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의 내러티브 표현을 위한 감성색채 연구

        송화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4

        Colors that are expressed in high definition media, e.g. HDTV, Digital Cinema, etc., are being emphasized as a factor which help strengthen narrative strategies, advance the messages, and increases visual aesthetic. Colors create an environment that make stories more affective. In Hollywood classics, color films using the Technicolor process was an important way of reproducing realism. However, as the digital imaging technology improved, color is used as implications, symbols, and formations of dramatic atmosphere through the narrative spread out. This paper is studied in order to establish related emotional colors with narrative expressions, and also to suggest a quantitative color guideline for emotional color applications in visual contents production through characteristic research on emotion and color features. For this matter, the framework of six emotional adjective groups relaxation, distress, pleasure, displeasure, excitement, sleepy is defined and the relating emotional colors were identified on a Valence-Arousal paradigm basis which was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about affects.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al colors is based on emotional adjective research. Moreover, to procure representativeness and reliability of emotional color, the color database u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colors distinguished by IRI color research institute, South Korea (chromatic 110 colors, achromatic 10 colors); NCD color research institute, Japan (chromatic 120 colors , achromatic 10 colors); PANTONE color research institute, USA (chromatic 45 colors, achromatic 3 colors). As a result, 214 chromatic colors and 11 achromatic colors are established as primary emotional colors. These colors are schematized in hue spectra of each emotion. And also all the colors have been positioned along three axes : warm-cool, soft-hard, clear-grayish in order to make clear the images of each color, and to enable assessment and comparison of color. Moreover,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motions and three attributes of color(hue, saturation, brightness), a valuable result regarding emotional color characteristics are concluded. In this study, universal emotional color, representing six emotional adjective group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primarily identified emotional colors, whereas this study enabled to form a quantitative guideline for emotional color application. 디지털 문화 시대에 HDTV, 디지털시네마 등 고화질 미디어에서 표현되는 색채는 내러티브 전략을 강화시키고 메시지 향상과 미학적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색채는 영상의 극적 스토리에 풍부한 감정을 만드는 요소이다. 고전적 헐리우드 시기에 테크니컬러로 표현된 색채는 내러티브의 틀 내에서 리얼리즘 재현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었지만 디지털 영상기술 기술의 발전으로 색채는 내러티브 전개에 따른 극적 분위기 연출, 암시나 상징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논문은 영상의 내러티브 표현과 연관된 감성색채를 정립하고 감성과 색채 속성간의 특성연구를 통해 감성색채 활용을 위한 정량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감성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Valence-Arousal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편안한, 불안한, 즐거운, 불쾌한, 흥분된, 무기력한의 6개 감정 그룹의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 이와 연관된 감성색채를 도출했다. 감성색채 도출은 감성형용사연구를 기반으로 했다. 또한 감성색채의 대표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에 활용된 색채 데이터베이스는 한국 IRI 색채 연구소(유채색 110, 무채책 10), 일본 NCD 색채 연구소(유채색 120, 무채색 10), 미국 PANTONE 색채연구소(유채색 45, 무채색 3)에서 정립한 색채 데이터를 기초로 구성했다. 연구결과 유채색 214개, 무채색 11개의 1차 감성 색채를 정립하고 각 감성별 색상 스펙트럼을 도식화했으며 이들 색채를 컬러이미지스케일(warm-cool, soft-hard, clear-grayish)에 포지셔닝하고 특성을 비교 평가했다. 그리고 감정과 색채 속성(색상, 명도, 채도)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감성색채 특성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1차 도출된 감정 색채를 토대로 6개 감성형용사 그룹을 대표하는 유니버셜 감성 색채를 정립하고 감성색채의 활용을 위한 정량적 가이드라인도 마련할 수 있었다.

