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예술공연의 마케팅 방안 연구 : 전통음악공연을 중심으로

        송혁규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예술은 한 나라의 문화를 대표하는 동시에 자체로서 그 존재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의 전통예술공연은 역사적, 제도적인 문제와 여타의 비효율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대중들과 많은 거리감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1세기 문화의 세기를 맞아 전통예술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국가적인 지원과 활성화 노력이 펼쳐지고 전통예술의 교육활동도 활발히 진행되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전통예술과 관련된 연희자나 기획자들도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고 활성화 할 수 있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논문에서는 그동안 전통예술과는 별개의 것으로 인식되었던 마케팅개념을 도입하여 전통예술이 보다 폭넓게 보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마케팅이론 중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이론을 적용하여 보았다. 예술마케팅 관련이론은 실제로 많은 공연에서 적용되고 있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 있다. 이것은 전통예술공연도 치밀한 마케팅 계획하에 진행한다면 보다 많은 관객들을 확보할 수 있고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좋은 예일 것이다. 전통예술은 새로운 세기의 대표적인 국가문화상품이고 또한 보존하고 발전시켜야 할 예술의 장르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전통예술의 대중성 획득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자국민에게 외면받는 전통예술은 이미 그 존재의 의미를 상실한 것이기 때문에 박제화될 수 밖에 없고 정형화 될 수 밖에 없다. 전통예술공연에 있어서 이것은 최우선으로 극복하여야 할 시급한 과제이다. Traditional art represents the culture of a nation and, at the same time, is fully meaningful by its existence. However,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Korea are far apart from the masses of people due to historical and systemic problems as well as their inefficiency. People's recognition on traditional art has been changing since entering the 21C of the culture. This fact can be confirmed by national support, various activating efforts, and active educational programs about traditional art. Performers and planners related to traditional art shall adapt these changes and try to activate traditional art according to these movements. In this paper, the Marketing Mix Theory among various marketing theorie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a completely different thing from traditional art, was introduced and applied, focusing on widely spreading traditional art. Theories related to Art Marketing have been applied to many real performances and have obtained positive reactions. This is an example of attracting many audiences and securing good reactions by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if progressed under detailed marketing plans. Traditional art is a representative national art product in this new century and is a kind of art genre to be preserved and developed. For this purpose, obtaining the popularity of traditional art should be focused. Traditional art ignored by its own national people cannot be but stuffed and formalized. This is the most urgent problem to overcome in the field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 국내 예술경영학 분야의 학부 및 석사 교육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송혁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예술경영은 1960년부터 미국에서 최초로 대학교육이 시작되었으며 국내의 경우 대학의 학제로 편입된 지 약 25년이 되었다. 그동안 문화예술 산업의 발전과 예술시장의 확대되었다. 또한 예술시장의 확대와 문화의 산업화 과정을 겪으며 많은 기관과 단체에서 예술경영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에 맞추어 대학 및 대학원에서는 예술경영 분야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과 현업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들의 재교육을 목적으로 예술경영 관련 유사학과들을 개설하였다. 2013년 현재 2년제, 4년제 과정의 대학교, 대학원에서 예술경영학과 또는 유사한 명칭으로 모두 78개에 학과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예술경영학의 교육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되거나 연구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를 통해 예술경영학에 대한 학문적 범위 규정과 함께 대학 및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술경영학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국내 예술경영학의 학제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해외 예술경영학의 사례 분석 중 가장 구체적으로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미국의 예술경영학 표준교과 모델을 중심으로 국내 교과과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내 예술경영관련 학과 및 석사과정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 교과과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국내 예술경영 학부와 석사과정 학과를 연구자가 선정한 기준으로 분류하고 선정된 학과의 교과과정 분석을 하였다. 국내 예술경영학 교과과정의 기준이 될 만한 연구가 없었던 관계로 미국 예술행정교육자협회(Association of Arts Adminstration Educators)의 표준교과목 연구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학부과정은 교과목 중에 예술경영 이론과 실습, 기술 관리와 훈련, 예술의 제작과 유통의 비중이 제일 높았다. 이에 반해 재원조성과 예산관리와 관련된 과목과 연구방법론은 중요도가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학부과정의 교과가 실무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교육목표에서 영리와 비영리예술에 대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학부과정의 특성상 예술의 기초이론과 경험 대한 교과비중이 높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매우 부족하였다. 이것은 교육의 연계성 및 단계별 학습에 있어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었다. 학부과정에서는 예술적 이론이 부족한 상태에서 예술경영학 이론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에 학습효과가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석사과정에서는 학부과정에서 선행학습이 부족하여 깊이 있는 연구와 실무교육이 물리적으로 부족하다고 보였다. 또한 학과에 따라 교과목 간 편차가 매우 심했으며 중요과목들이 개설되어 있지 않은 사례도 있었다. 학부과정이 예술경영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교과과정의 개선의 필요성을 볼 수 있었다. 