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릴레이탐방(2)-질병차단 예방이 최우선

        송창선,Song, Chang-Seon 대한양계협회 2007 월간 양계 Vol.39 No.2

        우리 양계농가들은 전국에 있는 수의과대학과 어떠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을까? 과연 얼마나 많은 농가들이 대학기관과 연계해서 모니터링을 하면서 질병을 사전에 차단하는 노력을 하고 있을까? 본고에서는 릴레이 탐방 두 번째로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에서 조류질병을 담당하고 있는 송창선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에서는 조류질병에 대하여 어떠한 연구를 해나가고 있는지, 농가들이 어떠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 KCI등재

        항공교통관제사의 전문성이 상황인식에 미치는 영향

        송창선,윤용식,손영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5 No.3

        본 연구는 항공교통관제사의 숙련 정도가 정상 및 비정상 관제상황에 따라 상황인식 수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관제사들을 전문성의 정도에 따라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고 상황의 특수성에 따른 상황인식 수행의 차이와 전문가와 초보자의 작업기억이 상황인식 수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은 전문가와 초보자 관제사에게 정상적, 비정상적 관제상황을 달리 제시하여 상황인식 과제의 수행 차이를 알아보았고, 추가적으로 작업기억 사용을 방해하는 과제를 제시하여 상황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비정상적 상황은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초보자 집단의 상황인식에는 현저하게 낮은 상황인식 수행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해과제를 부여 했을 때 관제사들의 상황인식 정확도는 전반적으로 떨어졌지만, 전문가 집단은 초보자 집단에 비해 높은 정확성이 유지하였다. 실험 2는 작업기억 용량 과제를 이용하여 상황인식 수행에 영향을 끼친다고 여겨지는 작업기억 용량이 전문가와 초보자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작업기억 용량은 전문가와 초보자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상황인식의 각 단계 수행이 관제사의 전문성에 의해 나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으며, 관제사의 전문성 개발 및 훈련의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

        '아리랑', '쓰리랑'의 어원 탐색

        송창선 한국어문학회 2024 語文學 Vol.- No.163

        지금까지 '아리랑'의 어원을 밝히고자 한 연구는 무척 많았지만 그 어원을 분명하게 밝힌 연구는 없었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아리랑'의 어원을 미상으로 처리하거나 단순한 여음 정도로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아리랑, 쓰리랑'이 형용사 '아리다'와 '쓰리다'의 어간에 어미 '-랑'이 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이 '아리랑, 쓰리랑'이 단독으로 쓰이거나 '아리랑 고개'처럼 그 뒤에 명사가 올 때는 명사처럼 쓰이게 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실제로 '아리랑'의 노래 전체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아리다'와 '쓰리다'의 의미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민요 '아리랑'이 우리 민족의 노래가 될 수 있었던 까닭은, 바로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로 인해 속이 '쓰리고 아린', 다시 말해서 '쓰라린' 아픔을 노래로 풀어냈기 때문이라고 본다. 한편 '아리랑, 쓰리랑'에 쓰이는 '-랑'은 반복 구성에서 나타나는 '-락'의 음절말 자음 'ㄱ'이 'ㅇ'으로 교체됨으로써 생성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아리랑'의 노랫말에 나오는 '아라리'는 용언 '아리다'의 어근 '아리'에서 파생된 말로 보았는데 '아리아리'가 줄어들어서 '아라리'가 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아울러 '아리다, 쓰리다'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쓰라리다'는 '쓰리-'와 '아리-'가 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그 의미도 '쓰리고 아리다'라는 뜻을 유지하고 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origin of ‘arirang’ and ‘sseurirang’. The song ‘arirang’ is a representative folk song in Korean. But the meaning and origin of ‘arirang’ have been released yet. Most Koreans suspect that the folk song ‘arirang’ has a long history. But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it has only a short history. Recently some researchers made certain that the folk song ‘arirang’ occurred in the 1900s. In this study, I wanted to lift the veil of the meaning and origin of ‘arirang, arari’ and ‘sseurirang’. The terms ‘arirang, arari’ and ‘sseurirang’ were derived from the adjectives ‘arida’ and ‘sseurida’. In addition, I asserted that ‘-rang’ in ‘arirang, sseurirang’ was the connecting ending, used in the repetitive constructions. And I strongly insisted that the adjctive ‘sseurarida’ was made by the combination of ‘sseurida’ and ‘arida’. The folk song ‘arirang’ represents the pain of parting, after breaking up with one’s love. And the meaning of the song ‘arirang’ can be explained naturally by the meanings of ‘arida’ and ‘sseurida’. This study clearly showed that ‘arirang, arari’ and ‘sseurirang’ were derived from the adjectives ‘arida’ and ‘sseurid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현행 학교문법의 몇 가지 문제점

