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소년SF영화와 냉전 서사의 두 방식 -<대괴수 용가리>와 <우주괴인 왕마귀>의 개작 과정 연구

        송효정 ( Hyo-joung Song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3

        한국 SF영화는 그 특성이나 장르적 발전단계에서 독자적인 장르형성에 실패했다고 평가받아왔다. 하지만 B급 영화들까지 한국영화사의 자료로 참고하는 동시에 그동안 주변 장르들(호러영화, 괴수영화)로 분류되던 영화들의 소재 특성을 감안할 때 한국적 SF영화로 분류 가능한 일련의 영화들을 선별해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주목할 만한 시기는 1960년대이다. <투명인의 최후>(이창근, 1960) 이래1960년에서 1970년대 초반까지 ‘과학적 상상력’이 영화의 주된 소재로 등장하는 일련의 SF영화들이 등장했다. 그 첫 번째 하위 장르는 한국형 고딕SF영화이고 두번째 경향은 이 글에서 다루는 소년 SF영화다. 두 편에 그치기 때문에 하위 장르로서의 대표성이 부족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소년SF영화에 주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의 주인공으로 ‘소년’이 등장한다는 한국형 소년 모험의 서사적 전통을 잇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냉전시대의 불안과 갈등, 평화에 대한 열망이 착종적인 방식으로 영화 내에 반영되었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수도의 상징공간의 지리적 상상력과 결합되어 있다. 셋째, 미소 우주경쟁시대에 제작된 만큼 우주적 상상력이 군사적 상상력과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넷째, 동시대‘고딕SF’와 상반되게 과학에 대한 유토피아적 열망과 기대가 담겨 있다. 영화는 좋은 과학(국방 과학)과 나쁜 과학(핵 과학)을 나누고, 결국에는 좋은 과학의 이데올로기적 승리를 옹호하였다. 영화 <우주괴인 왕마귀>와 <대괴수 용가리>는 한국 SF영화사에서 특이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은 가족영화, 오락영화, 괴수영화의 틀을 넘어서 냉전기국제질서가 응축된 분단국가인 한반도의 특이성을 증후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우주경쟁과 핵무기 견제를 통해 과열되던 냉전의 논리는 두 편의 영화 속에 주된 갈등의 축으로 등장한다. ‘과학’은 미래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각 진영의 주요한 가치였다. 두 작품이 만들어진 1967년도는 박정희 정권의 과학의 현대화 과정이 진행되는 동시에 ‘과학적 애국주의’가 유포되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두 편의 소년SF 영화는 실제 오리지널 시나리오에 비해 상당 부분 개작이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1967년은 전해 개정된 2차 <영화법>이 시행되던 시기였다. 2차 <영화법>의 핵심은 검열의 법정화에 있었으며, 이로 인해 2중 3중의 감열 관행이 이후 지속되게 되었다. 두 편의 작품은 시나리오 단계에서 기획될 때는 대중적인 오락영화로서의 고려와 함께 냉전기 국제질서와 평화, 전쟁을 바라보는 입장을 대조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UN으로 대변되는 국제질서 하에서 전 인류의 공조와 보편적 평화주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던 <우주괴인 왕마귀>는 시나리오 각색의 과정을 거쳐 주제의 범위가 외계에서 온 괴물에 대한 반응으로 축소되었다. 한편 냉전기 동서진영의 갈등과 첩보전, 이념대립을 노골적으로 그려낸 <대괴수 용가리>의 오리지널시나리오는 국제적 양식의 오락영화로 각색되면서 스토리에 내재되었던 악의와 갈등의 소지가 완화되고 오히려 괴물에 대한 양가적이고도 모호한 감정을 개입시켜 내러티브에 일종의 균열을 일으키기도 했다. 두 영화는 ‘괴수’라는 환상적 존재에 대한 사회적 공포를 영화의 주된 효과로 활용하면서 냉전시대의 공포에 대한 자기반영적 비판의 여지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문제적이었다. In general, it is difficult to see that Korean SF films has been forming its own genre. But obviously there were a series of films classified as SF in Korea film history. In this regard it is worth noting the time in the 1960s. From 1960 until the early 1970s, scientific imagination was the main driver of certain films. The first is the Korean “Gothic SF” films, and the second trend is the “Boy SF” films. The special shooting Giant monster appeared in Boy SF films. Among them the only two “Boy SF films” were as follow; <Space Monster Wangmagwi>, <Great Monster Yongary> in 1967. Particularly scientific developments meant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capability in these films. Because of censorship, both films have undergon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cenario steps. This study concerned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scenario and the film. Just because the two works, it is asking too much that they were the typical Boy SF films in Korea. Nevertheless, they had a historical, geopolitical, semantic meanings. First, the film``s protagonist was resourceful boy. This is a traditional feature of Korean boy adventure story since 『Adventures of a Ddolddoli』(1936). The boys confronted the Giant Monsters and at the same time felt sympathy for them. Second, there was anxiety of the Cold War intertwined with desire for World peace under UN System. DMZ and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Seoul) were destroyed by the Giant Monsters. Thirdly, these works reflected nuclear terror and the space race of the Cold War era. Finally, they shared the Good Science(science on national defense) and Bad Science(nuclear science) and finally advocated the victory of Good Science.