      • KCI등재

        Relaxation과 Distress 감성 표현을 위한 색채 연구

        송화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1

        As an aesthetic symbol that presents both human affection and mental state, color draws emotional reactions upon the observer. Color in a film as a typical visual media is used to present a dramatic mood, an allusion, or a meaningful symbol according to the narrative plot. In other words, color in a visual media delivers not only image informations but also various emotions such as happiness, sadness, fear, or joy to the audience. Consequently, color plays an essential role as an aesthetic element of film production to present narrative atmosphere and to make an emotional setting. The emergence of HDTV and Digital Cinema especially leads to an importance of color. In a visual design and its post production, many color process and its related processes are typically used with color correction to adjust both hue and tone that are appropriate for narrative and character's psychological state. Color presentation in visual production may be considered in various psychological and technical aspects. The knowledge of emotion-color relationships can effectively deliver meaningful messages and enhance an aesthetic value of the work only with the use of proper colors. In this study, i figure out a set of emotional colors that is proper for emotional expression of visual narrative and character's emotion. And i have analyzed a cross-relationship between hue,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the set of color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 have suggested a quantitative color guideline for emotional color applications. This paper focused on a set of colors that expressed a pair of emotions particularly such as relaxation and distress. As a result, i have derived 28 chromatic colors and 3 achromatic colors related for 'Relaxation' and 29 chromatic colors and 4 achromatic colors related to 'Distress' from mapping 18 emotional adjectives representing 'Relaxation' and 'Distress' on a keyword image scale and a single color image scale, which are based upon the circumplex model of affect. Also i presented that the set of colors had a significant meaning for emotional colors for 'Relaxation' and 'Distress' through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colors. 색채는 심미적 상징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인간의 감정이나 심리상태를 대변하며 수용자에게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대표적인 영상매체인 영화에서는 색채가 내러티브 전개에 따른 극적 분위기 연출, 암시나 상징의 의미로 사용된다. 즉, 영상에서 색채는 단순한 정보 전달 뿐만 아니라 기쁨, 슬픔, 공포, 즐거움 등 과 같은 감정을 관객이 느끼게 한다. 따라서 색채는 내러티브에 맞는 분위기 연출과 정서 설정에 영상제작의 미학적 요소 중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최근 HDTV, 디지털시네마가 제작되면서 색채는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영상제작 과정의 프로덕션 디자인 작업이나 포스트 프로덕션 작업에서 많은 과정들이 색채와 관련된 작업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러티브, 캐릭터의 정서에 적합한 색과 톤을 맞추는 색보정 작업도 일반화되고 있다. 영상제작에서 색채 표현은 심리적, 기술적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색채와 감성간의 관계를 알고 있다면 색채의 작용만으로도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미학적 가치가 높은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의 내러티브와 캐릭터의 감정 표현에 적합한 감성색채를 도출하고 색상, 채도, 명도의 상관관계 및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감성색채 활용을 위한 정량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편안한 감정(relaxation)과 불안한(distress) 감정을 표현하는 색채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감정원형모델을 기반으로 도출된 Relaxation과 Distress 감성을 대표하는 18개의 감성형용사를 Kobayashi 언어이미지스케일 및 단색이미지스케일에 매핑해 Relaxation 감성과 관련된 28개의 유채색과 3개의 무채색, Distress 감성과 관련된 29개의 유채색과 4개의 무채색을 추출했다. 그리고 이들 색채를 토대로 한 특성 분석을 통해 Relaxation 및 Distress 감성색채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조사연구 : I사의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 사례를 중심으로 Focused on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송화선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교육방송이 교수매체로서 학습자들에게 얼마나 만족하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 개발과 운영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루어질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 기반 교육방송 강좌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로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 8개 영역 대부분이 학습자의 만족도가 평균 이상이 된다.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관하여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 지원환경, 인터넷 기반 교육방송 수업 태도, 교수설계전략, 학습내용 제시 전략, 화면 디자인 및 인터페이스 전략, 학습지원 기능, 운영자 및 사이버 조교지원,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관한 종합 평가 등 8개 영역으로 구성하여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 영역별 만족도 차이를 파악하였다.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관한 영역별 요소는 학습자의 만족도 요소를 파악하게 함으로써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가 학습매체로서, 일종의 학습과정으로서 평가받게 되는 결과를 기대한다. The cutting-edge information engineering is getting human beings together and leads to formation of human network through the combination of multimedia and internet. The 21st century advances in technology realizes desire for human knowledge changing from demand-side educations to supply-side educations. One of the most innovative masterpiece by internet is internet broadcasting. Bill Gates said its appearance is much more of an epoch-making event than the discovery of computer. With the limits in one-way communications and synchronous environments overcome, the multi-channelled, multi-programmed learner-centered approach is made available. Internet broadcasting as a new paradigm for educational technology is on the horizon. This study evaluated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courses, interview with the instructors in charge. The following issue was researched for this thesis: What is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ers with the courses? Data from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and Likert-type item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eight areas. With the results that the learner was satisfied with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could we expect its activation. Comparing dimensional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on the 5-point scale, the section for the overall assessment from the learner was much higher than any others at 4.11 and the lowest "support service environment" was shown above average at 3.42. We could capture the satisfaction elements per area, which help pave the way to a learning media, furthermore to a learning progress. High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support function, screen design, and interface strategy made an overall average relatively high. Based on the research above, several findings can be discussed.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and discuss an authentication in all learner's aspects. It is consider learner's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environments. It is important to design a good screen for the students, too. Next, it is essential to provide an output of continued courseware development research of multimedia effect for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Finally, it is need to provide an interaction, feedback, and continued management in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course to effectiveness of class. The followings are further research knowledge. There is a strong need to research i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strategy. It is essential to research in a need analysis of learner, too.

