 지역의 20∼3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의 특성을 파악하고,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라이프스타일을 기반으로 뷰티 산업 서비스와 마케팅 전 략을 개발하고 구체화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 두피·모발 관리센터 이용현황에 따른 인식도 및 만족도 연구

        송효정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Scalp-Hair Treatment Center Use Conditions Song Hyo-Jeong Dept. of Beauty & health Care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Directed by prof. Lee Myung-Sun ph.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use conditions. From July 1st to Sept 19th 2014, the researcher visited scalp-hair treatment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Daejeon to carry out 300 surveys on adult males and females from 20s to 40s who have had or are having treatments over 4 weeks. Among 300 surveys, 5 surveys with insincere answers were excluded. Thus 295 survey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6 questions asking gender, age, marital status, job, monthly income, and existence of hair loss or scalp pathogens heredity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12 questions asking scalp type, hair condition, overall degree of stress, health condition, and life habits, 9 questions asking awareness and use condition of scalp-hair treatment, and 9 questions asking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scalp-hair treatment.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awareness of scalp and hair, treatment preference, satisfaction, and use conditions are as in the followings. Of the 295 subjects, females had proportion of 57.3% which was higher than male’s proportion 42.7% whereas proportion of 20s was highest with 41.0% followed by 30s, 40s, and 50s in sequence. The proportion of singles was 60.7% which is higher than married and, among all occupations professional jobs had highest distribution with 19.3% followed by house wives, service industry, government officials, and others in order. The distribution of subjects with 2 million to 3 million Korean won was highest with 25.1% followed by 3 million – 4 million, 4 million – 5 million, under 1 million, 1million – 2 million, and more than 5 million in sequence. In the question of family heredity of hair loss and scalp pathogens, distribution of people who answered no was highest with 38.0% followed by yes and not sure in order. First, the result on the analysis of scalp type and hair damage of adults is as in the following. In general, sensitive scalp showed highest frequency in adult’s scalp type. Males (p<.001) and adults (p<.01) who has family heredity of hair loss or scalp pathog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oily scalp. The analysis on the hair loss showed that older adults (p<.05), single adults (p<.01), adults with professional occupation / government officials (p<.001), and adults with income level of 3 million to 4 million Korean won had significantly more damaged hair. Second, the results on the analysis of stress, health condition, and life habits of adults are as in the follow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gree of stress of adults, overall average was 4.16 out of 5.0 which implies that adults receive considerable big amount of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of gender, age,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family heredity of hair loss or scalp pathogens but sales service industry workers received significantly more stress than other occupations(p<.01). The analysis on the type of scalp depending on the degree of stress showed that adults with less stress had higher frequency of normal scalp whereas adults with higher stress showed higher frequency of sensitive scalp.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ual health conditions of the adults, overall average was 3.1 out of 5.0 which implied that adults maintained normal health condition. Males showed better health condition than femal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Sales service industry workers had significantly lower usual health condition compared to other occupations (p<.001). The analysis on the scalp type depending on the health condition of the adults showed that healthier adults showed higher frequency of normal scalp type whereas unhealthy adults showed higher frequency of sensitive scalp. The health condi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From the analysis on how much instant foods and oily foods subjects consume, overall average was 3.32 out of 5.0 implying that adults do not enjoy eating instant foods and oily foods in general. 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of instant foods and oily foods over females (p<.001) likewise younger adults (p<.001), single adults (p<.001), and students (p<.001) showed larger consumption of instant foods and oily foods. The analysis on the scalp type depending on the consumption of instant and oily foods showed that adults who favor instants foods and oily foods showed higher frequency of sensitive scalp. Adults favoring these foods very much showed higher frequency of oily scalp over others.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nalysis on the scalp type depending on smoking showed that smoking adults showed higher frequency of oily scalp over those who do not smoke, and non-smoking adults showed higher frequency of sensitive scal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moking (p<.01). The analysis on the scalp type depending on drinking alcohol showed that adults who drink alcohol showed higher frequency of oily scalp whereas adults who do not drink showed higher frequency of sensitive scalp. The difference depending on drink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As a result of analysis on diet showed that adults who never had any diet showed highest distribution. Males (p<.001) and younger (p<.05) adults had less experience of diet. The analysis on the scalp type depending on diet showed that adults who are currently on diet or never had diet before showed higher frequency of oily scalp and adults who are currently not on diet showed higher freq