        송창선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07 국어교육연구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several problems in the current school grammar which i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figure out ways to correct problems.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nominal ending ‘-deon’ is regarded as a morpheme in the current school grammar, but it can be analysed into the retrospctive prefinal ending ‘-deo’ and the adnominal ending ‘-eun’. Secondly, the imperative ending ‘-geora’ in the current school grammar, is regarded as a morpheme which shows a regular conjugation. But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geora’ shows an irregular conjugation, and it is a allomorph of the imperative ending ‘-eora/-ara’.Thirdly, we can easily find some Korean sentences which include more than one subject or one object. In the current school grammar, they create a sentence which contains predicative clause to solve the problem of Korean sentences which include more than one subject. In addition, they treat the constituent which contains a subjective case as a subject. Nevertheless we have to acknowledge that ‘i/ga’ and ‘eul/reul’ can be used as a auxiliary postposition to solve the problem.Forthly, in the current school grammar, they consider ‘-siki-’ as a derivational suffix which represent the causative, and ‘-doe-’ as a derivational suffix which represent the passive. But we treat ‘-siki-’ and ‘-doe-’ as verb stems which imply the causative or passive expression.

      • KCI등재

        항공교통관제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만족도 조사

        송창선,손영우,권혁진,Song, Chang-Sun,Sohn, Young-Woo,Kwon, Hyuk-Jin 한국항공운항학회 2014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er interface level of air traffic control system with the usability analysis and satisfaction survey questionnaire on user satisfaction. Think aloud protocol is used to identify not only task analysis, but also the level of user-friendliness of the FIMS and ASDE system, and the user interface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by QUIS. We collected data from 6 controllers for Think aloud protocol and 15 controllers for QUIS in Incheon airpor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was the valuable tool for ensuring human performance with the support of memory and the facilitation of decision-making tasks. It helps air traffic controllers perform better and minimize errors in a congested time. The human-computer interface system design, however, was not applied, which led to the increase of workload. Air traffic controller participation in software development provided excellent examples for applications in terms of software in FIM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d that the usability of system interface wa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human factors.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system was discussed in User Interface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국어 명사절의 범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송창선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7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ritically some problems about the extending the range of the nominal clause in Korean. Most of Korean linguists considered that ‘-(eu)m’ and ‘-gi’ were the nominal endings, but some linguists considered that the interrogative endings and the bound noun ‘geot’ also could constitute the nominal clause. Some Korean linguists regarded ‘adnominal ending + geot’ as the nominal clause in that ‘adnominal ending + geot’ could be substituted for ‘-(eu)m’ and ‘-gi. But I insist that the structure ‘adnominal ending + geot’ is related to not the nominal clause but the adnominal clause, because ‘geot’ is not the nominal ending but the bound noun. Some Korean linguists regarded some interrogative endings could constitute the nominal clause in that the case marker could be connected to ‘-neunya, -neunga, -neunji’. But we can easily find that these interrogative endings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In these cases, it is unreasonable to explain two or more endings individually.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only two endings, ‘-(eu)m’ and ‘-gi’ are the nominal endings. 지금까지 국어학계에서는 대체로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가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절만 명사절로 다루어 왔는데 최근에 ‘-느냐/ -(으)냐, -는지/-(으)ㄴ지/-(으)ㄹ지, -는가/-(으)ㄴ가’ 등의 의문형 어미가 쓰인 경우와, ‘관형사형 어미 + 것’ 구성을 명사절 논의에 포함시킨 논의도 있다. ‘관형사형 어미 + 것’ 구성을 명사절로 다루는 가장 중요한 근거로 제시하는 것은, ‘-(으)ㅁ’, ‘-기’가 쓰인 문장을 ‘관형사형 어미 + 것’ 구성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대치가 그렇게 중요한 판단 기준이라면, ‘것’ 대신에 ‘사실’ 등의 보문 명사가 쓰인 구성과의 차이점을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아울러 ‘관형사형 어미 + 것’ 구성이 무척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를 명사절로 다루는 경우와 관형절로 다루는 경우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것도 문제이다. 다음으로 의문형 어미 뒤에 조사가 결합하는 경우를 명사절로 다루는 문제에 대해 깊이 살펴보았다. 그런데 ‘-느냐/-(으)냐’, ‘-는가/-(으)ㄴ가’, ‘-는지/-(으)ㄴ지/-(으)ㄹ지’ 외에도 조사가 결합할 수 있는지를 더 살펴본 결과, ‘-(으)ㄹ까’ 뒤에도 격조사가 결합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느냐/-(으)냐’, ‘-는가/-(으)ㄴ가’, ‘-는지/-(으)ㄴ지’와 ‘-(으)ㄹ까’가 대등 구성으로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의문형 어미가 여러 번 나타나는 경우를 살펴보았는데, 여기서 격조사가 결합하는 마지막 어미만 명사절을 형성한다고 하고, 나머지 어미들은 의문형 어미로 다루는 것은 일관성이 없는 설명을 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들 의문형 어미가 명사절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그대로의 의문형 어미로 쓰였다는 점을 명확하게 밝혔다. 이 연구를 통해서 국어 문법에서 명사절을 이루는 어미는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뿐이라는 점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