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양원에서 생활하는 고령 노인의 건강 체조를 통한 생활 만족

        송혜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요양원에서 생활하는 고령 노인의 건강 체조를 통한 생활만족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체험과 경험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요양원에 생활하는 고령 노인의 노년기의 변화된 삶에 대해 이해하고, 건강 체조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생활 어떠한 변화를 가져다주고 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체적 여가활동으로서의 건강체조가 고령화 노인의 무료한 일상생활에 어떠한 의미로 작용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 진술들을 의미단위별로 분류 및 범주화하여, 3개의 상위개념과 9개의 하위 구성요소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상위개념으로 ‘노년기의 변화된 삶’, ‘참여를 통한 변화 국면’, ‘적응하는 황혼의 삶’으로 분류 및 범주화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 고령화 사회에 발맞춰 증가하는 노인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고령 노인들의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연구 필요성과 고령화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으로의 교육적 한계점을 극복하고 신체활동이 자유로운 노인뿐만 아니라 고령화 노인에게도 활성화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 aged through performing the physical exercise for health program from the qualitative approach. For doing this, a depth interview, the 'experiential description and analysis' method,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of performing physical exercise for health program of 6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tial data which were collected was categorized by conceptualizing, comparing meanings, and analyzing from the qualitative approach. The following categories relating with the changing experience of the life satisfaction were propos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1.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ing everyday lives the following three sub-categories were articulated as the factor of changing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performing physical exercise for health program: 1) escaping simple life pattern and span in everyday life schedule, 2)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and the role among peoples, 3) overcoming the losing self and enervation 2.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ting physical exercise for health program and changing everyday lives, the following three sub-categories were articulated as the factor of changing their life satisfaction: 1) positive participation performance, 2) enjoying the program and activating atmosphere, 3) interesting activities and playful fun. 3. From the perspective of adapting old aged lives the following three sub-categories were articulated as the factor of changing their life satisfaction: 1) providing self-reflection, 2) awareness of with us, 3) opportunity of escaping the simple life time in everyday. In conclusion, performing physical exercise for health program, as an physical activating program for the elder aged person in the sanatorium life would be helpful for enhancing and changing their life satisfaction in everyday life.

      • 학교안전사고 분쟁의 특성 분석 : 학교안전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 결정례 및 판례를 중심으로

        송혜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School, which is the Constitutional educational field for all of Korean citizens, is a place where students spend 12 years. If a student is not safe in school, it means that the entire Korean citizens can be at risk for 12 year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t school, students, parents, teachers, principals, school boards, and superintendents come to face the questions of who is responsible and which compensation should be made for the damage caused by the accident. Acknowledging that school safety issue is not a personal risk that an individual affords but a social risk that a society should pay attention, the School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Compensation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chool Safety Act") was enacted in 2007 to prevent school safety accidents and helps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attendees to quickly and appropriately compensate the damage from the accident. The enactment of the School Safety Act imposes a duty on superintendents and principals to prevent school safety accidents and provides compensational benefits to victims regardless of the superintendents, principals, and teachers’ responsibilities in the event of a school safety accident. Thus, the act protects the lives and bodies of students and staffs from school safety accidents and establishes a practical school safety net.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ute process caused by school safety accidents based on the case studies related to the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and school safety accidents. First, the decisions of the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ccording to year, claimant, major issue, judgment content, and degree of damage. The cases were also quantit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year, jurisdictional court, litigation subject, major issue, judgment content, and degree of damage. Afterwards, the decisions of the Compensation Assessment Committee (including the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which resulted in the lawsuit, were analyzed according to year, claimant, jurisdictional court, major issue, judgment content, and degree of damage. Finally, based on the Contingency Model of Conflict Resolution suggested by Richard Jackson (2000),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dispute process caused by school safety accidents by analyzing the case studies and judgments of the Compensational Reassessment Committe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resent conditions of disputes caused by school safety accidents?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disputes caused by school safety acci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and features of disputes caused by school safety accidents, some cases from 'School Safety Incident Casebook' published by the School Safety Compensation Committee in 2015 and ‘School Safety Reduction and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Decision Casebook’ published by the same institution in 2014 were used. The number of disputes used in the study was 125. However, due to the cases with multiple issues in a single case, the total number of reclassified issues according to issues was 17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explained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f the decisions made by the School Safety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The majority of the victims’ school level was high school (32 cases, 43%). In terms of the degree of damage to the victims, 38 cases (50.7%) were reported with more than half of the serious injuries, which was interpreted as a reassessment request for substantial long-term treatment costs. In a similar context, the most frequent issue was about the calculation and criteria of specific amount of the compensation (41 cases, 43.6%). Regarding to the judgment content, 43 cases (57.3%) of dismissing the applicant's claim occupied the largest percentage. The second section explained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f the decisions of school safety accidents. 