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항정신병약물로 초래된 비만의 기전과 치료

        송창진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7 No.2

        Long-term administration of antipsychotic drugs induces excessive weight gain of patients, and which impaires health and interfere with treatment compliance. The mechanisms of antipsychotic-induced obesity are variable and complex, but many basic and clinical research has shown that antipsychotics may affect body weight through two prime mechanisms. Increased appetite is probably related to the interaction of antypsychotics with neuronal receptors to dopamine, serotonin and histamine. Additional metabolic-endocrine disruption of weight regulation may be related to the effects of antipsychotic-induced hyperprolactinemia on gonadal-adrenal steroids and insulin sensitivity. Programmed psysical activity, dietary restriction, anorectic agents, and drugs that counteract hyperprolactinemia has shown to the be successful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ntipsychotic-induced obesity. Mechanisms and treatment of antipsychotic-induced obesity were reviewed in this article.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diverse pharmacological approach which prevent or treat antipsychotic-induced obesity in psychiary.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기전과 치료

        송창진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외상과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는 역학조사상 높은 유병율을 가진 질환이나 환자들이 신체증상을 가지고 일차진료의를 찾는 때문에 2~4%만이 정확하게 진단되어지고 있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치료는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s),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MAOIs), tricyclics같은 항우울제가 효과적이며 인지행동치료 같은 정신치료도 효과적이다. 최근엔 약물과 정신치료의 통합, 다양한 정신치료법의 통합, 공공 보건 영역에서의 중재 등에 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국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가장 적합한 치료는 생물학적, 정신치료적, 사회문화적인 다양한 차원의 치료 방법을 통합하여 접근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를 실제 상황에서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개념을 정리하고 치료에 대한 최신지견을 고찰하고자 한다. Epidemiologic studies indicate that traum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re highly prevalent in every country. While individuals with FTSD often present to primary care physicians with somatic symptoms, studies suggest that only 2 to 4% of these individuals are accurately diagnosed. Many antidepressants lik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s),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MAOIs), and tricyclics have been found to be efficacious for most symptoms of FTSD, and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inclu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has also been effective in the treatment FTSD. Current research includes trials of treatment combinations (e.g, medication and psychotherapy), innovative integration of different psychotherapies, and interventions in the area of public health. Optimal treatment of stress disorders must be multimodal, combining several dimension and approaches. This article reviews definition and clinical manifestation of FTSD to accurately diagnose and assess in real-life practice, and reviews current opinion of treatment plan.

      • KCI등재

        흰쥐에서 급성 스트레스 유발 불안반응의 해소에 대한 신경교세포 말초성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매개작용

        김영욱,박형배,이종범,김진성,정성덕,하정희,송창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3

        연구목적 : 말초성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가 스트레스로 유발된 불안반응에서의 불안해소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흰쥐에 급성 부동화(immobilization) 스트레스를 부하하여 유도된 불안반응에서 뇌조직중의 말초성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매개작용을 검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흰쥐에 급성 부동화 스트레스를 가한 후 실험동물의 불안도를 elevated plus maze를 통하여 검정하고 말초성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변화를 수용체 결합반응을 통하여 검색하여 대조군과 비교했고, 말초성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효현제 및 길항제의 투여에 의한 실험동물의 불안도의 변화 양상도 동일한 검사를 통하여 검정하였다. 결 과 : 급성 부동화 스트레스에 부하되었던 흰쥐는 불안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실험동물에 선택적인 중추성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효현제인 clonazepam을 투여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반응을 감약시킨 후 급성 부동화 스트레스를 가했을 때는 불안반응이 감약되었으며, 후구(olfactory bulb)의 말초성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상향조절도 관찰되지 않았다. 말초성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효현제인 Ro5-4864을 투여 후 약한 불안 해소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신경활성 스테로이드의 전구물질인 progesterone을 흰쥐에게 투여한 후 이 실험군의 통로로의 진입율 및 개방통로에서의 체류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말초성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는 급성 스트레스 부하시 야기되는 불안반응에서 내인성 GABA성 신경전달의 조절자로 알려진 신경활성 스테로이드의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불안반응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다. Objectives : Peripheral benzodiazepine receptor has been suggested to be associated with the relief of anxiety response induced by stress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anxiolytic activity of peripheral benzodiazepine receptor. Methods :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0-250g were forced to suffer an immobilization stress for 2 hours. The level of anxiety by immobilization was performed by an elevated plus maze and was evaluated by the number of [³H]Ro5-4864 binding sites in the olfactory bulb. Results : Saturation experiments followed by scatchard analyse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nsity of peripheral benzodiazepine receptor increased and the affinity of the peripheral benzodiazepine receptor remained unchange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erebral cortex. Pretreatment with clonazepam, a central benzodiazepine receptor agonist, before an immobilization stress abolished the anxious response on the performance of plus maze. In this group, upregulation of peripheral benzodiazepine receptor of olfactory bulb was not observed. Ro5-4864, a peripheral benzodiazepine receptor agonist, elicited an increase of anxiolytic response on the performance of plus maze. Progesterone, a precursor of neuroactive steroid, also increased anxiolytic response on the performance of pius maze. Pretreatment with PK11195, a peripheral benzodiazepine receptor antagonist, abolished the anxiolytic effect of progesterone. Conclusions :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peripheral benzodiazepine receptor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lief of acute stress induced anxiety response via an increase of synthesis of neuroactive steroid.