      • KCI등재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희망, 자가간호역량, 정신건강의 관계

        송효정 ( Hyo Jeong Song ),현미열 ( Mi Yeul Hyun ),이은주 ( Eun Joo Lee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1 정신간호학회지 Vol.2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self-care agency, and mental health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8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receiving care at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5th to May 29th, 2009 and were analyzed with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ope and self-care agency;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mental health. Hope significantly predicted by mental health(p<.001) explained 34.9% of the variance in mental health. Conclusion: As the results indicate hope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care agency and mental health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It is recommended that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hope and to evaluate more precisely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in this population.

      • KCI등재

        탈냉전 이후 유럽 아동 난민 영화 - <영원과 하루>, <인 디스 월드>, <르 아브르>를 중심으로

        송효정 ( Song Hyojoung ) 한국민족연구원 2016 민족연구 Vol.0 No.68

        탈냉전 이후 양산된 난민은 영화적 재현을 통해서도 그 모습을 드러내왔다. 유럽주변부에서 벌어진 지정학적 파탄은 수많은 난민들을 유럽으로 유입시켰다. 본 연구는 유럽의 예술영화 중 아동 난민을 소재로 한 세 편의 극영화에 주목하였다. 테오앙겔로풀로스의 <영원과 하루>(1998)는 죽음을 앞두고 미완의 시를 완성하려는 시인이 알바니아계 어린 난민을 돕는 와중에 궁극의 언어에 다가가는 과정을 다룬다. 마이클 윈터바텀의 세미-다큐멘터리적 극영화 <인 디스 월드>(2002)는 아프가니스탄출신 난민 소년들이 경험하는 월경의 과정을 사실적으로 따라간다. 아키 카우리스마키의 <르 아브르>(2011)는 항구마을 구두닦이와 그의 친구들이 가봉 출신 난민소년에게 베푼 무조건적 자비를 다루고 있다. 리얼리즘적으로 재현된 <인 디스 월드>는 손쉬운 동정이나 연민의 감정에 호소하지 않고 절제된 형식으로 난민 소년이 처한 현실의 바깥만을 보여주었다. 이와 달리 고도로 양식화된 영화 <르 아브르>는 복음주의적 신비주의를 활용해 난민의 수난이라는 현실적 이야기와 병의 치유라는 신비적인 우화를 뒤섞었다. <영원과 하루>는 거처와 주권을 잃은 존재자들인 난민과 시인-망명자가 서로 정서적으로 감응하는 과정을 서정적으로 그려냈다. 유럽의 시선으로 비유럽의 미성년을 바라본다는 비판에서 세 편 역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럼에도 조건 없는 자비와 기꺼이 연루되고자 하는 책임의 윤리의식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위 영화들의 시도에 어느 정도 의의를 부여해 봄직하다. 이 영화들에는 서사에 긴밀하지 않은 농담, 우화, 시가 등장한다. 명징한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언어적 요소들을 살펴봄으로써 영화가 보여주는 윤리와 미학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Refugees have been increasing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is aspect can be confirmed through cinematic representation. The geopolitical devastation, especially in the periphery of Europe, has brought many refugee into Europe. This study focuses on the three feature films of child refugee in European art house films. The Eternity and the Day (Theodoros Angelopoulos, 1998) deals with the process of approaching the ultimate language while a dying poet helps Albanian refugees. As semi-documentary feature film, In This World (Michael Winterbottom, 2002) follows Afghan refugee boys through the border. Le Havre (Aki Kaurismaki, 2011) shows the process of helping a refugee boy from Gabon in the style of a mystical fable. In This world, doesn`t appeal to cheap compassion but shows only outside of reality in a restrained form. The stylistic film Le Havre utilizes evangelical mysticism. It mixes up with the real story of the passion of refugees and the mystical fable of healing the sickness. Eternity and the Day deals with beings who have lost shelter and sovereignty. It lyrically depicts the process that refugee and exile-poet emotionally react to each other. These works are not free from critics, because they are looking at the non-European under-age through tthe eyes of European subjects. Nevertheless, it has meaning that they show unconditional mercy and an ethics of responsibility to be willing to engage with refugee boys. Meanwhile there are unfamiliar jokes, strange fables, and equivocal poems in three narratives. By examining the linguistic factors that are not interpreted in a clear sense, we can see the moral and aesthetic aspects of the film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주암호의 수질 변동 및 생물군집 특성(2011)