33 cases (66%) were closed at the first trial, followed by 13 cases (26%) at the second and 4 (8%) at the third trial. For the analysis of the litigation subject, 17 cases (34%) in which a victim was a complainant and the Committee was a sole defendant occupied the majority, followed by 11 cases (22%) in which a superintendent was a sole defendant. There were 24 cases (48%) that included the Committee as a defendant, while there were 26 cases (52%) cases that included a superintendent as a defendant. The majority of the victims’ school level was elementary school (21 cases, 42%). Like the analysis of the decision cases above, the damage of serious injuries (34 cases, 68%) occupied the majority of the whole cases. In terms of the issue analysis, 29 cases (36.7%) covered the issue of school principal’s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violation of principal's duties on protection and supervision. For the judgment content analysis, winning of a complainant (the victim) was dominant at the first trial (28 cases, 84.8%), while winning of a complainant (the victim) was few (2 cases, 15.4%). The third section explained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f dispute cases in which a lawsuit was filed despite the judgment of the School Safety Reduction and Compensation Assessment Committee (including the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in terms of the comparisons of judgment content, the Court interpreted the School Safety Act broadly and decided to pay the maximum amount of compensation to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The fourth section explained the context characteristics analysis result of school safety accident disputes. In terms of the school level and degree of damage of victims, the victims’ degree of damage were most severe in high school safety accidents. High school students usually had the most serious injuries in accidents led to disputes. In general, the issue of specific amount of compensation was most frequent. In the cases of accidents led to disputes occurred in elementary school, the issue of school principal’s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violation of principal's duties on protection and supervision was similarly frequent in addition to the issue of specific amount of compensation. In terms of the degree of damage and issue, the degree of damage was most serious in the cases of specific amount of compensation. The fifth section explained the process characteristics analysis result of school safety accident disputes. In terms of the dispute intensity and dispute period, the less intensive disputes solved by the decision of the Committee occupied a minor proportion, with less than 5 years of dispute period. Nevertheless, since the cases with one intervention of the third-party and more than three interventions of the third-party had similar dispute intensit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dispute intensity and the number of intervention. The sixth section explained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process-consequence factors based on the context-fit model of conflict resolution. When the victim had serious injuries requiring more than three-week treatment due to the accident, the dispute intensity was highest. The intense the dispute was, the more likely the final judgment of compensation amount of the dispute negatively diverged from the original compensation amount claimed by the victim.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safety accidents are differentiated by school level. School safety accidents were most common in elementary school, but there were few cases in which reassessment was requested; most cases were filed against the superintendent. On the other hand, for high school, in spite of the lower frequency of school safety accidents, most of the cases claimed reassessment for serious injuries. For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incidence of school safety accidents is high,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afety education for students more than other school levels and to give teachers and principals an active role for prevention of school safety accidents as supervisors. For high school, because of the frequent reassessment requests for substantial long-term treatment costs due to serious injuries, the compensation criteria for the treatment costs, including actual compensation examples for accidents involving serious injuries in high school, should be specifically informed to students, parents, and school staffs. Second, studies on the calculation of compensation amount are need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issues revealed that the disputes on specific compensation amount were most frequent in general, and the degree of damage was most serious in the cases with the specific compensation amount issu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claims of compensation more than a certain amount to go through additional assessment. Also, given that the disputes related to the calculation of specific compensation amount were most frequent, raising the compensation criteria should be considered in a basis of the research on actual compensation circumstances. Third, the promotion on the School Safety Compensation Reassessment Committee is required. The Committee, which has the three-trial system without additional charge of complainants, is convenient and effectiv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In fact, the disputes solved by the Committee’s judgment had the shortest dispute period less than 5 years, and the final compensation amount was determined close to the original compensation claim by the victim when choosing the Committee’s reassessment over lawsuit. 「대한민국헌법」 제31조에 의해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학교라는 장소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의 긴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다. 이런 공간인 학교에서 학생이 안전하지 않다면 이는 전 국민을 긴 시간 동안 위험에 처하게 한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학교안전사고는 개인이 책임져야 하는 개인의 위험이 아닌 사회가 공통으로 안아야 하는 사회위험이 된다. 실제로 학교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학생·학부모·교원·학교·교육청·교육감 등 그 사고로 인한 손해를 누가 어떻게 얼마나 보상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직면하게 된다. 이는 교육현장을 위축시키는 큰 요인이 된다. 따라서 학교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학생·교직원 및 교육활동 참여자(이하 ‘피공제자’)가 학교안전사고로 인하여 입은 피해를 신속·적정하게 보상·배상하기 위해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안전법」’)이 2007년 제정되었다. 「학교안전법」의 제정으로 교육감·학교장 등에게는 학교안전사고의 예방에 관한 책무가 부과되고, 학교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교육감·학교장·교원 등이 그 사고 발생에 책임이 있는지를 묻지 않고 피해를 입은 구성원에 대하여 보상함으로써 학교안전사고로부터 학생·교직원 등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여 실질적인 학교 안전망을 구축하고 있다. 「학교안전법」 제11조에 명시되어 있는 학교안전사고보상공제 사업(이하 ‘학교안전공제사업’)은 17개 시·도 교육감이 학교안전사고로 인하여 생명·신체에 피해를 입은 피공제자에 대한 보상을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사업이다. 매년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보상건수와 보상금액이 증가추세임에 따라 보상금액(공제급여) 결정에 대한 이의도 발생하고 있다. 만약 학교안전공제회의 공제급여 결정에 불복한다면 심사청구를 시도학교안전공제회로 신청할 수 있고, 그 결정에 불복한다면 심사청구에 대한 재심사청구를 학교안전공제중앙회로 신청할 수 있다. 학교안전공제보상심사위원회(재심사위원회 포함)는 심사청구자의 비용부담이 전혀 없는 3심제도로 외부 전문가 위원들을 통해 심리·재결하고 있다.