      • 식민지 후반기 문학의 근대 기획 양상

        송효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이효석, 유진오, 김남천이 기본적으로 진보적 역사관을 지닌 근대주의자였으며, 식민지 후반기 정치사회의 변화에 따라 이들이 지닌 진보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킬 수밖에 없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들은 1920년대 후반 사회주의가 지식인 사이에 유행하던 분위기 속에서 근대문학에 접했다. 유진오, 이효석은 사회주의적 동반자 작가로, 김남천은 카프계 작가로 작가 생활을 시작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국제주의자이자 근대주의자였으며 초반에 그 자질은 ‘사회주의’로 드러났다. 창작 초기에 이들은 역사의 진보와 청춘남녀의 연대를 서사의 구성 원리로 삼았다. 이효석, 유진오, 김남천은 1910년을 전후해서 태어난 국권상실 1세대다. 국가 경험이 없던 이들이 주체를 정립하고 사회를 구성할 근대 보편주의로 택한 것은 일차적으로 사회주의였다. 사회주의란 주권 없이 주체를 정립하고 미래를 구성해낼 이념으로 식민지 청년들에게 수용되었다. 이는 ‘새로움(新興)’의 사상이었으며 ‘청춘’의 은유였다. 사회주의란 기성세대의 도움 없이 청년의 연대만으로 세계의 미래에 개입할 수 있게 하는 유토피아적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더불어 사회주의는 그것이 적으로 삼은 자본주의의 최대 단계를 제국주의로 봄으로써 식민지 청년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것으로 다가올 수 있었다. 1931년 만주사변과 1935년의 카프 해소, 1937년의 중일전쟁과 1941년의 태평양전쟁은 사회주의적 진보주의자이던 작가의 세계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주사변 이후 강화된 사회주의 탄압의 분위기 속에서 이들은 소설을 통해 전향의 논리를 구성하게 된다. 1935년 카프 해소, 사회주의 러시아의 일국사회주의화는 이들이 세계를 구성하는 방식을 전적으로 수정하도록 요구했다. 1930년대 중반 폐병, 성병, 마약중독은 이 시기 사회주의자들의 전락과 적응지체에 대한 은유적 질병이었다. 경성의 소비자본주의화와 더불어 일어난 ‘새 것의 가치 하락’ 및 ‘사회주의 퇴조’는 이 시기 작가들이 경험한 이중(二重)의 권태의 원인이 된다. 1930년대 중반 이후의 소설은 ‘권태의 사회학적 대응’이자 매너리즘의 양식으로 드러났다. 현실 초월적 이상주의로 도피하거나, 사소한 일상적 문제에 피학적으로 반응하는 주체의 모습이 빈번히 형상화 되었다. 1930년대 초반에 소설의 주인공은 청년이었으나, 1930년대 후반 이후 소설의 주인공은 삼십대를 넘어선 중년에 접어들고 있었다. 이러한 소설 내적 세대 변화와 더불어 주인공들의 세계관 역시 변화하게 되는데, 초기에는 새로움과 혁명을 추구하던 청춘은 점차 세속적이고 타협적이며 기회주의적인 속물로 변화하게 되었다. 1930년대 후반기가 되면 부재상태가 된 보편주의에 다른 가치들이 개입할 여지가 생긴다. 이효석, 유진오, 김남천은 장편소설을 통해 학문&#8228;예술&#8228;기술(學藝術)적 근대를 기획하였다. 전문가로서의 학자가 자연과학, 인문학을 통해 근대를 완수 혹은 초월하려는 시도가 이 시기 장편소설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예술이란 고귀한 ‘시민’을 양성하는 것으로서 특히 ‘음악’이 지닌 조화와 통일의 매커니즘은 문화시민을 문화제국에 통합시키는 원리를 지닌 것이기도 했다. 새시대의 전형으로 기술자나 과학자가 제시되었다. 김남천의 소설에는 인도주의적 가치나 이념에 휩쓸리지 않은, 교양과 건강을 두루 갖춘 식민지 기술자가 빈번히 등장했다. 1940년을 전후로 하면 ‘동양적인 것’, ‘조전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는데 이는 일제 말 파시즘의 확장 및 동아시아론과 무관치 않았다. 장편소설이 주로 낙관적 결말을 제시하며 전체에 투항하는 서사를 그려내고 있었다면, 일부 단편소설은 죽음의 주위를 배회하고 있거나 부재하는 본향(本鄕)을 그리워하는 애상적 노스탤지어에 빠져들기도 했다. 1930년대 초반 사회주의 계열 혹은 동반자 계열의 작품은 미래를 바라보고 있었으다. 이 시기에는 동경(憧憬)의 전망이 우세했다. 한편 1940년 이후 ‘애상적 노스탤지어’를 주제화한 소설은 과거를 향하고 있으며 ‘애수(哀愁)’의 감성에 기반하고 있다. 한편 이 시기 이효석과 김남천의 작품에 기독교적이거나 메시아적 소재가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20대 초반 창작을 시작하던 때의 양식과 소재로 회귀하려는 무의식이 감지된다. 김남천은 이즈음 미완(未完)의 작품을 많이 남겼다. 1940년 이후 그의 소설에는 감상(感傷)이 과잉 노출되어 있다. 한편 그는 이 시기 삽화, 우화, 수수께끼를 사용하면서 서사를 미숙화하거나 신비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서사의 불능 양상은 이 시기 하나의 ‘가능성’으로 독해될 필요가 있다. 사회주의에서 출발한 근대주의자가 ‘진보’에 대한 환상을 버리고 구제(救濟)의 인식에 다가가고 있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미숙(未熟)한 서사나 미완(未完)의 서사를 문학사 안으로 불러들이는 일은, 친일/협력/침묵의 삼 항으로 분류되는 이 시기 문학에 대한 다른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일제 말 조선문학에서 ‘미완’의 형식은 이 시기 문학의 가능한 형식으로 존립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