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소년SF영화와 냉전 서사의 두 방식 -<대괴수 용가리>와 <우주괴인 왕마귀>의 개작 과정 연구

        송효정 ( Hyo-joung Song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3

        한국 SF영화는 그 특성이나 장르적 발전단계에서 독자적인 장르형성에 실패했다고 평가받아왔다. 하지만 B급 영화들까지 한국영화사의 자료로 참고하는 동시에 그동안 주변 장르들(호러영화, 괴수영화)로 분류되던 영화들의 소재 특성을 감안할 때 한국적 SF영화로 분류 가능한 일련의 영화들을 선별해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주목할 만한 시기는 1960년대이다. <투명인의 최후>(이창근, 1960) 이래1960년에서 1970년대 초반까지 ‘과학적 상상력’이 영화의 주된 소재로 등장하는 일련의 SF영화들이 등장했다. 그 첫 번째 하위 장르는 한국형 고딕SF영화이고 두번째 경향은 이 글에서 다루는 소년 SF영화다. 두 편에 그치기 때문에 하위 장르로서의 대표성이 부족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소년SF영화에 주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의 주인공으로 ‘소년’이 등장한다는 한국형 소년 모험의 서사적 전통을 잇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냉전시대의 불안과 갈등, 평화에 대한 열망이 착종적인 방식으로 영화 내에 반영되었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수도의 상징공간의 지리적 상상력과 결합되어 있다. 셋째, 미소 우주경쟁시대에 제작된 만큼 우주적 상상력이 군사적 상상력과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넷째, 동시대‘고딕SF’와 상반되게 과학에 대한 유토피아적 열망과 기대가 담겨 있다. 영화는 좋은 과학(국방 과학)과 나쁜 과학(핵 과학)을 나누고, 결국에는 좋은 과학의 이데올로기적 승리를 옹호하였다. 영화 <우주괴인 왕마귀>와 <대괴수 용가리>는 한국 SF영화사에서 특이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은 가족영화, 오락영화, 괴수영화의 틀을 넘어서 냉전기국제질서가 응축된 분단국가인 한반도의 특이성을 증후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우주경쟁과 핵무기 견제를 통해 과열되던 냉전의 논리는 두 편의 영화 속에 주된 갈등의 축으로 등장한다. ‘과학’은 미래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각 진영의 주요한 가치였다. 두 작품이 만들어진 1967년도는 박정희 정권의 과학의 현대화 과정이 진행되는 동시에 ‘과학적 애국주의’가 유포되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두 편의 소년SF 영화는 실제 오리지널 시나리오에 비해 상당 부분 개작이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1967년은 전해 개정된 2차 <영화법>이 시행되던 시기였다. 2차 <영화법>의 핵심은 검열의 법정화에 있었으며, 이로 인해 2중 3중의 감열 관행이 이후 지속되게 되었다. 두 편의 작품은 시나리오 단계에서 기획될 때는 대중적인 오락영화로서의 고려와 함께 냉전기 국제질서와 평화, 전쟁을 바라보는 입장을 대조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UN으로 대변되는 국제질서 하에서 전 인류의 공조와 보편적 평화주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던 <우주괴인 왕마귀>는 시나리오 각색의 과정을 거쳐 주제의 범위가 외계에서 온 괴물에 대한 반응으로 축소되었다. 한편 냉전기 동서진영의 갈등과 첩보전, 이념대립을 노골적으로 그려낸 <대괴수 용가리>의 오리지널시나리오는 국제적 양식의 오락영화로 각색되면서 스토리에 내재되었던 악의와 갈등의 소지가 완화되고 오히려 괴물에 대한 양가적이고도 모호한 감정을 개입시켜 내러티브에 일종의 균열을 일으키기도 했다. 두 영화는 ‘괴수’라는 환상적 존재에 대한 사회적 공포를 영화의 주된 효과로 활용하면서 냉전시대의 공포에 대한 자기반영적 비판의 여지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문제적이었다. In general, it is difficult to see that Korean SF films has been forming its own genre. But obviously there were a series of films classified as SF in Korea film history. In this regard it is worth noting the time in the 1960s. From 1960 until the early 1970s, scientific imagination was the main driver of certain films. The first is the Korean “Gothic SF” films, and the second trend is the “Boy SF” films. The special shooting Giant monster appeared in Boy SF films. Among them the only two “Boy SF films” were as follow; <Space Monster Wangmagwi>, <Great Monster Yongary> in 1967. Particularly scientific developments meant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capability in these films. Because of censorship, both films have undergon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cenario steps. This study concerned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scenario and the film. Just because the two works, it is asking too much that they were the typical Boy SF films in Korea. Nevertheless, they had a historical, geopolitical, semantic meanings. First, the film``s protagonist was resourceful boy. This is a traditional feature of Korean boy adventure story since 『Adventures of a Ddolddoli』(1936). The boys confronted the Giant Monsters and at the same time felt sympathy for them. Second, there was anxiety of the Cold War intertwined with desire for World peace under UN System. DMZ and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Seoul) were destroyed by the Giant Monsters. Thirdly, these works reflected nuclear terror and the space race of the Cold War era. Finally, they shared the Good Science(science on national defense) and Bad Science(nuclear science) and finally advocated the victory of Good Science.