      • KCI등재

        흰쥐에서 반복적 스트레스가 신경활성 스테로이드의 GABAA 수용체 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장봉석,이종범,박형배,하정희,송창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3

        연 구 : 신경활성 스테로이드는 대뇌피질 세포막의 GABAA 수용체 복합체에서 GABAA 수용체 효현제 양상으로 작용하여 [³H]flunitrazepam이 GABAA 수용체에 결합하는 항진 작용이 관찰되었으나, 반복적으로 신경활성 스테로이드를 처치한 세포에서는 이러한 신경활성 스테로이드의 [³H]flunitrazepam 결합 항진효과가 소실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스트레스에 부하된 흰쥐를 사용하여 신경활성 스테로이드의 GABAA 수용체에 대한 배위자(ligand)의 결합반응 양상을 정상 실험동물과 비교, 관찰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에서,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반응(receptor binding assay)을 위한 [3H]flunitrazepam 결합반응을 위해서는 GF/B 여과지(Whatman) 상에서 Brandel M-24R을 사용하여 측정했고, GABAA 수용체 결합반응 (receptor binding assay)을 위한 [3H]muscimol 결합반응에서는 각 시험관 당 100㎕의 대뇌피질 조직(약 0.32mg 단백에 해당)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반응과 동일한 실험방법을 실시하였다. 결 과 : 신경활성 스테로이드인 pregnanolone은 대뇌피질 세포막의GABAA수용체 복합체에 대한 [³H]flunitrazepam 결합반응을 항진시켜 GABAA 수용체 효현제 양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 pregnanolone이 GABAA 수용체 복합체상의 GABA 결합부위에 대한 결합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GABAA 수용체 효현제인 [³H]muscimol 결합반응을 실시하였을 때 pregnanolone은 50%정도의 억제율을 보여주는 GABA와는 그 결과가 다르게 [³H]muscimol 결합반응을 억제하지 않음으로써. muscimol과 경쟁적으로 같은 결합부위에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 반복적인 부동화 스트레스에 부하된 흰쥐의 대뇌 피질조직을 사용하여 pregnanolone의 [³H]flunitrazepam 결합반응을 관찰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pregnanolone의 [³H]flunitrazepam 결합 항진작용이 감약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부터 반복적인 스트레스에 부하된 흰쥐의 대뇌피질조직에서는 정상 흰쥐에 비하여, pregnanolone이 GABA성 신경전달에 미치는 항진작용이 감약되었으며, 이는 반복적인 스트레스와 연관된 불안장애의 정신생리 규명에 중요한 정보라고 사료된다. Objectives : Pregnanolone is a potent positive modulator of the γ-aminobutyric acid(GABA) response that enhances the binding of [³H]flunitrazepam to the GABAA receptor.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chronic treatment with pregnanolone uncouples allosteric interactions between steroid and benzodiazepine recognition sit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 of repeated stress on the modulation of neuroactive steroids on the GABAA receptor. Methods : The effect of steroids on the ligands binding to GABAA receptor was investigated using cerebral cortices of unstressed and repeatedly immobilized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0-250g were forced to suffer an immobilization stress for 2 hours. Results : Pregnanolone enhanced the binding of [³H]flunitrazepam to GABAA receptor in both of unstressed and repeatedly stressed rats. However, repeatedly stressed ra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EC50 and lower values in Emax of enhancement binding of [³H]flunitrazepam than those of unstressed rats. Conclusions :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repeated stress reduced the positive modulation of neuroactive steroid no the GABAA-receptor complex.