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은 계속 증가추세이나 이 분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학교안전법」 제정 이전에는 「학교안전법」의 필요성과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교원의 법적책임이 주제인 연구가 많았으나 「학교안전법」 제정 이후에는 구체적으로 「학교안전법」상 권리구제, 구상관계, 보상실태 등이 위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학교안전법」 제정 이후의 판례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하며 또한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의 해결전략 중 하나인 학교안전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이하 ‘보상재심사위원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 과정의 특성을 보상재심사위원회의 결정례와 학교안전사고 관련 판례 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먼저 보상재심사위원회 결정례를 연도별·청구인별·주요쟁점별·결정내용별·피해정도별 등으로 특성을 분석한 후, 판례 역시 연도별·관할법원별·소송주체별·주요쟁점별·판결내용별·피해정도별 등으로 특성을 분석하고, 소송으로 이어진 보상심사위원회(보상재심사위원회 포함)의 결정을 연도별·청구인별·관할법원별·주요쟁점별·결정내용별·피해정도별 등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Richard Jackson(2000)이 제시한 분쟁해결의 상황적합모델에 기초하여 보상재심사위원회 결정례와 판례를 분석하여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 과정의 특성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의 특성은 어떠하며 둘째, 분쟁해결의 상황적합모델에 의한 학교안전사고 분쟁의 특성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분쟁의 과정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교안전공제중앙회에서 가장 최근인 2014년에 발간한 ‘학교안전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 재결 사례집’과 같은 기관에서 가장 최근인 2015년에 발간한 ‘학교안전사고 판례집’의 사례를 사용하였다. 연구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사례를 제외하고 본 연구에 사용한 분쟁사례의 건수는 125건이나 한 사례에 여러 가지 쟁점이 포함된 경우가 있으므로 쟁점을 기준으로 재분류한 쟁점 사례의 수는 총 173건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 결정례의 특성분석 결과에 따르면 피해학생의 학교급은 고등학교가 32건(43%)로 제일 많았다. 이를 2016년도 학교안전사고 발생통계와 비교하면, 사고가 제일 많이 발생하는 초등학교에 비해서 고등학교에서는 학교안전사고가 비교적 적게 일어나나 재심사까지 청구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의 피해정도는 중상이 절반을 넘는 비율인 38건(50.7%)을 차지했는데 이는 장기적인 치료비용에 대한 실질적인 보전을 받고자 재심까지 청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주요쟁점도 구체적인 보상액의 산정과 기준에 대해 묻는 쟁점이 41건(43.6%)로 가장 많았다. 결정내용과 관련하여서는 청구인의 주장을 기각하는 경우가 43건(57.3%)로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학교안전사고 판례의 특성분석 결과이다. 1심에서 분쟁이 종료된 경우가 33건(66%)로 가장 많았다. 소송주체별 분석으로는 피해학생 측이 원고이며 피고는 공제회를 단독 피고로 제기한 소송이 17건(3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시도교육감을 단독 피고로 제기한 소송이 11건(22%)로 많았다. 공제회를 포함하여 피고로 제기되는 소송은 24건(48%)이며 시도교육감을 포함하여 피고로 제기되는 소송은 더 많은 26건(52%)를 차지했다. 피해학생의 학교급은 초등학교가 21건(42%)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학생의 피해정도 역시 결정례 분석과 마찬가지로 중상이 34건으로 전체의 68%를 차지하였다. 쟁점별 분석에서는 학교장의 보호·감독의무 위반 인정여부를 묻는 교장의 책임관련 쟁점이 29건(36.7%)로 가장 많았다. 결정내용 분석결과로는 1심에서는 원고(피해학생)의 승소가 28건(84.8%)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2심에서는 항소주체와 상관없이 원고(피해학생)의 손을 들어준 경우가 2건(15.4%)로 굉장히 적었다. 셋째, 학교안전공제보상심사위원회(재심사위원회 포함)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소송으로 진행된 분쟁사례의 특성분석 결과이다. 결정내용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법원에서는 「학교안전법」의 법리를 넓게 해석하여 피해학생 및 그 가족에게 보상금액을 최대한 지급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학교안전사고 분쟁 상황의 특성을 먼저 당사자의 특성인 피해학생의 학교급과 피해정도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고등학생의 학교안전사고에서 학생의 피해정도가 제일 컸다. 분쟁상황의 특성을 당사자의 특성인 피해학생의 학교급과 쟁점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고등학교에서 구체적인 보상액 산정 관련 쟁점이 제일 많았으며 또한 학교안전사고가 제일 많이 발생하는 초등학교에서 일어난 분쟁으로 이어지는 사고의 경우 구체적인 보상액 산정과 더불어 학교장의 보호・감독의무를 묻는 쟁점이 비슷한 수준으로 많았다. 반면 유치원의 경우 학교안전사고 발생통계에 의하면 사고발생건수도 제일 적으며 관련 분쟁의 개수 자체도 굉장히 적었다. 마지막으로 분쟁상황의 특성을 학생의 피해정도과 분쟁이슈인 쟁점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살펴본 결과 구체적인 보상액 관련 쟁점에서 학생의 피해정도가 제일 컸다. 다섯째, 학교안전사고 분쟁 과정의 특성을 분쟁강도 및 분쟁기간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분쟁강도가 제일 약하여 보상재심사위원회의 결정으로 해결된 분쟁이 분쟁기간도 5년 이하인 경우에 가장 많이 모여 있었다. 분쟁과정의 특성을 분쟁강도와 제3자의 개입횟수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제3자의 개입횟수가 1회인 경우와 3회 이상 개입한 경우의 분쟁강도가 비슷하여 분쟁강도와 제3자의 개입횟수 사이에는 특별한 방향성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분쟁과정의 특성을 분쟁기간과 제3자의 개입횟수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공제회가 많이 분쟁과정에 많이 개입할수록 분쟁기간이 짧아지는 분포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학교안전사고 분쟁 결과의 특성 결과이다. 분쟁결과의 특성을 최종적으로 선정된 분쟁해결전략인 재심과 소송으로 나누고, 피해학생 측에서 청구한 최초 금액과 최종 결정금액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송보다 재심에서 피해학생 측이 최초로 청구했던 금액과 가깝게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쟁해결전략으로 재심을 선택하는 것이 소송보다 최초 청구금액과 가깝게 결정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곱째, 분쟁해결의 상황적합모델의 특성에 따라 상황-과정-결과 요인간의 종합관계에 대해서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상황적 요인에서는 학생의 피해정도를, 과정적 요인에서는 분쟁강도를, 결과적 요인에서는 금액차이라는 요소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학생의 피해정도가 사고로 인하여 3주 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중상일 때 분쟁강도가 가장 높으며 분쟁이 강해질수록 분쟁결과 최종 결정금액은 피해학생의 최초 청구금액과 적은 방향으로 멀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안전사고와 고등학교에서의 안전사고의 분쟁 진행양상이 다르므로 학교급별 학교안전사고 예방정책을 다르게 펼쳐야 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학교안전사고가 제일 많이 발생하나 재심사까지 청구하는 경우는 다소 적고, 시도교육감에게 책임을 물으며 소송을 제기한 경우는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고등학교의 경우 학교안전사고 발생 빈도는 낮으나 대부분 중상 이상의 상해로 재심사까지 청구하는 경우는 많았다. 이는 학교급과 상관없이 학생의 피해정도가 모두 중상인 경우가 제일 많음을 고려하면 피해학생 측에서 사고에 대한 과실을 학생이 초등학생일 때 학생본인의 책임보다 학교에 더 책임이 있다고 판단함을 나타낸다. 반면 피해학생측에서 학생이 고등학생일 경우 학교의 책임만큼 학생본인의 책임도 있다고 판단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안전사고 발생 빈도 자체가 높으므로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에 다른 학교급보다 더 집중하고, 학교라는 공간에서 대리감독자 책임을 지는 교원과 교장에게 학교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부여해야 한다. 고등학교의 경우 중상 이상의 상해로 장기적인 치료비용에 대한 실질적인 보전을 위해 재심사까지 청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등학교에서 제일 많이 발생하는 중상 이상의 사고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예시를 포함하여 치료비용에 대한 공제급여 지급기준을 학생・학부모・교원 등에게 명확하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가장 빈번한 분쟁의 쟁점인 보상액 산정과 관련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쟁점을 기준으로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구체적인 보상액 산정과 관련 분쟁사례가 전체적으로 제일 건수가 많았으며 분쟁상황의 특성분석 중 구체적인 보상액 관련 쟁점에서 학생의 피해정도가 제일 컸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학생의 피해에 대한 공제급여 청구에 대해서는 별도의 추가 심사를 거칠 필요가 있다. 또한 구체적인 보상액 산정과 관련된 분쟁이 가장 빈번하므로 보상실태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보상한도 상향에 대한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피해학생 측에서 청구한 금액과 더 가깝게 최종 금액이 결정될 수 있는 전략인 학교안전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학교안전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는 심사청구자의 비용부담이 전혀 없는 3심제도로 편리하고 효율적인 공적분쟁조정제도(ADR)이다. 실제로 보상재심사위원회의 결정으로 해결된 분쟁이 분쟁기간이 5년 이하로 가장 짧았으며 분쟁해결전략으로 소송보다 재심을 선택하는 것이 피해학생 측에서 청구한 금액과 가깝게 금액이 결정되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 감정 치유 글쓰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을 대상으로

        송혜림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감정을 치유하는 일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따라 감정 및 감정과 얽힌 요소들을 알아차리는 과정을 이론화하여 ‘감정 치유 글쓰기’를 제안하고 나아가 실제로 적용한 결과를 정리하고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에 대하여 알아차리는 단계적 과정을 통한 감정적 치유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해당 연구에서 구성한 이론적 방법 및 프로그램이 실제 적용되어 보다 다양한 이들의 감정의 치유를 이뤄낼 수 있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에 있다. 감정은 반드시 필요하다. 긍정적 감정들은 성장과 발전, 발달을 촉진시키며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게 한다. 부정적 감정들은 인간에게 경각심을 주어 생존의 위협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지키도록 한다. 하지만 이렇게 중요한 감정을 어떻게 다뤄야 할지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며 받아들이지 못한다. 감정을 다스리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감정을 아는 것이다. 하지만 이때 감정의 메시지를 알아차리고 그로부터 감정의 목적을 알아차리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이를 보다 수월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잡아주고자 해당 논문에서 ‘감정 알아차리기-감정과 거리두기-감정 윤곽 그리기-감정에 다가가기-감정에 마주하기-감정 대피소 만들기-감정 건강 유지·증진하기’라는 이론적 방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감정 치유 글쓰기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감정 치유의 가능성을 확인한 사례를 확립하였다.