        송효정 ( Hyo Jeong Song ),황경섭 ( Kyung Sub Hwang ),박종환 ( Jong Hwan Park ),이학영 ( Hak Young Lee ),김종선 ( Jong Sun Kim ),김현우 ( Hyun Woo Kim ),임동옥 ( Dong Ok Lim ),이승휘 ( Sung Hwi Lee ),임병진 ( Byung Jin Lim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3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1 No.1

        주암호의 수질변동과 주요 생물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질의 경우, 수온은 3.8~21.2°C, 수소이온농도(pH) 는 6.7~8.6, 전기전도도는 64~76 μs cm-1, 용존산소량 (DO)은 5.3~13.2 mg L-1,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2.5 ~3.3mg L-1, 부유물질(SS)은 1.0~5.1 mg L-1, 총질소(TN) 는 0.622~0.841 mg L-1, 총인(T-P)은 0.007~0.019 mg L-1, Chl-a 농도는 2.8~8.8 mg m-3로 나타났다. 수정 Carlson 지수(TSIm)에 따른 영양단계 평가 결과는 연평균 중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총 출현종수는 53종으로 규조류 28종, 녹조류 13종, 남조류 3종, 기타 9종이 확인되었다. 현존량은 113~2,909 cells mL-1의 범위를 보였다. 동물플랑크톤 총 출현 종수는 16종으로 출현 분류군별로는 윤충류 10종, 지각류와 요각류가 각각 4종과 2종이 확인되었고 현존량은 309~435 ind. L-1의 범위로 나타났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2목 21과 33종으로 1038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등 줄하루살이였고 아우점종은 두점하루살이로 나타났다. 수생식물은 총 9종으로 정수식물 8종, 부유식물 1종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는 돼지풀과 물참새피가 출현하였다. 어류는 총 30종 613개체가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10종으로 33.3%의 고유도를 나타냈고, 외래도입어종은 3종으로 침투도 10.0%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ter quality and biotic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Juam Lake. In water quality, water temperatures was 3.8~21.2°C, 6.7~8.6 in pH, 64~76 μs cm-1 in Conductivity, 5.3~13.2 mg L-1 in DO, 2.5~3.3 mg L-1 in COD, 1.0~5.1 mg L-1 in SS, 0.622~0.841 mg L-1 in T-N, 0.007~0.019 mg L-1 in T-P and 2.8~8.8 mg m-3 in Chl-a. Revised Carlson`s Index (TSIm) assessment using total phosphorus (TP) and chlorophyll-a domonstrated that the trophic states of Juam Lake were rated as mesotrophic. A total of 53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They were 28 Bacillariophyceae, 13 Chlorophyceae, 3 Cyanophyceae, and 9 Other algal taxa.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was ranged from 113 cells mL-1 to 2,909 cells mL-1. A total of 16 species of zooplankton were identified (10 rotifers, 4 cladocerans and 2 copepods). Total zooplankton abundance was 309 ind. L-1 to 435 ind. L-1. The collected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the surveyed sites in Juam Lake were 1,038 individuals, 33 species, 21 families and 12 orders. A dominant species was Uracanthella rufa and a subdominant species was Ecdyonurus kibunensis. Hydrophytes recorded from Juam Lake were identified 9 taxa. Emerged plants, floating plants among the hydrophytes was classified 8, 1 taxa, respectively. Ecosystem disturbance wildplant by Environment Ministry found were Paspalum distichum var. distichum and Ambrosia artemisiaefolia. A total of 30 species (6 families) were collected fishs from Juam Lake. There were 10 Korean endemic species (33.3% of collected species number) and 3 exotic species (10.0%).