      • KCI등재

        앰비언트 비디오 아트의 미학적 특성 연구

        송화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2

        디지털 영상콘텐츠는 미디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 전달 뿐만 아니라 기존 미디어로 불가능했던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감성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영상콘텐츠를 담고 있는 대표적인 물리적 컨테이너(container)인 TV, 컴퓨터 모니터 등의 스크린은 집, 사무실, 공공장소 등 우리의 일상공간을 점령하고 있다. 오늘날 이러한 스크린은 영화나 텔레비전을 시청하고, 업무를 보고, 정보를 전달받는 수단이 되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크린의 크기는 점점 더 커지고 얇아져 설치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있으며 화질 측면에서도 초고화질의 4K, 8K 해상도로 구현되고 있다. 본 논문은 우리의 일상생활 공간속에 자리 잡은 TV, 컴퓨터모니터, 월 모니터 등 디지털 스크린의 틀 안에서 공간의 분위기와 시각적 만족을 줄 수 있도록 제작된 앰비언트 비디오 아트(ambient video art)에 대한 연구이다. 앰비언트 비디오는 액자에 걸린 그림과 같은 역할을 하는 움직이는 비디오 페인팅(video painting)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합성, 특수효과 등 컴퓨터그래픽스 기술의 발달로 전통적인 미디어 표현 양식에서 확장된 새로운 형식이다.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하는 앰비언트 비디오는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하며 느린 형식과 묘사적 표현에 가치를 두고 있다. 선형적 서사구조를 갖고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는 영화나 텔레비전의 전통적 영상 표현 관습을 따르지 않는다. 그리고 허구적 현실을 만들기 위한 시간적 몽타주 기법에 의존하지도 않는다. 이는 디지털 합성 기술의 발달로 자연스런 합성과 변형, 연속성으로 특징 지어지는 뉴미디어 미학을 추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앰비언트 비디오 작품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영화, TV 매체의 전통적 표현 형식과의 차이점에 대해 분석하고 영상제작의 미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한다. With the thrust of media technology development, digital visual contents are overcoming their limitations of expressions as they participate not only in the role of delivering information, but also as the means of emotional communication. Meanwhile, the typical screens which function as physical containers of these contents, TVs and computer monitors for instance, are occupying dominant positions in our everyday life spaces: our homes, offices, public places, etc. Screens have currently become the main channels for watching television, enjoying movies, work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s technology advances further, the figures of screens are becoming larger and slimmer, loosening spatial restrictions. Also, the quality is evolving, where Ultra High Definition 4K and even 8K resolutions are currently being demonstrated.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aesthetic nature of Ambient Video art which is produced to create spatial atmosphere and visual pleasure through digital screens that have settled into our everyday life spaces, such as television, computer monitors, and wall monitors. Ambient Video can be considered as (moving) video paintings that achieves the very role framed pictures carry out. It is a form of new-media, enabled by the development of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like digital compositing and special effects, requiring distinguished features compared from conventional idioms of original video mediums. The purpose of Ambient Video,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is emotional communication. Ambient Video values slow forms and depictive expression and does not seek for conventional video expressions with linear narrative structures like those in movies or television programs which tend to draw substantial attention from the viewers, nor does it depend on temporal montage to generate fictional reality. Ambient Video pursues a new kind of aesthetics featuring natural compositions, modifications, and continuity via the improvements of digital compositing techniques. This paper endeavors on establish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mbient Video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new media video aesthetics and case analysis on video artworks.