      • KCI등재

        한중 근대회고적 무협/갱스터 영화 연구 -엽문과 김두한 소재 영화를 중심으로

        송효정 ( Hyo Joung So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2

        동아시아는 20세기 전반기에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에 간섭을 받아왔다. 동아시아 액션영화 중 근대회고적 무협/갱스터 영화는 특수한 맥락을 지니고 있다. 근대적 영웅에 주목하는 영화들은 문명을 앞세우는 폭력적인 제국주의의 질서에 덕성과 신체적 강인함으로 맞선다. 본고는 동아시아의 내셔널시네마의 정체성을 탐색할 영화 장르로서 중국과 한국의 무협/갱스터 영화에 초점을 맞춘다. 시기적으로는 근대적 의미의 민족국가/국민국가 형성기를 배경으로 하여 자국의 영화산업 부흥기에 제작된 영화들에 관심을 둘 것이다. 이 시기 무협/갱스터 영화의 대표적인 아이콘은 실존인물 엽문(1893-1972)과 김두한(1918-1972)이다. 영화 속에서 이들의 삶은 1930 년대부터 1950년대까지를 배경으로 재현된다. 우선 주목할 점은 영화의 공간성이다. 두 영화 모두 서구 열강이나 일본의 식민지배 세력 하에 놓인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영화의 시각적 특징은 결투의 장면화에서 드러난다. 영화의 서사는 일련의 결투를 통해 진행된다. 주인공은 동일 민족 구성원들과의 내적 갈등을 봉합해가는 일련의 결투를 통해 이들의 인정을 받고 최고의 자리에 올라간다. 최종적으로 주인공은 갈등하는 외세와의 최후의 격전을 통해 외적 갈등까지를 무협의 장에서 봉합하게 된다. 특히 결투의 장면은 대개 일 대 일의 결투로 진행된다. <엽문>과 <장군의 아들>의 승리의 장면에서 극중 관람객의 시선은 극장의 관객들의 시선과 동일시되며, 이들은 관람의 경험을 통해 ‘국가(민족)적인 것’의 가치를 승인하게 된다. 민족적 갈등이 흥행의 공간에서 전시되는 장면화를 통해 영화는 국민적 의례(ritual)를 구성해내게 되는 것이다. 이 영화들은 다양한 의장 (ornament)들(각축하는 국가들 국기, 복색, 무기 등)을 통해 민족, 국가, 이념간의 갈등을 제시한다. 이 영화들은 최종 승리를 통해 관람객까지를 잠재적 국민들로 소환한다. 자국 근대의 본질을 ‘회고적’으로 구축하며 민족주의적(내지 아시아적) 근대성을 탐문하는 한중 무협/갱스터 영화는 제국주의적 폭력성에 저항하는 가치로서 도덕적 에토스, 우애(fraternite)로 연대된 정동(情動)의 공동체, 미학적 기예(技藝)를 내세우며 동아시아의 근대성에 대한 다른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East Asia have suffered colonialism and imperialism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the East Asian film history, modern retrospective martial arts/gangster movies have a special context. Movies focus on modern heros. Heros with virtue and physical toughness confront enemy in order of protecting the same race against violent imperialists. As a genre of movie to navigate the identity of East Asian National Cinema, this paper focus on Chinese-South Korean martial arts/gangster movie. Time period is the nation-state formation times of each nations. Typical icon of these movie are legendary ‘real’ person Yipman (1893-1972) and Kim Doo-Han (1918-1972). Their lives are re-enacted in the background from the 1930s until the 1950s. The important thing is a symbolic meaning of space. HongKong and Seoul(KyungSung at that time) were colonial metropolis under rule of Western power and Japanese Imperialism. Visual feature of the movies is exposed at the scenes of the duel. Especially decisive duel scene usually carried out in a one-on-one duel. Ethnic conflicts are on display at the space of the box office for example front of theatre or boxing arena. These movie constitute a national ceremony at the final scene.