      • KCI등재

        한국판 ADHD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문항선별과 분석

        송창진 ( Chang Jin Song ),구본훈 ( Bon Hoon Koo ),배대석 ( Dai Seg Bai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문화적 차이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ADHD 행동증상 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에 표준화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는 ADHD 행동증상 평가척도 중 대표적인 ADDES-HV, ACTeRS, CAP, SNAP의 4개 척도를 ADHD 환자 826명(남자 666명, 여자 1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기여도가 높은 문항을 선별하여 초등학교 재학 중인 7세에서 12세 사이의 ADHD 환자 238명(남자 203명, 여자 35명)과 120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05개 문항 중 48개 문항(45.7%)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48개 문항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5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선별된 48개 문항 중 중복된 문항을 제외한 39개 문항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이 요인들의 신뢰도 평가를 위하여 내적일관성을 나타내는 Cronbach`s alpha를 구하였다. Cronbach α 값은 안절부절 요인 0.857(p<.05), 과잉행동 요인 0.852(p<.05), 지속적인 주의집중의 어려움 0.915(p<.05), 충동성 0.887(p<.05), 부주의로 인한 과제수행의 어려움 0.897(p<.05)로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선별된 문항으로 초등학교 재학 중인 ADHD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을 판별할 수 있는 판별력을 측정한 결과 초등학교 재학 중인 ADHD 환자군 238명 중 236명(99.15%)을 환자로 판별하였고(p<.05), 정상 대조군에서는 120명 중 118명(98.3%)을 정상으로 판별하여(p<.05) 전체 판별력이 98.9%인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ore reliable ADHD behavioral symptom rating scales in Korea based 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ition(DSM-IV) criteria. ADHD group (N=826) and normal group (N=120) were evaluated by four ADHD scales (Attention Deficit Disorders Evaluation Scale - Home version [ADDES-HV], ADDH Comprehensive Teacher Rating Scale [ACTeRS], Children Attention Profile [CAP], Swanson, Nolan, and Pelham Checklist[SNAP]) and investigated several statistic analysis like item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and measure the reliability, validity. As a result, the 39 items are extracted. and 5 factors were analyzed. The factors were restlessness, hyperactivity, difficulty of sustained attention, impulsivity, difficulty to remain on the task to do homework. Cronbach`s alpha of these factors were 0.857, 0.852, 0.915, 0.887, 0.897, respectively. Discriminant ability of these factors for elementary school aged ADHD patients is 99.15%. To conclude, this new developed items of ADHD behavioral symptom rating scale is useful screening tool for ADHD children in Korea.

      •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 평가척도의 교사 평가판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송창진,김진성,정성덕,박형배,이종범,배진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7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4 No.2