      • KCI등재

        힐링 비디오 아트의 감성과 색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송화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3

        The form of media has advanced and diversified substantially that human experience of today became more coherent with these media, making it possible for audio-visual media to expand its role to help treati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The "Healing Art", healing therapy using paintings, music, dynamic images etc. is practiced by specialized experts and also by individuals, which is becoming widely accepted. Healing art also has been used as a psychological stabilizer for these art forms. Particularly in this study, we define a various scope of videos that are manufactured based on healing music to induce stability and relaxation for the soul, as “a healing video art.”This study figures out healing colors that affects on the emotional message transfer from presentation elements of the healing video art, and then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Also,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 and healing color attributes. In order to build a framework of theoretical affect analysis in the healing video art, this study presents a new circumplex model of emotion by mapping Rusell’s circumplex model of affect and Hevner’s emotional adjectives model. The healing color is derived from IRI adjective image scale and color image scale in the new circumplex emotion model. As a result, the study shows that 9 emotional adjectives such as 'satisfying', 'soothing', and 'tranquil' etc. are represented as emotional images of the healing video art. This study shows that these emotional adjectives are closely related with 10 healing main colors and 20 healing sub colors. These colors are neither excessively dynamic nor absolutely static in terms of the healing color positioning of the IRI color image scale. In addition, these colors do not seem neither soft nor hard. Also the characteristic analysis shows that the color attribute, which is related to healing of emotion, is affected immensely by the brightness and the saturation in the color system rather than the hue. 다양한 매체의 발달은 인간의 체험을 점점 더 미디어에 의존하게 만들고 있으며 미디어 수용자들은 시청각 매체를 휴식은 물론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음악, 그림 등 치유(healing)의 목적으로 제작된 힐링 아트(healing art)를 전문 기관이나 개인들이 활용하는 사례도 점차 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힐링 뮤직(healing music)을 기반으로 마음의 안정과 휴식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 영상을 힐링 비디오 아트(healing video art)’라 정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힐링 비디오 아트의 영상 미학적 표현 요소 중 감성 메시지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힐링 색채(healing color)를 도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감성과 색채 속성의 상관성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힐링 비디오 아트의 이론적 감성분석 기준 틀을 정립하기 위해 제임스 러셀(J. Rusell)의 감정원형모델과 헤브너(K. Hevner)의 음악적 감성 모델을 기반으로 새로운 감성원형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분석을 위한 힐링 색채는 새로운 감성원형모델의 감성형용사를 기반으로 IRI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과 색채 이미지 스케일(color image scale)을 사용해 도출했다. 연구결과 힐링 비디오 아트의 감성이미지를 대표하는 감성형용사로 만족스런(satisfying), 위로하는(soothing), 평온한(tranquil) 등 9개의 감성형용사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감성형용사와 연관된 힐링 색채로 IRI 색채 이미지 스케일에 따른 힐링 색채의 포지셔닝을 통해 10개의 메인컬러와 20개의 서브컬러를 도출했다. 힐링 색채는 동적(active)이지 않으며 그렇다고 매우 정적인(static) 특성을 갖고 있지 않음을 나타냈다. 또한 이들 색채들은 매우 딱딱한(hard) 특성은 물론 매우 부드러운(soft) 특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힐링 색채의 특성 분석을 통해 힐링의 감성과 연관된 색채의 속성은 색상(hue)보다는 명도(brightness)와 채도(saturation)가 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상 내러티브에 따른 바다의 감성 색채 표현-디즈니 모아나를 중심으로-