      • KCI등재

        영화관의 형성과 관람의 근대 : 『경성과 도쿄에서 영화를 본다는 것-관객성 연구로 본 제국과 식민지의 문화사』에 대한 서평

        송효정 ( Song Hyo-jo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2

        정충실의 『경성과 도쿄에서 영화를 본다는 것-관객성 연구로 본 제국과 식민지의 문화사』(현실문화, 2018)는 1920~30년대 제국 도쿄와 식민지 경성의 영화체험 및 그에 수반되는 관객성(spectatorship)을 비교하고 검토하는 책이다. 이 책에서 언급하는 관객성이라 함은 영화 텍스트, 상영 환경, 사회, 역사 등에 의해 유동적으로 결정되어 다양하게 존재하는 관객과 그들의 관람 양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념화된다. 저자는 이 시기 도쿄와 경성의 영화관이 ‘노는 방식’과 ‘주시하는 방식’으로 분류되고 있음을 언급한 후 각각의 관람양식의 특성을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1930년대 경성 영화관은 일본 도쿄의 니시긴자 영화관의 세련된 영화문화에 대한 열망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후 도호 등의 영화사가 경성의 대형 고급 영화관을 직영하게 되면서 경성의 고급 영화팬들은 기존 영화관에 비교해서 우수한 남촌의 대형 고급 영화관을 애호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1930년대가 되면 영화관 관객의 민족 경계가 붕괴하고 영화관 간의 서열 관계가 강화되며 경성 영화 흥행계가 변동되게 되는데, 이는 일본에서의 관람 문화가 새로운 영화문화 및 영화 산업에 변화를 끼친 결과였다. 저자는 변사, 악사, 가수 등의 퍼포먼스를 청각적으로 즐기며 소란스럽게 영화를 관람하는 ‘노는 방식’의 문화의 고유한 특징이 고립된 1인 좌석에서 자막을 통해 시각적으로 영화에 몰입하는 ‘주시하는 방식’의 문화로 변이해 간 과정에 전반을 ‘불균질’한 관람 문화라 언급하는데 그 의미가 분명치 않다. 이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영화관 문화 형성 과정 뿐 아니라 상영 프로그램, 향유된 영화 형식과 장르, 할리우드 관람문화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 및 다중적 식민성에 대한 고찰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Seeing Movies in Keijo and Tokyo in the 1920~1930 : Cultural History of Empire and Colonialism (Joung, Chung-sil, 2018) is about film experience of Imperial Tokyo and Colonial Keijo(京城) in the 1920s and 1930s. It is a book also that compares and examines the spectatorship. The spectatorship mentioned in this book is conceptualized to mean the various viewers and their viewing patterns, which are dynamically determined by the movie text, screening environment, society, and cultural history. The author notes that the cinemas in Tokyo and Keijo during this period are classified as ‘playing way’ and ‘watching way’,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iewing style. As a result, the 1930s Keijo Cinema had a longing for a sophisticated cinematic culture in the Nishi Ginza Theater in Tokyo, Japan. Since then, the film companies like Toho have been directing a large-scale movie theater in Keijo. It has resulted in favoring the excellent high-end movie theater of Namchon(南村). In the 1930s, the ethnic boundaries of movie theaters collapsed an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e theaters was weakened. And then the entertainment industry in Keijo was changed. To the end, it is regrettable that the screening program, the film format and genre enjoyed, and the standardization of Hollywood viewing culture are missing.