학부과정을 통해 현장전문가들이 양산되고 대학원과정을 통해서는 실무와 병행한 이론적 연구들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실증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국내 예술경영학과 학부 및 석사과정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교과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석사과정에서는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재학생들의 석사과정 진학 이유 중 가장 높은 것은 예술분야 취업이었고, 과정 이수 후 현업에 도움이 될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의 교과목과 수업 방식은 대부분 이론 위주로 진행이 되고 있고 인턴십 등 실무교과가 비중이 매우 낮았다. 또한 응답자들은 전반적인 교과내용과 수업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않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석사과정 교과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특히 인턴십과 같은 실무교과의 개설이 매우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내 예술경영학 분야의 교과과정 개선에 대해 세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국내예술경영학과 표준교과목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교과과정 내 예술경영교과목에 대한 기준설정과 필수 교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예술경영학과의 표준교과목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AAAE(Association of Arts Adminstration Educators)가 제시한 표준교과목에 관한 내용은 국내 예술경영학과 교과과정 기준 선정에 좋은 모델이 된다고 생각되며 충분히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국내 예술경영학에서도 이러한 기준을 차용하여 국내 예술경영학과 교과과목에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교과과정 내 인턴십 등의 실무교과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국내 교과과정에 대한 분석과 설문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이론 교과목에 대한 개설은 적절히 차용하여 운용하고 있으나 기초, 발전과정에 그치고 있고 실무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목 마다 교육목표의 마지막 단계를 실무적용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정하여 학습내용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 과제를 운용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로는 학부와 석사과정의 연계를 통한 통합교육과정의 개설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예술경영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서는 학부과정에서부터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위한 기초 학문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학부와 대학원 석사과정을 연계할 수 있는 학제 개편을 통한 학부와 석사과정의 통합교육과정의 모델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모델을 학부와 석사과정의 연계를 통해 통합교과과정으로 학제 변경을 제안하였다. 학부과정 2년과 대학원 석사과정 3년으로 구성된 2+3학제의 운영을 통해 예술경영학의 체계적인 교육체계를 이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예술경영학 학문 연구의 발전과 교육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술경영학은 학문의 역사가 짧은 만큼 앞으로도 많은 연구와 논의를 통해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논문을 통하여 확인한 바와 같이 가장 기본적인 교과 내용에 대한 틀을 구성하여 보다 체계적인 학문 연구의 환경을 만들어 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변화하는 문화예술 환경에 맞춰 새롭게 등장하는 연구들을 수행할 훌륭한 연구자들을 양성해 내는 것은 현재 국내 예술경영학의 발전을 위해 가장 기본적인 첫 단계라 생각한다. 이러한 연구자들의 양성을 위해 앞으로도 대학과 대학원의 교과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져 예술경영학 학문발전의 토대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Arts Management first began as a colleg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in 1960, and it has been 25 years since the education is incorporated into the college system. Meanwhile, culture and arts industry has been developed and the market of arts has expanded. Moreover, the expansion of the market of arts and cultural industrialization process required arts management experts in many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have established similar departments of arts management for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necessary for arts management and for reeducation of professionals engaged in their current jobs.Currently, two-year and four-year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run 78 departments of arts management or similar departments in 2013. In the meantime, however, the case studies regarding the contents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have been rarely discussed. This study is to define the academic range of the arts management and suggest curriculum adequate for domestic circumstances in Korea - by compar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curriculum. For this, the history and development process of arts management were studied and inter-disciplinarization of domestic arts management was analyzed. Also, national curriculum was compared to the standard curriculum model of arts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which presents the most specific criteria of case studies regarding international arts management.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urriculum were examined by a survey of the students of bachelor's degree and master's degree in the departments of domestic arts management. Two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Firstly, national arts management department and master's course department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by the researcher's criteria and curriculum of selected departments were analyzed. It is based on the standard course of United States 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s since studies that could be the criteria of domestic arts management curriculum did not exi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rts management theory and practice, management of technique and trai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rts