      • 스마트기술 기반의 사회문제 해결 비즈니스 시스템 참조모델 연구

        송혜림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한국사회는 성장 동력의 실종, 저출산 고령화, 경제사회 양극화, 일자리 부족 등의 다양한 사회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술은 기업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기업 자본 및 국가기술경쟁력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이를 사회적인 목표와 연계시킬 수 있는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아울러, 선행연구에서 사회적 가치와 기술개발에 대한 연결고리가 명확하게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접할 수 있으며 보급률이 높은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며,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삶의 질을 높이는 비즈니스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기업과 시민의 공통된 가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스마트기술기반 사회문제 해결 비즈니스 시스템 참조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범죄예방 분야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가치 중 방범문제를 중심으로 스마트 기술기반 사회문제 해결 비즈니스 시스템 참조델을 적용하여, 연구 결과물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echnologies and servic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and that all the citizens of South Korea, including the socially challenged, can benefit from. To achieve such purpose, first, the concepts of social problems were organized to clarify the study objects. Second, the types of social problem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to draw out social issues. The analyzed classifications of social problems were further divided into those for academic purposes and those applicable to national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rameworks for solving social problems and the drawing out of corresponding solutions. Recently South korean society has suffered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such as disasters, the environment pollution, crime, food system and so on. Thus, the need for research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are also emerging. However, today’s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situ that focused on corporate, business capital, and the National technical competitiveness, and it is very difficult to associated with social goals. Also, There is a limit that in the preceding studies links to social values and technologies development is not clearly structured. In order to get around this limitation, this study would access a variety of services through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ly solve social problems to take advantage of these smart technology using by almost people.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establish the business study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social value and economic value. Moreover, this study developed the smart technology-based business system reference model for solving social problems and deriving common value in both of corporate and the civil. Especially, in this study, by applying the reference model to developing the business system for solving the crime problem, this study gave shape to a application plan for the research result.

      • 전골(煎骨)의 문헌적 고찰

        송혜림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골은 계절의 채소와 쇠고기나 돼지고기, 닭고기, 조개 등을 썰어 전골틀에 담고, 국물을 부어 즉석에서 익혀 먹는 음식이다. 전골류의 대표적인 음식인 신선로는 간, 천엽, 생선, 알지단, 표고, 석이, 미나리 등을 전을 부쳐 신선로 틀에 맞춰 썰고 신선로틀에 쇠고기를 썰어서 양념한 것과 각종 전의 부스러기를 밑에 깔고, 여러 가지 전유어를 색맞추어 돌려 담은 후, 그 위에 호도, 은행, 잣, 쇠고기 완자 등을 고명으로 얹고, 육수를 부어 즉석에서 익혀 먹는 음식이다. 본 논문은「규합총서」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골이 기록되어 있는 조리서와 조선시대 궁중연회음식을 기록한 의궤 중 신선로가 기록된 의궤를 분석하여 전골의 명칭, 역사, 종류, 빈도, 재료, 신선로의 영양, 전골틀, 조리용어와 맛의 표현, 식기 및 조리용구, 조리법 등을 연구하여 한국의 음식문화를 연구하는데 보탬이 되는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골의 명칭은 전철, 전철적, 전립투법, 시적, 장시적이라고 기록되었으며 신선로는 1800년대에는 열구자탕, 열구자탕방, 열구자로 기록되었고, 1900년대에는 신선로, 선로, 열구자탕, 열구자, 탕구자, 구자등이 함께 기록되다가 19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신선로만 기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연회음식을 기록한 의궤에서는 열구자탕, 면신선로, 탕신선로로 기록되었다. 전골의 역사는 상고시대 진중군사들이 그릇을 구하기 어려워 머리에 썼던 철로 만든 전립을 벗어서 여러 재료를 담아 익혀서 먹던 것이 시초가 되어 여염집에서도 냄비를 전립 모양으로 만들어 고기와 채소등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익혀서 먹은 데서 시작되었다. 신선로는 정희량이 속세를 버리고 산속에서 지낼 때 화로를 만들어 거기에 채소를 넣고 익혀 먹으며 지내다 별세한 후, 사람들이 그 그릇을 신선이 되어간 분의 화로라는 뜻에서 신선로라 부른데서 유래되었다. 전골의 종류와 빈도는 신선로(열구자탕)29회, 전골(전골법) 6회, 두부전골 17회, 송이전골 13회, 쇠고기전골 13회, 낙지전골 10회, 갖은전골 8회, 굴전골 7회, 생치전골 6회, 버섯전골 5회, 채소전골, 대합전골, 조개전골, 닭전골, 콩팥전골 각 4회, 생선전골 3회, 노루전골, 해물전골, 조개관자전골, 곱창전골 각 2회, 도미전골, 돈육전골, 벙거지골, 쑥갓전골, 배추전골, 생합전골, 맛살전골, 김치전골, 김치쌈전골, 두골전골이 각 1회였다. 이 중 신선로는 조리서에 가장 많이 표기되었으며 신선로 별법, 신선로 옛법, 면신선로로도 표기되었다. 궁중연회에서는 열구자탕만 차려졌으나 1868년에 열렸던 연회에서만은 면신선로와 탕신선로가 함께 차려졌다. 전골의 재료는 수육류 : 쇠고기, 내장, 돼지고기, 노루, 사슴, 토끼고기, 조육류 : 닭, 생치, 오리, 어패류는 생선, 도미, 민어, 광어, 종어, 여무기, 대구, 해삼, 전복, 대하, 조개, 조개관자, 대합, 굴, 홍합, 낙지, 채소류 : 파, 순무, 무, 숙주, 고사리, 도라지, 고추, 미나리, 콩나물, 나물, 당근, 죽순, 시금치, 양파, 배추, 김치, 청과, 부추, 감, 토마토, 감자, 쑥갓, 버섯류 : 버섯, 송이, 표고, 목이, 석이, 느타리, 싸리버섯, 팽이, 건어물 : 멸치, 알류 : 계란, 해조류 : 다시마, 가공품 : 두부, 가마보고(어묵), 맛살, 과일류 : 밤, 대추, 실백, 호도, 귤, 배, 은행, 가루 : 밀가루, 찰가루, 녹말가루, 메밀가루 양념류 : 유장(간장, 검은장), 청장, 깨소금, 마늘, 설탕, 후추, 기름(참기름), 고춧가루, 생강, 소금, 조미료, 천초, 미미소(아지노모도) 등이 있었다. 신선로 1인분의 영양은 열량 211.51kcal, 단백질 17.3g, 지방 16.45g, 당질 6.1g, 조섬유 2g, 칼슘 57.63mg, 인 208mg, 철 4.328mg, 비타민A 2177㎍RE, 비타민B1 1.586mg, 비타민B2 0.393mg, 비타민C 6.6mg, 나이아신 5.26mg NE으로 한국인의 1끼 영양소 필요량과 비교할 때 신선로 1인분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소가 필요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였으나 칼슘과 비타민 C는 부족한 편이었다. 따라서 칼슘과 비타민 C만 보강한다면 신선로 한가지만으로 고른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다. 전골틀의 모양은 가운데는 우묵하고 가장자리는 평평하여 마치 전립을 엎어 놓은 것처럼 생겼으나 현재는 운두가 낮고 밑이 평평한 모양으로 변화하였다. 전골틀의 재질은 처음에는 철재였으나 조선시대 후기에 와서는 곱돌로 바뀌었다가 현재는 알미늄이나 스텐레스 스틸이다. 전골틀의 모양과 재질변화는 연료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숯이 연료로 쓰였을 때는 가운데가 우묵하고 가장자리가 평평한 무쇠나 곱돌로 된 전골틀이 숯불에 올려놓고 쓰기 편하고 열손실이 적어 널리 쓰였으나 연료가 석유, 개스 등으로 바뀌면서 열손실에 영향을 덜 받게 되자 점차 밑바닥이 납작하여 석유곤로, 가스랜지에 올려놓기 쉽고, 가벼워서 운반이 용이한 스텐레스 스틸 재질의 전골틀이 쓰이게 되었다. 신선로틀은 굽이 달려 있고, 뚜껑이 있으며 원형냄비 가운데는 숯을 넣는 원통이 있어 여기에 숯불을 피워 넣어서 음식이 익도록 된 구조이다. 신선로틀의 재질은 놋쇠에서 유기, 스텐레스 스틸로 변화하였다. 요즘은 원통에 숯을 넣는 대신 전기를 사용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신선로도 나왔다. 전골에 사용된 조리용어 중 준비과정의 용어는 112가지였는데 그 중 씻다가 109회로 가장 많았다. 써는 과정의 용어는 23가지였으며 그 중 썰다가 259회로 가장 많았다. 익히는 과정의 용어는 10가지였으며 그 중 끓이다가 119회로 가장 많았다. 담는 과정의 용어는 10가지였으며 담다/담아두다/담아놓다가 159회로 가장 많았다. 맛의 표현에는 맛이 좋다, 맛이 없다, 맛이 우러나다, 향기가 매우 좋다, 심심하다, 삼삼하다, 싱겁다, 간간하다, 간이 울어나다, 간이 어울리다 등이 있었다. 식기 및 조리용구는 신선로(틀), 열구자탕 그릇(열구지, 열구자, 구자), 전골틀(전골냄비, 곱돌로 된 전골냄비, 전골냄비틀), 냄비, 후라이팬, 번철, 그릇, 대접, 합, 알합, 종지, 공기, 보시기, 접시, 숟가락, 계량용구로는 컵, 테이블 스푼(큰술), 티스푼(작은술), 종지, 대접, 기타로는 소독저, 소쿠리, 풍로, 상, 소반, 화기 등이 있었다. 전골의 조리법은 전골의 재료를 날것을 그대로 전골틀에 담기도 하고 익는데 시간이 걸리는 재료는 전을 부치거나 미리 익혀서 색을 맞추어 담고 국물을 부어 익힌다. 전골의 양념은 기름, 후추 정도였으나 시대가 지남에 따라 간장, 파, 마늘, 후추, 생강, 조미료 등 가짓수도 많아지고 다양해 졌다. 고춧가루는 곱창전골과 두골전골에만 사용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전골은 색이 붉거나 맵게 먹는 음식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요즘 음식점에서 전골에 고춧가루를 넣어 색이 붉고 맵게 하는 것은 전통적인 전골의 조리법에는 위배된다. 1800년대에는 신선로의 재료를 날것을 그대로 신선로틀에 담거나 기름에 지져 담아서 국물을 부어 익혀 먹었으나 1900년대부터는 재료를 전을 부쳐서 신선로틀에 담아 국물을 부어 익혔다. 또 1800년대에는 신선로에 국수나 전병을 넣어서 함께 먹었으나 현재는 면을 넣은 신선로는 면신선로로 분리시켰다. 신선로의 양념은 국물에 간을 맞추는 간장, 쇠고기 육회나 완자의 양념정도였다. 