      • KCI등재

        반지성주의와 유신의 반영웅 -1970년대 전기영화 ‘김두한 시리즈’ 연구-

        송효정 ( Song Hyo-joung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2 No.-

        대중매체에서 김두한(1918~1972)은 식민지 시절 일본 건달에 맞서 종로를 지켜낸 ‘항일 협객’의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다. 그렇다면 ‘항일 협객’으로서 김두한의 이미지는 어떻게 형성되어왔으며, 그 역사성의 원천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김두한에게 항일의 상징이 덧붙여진 계기가 1970년대 중반 ‘김두한 시리즈’라 가정한다. 1960년대 후반, 명동을 배경으로 한 일련의 액션영화들이 만들어졌는데 정황상 주인공은 강하게 김두한을 상기시켰다. 유사한 영화들이 반복재상산되던 와중에 실존인물 김두한 전기영화를 표방한 영화가 최초로 등장한 것은 1974년 <실록 김두한>을 위시로 한 ‘김두한 시리즈’에서였다. 본 연구는 실존인물 김두한의 식민지 시대-해방기의 활약을 다룬 전기영화 영화 <실록 김두한>, <협객 김두한>, <김두한(속 3부)>, <김두한(속 4부)>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영화 속 민족의 협객으로서 김두한이 강조하는 ‘의리’는 식민지 시대 지식인 엘리트의 훼절에 대조되는 ‘조국에 대한 의리’ 즉 항일의 의미를 지녔다. 해방기에 의리는 좌익, 기회주의자, 협잡꾼들의 논리를 이기는 ‘질서, 법’ 나아가 ‘반공’의 가치를 의미했다. 김두한은 의리로 식민지로부터 해방기를 가로지르는 근대사회의 정통성을 구현해냈다. 영화 김두한 시리즈는 반외세에 대한 정서를 분명히 한 국수주의에 가까운 이념을 선보였다. 논리보다 주먹, 말보다 행동을 앞세운 김두한 시리즈는 피의 수사학, 반지성주의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대중들의 보수적 정서를 자극하는 유신시대의 반(反)신화로서 존재했다. In the mass media, Kim Doo han(1918-1972) is imprinted with the image of a nationalist gangster. This study explores the origin of this image. It was in the mid-1970s, the period of the Yushin(維新), that Kim Doo-han became a nationalist symbol. Four biographic films were produced using Kim Doo-Han as a model. In these films, Kim Doo-han emerges as a anti-colonial hero contrasted with the treacherous elites in the colonial era. In the liberation period, he became a warrior of anti-communism and Guardian of law and order. Through this, he realized the legitimacy of Korean modern history that implements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Kim Doo-han series’ showed the anti-intellectualism, blood rhetoric based on the anti-communism. They was also a fascist inspiration of the conservative sentiments of the people who disillusioned with the politics of the elite.

