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송천영(Cheon Young Song),이상덕(Sang Deok Lee),박인태(In Tae Park),이정식(Jeong Sik Lee) 한국원예학회 2007 원예과학기술지 Vol.25 No.4
혼합식재한 선인장 및 다육식물을 재배온실, 창가, 실내내부와 외부에서 4개월간 관리한 후에 고사율 및 생육조사를 하였다. 식물의 생육은 실내보다 재배 온실 및 창가에서 양호하였다. 백운각, 용신목 및 비취전은 광도가 낮은 실내내부(4.2μmolㆍm⁻²s⁻¹) 및 외부(13.4μmolㆍm⁻²s⁻¹)에서 3-6㎝ 도장되었다. 광도가 낮은 실내 안과 바깥쪽에서 금호, 백운각, 용신목, 무륜주 및 십이지권은 고사되지 않았으나, 비모란, 금황환, 노토캑터스 마그니휘커스, 아악무 및 비취전은 20-40%가 고사되었고 특히 비모란 분홍은 100%고사되었다. 따라서 혼합식재한 선인장 및 다육식물을 실내에 들여 놓을 때 햇볕이 가장 잘 드는 창가에 놓고 관리하는 것이 식물의 도장 및 고사율을 줄일 수 있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oor position on survivals and growth of several cacti and succulents planted in a pot. Echinocactus grusonii, Marginatocereus marginatus, Myrtillocactus geometrizans, Pachycereus pringlei, Eriocactus leninghausii. Gymnocalycium mihanovichii var. friedrichii, Notocactus magnificus, Portulacaria afra v. foliis-variegatis, Haworthia fasciata, and Aloe squarrosa were positioned near to window, outside indoor, inside indoor and greenhouse for four months, and monitored their plant growth and mortality. The plants of indoor including outside and inside, very low light intensity ranged from 2.8 to 13.4 μmolㆍm⁻²s⁻¹, were overgrown in Marginatocereus marginatus, Myrtillocactus geometrizans, and Aloe squarrosa, and increased mortality in Gymnocalycium mihanovichii, Eriocactus leninghausii, Notocactus magnificus, Portulacaria afra v. foliis-variegatis, and Aloe squarrosa, but did not influence in the other plants. Plant height and width in the greenhouse and near to window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outside and inside indoor. Thus, proper indoor position of several cacti and succulents planted in a pot was near to window, showing the most strong light intensity in indoor.
자식을 통한 분화용 거베라 순계 양성 및 일대잡종의 성능
송천영(Cheon-Young Song),문자영(Ja-Young Moon),송은경(Eun-Kyung Song),오대근(Dae-Geun Oh) 한국육종학회 2015 한국육종학회지 Vol.47 No.1
'스콜라' 이용 시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7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Forty lines of gerbera (Gerbera hybrida) were developed by self-pollination of 80 commercial pot varieties. The lines show wide variation in both qualitative characters (flower and disk color) and quantitative characters (flower diameter, peduncle length and days to flowering). The inbred lines showed varying degrees of inbreeding depression in peduncle length and flower diameter as much as 66-88% and 89%, respectively. As selfed generations were advanced, the quantitative characters of lines became uniform as measured by variance among 30 individual plants per generation. It is postulated that a few number of genes are controlling flower color since most lines of third or fourth selfed generation showed uniform color. Hybrids between developed lines of third selfed gereration showed considerable level of heterosis in flower diameter, peduncle length, and number of flowers, and considerably lower degree of heterosis in days to flower.
신나팔나리와 대만나리의 일대 잡종에서 생육과 개화 관련형질의 상호관계 및 조합능력
송천영(Cheon Young Song),박상철(Sang Chul Park),이종석(Jong Suk Lee),김영아(Young A Kim),김종화(Jong Hwa Kim) 한국원예학회 2004 원예과학기술지 Vol.22 No.1
신나팔나리 순계계통(S₆)인 ‘L₂-01’(A), ‘L!-77’(B), ‘L₂-51’(C)와 대만나리인 ‘L₂-53’(D)을 이면 교배한 F₁ 8개 조합 및 양친에 있어서, 초장, 경경, 절간장, 엽장, 엽폭, 꽃잎의 크기 및 개화소요일수 등 19개의 형질에 대하여 상호관계 및 조합능력을 분석하였다. 초장은 경경 및 절간장과 정의 상관관계를, 화고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화경은 엽수와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절간장, 개화소요일수 및 화고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속 꽃잎의 길이는 화경, 화고 및 속 꽃잎의 폭과 정의 상관관계를, 초장, 경경 및 절간장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일반조합능력은 19가지의 모든 형질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특수조합능력도 절간장을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모본의 일반조합능력은 B와 C계통은 초장 증가에 대한 효과가 컸으며, D계통은 화경 증가에 대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초장, 엽장, 엽폭, 절간장, 개화소요일수, 개화각, 화고 등의 형질에 대하여는 일반조합능력의 분산구성분이 특수조합능력의 분산 구성분보다 크게 나타났다. 특수조합능력효과는 A×B조합, B×C조합과 C×D조합은 초장, 경경, 꽃잎의 길이 및 화고 등의 형질에서 높게 나타났다. 초장 감소를 위해서는 A×D조합과 B×D조합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엽장 및 엽폭의 증가에 뚜렷한 특수조합능력효과의 유의성을 보인 조합은 B×D조합이었다. 초장 및 개화소요일수를 감소시키면서, 꽃잎의 크기를 증가시키는데 유의성을 보인 조합은 A×D조합과 B×D조합이었다. 일찍 개화되고 초장을 짧게 하면서 꽃의 크기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A×D조합과 B×D조합이 효과적이었다. 각 형질의 유전력에 있어서 19가지 형질 모두 광의의 유전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초장과 엽장은 광의와 협의의 유전력 모두가 높게 나타났고, 화경과 꽃잎의 길이는 낮게 나타났다. The correlation and combining abilities about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s were studied in the F₁s of 8 crosses from the partial four-parent diallel cross in Lilium formolongi and Lilium formosanum which were pure lines (S₆). The plant height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tem diameter or internode length,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flower height. The flower diameter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umber of leaves,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node length or flower height. The mean squares of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and specific combining ability (SCA) were highly significant for all the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s except internode length. The mean square values of GCA were greater than those of SCA for the characters of plant height, length of leaves, width of leaves, internode length, days to flowering, and height of flower, showing preponderance of additive gene actions for these characters. The lines of B and C for plant height and D for flower diameter showed relatively high GCA effects. The crosses of A×D and B×D exhibited high SCA effects on increasing flower size and decreasing plant height and days to flowering. The crosses of A×B, B×C, and C×D exhibited high SCA effects on increasing plant height, stem diameter, length of petals, and height of flower. The broad sense heritability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narrow sense one.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showed the highest heritability in the broad and narrow sense 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