        송화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3

        Human beings feel various emotions through colors. The emotions induced by a particular color may differ among individuals, but many previous experiments, study papers, reports, and other literature support the hypothesis that color could have psychological effects. In visual media such as television and films, we can see numerous examples of psychological and symbolic interpretation of colors being perceived as a significant component of visual atmosphere production and used to form a dramatic atmosphere or imply a character’s emotional status of the narrative. Color expression in visual media has overcome many of its limitations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both hardware and software dimensions, and it is now possible to display lively colors on screen. Furthermore, it is no longer difficult to select and apply colors on the computer graphics system. Nevertheless, it remains challenging for artists to select the best color that induces emotional reaction while being in line with the narrative of the clip from the enormous set of colors of the analog spectrum. The study of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reference basis for color selection contingent upon narratives for emotional expression of ocean scenes which frequently appear on video contents such as films, television programs, advertisements, and media arts. The sample selection of the colors is based on scenes of Disney’s animated film <Moana, 2016> which livelily expresses various emotions of the ocean even more than the reality. For color analysis, 195 emotional colors of the ocean are extracted based on the PAD model through the K-Mean Clustering method with three emotional groups: relaxation, pleasure, and excitement. This Study has led to a meaningful conclusion to analyze the ocean color characteristics affecting emotional change. This paper discusses emotional color expressions of the relaxed ocean, pleasant ocean, and excited ocean. 인간은 색을 통해 심리적으로 다양한 감정을 느낀다. 특정 색채에 의해 유발된 감정이 반드시 보편적인 것이 아니더라도 색채가 심리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은 그동안 연구된 많은 실험, 논문, 보고서, 저서 등을 통해 입증되어 오고 있다. 색채가 지니고 있는 심리적, 상징적 의미는 영상(Film, TV 등)에서 시각적 분위기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내러티브 전개에 따른 극적 분위기를 연출하고 극 중 캐릭터의 정서나 심리를 암시하거나 상징하는 의미로 활용되고 있다. 영상에서 색채의 표현은 H/W, S/W 기술적 측면에서 많은 한계를 극복했고 다양한 컬러를 스크린에 사실감 있게 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컴퓨터그래픽스 시스템에서 색을 선택하고 적용하는 방식도 과거와 다르게 어렵지 않다. 그러나 아티스트 입장에서 방대한 아날로그적 스펙트럼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색채 중 영상의 내러티브에 부합되고 수용자들의 정서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최선의 감성 색채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은 영화나 TV 드라마, 광고, Media art 등 영상콘텐츠에 많이 등장하는 바다 장면을 감성적으로 표현함에 있어 내러티브에 따라 어떤 색채가 적합한지 색채 표현의 준거를 마련하기 위해 연구한다. 색채 표본 추출은 내러티브에 따른 바다(ocean)의 다양한 감성을 현실보다 더 사실적으로 표현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모아나, 2016>의 장면(scene)을 대상으로 한다. 색채 분석을 위한 195개 바다의 감성 색채는 PAD 모형을 기반으로 편안한(relaxation), 즐거운(pleasure), 흥분된(excitement) 3개의 감성 그룹별 추출된 이미지들을 대상으로 K-평균 군집분석(K-Mean Clustering) 방식으로 도출했다. 감성간 색채 특성을 연구한 결과 감성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 요인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편안한 바다, 즐거운 바다, 흥분된 바다의 감성 색채 표현에 대해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