        저자는 1989년 McCarney(1989)에 의해 개발되어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주의력 결핍 장애 평가척도-교사판(ADDES-SV)의 한국형을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한국실정에서 ADHD 환자를 선별할수 있는 평가용 도구로 적합한지 여부와 ADHD를 연구할 도구로 사용 할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1996년 10-11월사이에 대상은 대구, 경북에 소재한 4개 초등학교 2학년 아동 263명과 1996년 6-10월사이에 ADHD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단은 DSM-IV의 기준에 근거 하였다. 문항번역은 2명의 신경정신과 전문의와 1명의 사회 사업가와 1명의 아동 심리학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검사-재검사 신뢰 검증에서 신뢰도 계수는 주의산만 계수 0.88, 충동성 계수 0.810, 과잉운동 계수 0.83, 전체점수 0.83이었고(p<0.05), 내적 일관성에 대한 신뢰도 검증에서 Cronbach의 α값은 주의산만, 충동성, 과잉운동 소척도에서 각각 0.98, 0.87, 0.96 (p<0.05)이었고, 반분신뢰도 계수는 주의산만 소척도에서 part 1 : 0.96(p<0.05), part 2 : 0.95(p<0.05), 충동성 소척도에서 part 1 : 0.95(p<0.05), part 2: 0.93(p<0.05), 과잉 운동 소척도에서 part 1 : 0.92(p<0.05), part 2 :0.94(p<0.05)이었다. 각 소척도간의 상관은 주의산만 소척도와 충동성 소척도와의 상관계수는 0.87(p<0.05), 충동성 소척도와 과잉운동 소척도와의 상관계수는 0.95(p<0.05), 주의산만 소척도와 과잉운동 소척도와의 상관계수는 0.88(p<0.05)로 각 소척도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검사자간 신뢰도는 주의산만 소척도 0.92, 충동성 소척도 0.87, 과잉운동 소척도 0.89, 전체점수 0.89였다. 본 교실에서 한국형을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한 CAP척도와의 공존 타당도 검사에서는 환자군에서 0.85, 대조군에서 0.79의 상관관계를 얻었다. ADHD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간의 감별 타당도 검증에서 모두 유의하게 환자군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판별력 검증에는 정상대조군은 100%에서 정상으로 환자군은 89.2에서 환자군으로 판별되어 전체 판별력이 94.6%로 나타났으며, Cmax공식을 적용했을 때 89.2%의 판별력의 개선율을 보였다. 따라서, ADDES-SV척도는 한국인의 ADHD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ADHD에 대한 선별검사 및 역학 조사 연구에 유용한 도구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evaluation scale-school version(ADDES-SV). Between October 1996 and November 1996, ADDES-SV was administered to 26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and between Jun 1996 and October 1996, 28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 In the reliability test,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was significantly high and that of inattention was 0.88, that of impulsivity was 0.80, that of hyperactivity was 0.83 and total score was 0.83. In the reliability test by internal consistancy, the Cronbach a coefficient was significantly high and that of inattention was 0.98, that of impulsivity was 0.87, that of hyperactivity was 0.87(p<0.05). The half- sprit reliability coefficient by first-second half method showed high correlation and that of inattention was part 1:0. 96, part 2: 0.96 impulsivity was part 1: 0.95, part 2: 0.93, hyperactivity was part 1: 0.92, part 2: 0.94(p<0.05). Inter-rater reliability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significantly high and that of inattention was 0.92, that of impulsivity was 0.87, that of hyperactivity was 0.89 and total score was 0.89.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ADDES-SV and CAP scale was 0.85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 group and 0.79 in normal control group(p<0.05). In discriminant validity test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the patient group showed higher score(p<0.05). The total discriminant capacity of the patient group in ADDES-SV was 94.6%. In this point of view, ADDES-SV scale showed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pplying to Korean subjects and was proved to be the useful screening test tool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research.

      • KCI등재후보
      • 정신보건관련인력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연구

        사공정규,송창진,손인기 東國大學校 2000 東國論叢 Vol.39 No.-

        Attitudes of the health personnel toward the mentally ill affect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 and reintegration of the mentally ill into society. Therefore the authors carried out a survey of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in the health personnel by measuring Community Attitudes to the Mentally Ⅲ Inventory(CAMI).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get basic data to develop plan and strategy of community mental health in Pohang 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health personnel of Pohang community showed positive attitude of 'Benevolence'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and negative attitude of "Authoritarianism' and 'Social restrictiveness'. Therefore community mental health project in Pohang city will be established and activated easily. (2) The male group had more authoritative, less community mental health oriented attitude. (3) the more aged group had more authoritative, social restrictive attitude. (4) the unmarried group had less authoritative, social restrictive attitude. (5) The lower educated group had more authoritative, social restrictive and less benevolent, community mental health oriented attitude. (6) Monthly income 1-2 million Won group had more authoritative, social restrictive attitude, less community mental health oriented attitude. (7) The respondents who have never met mentally ill had less community mental health oriented attitude. (8) The respondents who themselves had used mental health services more benevolent, less authoritative, social restrictive attitude. From the above results, authors propose that planning of mental health project be necessary containing information and education for negative group and making resource for positive attitude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