accounted for the most high proportion during the course for undergraduates. In contrast, the importance of subjects and study methodology related to managing resources and budgets were perceived low. Which means that undergraduate curriculum is closely related with practice, an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profit and non-profit arts is not clear for educational objectives. Also, subjects dealing with basic theory and experience of art were of little importance although their proportion should be high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 courses. Which showed problems regarding curriculum articulation and sequential learning. In undergraduate course, learning effect could be lowered because the course was mainly for the sake of arts management theory with the lack of artistic theory. In master course, in-depth study and practice education were not enough due to lack of prior learning in the undergraduate course. Also, the deviation of subjects were drastic depending on the departments and in some cases important subjects were not offered.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was needed in the way that undergraduate courses aim at training specialists of arts management. Through undergraduate courses professionals should be trained and through graduate courses theatrical research should be supported in accordance with practice.Results of empirical studies showed that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of national arts management had low satisfaction overall with the course content, especially in the master's course. Getting a job in the field of ar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 of entering master's course for students, and they needed the curriculum which would be helpful to field work. However, most of the current curriculums and teaching methods are focusing on theory itself, and practical subjects such as an internship are of little importance in the curriculum. Also, respondents made an opinion that the overall course contents were unsatisfactory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cours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overall improvement of master's degree courses are considered necessary, and establishing practical curriculum such as an internship is thought to be very urgent. Therefore, I suggest three propositions for improvement of curriculum in the field of domestic arts management. First, a standard setting of the domestic arts management curriculum is needed.It is necessary to choose standard curriculum through criteria setting for the course in arts management and an analysis of the required curriculum. Accordingly, contents of the standard curriculum presented by AAAE(Association of Arts Adminstration Educators) would be a good model that can be reference for domestic arts management. It would be necessary for domestic arts management to apply these criteria to the domestic arts management curriculum. Second, internships and other practical courses within the curriculum need to be reinforced. National curriculum analysis and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oretical subjects are well established for operating, but the subjects are staying as a basic step or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lso, the contents of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are to be developed. The last step of each training course aims to foster practical skills for application and project subjects that can apply to the appointed learning content to practice should be conducted. Third, through the connections of the undergraduate courses and master's courses, establishment of integrated education process is necessary. In order to develop arts management, education of foundation studies for a wide range of research from undergraduate courses should be preceded. Accordingly, through a reorganization of the school system, integrated education process in undergraduate and master's courses that can be connected would need to be considered. I suggest integrated education process as a change of educational system in conjunction with undergraduate and master's courses. The 2+3 interdisciplinary system consisting of 2 years of undergraduate courses and 3 years of master's courses would achieve a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 of arts management. That would allow development of scholastic research in arts management and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s history of arts management is short, it needs to be developed through various researches and discussion. A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the environment for more systematic study of research needs to be made by organizing frameworks for fundamental curriculum contents. I presume that training great researchers who will perform emerging issues in changing cultural and artistic environments is the most basic step. For training these researchers, the curriculum of the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should be studied continually so that foundation of arts management w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