고명은 알지단, 석이전, 미나리초대, 잣, 은행, 호도 등 가짓수도 많고 화려했다. 전골은 즉석에서 익혀 먹으므로 뜨겁고 알맞게 익혀 먹을 수 있는 특색있는 요리법이다. 또한 여러 가지 재료를 전골틀에 담아 익혀 먹으므로 맛과 멋이 있으며 영양이 풍부한 음식이다. 이렇게 훌륭한 우리의 음식인 전골이 올바르게 계승 발전되기를 바란다. Jeongol is a kind of food that can be instantly boiled in a frame containing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chopped seasonal vegetables, beef, pork, chicken, or shellfish, with water added to it. Shinsollo (a cooking brazier), a typical kind of jeongol, is made of jeon (a kind of pancake) with fried liver, layers of liver, fish, fried egg, pyogo mushroom, seok-yi mushroom, and dropwort, which is cut according to shinsollo frame. On the bottom of shinsollo frame, chopped and spiced beef and various kinds of chopped jeons are spread, which are colorfully trimmed by sliced fish fried with egg. Then garnishings, such as walnut, ginkgo, pine nuts, and fried beef ball are put on it, with water added to it, which is instantly cooked.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such material as to assist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ood by analyzing model recipe of shinsollo among cook books published till now, beginning with Gyuhap Collection of Books, in which jeongol is recorded and model recipes in which royal feast food in Choson Dynasty is recorded, and by reviewing name of jeongol, it history, kinds, frequency, material, its nutrition, jeongol frame, cooking glossary and expression of taste, bowels and cooking instruments, and recipe. Name of Jeongol: Jeongol was recorded with such expressions as jeongchol (frying pan), jeoncholjeok (food cooked in upside-down-hat-like pot), jeonliptubeop (a kind of food cooked in upsided-hat-like pot), shijeok, or jangshijeok. Shinsollo was recoded as yeolgujatang, yeolgujatangbang, or yeolguja in 1800s, as shinsollo, sonllo, yeolgujatang, yeolguja, tangguja, or guja in 1900s, and as only shinsollo from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Model recipe in which royal feast food in Choson Dynasty is recorded shows such expressions as yeolgujatang, meon-shinsollo, or tang-shinsollo. History of Jeongol: Jeongol originates in the custom that soldiers in the ancient times who couldn't obtain bowel or pot used their iron hats to cook various kinds of material. From that time on, ordinary homes also used hat-like pot to cook various materials such as beef and vegetables. Shinsollo, which means a brazier of a supernatural being, originates in the brazier used by Jeong Hee-ryang who left the temporal world to go to the forest to live in, cooking vegetables in it. After his death, it was called as shinsollo. Kinds and Frequency of Jeongol: Kinds of jeongol was expressed as shinsollo (yeolgujatang) for 29 times, as jeongol (jeongolbeop) for 6 times, as dubu jeongol (bean curd jeongol) for 17 times, as song-yi jeongol (song-yi mushroom jeongol) for 13 times, as beef jeongol for 13 times, as nakji jeongol (common octopus jeongol) for 10 times, as gajeon jeongol (alltogether jeongols) for 8 times, as gul jeongol (oyster jeongol) for 7 times, as saengchi jeongol (uncooked pheasant jeongol) for 6 times, as beosot jeongol (mushroom jeongol) for 5 times, as chaeso jeongol (vegetables jeongol), dahap jeongol (large clam jeongol), jogae jeongol (shellfish jeongol), dak jeongol (chicken jeongol), and kongpat jeongol (kidney jeongol) for 4 times, respectively, as saengson jeongol (raw fish jeongol) for 3 times, as noru jeongol (roe deer jeongol), haemul jeongol (marine product jeongol), jogaeguanja jeongol (shellfish abductor muscle jeongol), and gopchang jeongol (cattle's small intestine jeongol) for twice, and as domi jeongol (sea bream jeongol), donyuk jeongol (pork jeongol), beonggeojigol (hat jeongol), ssukgat jeongol (crown daisy jeongol), baechu jeongol (cabbage jeongol), saenghap jeongol (raw clam jeongol), matsal jeongol (razor clam flesh jeongol), kimchi jeongol, kimchissam jeongol (kimchi-wrapped jeongol), and dugol jeongol (skull jeongol) for once. Among them, shinsollo was most frequently expressed in various cook books, and also as shinsollo beolbeop (shinsollo delicate recipe), shinsollo yetbeop (shinsollo old recipe) or myeon-shinsollo. In royal feast, only yeolgujatang (yeolguja soup) was served, but in the feast in 1868, it was served along with myeon-shinsollo (noodle shinsollo) and tang-shinsollo (soup shinsollo). Materials in Jeongol: Boiled beef, such as beef, intestines, pork, roe deer, deer, and rabbit flesh; Fowl flesh, such as chicken, uncooked pheasant, and duck; Fish and shellfish, such as raw fish (panfried raw fish), sea bream, sciaenoid fish, flatfish, leiocassis dumerili, codfish, trepang, ear shell, prawn, sea shell, shellfish abductor muscle, large clam, oyster, hard-shelled mussel, and common octopus; Vegetables and herbs, such as green onion, turnip, radish, mung-bean sprouts, bracken, balloonflower, red pepper, dropwort, bean sprouts, potherb, carrot, bamboo shoot, spinach, onion, cabbage, kimchi, fresh fruits, leek, persimmon, tomato, potato, and crown daisy; Mushroom such as general mushroom, song-yi mushroom, pyogo mushroom, mok-yi mushroom, seok-yi mushroom, agaric, bush-clover-like mushroom, and top-like mushroom; Dried fish such as anchovy; Eggs such as hen's egg; Seaweeds such as sea tangle; Bean products such as bean curd, mashed and cooked fish, and razor clam flesh; Fruits, such as chestnut, jujube, pine nut, walnut, orange, pear, gingko nut; A variety of flour, such as wheat flour, glutinous rice flour, starch, and A variety of flour, such as wheat flour, glutinous rice flour, starch, buckwheat flour; and Spices such as sauces (soy sauce and black sauce), clear sauce, salt with parched sesame, garlic, sugar, black pepper, oil (sesame oil), red pepper, ginger, salt, seasoning, Zanthoxylum piperitum, flavoring, etc. Nutrition of Shinsollo per Capita: Shinsollo per capita contains 211.51kcal of calory, 17.3g of protein, 16.45g of fat, 6.1g of glycolipid, 2g of fiber, 57.63mg of calcium, 208mg of phosphorus, 4.328mg of ferrum, 2177㎍RE of vitamin A, 1.5867mg of vitamin B1, 0.393mg of vitamin B2, 6.6mg of vitamin C, and 5.26mgNE of niacin. It contains most required nutrition per meal for Koreans, which shows shinsollo is excellent in nutrition, except for calcium and vitamin C. Therefore, if calcium and vitamin C are supplemented, only shinsollo can provide us with balance of nutrition. Jeongol Frame: Jeongol frame is like upside-down hat with indented center and flat rim. Later, however, it was replaced by one with lower indented center and flatter bottom. Its was originally made of iron, which was replaced by figure stone in late Choson Dynasty. Now it is mad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Its shape and material were changed according to fuel used for it. When charcoal was used, jeongol frame made of iron or figure stone with indented center and flat rim was utilized, for it was more convenient to use it on charcoal to reduce loss of heat. As oil or gas became used and loss of heat was less concerned, jeongol frame made of stainless steel was more utilized, for it was light enough to be portable and it was more convenient to put one with flat bottom on oil or gas flames. Shinsollo