      • KCI등재
      • KCI등재

        영화관의 형성과 관람의 근대 : 『경성과 도쿄에서 영화를 본다는 것-관객성 연구로 본 제국과 식민지의 문화사』에 대한 서평

        송효정 ( Song Hyo-jo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2

        정충실의 『경성과 도쿄에서 영화를 본다는 것-관객성 연구로 본 제국과 식민지의 문화사』(현실문화, 2018)는 1920~30년대 제국 도쿄와 식민지 경성의 영화체험 및 그에 수반되는 관객성(spectatorship)을 비교하고 검토하는 책이다. 이 책에서 언급하는 관객성이라 함은 영화 텍스트, 상영 환경, 사회, 역사 등에 의해 유동적으로 결정되어 다양하게 존재하는 관객과 그들의 관람 양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념화된다. 저자는 이 시기 도쿄와 경성의 영화관이 ‘노는 방식’과 ‘주시하는 방식’으로 분류되고 있음을 언급한 후 각각의 관람양식의 특성을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1930년대 경성 영화관은 일본 도쿄의 니시긴자 영화관의 세련된 영화문화에 대한 열망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후 도호 등의 영화사가 경성의 대형 고급 영화관을 직영하게 되면서 경성의 고급 영화팬들은 기존 영화관에 비교해서 우수한 남촌의 대형 고급 영화관을 애호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1930년대가 되면 영화관 관객의 민족 경계가 붕괴하고 영화관 간의 서열 관계가 강화되며 경성 영화 흥행계가 변동되게 되는데, 이는 일본에서의 관람 문화가 새로운 영화문화 및 영화 산업에 변화를 끼친 결과였다. 저자는 변사, 악사, 가수 등의 퍼포먼스를 청각적으로 즐기며 소란스럽게 영화를 관람하는 ‘노는 방식’의 문화의 고유한 특징이 고립된 1인 좌석에서 자막을 통해 시각적으로 영화에 몰입하는 ‘주시하는 방식’의 문화로 변이해 간 과정에 전반을 ‘불균질’한 관람 문화라 언급하는데 그 의미가 분명치 않다. 이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영화관 문화 형성 과정 뿐 아니라 상영 프로그램, 향유된 영화 형식과 장르, 할리우드 관람문화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 및 다중적 식민성에 대한 고찰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Seeing Movies in Keijo and Tokyo in the 1920~1930 : Cultural History of Empire and Colonialism (Joung, Chung-sil, 2018) is about film experience of Imperial Tokyo and Colonial Keijo(京城) in the 1920s and 1930s. It is a book also that compares and examines the spectatorship. The spectatorship mentioned in this book is conceptualized to mean the various viewers and their viewing patterns, which are dynamically determined by the movie text, screening environment, society, and cultural history. The author notes that the cinemas in Tokyo and Keijo during this period are classified as ‘playing way’ and ‘watching way’,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iewing style. As a result, the 1930s Keijo Cinema had a longing for a sophisticated cinematic culture in the Nishi Ginza Theater in Tokyo, Japan. Since then, the film companies like Toho have been directing a large-scale movie theater in Keijo. It has resulted in favoring the excellent high-end movie theater of Namchon(南村). In the 1930s, the ethnic boundaries of movie theaters collapsed an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e theaters was weakened. And then the entertainment industry in Keijo was changed. To the end, it is regrettable that the screening program, the film format and genre enjoyed, and the standardization of Hollywood viewing culture are mi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