      • KCI등재

        1930년대 후반기 장편소설에 나타난 두 가지 미학적 양상 -김남천 『사랑의 수족관』과 이효석 『화분』을 중심으로-

        송효정 ( Hyo Joung Song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6

        1930년대 후반기는 점진적인 파시즘의 대두와 언론 통제의 강화 속에서 장편소설의 새로운 방향이 모색되던 시기였다. 일제 식민지 말기에 들어서면 역사의 발전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사라지고 현재의 삶을 통해 다양하게 현상되는 욕망과 기호의 감각적 수용에 집중하게 되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분위기는 1930년대 말 대중소설 출판의 전성기와 더불어 전개되었다. 이 시기 장편소설은 신문, 잡지 등 대중매체의 확산 및 출판문화의 부흥과 더불어 대량 소비되기 시작한다. 또한 이 시기는 대중 영화, 잡지, 소설, 라디오 드라마 등을 통해 새롭고 화려한 시각주의와 쾌락주의가 대중에게 개방된 최초의 시기이자 동시에 새로움 자체가 일종의 권태로 전락되는 최초의 시기였다. 1930년대 후반기에 인간의 욕망과 도시적 삶을 형상화한 장편소설은 ‘권태에 대한 사회학적 대응’으로 나타났다. 1930년대 후반의 김남천과 이효석의 장편소설은 제2의 자연인 기술과 예술의 세계를 형상화했다. 이들은 이데올로기적 전망이 차단된 일제 말기에 가능할 수 있었던 감각과 미학과 윤리의 실천을 보여주었다. 김남천의 경우, ‘최소한도의 선이라도 안하는 것보다는 낫다’는 미니멀한 윤리에 머문 채 패션과 유행과 육체가 다양하게 현상되는 다원적 삶의 모습에 천착했다. 기술자와 직업여성에 대한 관심은 가변적이고 가상적인 가치의 중압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김남천의 노고를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이효석은 전례 없는 과감함, 죄책감 없음의 세계를 사치스럽고 분방하게 드러냈다. 이효석의 경우 표면적으로는 기성 윤리의 손을 들어주는 것 같으면서도, 실상은 일반인의 윤리를 위반하는 미학과 욕망을 승인하고 있다. 김남천이 바라보는 대중적인 기호는 늘 가변적인 세계 속에 있었다. 김남천은 객관성의 세계에 천착했으며, 이러한 세계에 다가가기 위해 기술과 패션에 관심을 두었다. 그에게 세계란 다원적 가치들이 불화하는 혼돈과 모순의 공간이었다. 따라서 주관적 가상의 체계인 미학과 정치가 작가에게 환멸로 다가설 때, 그는 중립적이고 찰나적인 것들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그에게 있어서 종착점이 아니라 단선적인 시간 속에 있는 한 ‘계기’의 차원이었다. 반면 이효석은 보다 본질적이고 원초적인 세계의 형상화에 몰두했다. 이효석은 예술과 아름다움의 세계에 천착했으며, 이러한 세계에 다가가기 위해 ‘예술과 성’의 세계를 계발했다. 그에게 세계란 미학적으로 구성된 조화롭고 이상적인 일원론적 세계였다. 예술과 아름다움의 세계란 이효석에게 있어서 목적이자 종착점이었다. 원초적 예술적 세계에 대한 낙관이든, 비관주의를 바탕으로 한 중도주의든 간에 이효석과 김남천의 세계관의 지반에는 현재에 대한 도저한 비관주의가 깔려 있었다. 그들은 식민지 조선의 현재를 문화적으로 불모적인 척박한 곳으로 보았으며, 조선의 미래 역시 불투명하고 불안한 감각으로 바라보았다. At the last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positive historical view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present desires and tastes became more important. This period was also peak of the mass publication culture. Full-length novel fit for this popular atmosphere. For the first time new opticism and epicureanism were open to the public through movies, magazines, novels, radio dramas etc. And the newness itself and novelty began to be devaluated. At the third quarter of the 1930s, the long-length novel appeared as the countermove for the lassitude and tiredness. At this period Kim Nam-Cheun and Lee Hyo-Seuk wrote about the world of technology and art in their novel. Because the ideological and historical view was blocked, they had to concentrate on sense, aesthetics and new moral experiments. Kim Nam-Cheun, the materialist and communist, gradually scrutinized on the one hand the technology and engineering on the other hand fashion and style. His concern of the technicians and working women was practice against variable and ghostly world of value. Lee Hyo-Seuk imaged the excess, luxury and absence of the guilty unprecedentedly. He had a concern about European art general and sexuality. He was on the artist``s and beauty connoisseur`s side. Kim Nam-Cheun had an interest in the objectivity and phenonenon. He thought that public tastes were in the changeable world. The world was space of chaos for him, so he trusted momentary and neutral presences for example fashion and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Lee Hyo-Seuk had an interest in primitive and essential desire. He thought the world that was constructed aesthetically and harmonically. So as to get to it, he developed the art and sexuality. Wether for the pessimism of the chaotic world or for the optimism of the primitively artistic world, they felt the colonial Chosun as the territory of barrenness. The future of the colonial Chosun was obscure and insecure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