frame has legs and a lid, and a cylinder that can contain charcoal at the center of its round pot. With this charcoal food can be cooked. Its material has changed from brazier to brassware and stainless steel. Nowadays electric shinsollo was also launched, which can use electric power instead of charcoal. Glossary in Jeongol Recipe: A total of 112 terms was prepared for jeongol recipe. Among them, the most frequently expressed term "ssitta (wash)" was used for 109 times. For cutting process, a total of 23 kinds of terms was used. Among them, the most frequently expressed term "sseolda (cut)" was used for 259 times. For cooking process, a total of 10 kinds of terms was used. Among them, the most frequently expressed term "ggeulyida (boil)" was used for 159 times. For filling process, a total of 10 kinds of terms was used. Among them, the most frequently expressed terms "damta/ damaduda/ damanotta (fill)" were used for 129 times. Expressions for taste in cook books were "taste good," "taste bad," "soak out," "smell very good," "lightly seasoned," "rather unsalty but nice," "not salty enough," "good and salty," "saltiness soak out," and "be well seasoned with salt." As for tableware and recipe tools, a shinsollo (frame), a yeolguja soup ware (yeoguji, yeolguja, or guja), a jeongol frame (jeongol pot, figure stone jeongol pot, and jeongol pot frame), a pot, a frypan, a frying pan, a bowl, a soup bowl, a brass bowl with a lid, a small bowl, an empty vessel, a small bowl of porcelain, plate, and a spoon were used. As for measuring tools, a cup, a table spoon, a tea spoon, a small cup, and a soup bowl were used. Other tools were also used, such as sterilized chopsticks, a bamboo basket, a clay charcoal stove, a table, a small table, and firearms. Recipe of Jeongol: Materials as they are can be put into a jeongol frame. But if it takes a long time, some materials can be made into jeon (a kind of pancake) or cooked in advance, and then colorfully put into jeongol frame with water. As spices, oil and black pepper were originally used. However, as time passes by, a variety of spices was used, such as soy sauce, green onion, garlic, black pepper, ginger, and seasoning. Red pepper was only used in gopchang (cattle's small intestine) jeongol and dugol (skull) jeongol. It shows that jeongol did not belong to red and hot food. Accordingly, such red and hot jeongol as can be seen in today's restaurant is contrary to traditional jeongol recipe. In 1800s, raw materials were put into shinsollo frame, or fried materials were put into it with water before cooking. However, in 1900s, materials made into jeon were put into it with water before cooking. In addition, in 1800s, noodles or jeongbyeong (a kind of round and flat pancake) were added to shinsollo. However, nowadays shinsollo with noodles is called myeon-shinsollo, separated from general shinsollo. Spices for shinsollo were soy sauce for seasoning water with salt and sauces for minced raw beef or fried meat ball. In addition, various garnishings, such as fried egg, seok-yi jeon (a kind of pancake made of mushroom), minari jeok (a kind of pancake made of dropwart), pine nut, ginkgo, walnut, etc. were splendidly used. Jeongol, in particular, can be cooked instantly and served hot and adequately cooked. In addition, various materials in it can provide us with good taste and shape and much nutrition. Therefore, jeongol, our traditional food, should be more developed and succeeded to our descendants.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셧다운제 정책형성과정 분석 :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송혜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인터넷게임 중독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셧다운제 정책형성과정에 대하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방법 중 신문기사를 선택하였으며, 신문기사 검색 사이트인 카인즈,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사이트를 통해 신문기사를 수집하였다. 검색 키워드를 셧다운제, 인터넷게임 중독, 청소년으로 하여 나온 신문기사 589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기간은 셧다운제가 언급된 2004년 10월 1일부터 법안이 통과된 2011년 4월 30일까지로 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셧다운제 정책형성과정에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의 주요 분석요소인 정책문제의 흐름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셧다운제 정책형성과정에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의 주요 분석요소인 정책대안의 흐름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셧다운제 정책형성과정에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의 주요 분석요소인 정치의 흐름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넷째, ‘셧다운제 정책형성과정에서 Kingdon의 정책문제, 정책대안, 정치의 흐름들은 어떻게 결합하여 정책의 창을 여는가?’ 등 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문제의 흐름에서는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중독으로 인해 발생한 주요사건들을 통해 나타난 사회적 문제가 셧다운제를 정책의제로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인터넷게임 중독 문제는 각종 지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으나 여러 가지 주요사건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로 사건들의 유형은 자살, 사망, 살해 등 인명피해 발생이 대부분이며 이외로 범죄, 폭행 등이 있었다. 둘째, 정책대안의 흐름에서는 청소년보호 관련 시민단체들이 개최한 ‘청소년 수면권 확보를 위한 대책마련 포럼’을 통해 최초 셧다운 제도 도입이 주장되었다. 인터넷게임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청소년보호 관련 시민단체들은 셧다운 제도를 대안으로 지속적으로 주장하였다. 하지만 반대 입장을 펼친 문화관광부와 게임업계에서는 셧다운 제도는 실효성이 떨어짐으로 청소년들에게 자율적인 노력과 자율규제, 피로도시스템 등 인터넷게임 중독을 방지하기 위한 대안을 주장하였다. 셋째, 정치의 흐름에서는 김재경 의원과 최영희 의원이 셧다운제를 도입한 청소년보호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게임업계의 반발로 인해 개정안이 폐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보호를 위해 끊임없는 발의와 셧다운제를 도입한 청소년 보호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그 결과 셧다운 제도 도입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은 상당수 이상 지지하게 되었다. 넷째, 정책 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 대안의 흐름이 결합하여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었다. 이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 정책 선도자는 셧다운제를 언급하여 정책의제로 설정하게 한 청소년보호 관련 시민단체와 셧다운제를 국회에 발의한 김재경, 최영희 의원이다. 이들은 끊임없는 공청회 개최와 참여, 법안 발의를 통해 정책 선도자들이 지속적으로 주장하였던 셧다운제가 정책대안으로 선택되어 2011년 4월 2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정책결정이 되었다. 본 연구는 제도화는 되었지만 지금도 논란의 중심에 있는 셧다운제의 형성과정을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정책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이 존재함에도 정책선도자와 강력한 문제대안을 주장한 행위자들을 중심으로 정책이 형성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셧다운제 정책형성과정에 대하여 Kingdon의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셧다운제 정책형성과정을 설명하고 정보 제공하였으며 향후 청소년 정책 형성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pplied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in order to see the process of forming the policy of shutdown system to protect the youth from internet game addiction for which newspaper article was selected among literature study methods and newspaper articles were collected through KINDS (web search site for newspaper article), Daily ChoSun, Daily JoongAng and Daily Dong-A. Total 589 newspaper articles which were collected by internet search keywords such as shutdown system, internet game addiction and the youth were analyzed and the analysis period is from October 1st 2004 when shutdown system was first mentioned to April 30th 2011 when the bill of shutdown system was passed. Th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 how the stream of policy issues was show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olicy of shutdown system as a key analysis factor in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Second, how the stream of policy alternatives was show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olicy of the shutdown system as a key analysis factor in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Third, how the stream of politics was show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olicy of the shutdown system as a key analysis factor in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Fourth, how Kingdon’s policy issues, policy alternatives and policy stream were combined and opened the window of policy.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 the stream of policy issues, the social problem shown in major incidents caused by internet game addiction of the youth played a role bringing it up as a policy agenda. The problem of internet game addiction can be confirmed in various indicators and it is also convinced in various major incidents. The major type of incident is a loss of life such as suicide, death and killing including crime and assault. Second, in the stream of policy alternatives, introduction of shutdown system in the forum hold by civic organizations related with youth protection was asserted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secure sleep of youth. The civic organizations related with youth protection continuously asserted shutdown system as an alternative in order to prevent internet game addiction. However, the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and game industry on reverse position asserted autonomous efforts, self-regulation and fatigue system for the youth as an alternative policy to protect internet game addiction because shutdown system is ineffective. Third, in the stream of politics, two members of congress Kim Jae Kyung and Choi Young Hee submitted an Amendment of Youth Protection Act introducing shutdown system to National Assembly. Although the amendment was nullified due to opposition of game industry, the public reaction for introduction of shutdown system showed fairly positive results by submitting continuous initiatives and amendment of youth protection act introducing shutdown system to National Assembly in order to protect the youth. Fourth, the window of politics was opened with combination of stream of policy issues, stream of politics and stream of policy alternatives and the policy leader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is occasion are civic organizations related with youth protection which mentioned shutdown system as a policy agenda and two members of congress Kim Jae Kyung and Choi Young Hee who submitted shutdown system to National Assembly. They continuously held and participated in public hearings and submitted bills to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which shutdown system was adopted as an alternative policy and the policy was finally decided on April 29, 2011 by passing in plenary meeting of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is meaningful from the points that policy can be decided by policy leaders and activists who asserted strong alternatives against different opinions by analyzing with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the process of forming the shutdown system which is still in the center of controversy although it became institutionalized.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explain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policy by arranging three streams. This study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of forming shutdown system and is thought to be helpful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olicy for the youth in the future. Therefore, it suggested limitations for follow up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안지오텐신변환효소 삽입/결손 유전자 다형성과 동맥경화사이의 연관성

        송혜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 Atherosclerosis is a multifactorial disease influenced by genes and environmental factor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D polymorphism has been examined as a candidate gene polymorphism for cardiovascular disease. But results have been inconsist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whether ACE gene insertion/deletion polymorphism was associated with atherosclerosis in a large Korean general population group who were believed to have a relatively homogeneous genetic backgroun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Namwon of Jeollabuk-do Province, Korea, from 2004 to 2007. Subjects aged 45 to 74 years were selected randomly and included 4048 men and 6251 women. The ACE I/D polymorphism was determined by high resolution melting analysis (HRM). Carotid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measur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and carotid plaque. Arterial stiffness was evaluated by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ankle-brachial index (ABI) was used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PAD). Left ventricular mass (LVM) was measured by echocardiography. Results: The frequencies of the I and D alleles in the overall sample were 0.60 and 0.40 respectively. Genotypes frequencies (II=35.7%, ID=48.5%, DD=15.8%) were in agreement with the Hardy-Weinberg equilibriu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CE genotypes for convention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excluding HDL-cholesterol (p<0.05) in men, and total cholesterol (p<0.05) in wom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E I/D polymorphism and markers of atherosclerosis. Conclusions: We found t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CE genotype for HDL-cholesterol in men and total cholesterol in women. However, the mechanism remains uncertai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could not find to association between D allele and carotid atherosclerosis. It suggests that ACE I/D polymorphism might not be a potentially useful predictive marker for increased risk of carotid atherosclerosis of the Korean. 목적: 동맥경화는 유전적, 환경적인 요인들에 의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으로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 유전자의 삽입/결손 다형성은 심혈관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후보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안지오텐신 변환효소의 유전자 다형성이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명확한 근거가 제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전적으로 동질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의 삽입/ 결손 다형성과 동맥경화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방법: 2004년부터2007년까지 전라북도 남원시에 거주하는 45세-75세의 남자 4048명, 여자 62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 삽입/결손 유전자형 분석은 High resolution melting analysis를 이용하였고, 동맥경화의 지표로써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하여 혈관 내막두께를 측정하고, 플라크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동맥 경화도를 평가하기 위해 상완-발목 맥파 속도를 이용하였고, 상완-발목 혈압비로 말초혈관질환의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좌심실질량은 심장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자에 대한 ACE I/D 유전자 다형성의 I형질과 D 형질의 빈도는60%과 40%이고 유전자형의 빈도는 II형 35.7%, ID형 48.5%, DD형 15.8%이다. 고전적인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는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의 유전자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성의 HDL-cholesterol(p<0.05)과 여성의 Total-cholesterol(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동맥경화 지표들을 유전자형에 따라 비교해 보았을 때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동질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연구로써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의 유전자형에 따라 남성의 HDL-cholesterol과 여성의 Total-cholesterol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그 메커니즘이 명확하지 않다. 반면 동맥경화 지표들에서는 유전자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의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인에서 동맥경화를 예측하기 위한 인자로써 적합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 J. J. Rousseau의 교육사상이 음악교육과정에 미친 영향 : 중등음악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송혜림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Music education refers to human education through musical activities, and is one of the educational factors to produce creative and well-rounded people. Music improves individuals' musicality and creative thinking. The twenty-first century is culture- and knowledge-based and considers cultural creativity as the most important social value, more than in any other era. Therefore, in the aspects of cultural competitiveness that the twenty-first century requires, music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puts creativity and the sense of arts and culture into real-world practices. The study of the essential content of music education,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ducation, and the consideration of musical education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should be preceded to understand that music is an essential factors for forming the individuals. How modern music has been influenced by the naturalism of the Rousseau, the representative thinker of the 18th century will be considered in this study, followed by it's influence on Korean music curriculum. As our society changes, education also has changed from the 1st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educational change and Rousseau's thoughts and mainly focuses on the content of the middle school music course practic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revised 7th educational curriculum(2009).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s 'learner-centered curriculum' revised by the educational reform plan which purpose is to promote an autonomous and creative Kore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Maintaining the frame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revised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reflects the effect and social role of the music course and the contents of the reform plan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music course. The balance between quality and quantity in music is important, and the needs of accepting music in various cultures and times are also essential. Those factors have been considered in the revision, and the usefulness of the real music course and the students' interest, have also been the main focus of the revision. It also includes the development of personal character in overall education, the goals of developing creativity and musicality in musical educ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onents and basic concepts of music, the ability to creatively express and to enjoy music. Furthermore, it also emphasi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real-world. There are connections between the current curriculum and Rousseau's thoughts in that both of them value learners' individual personalities and emphasize the development of natural ability. The current curriculum also proposes better real-class coaching methods in the realm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omposing, and music appreciation based on the Rousseau's methods for musical curriculum. 음악교육은 음악활동을 통한 인간교육으로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간 양성을 위한 교육의 한 요소이다. 음악은 개인의 잠재된 음악성과 창의적인 사고를 계발시켜 왔다. 21세기는 문화 및 지식 기반 사회로서 그 이전의 어떤 시대보다 문화적 창의성이 사회적 가치의 핵심이 되고 있다. 따라서 21세기 사회에서 요구하는 문화적 경쟁력의 제고라는 면에서 음악은 그를 통해 육성되는 예술․문화적 감각과 창의성을 일상 속에서 실천한다는 의미로서 매우 중요하다. 음악은 올바른 인간형성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되므로 이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음악교육의 본질적인 내용 연구와 교육사적인 배경을 먼저 살펴보며 음악교육을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8세기의 대표적인 사상가인 루소의 자연주의 사상을 중심으로 어떻게 현대음악교육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하여 알아본 후, 우리나라의 음악교육과정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우리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 역시 1차에서 개정 7차에 이르기까지 변화가 있어왔다. 이 변화되어 온 과정과 루소의 사상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고, 특히 제 7차 교육과정과 2009년도에 개정되어 시행되어 온 개정 7차 교육과정의 중등 음악 교과 내용을 중심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7차 교육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해 교육개혁방안에 따라 개정된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이다. 7차 교육과정과 개정 7차 교육과정 구성체제의 틀은 그대로 유지하되, 음악교육의 효과 및 음악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 강화 필요에 따른 개정 내용이 반영되었다. 음악과 교육과정의 양과 수준에 대한 적정화가 필요해졌고,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을 수용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에 이들을 반영하고, 학교음악교육의 실제생활에의 활용성 제고와 흥미를 제고하는 방향으로 개정이 이루어졌다. 또한 루소의 사상에 바탕을 둔 전인적 교육 차원에서의 인격함양과 창조성 및 음악성 계발을 위한 음악교육목표와 음악의 구성요소와 기본 개념의 이해, 창의적 표현능력, 감상능력의 향상과 같은 교과내용은 여전히 포함되어 있다. 더불어 ‘생활화’라는 영역이 추가되어 실생활과 음악의 연계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늘날의 교육과정은 학습자 각자의 인격과 개인차를 존중하며 개인이 지니고 있는 천부적 재능을 계발시키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루소의 주장과 일맥상통하다고 볼 수 있으며 루소의 음악교육 방법에 따른 실제 현장의 음악 교과 수업에 있어 가창, 기악, 창작, 감상 각 영역의 보다 나은 지도 방법을 제언하였다.

      • Polya의 문제해결교육론을 바탕으로 한 수학지도에 관한 연구 : 중학교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송혜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Mathematics education is to teach to solve problems applying many different theories, principles, and laws. It has a goal of educating students the way to think mathematically and developing their skills to deal with various kinds of math problems.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solving math problems, students can have full understandings of fundamental mathematical knowledge, and it's the ultimate goal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abilities to think and apply in real life situation, through extension of their problem-solving skills. Now we focus on functions, which is applied to every single sections of today's mathematics, and take a great portion of current school math, and apply educational method of problem solving based on Polya's heuristic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This study will diversely present strategies and explanations of math problems related to functions, and We believe that it would be a great help for students to bring about an improvement in their problem-solv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